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8643A -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 Google Patents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8643A
KR19990058643A KR1019970078788A KR19970078788A KR19990058643A KR 19990058643 A KR19990058643 A KR 19990058643A KR 1019970078788 A KR1019970078788 A KR 1019970078788A KR 19970078788 A KR19970078788 A KR 19970078788A KR 19990058643 A KR19990058643 A KR 199900586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ificial marble
antimicrobial
inorganic
weight
inorganic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정호
김철재
김성훈
이계희
이헌형
오세생
전표명
박동수
Original Assignee
이정국
대림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정국, 대림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정국
Priority to KR10199700787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8643A/ko
Publication of KR1999005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8643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14/00Use of inorganic materials as fillers, e.g. pigm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Treatment of inorganic materials specially adapted to enhance their filling properties in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14/02Granular materials, e.g. microballo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6/00Compositions of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containing only organic binders, e.g. polymer or resin concrete
    • C04B26/02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03/00Function or property of ingredients for 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 C04B2103/60Agents for protection against chemical, physical or biological attack
    • C04B2103/67Bioc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2111/00Mortars, concrete or artificial stone or mixtures to prepare them, characterised by specific function, property or use
    • C04B2111/54Substitutes for natural stone, artistic materials or the like
    • C04B2111/542Artificial natural stone
    • C04B2111/545Artificial marbl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경 0.07 ~ 20㎜의 무기충전제 50 ~ 80 중량% ; 입경 70㎛ 이하의 무기충전제 10 ~ 40 중량% ; 바인더 4 ~ 20 중량% 및 은, 아연 및 구리이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 금속이온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무기항균제 0.1 ~ 10 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압축강도, 굴곡강도, 내약품성, 내수성 및 내마모성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를 넣을 수 있어 천연대리석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고, 또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는 위생적인 인조대리석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본 발명은 압축강도, 굴곡강도, 내약품성, 내수성 및 내마모성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를 넣을 수 있어 천연대리석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고, 또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는 위생적인 인조대리석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인조대리석은 경도, 내마모성, 내수성 및 내오염성 등의 특성이 뛰어나고, 풍부한 의장성과 품격있는 외관으로 인해, 바닥재, 벽재, 싱크대, 식탁, 세면대 및 욕조 등에 많이 사용되어 왔지만, 이것들의 용도에는, 온난다습하고 영양물질의 부착에 의한 오염 등에 의해 세균이나 곰팡이의 번식에 적합한 조건으로 사용되고 있는 예가 많았다. 최근,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MRSA)에 의한 병원내 2차 감염이 문제가 되면서, 불특정 다수 사람들의 사용 빈도가 높은 병원이나 공공시설에서 사용하는 건재에 대한 항균성 부여가 요망되고 있다.
종래의 일반적인 인조대리석은 열경화성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고, 여기에 소량의 무기충전물을 첨가하여 경화시킨 것으로, 예를 들면, 열경화성수지가 부분 중합된 시럽에 소량의 무기충전제를 혼합하여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인조대리석을 제조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일본특허공개 평2-160,648호). 이와 같이, 열경화성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인조대리석의 항균성 부여는 국내·외에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그 실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열경화성 수지와 충전제로 구성되는 수지조성물에 항균제를 더하여 혼합·분산시킨 것을 주형 성형틀에 주입하여 경화시키는 방법, 열경화성 수지조성물을 미리 주형 성형틀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성형물 표면에 항균제를 함유하는 항균성 도료를 도포하는 방법등이다. 특히 일본특허공개 평5-58698호에서는 항균성 필러(filler)로 구성되는 모입자 또는 그 모입자에 부착시키는 자입자에 항균제를 함유시킨 마이크로캡슐(microcapsule)화 필러(filler)를 열경화성 매트릭스(matrix) 수지에 분산시켜 인조대리석 원료로 하고 이것을 성형하는 방법, 일본특허공개 소63-130312호에서는 금형의 캐비티(cavity) 내에 용융 합성수지를 충전하기 전에, 캐비티(cavity)내 주면에 미리 항균제를 혼입한 이형제를 도포해 놓아, 이형시 성형품 표면에 상기 항균제를 전사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지성형품의 항균처리 방법 및 유기항균제를 첨가하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국내에서도 한국특허공개 제96-10578호에서는 액상의 유기단량체, 수지 및 무기항균제를 배합하고 가열 용융시켜 일정한 점도를 가진 시럽을 만들고, 여기에 무기 충전제 및 기타 보강제를 첨가하여 혼합한 다음 일정 형태의 판상 및 형물에 주입하여 경화시킨 후 이형시키는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조대리석은 내열성, 내마모성, 압축강도 및 굴곡강도 등에 문제가 있어, 건축물의 바닥재, 벽재 및 계단 등 하중을 많이 받는 내·외장재 등의 용도에 제한을 받아 왔다.
한편, 입자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무기충전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소량의 열경화성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여 경화시킨 폴리머 콩크리트가 인조대리석으로 개발 사용되어 왔다(미국특허 제4,371,639호, 미국특허 제4,400,413호, 미국특허 제4,375,489호, 미국특허 제4,341,673호, 미국특허 제4,085,246호등). 이러한 인조대리석은 물리·화학적 특성은 우수한 반면, 항균력의 미비로 위생상의 문제점이 제기되어 왔다.
본 발명은 압축강도, 굴곡강도, 내약품성, 내수성 및 내마모성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를 넣을 수 있어 천연대리석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고, 또한 항균활성을 갖고 있는 위생적인 인조대리석을 제공하는 것이 과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검토를 행한 결과, 입자크기가 상이한 여러 종류의 무기충전물을 주성분으로 하고, 무기항균제를 첨가한 소량의 열경화성수지를 바인더로 사용하는 것이 극히 유효하다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입경 0.07 ~ 20㎜의 무기충전제 50 ~ 80 중량% ; 입경 70㎛ 이하의 무기충전제 10 ~ 40 중량% ; 바인더 4 ~ 20 중량% 및 은, 아연 및 구리이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 금속이온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무기항균제 0.1 ~ 10 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입자의 크기가 다른 두 종류의 무기충전제는 인조대리석에 원하는 외관, 강도 및 탄성율을 부여하는 것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알루미나, 맥반석, 점토, 석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활석, 황산바륨, 탄산칼슘, 유리, 및 황토 중에서 선택된 단독 또는 2종 이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입자크기가 0.07 ~ 20㎜인 무기충전제인 경우, 인조대리석 전 중량에 대하여 50~80 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50 중량% 미만에서는 인조대리석의 질감 및 의장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고, 80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70㎛ 이하의 무기충전제와 바인더의 양이 적어지고, 그로 인해 결합력이 현저히 떨어져 인조대리석의 강도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입경 70㎛ 이하의 무기충전제는 입경 0.07∼20 mm 의 무기충전제의 공극을 메우기 위해 첨가하는 것으로, 인조대리석 전 중량에 대하여 10~40 중량% 범위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량이 10 중량% 미만에서는 인조대리석의 결합력, 치수안정성 및 강도가 현저히 떨어질 수 있고, 40 중량%를 초과하면 상대적으로 입경 0.07 ~ 20㎜의 무기충전제의 양이 적어져, 인조대리석의 질감 및 의장성이 상당히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바인더는, 경화시켜 인조대리석을 제조할 수 있는 열경화성 수지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종래부터 인조대리석용의 바인더로 알려져 있는 각종 단량체나, 단량체와 중합체의 혼합물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비닐에스테르로부터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바인더 성분으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메타)아크릴"로는, "아크릴" 및/또는 "메타아크릴"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 바인더의 사용량은 인조대리석 전 중량에 대해, 4 ~ 20중량%가 바람직하다. 바인더의 사용량이 4 중량% 미만에서는 결합력이 현저히 떨어져 인조대리석의 강도에 문제가 야기될 수 있고, 20 중량%를 초과하면 인조대리석의 균질성 유지에 곤란함이 발생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에 있어, 바인더 성분과 함께, 필요에 따라 공중합용 비닐 단량체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공중합용 비닐 단량체로는 스틸렌, α-메틸스틸렌, 비닐톨루엔, 아크릴로니트릴, 초산비닐,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비닐 화합물과 알릴프탈레이트, 디알릴푸말레이트, 디알릴석시네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을 들 수있다.
또한, 바인더 성분을 가교시키기 위한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드,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롤프로판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부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이 분자 내에 복수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갖는 가교성 비닐 단량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중, 특히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가 바람직하다. 이 가교성 비닐 단량체의 사용량은, 바인더 전체에 대해 통상 0.05 ~ 20 중량% 이다.
이상과 같은 바인더 성분을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통상적으로 경화촉매를 병용한다. 이 경화촉매로는, 터셔리부틸 퍼옥시말레인산, 과산화벤조일, 큐멘히드로퍼옥사이드, 아조비스이소브티로나이트릴 등을 들 수 있다. 상온에서 중합·경화시키는 경우에는, 아민류, 술핀산류 혹은 코발트 화합물과 과산화물과를 조합시키거나, 터셔리부틸 퍼옥시말레인산 등의 퍼옥시 화합물과 글리콜디머켑토아세테이트 등의 머켑탄 화합물 및 이온교환수를 조합시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경화촉매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고, 경화촉진제로는 나프텐산코발트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무기항균제는 인조대리석에 항균활성을 부여할 목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은, 아연 및 구리이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 금속이온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무기항균제이면 특별한 제한은 없다. 구체적인 예로는, 제올라이트계, 인산칼슘계, 인산지르코늄계, 인산복염계, 용해성 유리계 무기항균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한 무기항균제로는 제올라이트계, 인산지르코늄계, 인산복염계 무기항균제이고, 특히, 제올라이트의 이온교환 가능한 금속이온이 은, 아연 및 구리이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항균성 금속이온으로 치환된 항균성 제올라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기항균제의 사용량은 인조대리석 전 중량에 대해, 0.1 ~ 10.0 중량%의 범위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 하고, 특히 바람직한 범위는 0.1 ~ 5.0 중량%이다. 무기항균제의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에서는 항균력이 인정되지 않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인조대리석의 물성을 현저하게 저하시킬 뿐만 아니라 제조원가 상승으로 경쟁력을 상실하게 된다.
무기항균제의 입자크기는 제한은 없으나, 항균활성 발현의 효율성을 고려할 때, 평균입자경은 0.2 ~ 100㎛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0.2 ~ 1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인조대리석에 미려한 색상과 무늬를 주기 위해 안료를 사용할 수 있다. 안료는 제품과 안료의 종류에 따라 그 양이 결정되며, 바인더량 에 대하여 0.1 ~ 10 중량%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상의 각 성분 이외에도, 종래부터 인조대리석의 첨가성분으로 알려져 있는 각종 성분을 필요에 따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며,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면, 열안정제, 자외선흡수제 등을 들수 있다. 열안정제로는 알킬페놀계, 포스페이트계, 티오에테르계 등이 사용할 수 있고, 자외선흡수제로는 벤조트리아졸계, 벤조페논계, 알릴에스테르계, 포름아미딘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상의 각 성분중 적어도 입경 0.07 ~ 20㎜의 무기충전제 50 ~ 80 중량% ; 입경 70㎛ 이하의 무기충전제 10 ~ 40 중량% ; 바인더 4 ~ 20 중량% 및 무기항균제 0.1 ~ 10 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을 경화시키는 것에 의해 외관이 미려하고,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을 얻을 수 있다. 이상의 혼합물을 성형하는 방법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으며, 종래부터 인조대리석의 성형방법으로 사용되온 주형성형, 사출성형, 압축성형 등의 어느 방법도 적용가능하지만, 압축성형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몰드에 진공을 걸고 진동을 시키면서 압축성형하는 방법이다.
이상과 같이하여 얻어진 본 발명의 인조대리석은 압축강도, 굴곡강도, 내약품성, 내수성 및 내마모성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를 넣을 수 있어 천연대리석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고, 무기항균제가 인조대리석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여 표면이 마모되거나 자주 세척해도 항균효과가 약해지거나 없어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며, 대장균, 폐렴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등 일반 가정과 병원, 호텔, 백화점 등 공공용도의 설비시설에서 흔히 발생하는 세균과 병원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는다.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은, 미려한 외관과 항균활성을 필요로 하는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병원, 호텔, 백화점, 지하철 등 공공시설과 일반가정의 바닥재, 벽재, 싱크대, 식탁, 세면대, 욕조 등 욕실 및 주방 등의 위생설비에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다음 실시예들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입경 0.07∼20mm 의 무기충전제와 입경 70㎛이하의 무기충전제 90 중량%, 바인더 9 중량% 및 무기항균제 1중량%를 사용한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의 제조예를 기술한다. 무기충전제는 90% 이상의 순도를 갖는 실리카를 사용하였다. 무기충전제는 다시 입자크기 0.1 ~ 0.3mm의 실리카(1)과 입자크기 0.7 ~ 1.2mm인 실리카(2)로 구분하여 사용하였으며, 입경 70㎛이하의 무기충전제는 입자크기 64㎛ 이하의 실리카 분말을 사용하였다. 바인더는 불포화폴리에스테르 수지에 경화제로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를, 경화촉진제로 나프텐산코발트를, 가교제로 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를 각각 바인더 전중량에 대해 2 중량%, 1 중량%, 1 중량% 씩 첨가하고 충분히 혼합하여 준비하였다.
실리카(1) 19 중량%, 실리카(2) 51 중량%, 청색 무기질 안료(바인더 전중량에 대해 4 중량%) 및 은과 아연이온이 치환된 제올라이트계 무기항균제 1 중량%를 믹서에서 15초간 혼합하고, 위에서 준비한 바인더 혼합물을 9 중량% 투입하여, 1.5분간 혼합하였다. 다시 입자크기 64㎛ 이하의 실리카 분말 20 중량%를 투입하여 3분간 최종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프레스가 설치된 몰드에 고르게 분산·투입한 후, 진공·진동·압축 성형하고 이형하여 판상의 성형체를 얻었다. 이 성형체를 80 ~ 85℃로 유지되는 오븐에서 2시간 경화하고, 표면을 연마한 후, 절단하여 5cm × 6cm × 1.2cm 크기의 인조대리석 시험편(A)를 얻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은과 아연이온이 치환된 제올라이트계 무기항균제의 첨가량을 0.1 중량%, 0.5 중량%, 2.0 중량%로 달리하여, 각각 인조대리석 시험편(B, C, D)를 얻었다.
(실시예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무기항균제로 은이온이 치환된 인산지르코늄계 무기항균제를 1 중량% 사용하는 것만을 달리하여, 인조대리석 시험편(E)를 얻었다.
(실시예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무기항균제로 은과 아연이온이 치환된 인산복염계 무기항균제를 1 중량% 사용하는 것만을 달리하여, 인조대리석 시험편(F)를 얻었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무기항균제로 은이온이 담지된 용해성유리계 무기항균제를 1 중량% 사용하는 것만을 달리하여, 인조대리석 시험편(G)를 얻었다.
(실시예 6)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실리카(2) 대신, 맥반석이 실리카(2) 전중량에 대해 15 중량% 첨가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만을 달리하여, 인조대리석 시험편(H)를 얻었다.
(실시예 7)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입자크기 64㎛ 이하의 실리카 분말 대신, 황토분말이 실리카분말 전중량에 대해 30 중량% 첨가된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만을 달리하여, 인조대리석 시험편(I)를 얻었다.
(비교예)
상기의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조대리석 시험편을 제조하되, 다만 무기항균제를 사용하지 않는 것만을 달리하여, 비교편을 얻었다.
(시험예) 항균성 시험
시험균주는 대장균(Escherichia coli), 녹농균(Klebsiella pneumonia),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Methicillin Resistant Staphylococcus aureus)를 사용하여 항균성 시험을 하였다.
시험편 A ~ I 및 비교편에 대한 항균성 시험을 이하의 방법에 따라 수행하였다.
실험방법은 보통한천배지에서 균을 35℃로 24시간 배양하고, 한개의 군락을 취하여 육즙배지에 접종한 후, 35℃에서 5~10 시간 진탕배양하였다. 이균액을 멸균된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균수가 1~7×105cfu/ml이 될 때까지 희석한 후, 시험편과 비교편 위에 희석균액을 접종하였다. 멸균된 폴리에틸렌 필름으로 균액을 밀착시키고, 35℃에서 24시간 정치배양한 후, 멸균된 인산완충용액을 사용하여 시료상의 생균을 세척하였다. 이세척액에 대해 균수 측정용 배지를 사용하여, 혼석평판배양법에 따라 생균수를 측정하고, 시험편 5cm×6cm 당의 생균수로 환산하였다. 또한 균감소율은 시험편과 비교편의 24시간 후의 균수를 이용하여 아래식(1)에 따라 계산하였다.
(일반식 1)
상기와 같이하여 얻어진 항균성 시험결과를 균주별로 대장균은 표 1에, 녹농균은 표 2에, 메티실린내성황색포도상구균은 표 3에 각각 정리하였다.
대장균에 대한 항균성
시료 초기균수, cfu/ml 24시간 후 균수, cfu/ml 균감소율, %
비교편 2.1 × 104 5.2 × 105 -
시험편(A)시험편(B)시험편(C)시험편(D)시험편(E)시험편(F)시험편(G)시험편(H)시험편(I) 2.1 × 104 < 201.5 × 103< 20< 20< 20< 20< 20< 20< 20 100.099.7100.0100.0100.0100.0100.0100.0100.0
녹농균에 대한 항균성
시료 초기균수, cfu/ml 24시간 후 균수, cfu/ml 균감소율, %
비교편 3.2 × 104 2.1 × 106 -
시험편(A)시험편(H)시험편(I) 3.2 × 104 < 20< 20< 20 100.0100.0100.0
메티실린내성 황색포도상구균에 대한 항균성
시료 초기균수, cfu/ml 24시간 후 균수, cfu/ml 균감소율, %
비교편 5.1 × 104 6.3 × 105 -
시험편(A)시험편(H)시험편(I) 5.1 × 104 < 20< 20< 20 100.0100.0100.0
상기의 표 1, 2, 3 중의 균감소율은 인조대리석의 표면 항균성을 나타내는 지표로 100%에 가까울수록 높은 항균성을 갖고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인조대리석은 종래의 인조대리석과는 달리 인조대리석 표면에 감염된 대장균, 녹농균, 메티실리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등에 대해 항균활성이 우수함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압축강도, 굴곡강도, 내약품성, 내수성 및 내마모성 등 물리·화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여러 가지 색상과 무늬를 넣을 수 있어 천연대리석 보다 미려한 외관을 갖고, 무기항균제가 인조대리석 내부에 골고루 분산되어 있기 때문에 오랫동안 사용하여 표면이 마모되거나 자주 세척해도 항균효과가 약해지거나 없어지지 않는 본 발명의 항균활성을 지닌 인조대리석을 제공하는 것이며, 대장균, 폐렴균,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상구균 등 일반 가정과 병원, 호텔, 백화점 등 공공용도의 설비시설에서 흔히 발생하는 세균과 병원균에 대해 우수한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을 제공하는 것이다.

Claims (6)

  1. 입경 0.07 ~ 20㎜의 무기충전제 50 ~ 80 중량% ; 입경 70㎛ 이하의 무기충전제 10 ~ 40 중량% ; 바인더 4 ~ 20 중량% 및 은, 아연 및 구리이온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항균성 금속이온의 항균활성을 이용한 무기항균제 0.1 ~ 10 중량%로 구성된 혼합물을 경화시켜 제조된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2. 제1항에 있어서, 무기충전제는 알루미나, 맥반석, 점토, 석분, 수산화알루미늄, 실리카, 활석, 황산바륨, 탄산칼슘, 유리 및 황토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무기충전제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3. 제1항에 있어서, 바인더는 멜라민(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및 비닐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1종이상의 열경화성 수지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4. 제1항에 있어서, 무기항균제는 제올라이트계, 인산칼슘계, 인산지르코늄계, 인산복염계, 용해성 유리계 무기항균제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무기항균제로 입자크기는 0.2∼100㎛이고, 인조대리석 전 중량에 대해 0.1∼5.0 중량% 함유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5. 제4항에 있어서, 무기항균제는, 제올라이트의 이온교환 가능한 금속이온이 은, 아연 및 구리이온 중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 이상의 항균성 금속이온으로 치환된 항균성 제올라이트 임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6. 제1항의 항균 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을 이용하여 제조된 바닥재, 벽재, 싱크대, 식탁, 세면대, 욕조 및 주방 설비
KR1019970078788A 1997-12-30 1997-12-30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KR199900586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788A KR19990058643A (ko) 1997-12-30 1997-12-30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788A KR19990058643A (ko) 1997-12-30 1997-12-30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8643A true KR19990058643A (ko) 1999-07-15

Family

ID=412642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788A KR19990058643A (ko) 1997-12-30 1997-12-30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8643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27406A (ko) * 2002-02-05 2002-04-13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KR100412977B1 (ko) * 2001-11-01 2003-12-31 주식회사 효원종합건설 철근 강화 콘크리이트 구조물의 전기방식용 전도성 고분자조성물
WO2006062373A1 (en) * 2004-12-09 2006-06-15 Cheil Industries Inc.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containing ocher
WO2011078476A3 (ko) * 2009-12-23 2011-11-03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한 무정형 무늬가 있는 인조대리석
WO2017003081A1 (ko) * 2015-06-30 2017-01-05 롯데첨단소재 주식회사 경량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2977B1 (ko) * 2001-11-01 2003-12-31 주식회사 효원종합건설 철근 강화 콘크리이트 구조물의 전기방식용 전도성 고분자조성물
KR20020027406A (ko) * 2002-02-05 2002-04-13 오주희 황토를 이용한 인조 대리석 제조방법
WO2006062373A1 (en) * 2004-12-09 2006-06-15 Cheil Industries Inc.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containing ocher
EP1838644A1 (en) * 2004-12-09 2007-10-03 Cheil Industries Inc.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containing ocher
JP2008523202A (ja) * 2004-12-09 2008-07-03 チェイル インダストリー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黄土を含んだ複合固体表面成形品
US7875668B2 (en) 2004-12-09 2011-01-25 Cheil Industries Inc.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containing loess
EP1838644A4 (en) * 2004-12-09 2013-04-10 Cheil Ind Inc SOLID SURFACE ARTICLE, COMPOSITE, CONTAINING OCHER
WO2011078476A3 (ko) * 2009-12-23 2011-11-03 제일모직주식회사 투명한 무정형 무늬가 있는 인조대리석
US9340064B2 (en) 2009-12-23 2016-05-17 Cheil Industries Inc. Artificial marble with transparent and amorphous pattern
WO2017003081A1 (ko) * 2015-06-30 2017-01-05 롯데첨단소재 주식회사 경량화 인조대리석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48673B1 (en) Composite material having the appearance of natural stone
US20060188580A1 (en) Anti-microbial granules
US7875668B2 (en) Composite solid surface article containing loess
AU715453B2 (en) Antibacterial artificial marble composition
CN111978443A (zh) 一种抗菌亚克力材料及其制备方法
EP2347688B1 (en) Resin-based composite material sanitary applian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9990058643A (ko) 항균활성을 갖는 인조대리석
US10570280B2 (en) Sound hydrophobic polymeric surfacing
US20030130414A1 (en) Alpha-methylene lactone homopolymer and copolymer compositions, sheets and articles made therefrom and the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CN109096738B (zh) 一种树脂型人造石及其制备方法
JP3479581B2 (ja) 2層構造を有する抗mrsa性人工大理石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335689B1 (ko) 우레탄 컬러코팅 규사를 이용한 무광 무황변 무용제 에폭시 줄눈 및 미장제 조성물
EP3686227B1 (en) Thermosetting composite material, particularly for providing sanitary articles, bathroom washbasins and kitchen sinks
JP3145632B2 (ja) 抗mrsa性人工大理石及び組成物
KR20000045850A (ko) 항균성 인조석재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2807604B2 (ja) 人造大理石成形品
US8474070B2 (en) Resin-based composite sanitary ware and preparation method
KR20040098193A (ko) 음이온 및 원적외선을 방출하는 기능성 아크릴계인조대리석 및 그 제조방법
KR100252610B1 (ko) 항균성을갖는열경화성아크릴수지조성물
JPH09164538A (ja) 人工大理石の製造方法
KR100305521B1 (ko) 항균성을갖는불포화폴리에스테르성형품용겔코팅조성물
JPH0826805A (ja) 抗菌性人工大理石製品の製法
CA2698643C (en) A resin-based composite sanitary ware and preparation method
JPH0386710A (ja) 合成樹脂組成物
JPH0873251A (ja) 抗菌性人工大理石製品の製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