KR19990058850A - 여진기 회로 및 여진기 회로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변조 방법 - Google Patents

여진기 회로 및 여진기 회로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변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850A
KR19990058850A KR1019970079024A KR19970079024A KR19990058850A KR 19990058850 A KR19990058850 A KR 19990058850A KR 1019970079024 A KR1019970079024 A KR 1019970079024A KR 19970079024 A KR19970079024 A KR 19970079024A KR 19990058850 A KR19990058850 A KR 19990058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equency
mixer
modulation
signal
digi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9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6025B1 (ko
Inventor
이상복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9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6025B1/ko
Publication of KR19990058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60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3/00Angle modulation
    • H03C3/38Angle modulation by converting amplitude modulation to angle modulation
    • H03C3/40Angle modulation by converting amplitude modulation to angle modulation using two signal paths the outputs of which have a predetermined phase difference and at least one output being amplitude-modulated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CMODULATION
    • H03C3/00Angle modulation
    • H03C3/02Details
    • H03C3/09Modifications of modulator for regulating the mean frequency
    • H03C3/0908Modifications of modulator for regulating the mean frequency using a phase locked loop
    • H03C3/0958Modifications of modulator for regulating the mean frequency using a phase locked loop applying frequency modulation by var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voltage controlled oscillator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LAUTOMATIC CONTROL, STARTING, SYNCHRONISATION OR STABILISATION OF GENERATORS OF ELECTRONIC OSCILLATIONS OR PULSES
    • H03L7/00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 H03L7/06Automatic control of frequency or phase; Synchronisation using a reference signal applied to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6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 H03L7/18Indirect frequency synthesis, i.e. generating a desired one of a number of predetermined frequencies using a frequency- or phase-locked loop using a frequency divider or counter in the loop

Landscapes

  • Digital Transmission Methods That Use Modulated Carrier Waves (AREA)
  • Transmit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혼합기를 포함하는 여진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혼합기와 하나의 PLL IC로서 2개의 무한 PLL 회로를 구성하여 고도로 안정된 주파수를 얻어내고, 디지털 변조부와 아날로그 변조도 함께 행할 수 있는 여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여진기 회로는, FSK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부, 디지털 변조부와 PLL1을 혼합시켜 운용 주파수를 생성시키는 혼합기 및 상기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 및 증폭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은, 디지털 신호 변조시, 디지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변조부에서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단계, 상기 변조된 신호를 국부 발진부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아날로그 신호 변조시, 아날로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변조부에서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단계, 상기 변조된 신호를 국부 발진부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와 상기 발생시키는 단계에서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가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단계, 상기 혼합된 주파수를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 운용되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 및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디지털 변조를 행하는 디지털 변조부와 아날로그 변조를 행할 수 있는 아날로그 변조부를 포함하며, 위상 동기회로와 하나의 PLL IC와 혼합기를 이용하여 무한 루프를 통한 고도로 안정된 주파수를 얻어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여진기 회로 및 여진기 회로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본 발명은 혼합기를 포함하는 여진기(Excite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하나의 혼합기와 하나의 PLL IC로서 2개의 무한 PLL 회로를 구성하여 고도로 안정된 주파수를 얻어내고, 디지털 변조부와 아날로그 변조도 함께 행할 수 있는 여진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혼합기에 의한 여진기의 회로도이다. 상기의 도 1 을 참조하면 입력 주파수( F1 )와 국부 발진기(PLL1)가 혼합기(12)에 의해 직접 혼합되어 얻어지는 주파수로 서비스하는 회로로서, 한 시스템에서 디지털 변조 또는 아날로그 변조 중 한 가지밖에 행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에서 여진기란 각종 데이터 및 음성 신호와 같은 정보를 가입자나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하는 송신기(Transmitter)를 총칭한다.
상기와 같은 각종 데이터 및 음성 신호와 같은 정보를 가입자나 사용자에게 정확하게 서비스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안정된 회고가 필요하다.
상기와 같이 고도로 안정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종래의 여진기 회로는 상기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 주파수( F1 )와 국부 발진기(PPL1)를 혼합기에 의해 직접 혼합하여 얻어지는 주파수( F0 )로 서비스함에 있어서는 특성이 뛰어난 특수한 대역 통과 여파기가 필요하고, 원하는 주파수를 얻어내는데 오차가 발생할 우려가 높아, 안정되게 데이터 및 음성 신호와 같은 정보를 가입자나 사용자에게 전송하여 서비스하는데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여진기회로 및 상기 여진기 회로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혼합기에 의한 여진기 회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동기회로와 혼합기를 이용하며 디지털 변조부와 아날로그 변조부를 포함하는 여진기 회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변조부
11 , 16 , 21 , 24 , 31 : 국부 발진부
12 , 28 : 혼합기
13 : 대역통과여파기
14 , 15, 17 , 25, 29 , 32 , 33 : 증폭기
18 , 23 , 27 , 34 : 루프 필터
19 , 35 : PLL IC
20 : 디지털 변조부(또는 아날로그 변조부)
22 : 위상 비교기
26 : 저역통과여파기
30 : 아날로그 변조부(또는 디지털 변조부)
PLL1 : 국부 발진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진기 회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FSK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부;
디지털 변조부와 PLL1을 혼합시켜 운용 주파수를 생성시키는 혼합기; 및
상기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 및 증폭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FSK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지 아날로그 신호인지에 따라 변조부가 선택되어지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국부 발진기와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를 혼합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기로 혼합하여 얻어지는 주파수와 입력 주파수를 위상 동기시키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루프 필터를 통해 얻어지는 직류 전압에 의해 운용 주파수 대역의 발진기 주파수를 계속해서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의 안정된 주파수를 얻어내는 무한 루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은,
디지털 신호 변조시, 디지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변조부에서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변조된 신호를 국부 발진부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단계;
아날로그 신호 변조시, 아날로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변조부에서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제 3 단계;
상기 변조된 신호를 국부 발진부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가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제 5 단계;
상기 혼합된 주파수를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 운용되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 및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가 위상 비교기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가 혼합기에 입력되어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혼합되어 주파수 대역이 발생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같은 저역 통과 필터에 인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발생된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같은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해서 생긴 주파수가 위상 비교기에 입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위상 비교기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상기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발생된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전압이 루프 필터를 거치면서 직류 전압으로 변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루프 필터를 거치면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는 과정과 동시에 잡음이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직류 전압이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를 출력 주파수로 변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변환된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잠그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동작원리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위상 동기회로와 혼합기를 이용하며 디지털 변조부와 아날로그 변조부를 포함하는 여진기 회로도로서, FSK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20)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부(21)와 디지털 변조부와 PLL1을 혼합시켜 운용 주파수를 생성시키는 혼합기(28)와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25) 및 증폭(26)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어있다.
디지털 변조시는 중앙 처리장치로부터 디지털 변조부가 선택되고, 아날로그 변조시에도 역시 중앙 처리장치에서 선택되어 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국부 발진기(PLL1)와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24)를 혼합기로 혼합하여 얻어지는 주파수( fs )와 입력 주파수( fi )를 위상 비교기(22)로 위상 동기시킨 후 루프 필터(27)를 통해 얻어지는 직류 전압에 의해 운용 주파수 대역의 발진기(24) 주파수( f2 )를 계속해서 무한 루프를 통해 안정화 시켜 고도의 안정된 주파수( f2 )를 얻어낸다.
상기 첫 번째 변조부(20)에서는 디지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두 번째 변조부(30)에서는 아날로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는 것을 원칙으로 하며, 역으로 상기 첫 번째 변조부에서는 아날로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두 번째 변조부에서는 디지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신호 변조시, 상기 첫 번째 변조부(20)에서 변조 신호(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고, 상기 국부 발진부(21)는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아날로그 신호 변조시, 상기 두 번째 변조부(30)에서는 변조신호(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고, 상기 국부 발진부(PLL1)는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킨다.
상기 국부 발진부(21)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 fosc1 )와 상기 국부 발진부(PLL1)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 fosc2 )가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주파수를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 운용되는 주파수( f2 )를 생성해 내고, 상기 운용 주파수( f2 )수 대한 여파(25) 및 증폭(26)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국부 발진부(21)에 의해 생성되는 고주파 발진회로( fosc1 )는 FSK 디지털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20)아 기준 클럭 및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수행하는 국부 발진부(PLL1)와 상기 국부 발진부(21)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 fosc1 )와 상기 국부 발진부(PLL1)에 의해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 fosc2 )가 혼합기에 의해 혼합된 주파수를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 운용되는 주파수( f2 )를 고주파부에서 생성하며, 상기 혼합기(28)로부터 발생된 신호를 증폭하고 저역 통과 여파기를 통해 순수 운용주파수( f2 )만을 출력하게 한다.
즉, 상기 국부 발진부(21)에서 생성된 주파수( fosc1 )가 위상 비교기(22)에 입력되고,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 OSC3 )가 혼합기(28)에 입력되면, 혼합되어 얻어지는 주파수 대역이 발생되는데, 상기 주파수 대역은 컷 오프 주파수가 상기 국부 발진부(21)에서 생성된 주파수( fosc1 )와 같은 상기 저역 통과 필터(27)에 인가되어, 혼합되어 발생된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가 상기 국부 발진부(21)에서 생성된 주파수( fosc1 )와 같은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하여 생긴 주파수( fs1 )가 위상 비교기(22)에 입력된다.
그러면 상기 위상 비교기(22)는 두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며, 상기 전압은 루프 필터를 거치면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며, 동시에 잡음 성분이 제거된다.
상기 직류 전압이 변화될 떼 상기 직류 전압이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 OSC3 )를 출력 주파수( f2 )로 변환시켜 원하는 주파수를 잠그도록 해준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이 순식간에 무한 루프를 돌아 결국에는 고도로 안정된 주파수를 발생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디지털 변조를 행하는 디지털 변조부와 아날로그 변조를 행할 수 있는 국부 발진부를 제공하였으며, 각종 데이터 및 음성 신호와 같은 정보를 서비스함에 있어, 위상 동기회로를 이용하여 하나의 PLL IC와 혼합기를 이용하여 2개의 무한 루프를 통한 고도로 안정된 주파수를 얻어내는 회로를 제공하였으며, 혼합기에 의해 직접 혼합되어 발생되는 주파수를 직접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무한 루프를 통한 고도로 한정된 주파수를 얻어내는 회로를 제공하였다.
향후 양방향 페이징 시스템의 송수신기에 적용될 것으로 예상되는 디지털 통신과 아날로그 통신을 한 시스템에서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5)

  1. FSK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를 수행하는 변조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국부 발진부;
    디지털 변조부와 PLL1을 혼합시켜 운용 주파수를 생성시키는 혼합기; 및
    상기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 및 증폭을 수행하는 회로를 포함하는, 여진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FSK 신호가 디지털 신호인지 아날로그 신호인지에 따라 변조부가 선택되어지는 중앙처리장치를 포함하는, 여진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국부 발진기와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를 혼합하는 혼합기를 포함하는, 여진기.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로 혼합하여 얻어지는 주파수와 입력 주파수를 위상 동기시키는 위상 비교기를 포함하는, 여진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필터를 통해 얻어지는 직류 전압에 의해 운용 주파수 대역의 발진기 주파수를 계속해서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의 안정된 주파수를 얻어내는 무한 루프를 포함하는, 여진기.
  6. 디지털 신호 변조시, 디지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변조부에서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제 1 단계;
    상기 변조된 신호를 국부 발진부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단계;
    아날로그 신호 변조시, 아날로그 변조를 지원하는 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변조부에서 변조 신호를 입력받아 변조하는 제 3 단계;
    상기 변조된 신호를 국부 발진부가 단일 주파수의 캐리어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4 단계;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와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고주파 발진 주파수가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는 제 5 단계;
    상기 혼합된 주파수를 무한 루프를 통해 고도로 안정화시키는 과정에서 실제 운용되는 주파수를 생성하는 제 6 단계; 및
    상기 운용 주파수에 대한 여파 및 증폭 기능을 수행하는 제 7 단계를 포함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가 위상 비교기에 입력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가 혼합기에 입력되어 상기 제 4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혼합되어 주파수 대역이 발생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9.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같은 저역 통과 필터에 인가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10. 제 6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발생된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같은 저역 통과 필터를 통과해서 생긴 주파수가 위상 비교기에 입력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11. 제 6 항 또는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위상 비교기가 상기 제 2 단계에서 생성된 주파수와 상기 혼합기에 의해 혼합되어 발생된 주파수 대역 중 컷 오프 주파수를 비교하여 그에 상응하는 전압을 발생시키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12. 제 6 항 또는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이 루프 필터를 거치면서 직류 전압으로 변화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루프 필터를 거치면서 직류 전압으로 변환되는 과정과 동시에 잡음이 제거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14. 제 6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 전압이 서비스 대역의 발진기를 출력 주파수로 변환하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15. 제 6 항 또는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변환된 출력 주파수를 이용하여 원하는 주파수를 잠그는, 여진기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 변조 방법.
KR1019970079024A 1997-12-30 1997-12-30 여진기회로및여진기회로에서의디지털변조및아날로그변조방법 KR10029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24A KR100296025B1 (ko) 1997-12-30 1997-12-30 여진기회로및여진기회로에서의디지털변조및아날로그변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9024A KR100296025B1 (ko) 1997-12-30 1997-12-30 여진기회로및여진기회로에서의디지털변조및아날로그변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850A true KR19990058850A (ko) 1999-07-26
KR100296025B1 KR100296025B1 (ko) 2001-08-07

Family

ID=3752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9024A KR100296025B1 (ko) 1997-12-30 1997-12-30 여진기회로및여진기회로에서의디지털변조및아날로그변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602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6025B1 (ko) 2001-08-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3862B1 (ko) 안정된 주파수를 얻기 위한 주파수변환기
US6115586A (en) Multiple loop radio frequency synthesizer
US6255912B1 (en) Phase lock loop used as up converter and for reducing phase noise of an output signal
EP0856946A3 (en) Phase-locked loop circuit and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ing the same
US6208843B1 (en) Radio frequency and microwave module for simultaneously transmitting data and audio signal
EP1345375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equency modulation
US8374283B2 (en) Local oscillator with injection pulling suppression and spurious products filtering
KR100997491B1 (ko) 오프셋 위상동기루프를 사용하는 통신 송신기
JPH05227234A (ja) 受信装置
EP1168648A3 (en) Radio communications apparatus
KR19990058850A (ko) 여진기 회로 및 여진기 회로에서의 디지털 변조 및 아날로그변조 방법
US7269228B2 (en) Non-coherent frequency shift keying transmitter using a digital interpolation synthesizer
US2003010923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ractional-N synthesis
KR100621169B1 (ko) 주파수 합성기를 포함하는 무선 장치 및 주파수 합성기를위상 및/또는 주파수 변조하는 방법
JP4110668B2 (ja) 信号発生器
JP2000286742A (ja) 無線通信装置
JP3365965B2 (ja) Fm変調回路
KR101193337B1 (ko) 저전력 위상 고정 루프 및 이를 이용한 서브 샘플링 트랜시버
KR19980015962A (ko) 위상 동기 루프 회로
KR20000046539A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송신 회로
KR0145863B1 (ko) 공진회로를 이용한 대역확산통신시스템의 주파수 합성기
KR100737059B1 (ko) 전압제어발진기회로
KR970007087Y1 (ko) 주파수 편이 변조 모뎀의 송신 회로
KR100290428B1 (ko) 무선전화기의 음성신호 주파수 편이장치
KR0143727B1 (ko) 위성통신시스템의 주파수 발진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2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