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7980A -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7980A
KR19990057980A KR1019970078061A KR19970078061A KR19990057980A KR 19990057980 A KR19990057980 A KR 19990057980A KR 1019970078061 A KR1019970078061 A KR 1019970078061A KR 19970078061 A KR19970078061 A KR 19970078061A KR 19990057980 A KR19990057980 A KR 199900579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change
operating system
protocol
communication service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8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방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8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7980A/ko
Publication of KR199900579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7980A/ko

Links

Landscapes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운영시스템에서 X.25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환기의 유지보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에 대한 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
본 발명은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을 전용선 또는 공중전화망등으로 연결한 후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정합되도록 연결하여 교환기의 유지보수 및 각종 정보의 이용을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환기 운용에 필요한 원격유지보수, 과금통계등의 다양한 운용정보와 유지보수에 필요한정보 및 교환정보에 해당 하는 정보를 운영시스템으로 서비스한다.

Description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
본 발명은 X.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영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영시스템에서 X.25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환기의 유지보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에 대한 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전자교환기는 X.25프로토콜을 적용하여 패킷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있다. 그러므로 X.25프로토콜은 ITU-T(Interface Telecommunition Union Telecommunication)에서 권고한 통상의 패킷망 접속규격을 만족하여 그 상위계층은 상기 전자교환기라는 시스템에서 필요로 하는 관련 X.25프로토콜용 디바이스의 상태 및 루팅정보 관리기능이 포함된 수송계층, 세션계층등이 응용계층과 인터워킹하는 방식이 채택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환기에 연결된 운용시스템에서 유지보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각종 통신서비스를 할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교환기에 연결된 운용시스템에서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유지보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의 연결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을 연결하지 않고 교환기와 운영시스템간을 직접 연결하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렉트 모뎀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의 연결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업모뎀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의 연결구성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의 연결구성도이고,
운용시스템 10은 서비스하기 위한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11과 X.25정합부 12로 이루어져 있고, 교환기 20은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21과 X.25정합부 22를 구비하며, 상기 운용시스템 10과 교환기 20은 X.25정합부 12, 22간에 X.25프로토콜로 정합되도록 연결되어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뎀을 연결하지 않고 교환기와 운영시스템간을 직접 연결하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렉트 모뎀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의 연결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이얼업모뎀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영시스템의 연결구성도이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교환기 30의 X.25정합부는 X.25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카드가 되고, X.25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카드에서 교환기 20와 연결되는 임의의 운영시스템 10과 X.25프로토콜로 정합되고 해당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다수의 응용프로그램 21과 통로를 제공해주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운영시스템 10의 X.25정합부 12는 X.25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카드가 실장되며. X.25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카드에서 사용자와 연결된 교환기 20와의 원활한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데이터 링크를 셋업하고 사용자로부터 요구 서비스를 받은후 데이터 링크를 통해 교환기 20의 다수의 프로그램 21의 해당 프로그램과 통신을 하여 해당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정합한다.
운영시스템 10과 교환기 20이 물리적으로 접속이 연결되면 데이터를 주고 받을수 있도록 데이터링크를 설정한다. 이때 운영시스템 10의 X.25정합부 12는 데이터 링크 설정 패킷을 교환기 20으로 보내고 교환기 20의 X.25정합부 22에서 응답을 운영시스템 10으로 보낸다. 이때 운영시스템 10에서 정상적인 응답을 받으면 운영시스템 10과 교환기 10간통화로가 열린다. 교환기 20와 운영시스템 10간에 통화로 연결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사용자가 원하는 통신서비스를 응용프로그램 11을 통해 선택하며, 이때 운영시스템 20에서는 운용 및 유지보수나 기타 교환기 20에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교환기 20으로 요구한다. 교환기 20에서는 해당되는 응용프로그램 21로부터 해당 서비스를 찾아 응답데이터를 X.25정합부 22와 X.25정합부 12를 통해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전송한다. 이때 서비스 데이터의 교환이 성공적으로 수행되면 본격적인 통신서비스를 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서비스의 종료요구 데이터를 보내면 응용프로그램과 연결하여 X.25정합부 12와 응용프로그램 11, X.25정합부 22와 응용프로그램 21을 해지시킨다. 여기서 원하는 통신서비스의 선택은 교환기 20이나 운영시스템 10에서 제공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다 이용할 수 있다. 예를들어 과금 및 통계, 형상정보, 원격유지보수정보, 교환기운용정보등을 서비스 해준다면 이들 정보를 식별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서비스코드번호를 메긴다면 과금서비스 코드번호 01, 형상정보 02, …… , 교환기 운용정보는 04가된다. 서비스 패킷의 식별시 이 서비스 코드번호로 원하는 서비스를 구별하여 각 서비스마다 패킷단위로 데이터를 주고 받게 된다. 이들 데이터 패킷들은 각각의 운영시스템 10의 응용프로그램 11과 교환기 20의 응용프로그램 21에서 가공처리되어 사용자가 요구하는 형태의 정보로 표현해 준다.
이와같은 통신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에는 3가지로 활용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운영시스템 10과 교환기 20을 도 2와 같이 직접연결하여 별도의 모뎀을 구비하지 않고 통신서비스를 제공해주는데, 현재 X.25가 규정한 최고속 64Kbps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두 번째로 운영시스템 10과 교환기 20을 도 3과 같이 디렉트모뎀을 이용하여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서비스 속도는 디렉트모뎀이 제공하는 속도에 따라 가변적으로 제공이 가능하다.
그리고 세 번째로 운영시스템 10과 교환기 20을 도 4와 같이 다이얼업 모뎀을 이용하여 공중전화망(PSTN)으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는 거리의 제약 및 국가와 관계없이 원하는 모든 교환기에 대한 제어가 가능하지만 속도가 느리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교환기의 유지보수 및 각종 정보의 이용을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교환기 운용에 필요한 원격유지보수, 과금통계등의 다양한 운용정보와 유지보수에 필요한정보 및 교환정보에 해당 하는 정보를 운영시스템으로 제공하여 교환기의 운용 및 유지보수를 즉시 활용할 수 있으므로 교환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3)

  1. X.25정합부를 각각 구비하는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시스템과 교환기간에 디렉트 모뎀을 사용하여 전용선으로 연결하여 X.25프로토콜에 의해 교환기의 유지보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서비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X.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서비스는,
    상기 운영시스템과 상기 교환기가 물리적으로 연결될 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도록 상기 운영시스템에서 데이터 링크 설정패킷을 상기 교환기로 전송하여 데이터링크를 셋업하는 과정과,
    상기 데이터 링크를 셋업하여 사용자로부터 서비스 요구가 있을시 다수의 응용프로그램중 해당 응용프로그램을 찾아 상기 셋업된 링크를 통해 X.25프로토콜을 이용하여 상기 교환기로 해당 서비스 요구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서비스 요구데이터를 받은 교환기에서 해당 서비스요구에 해당 하는 응용프로그램을 찾아 응답데이터 패킷을 X.25프로터콜에 의해 상기 운영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과정과,
    상기 교환기로부터 전송한 응답데이터 패킷을 운영시스템에서 받아 가공처리하여 사용자가 요구하는 형태로 표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X.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
  3. X.25정합부를 각각 구비하는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시스템과 교환기간에 다이얼업 모뎀을 사용하여 공중전화망을 통해 연결하여 X.25프로토콜에 의해 교환기의 유지보수 및 사용자가 요구하는 정보를 서비스함을 특징으로 하는 X.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
KR1019970078061A 1997-12-30 1997-12-30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KR1999005798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61A KR19990057980A (ko) 1997-12-30 1997-12-30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8061A KR19990057980A (ko) 1997-12-30 1997-12-30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7980A true KR19990057980A (ko) 1999-07-15

Family

ID=66180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8061A KR19990057980A (ko) 1997-12-30 1997-12-30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798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43347B1 (ko) 접속 설정 방법 및 그 제어 장치
RU2144271C1 (ru) Система для управления телекоммуникационным обслуживанием
US4996685A (en) Technique for dynamically changing an ISDN connection during a host session
CA2216982A1 (en) Internet ncp over atm
KR20000055024A (ko) 프로토콜 메시지 전송 장치 및 그를 이용한 메시지 전송 방법
KR20000005953A (ko) 시간슬롯교환네트워크를갖는디지털스위치들을통해인터넷트래픽스위칭
KR19990057980A (ko) 엑스.25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운용시스템간의통신서비스방법
AU719708B2 (en) Procedure and system for adapting a data link connection between a remote workstation and an automatic call allocation system
AU741495B2 (en) Procedure for the switching of data traffic in a data communication system
EP1263260A1 (en) Automation of provisioning of private line packet network connections
KR100282400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ppdn 연동을 위한 무선 패드기능을 제공하는 데이터 망연동장치 및 이를 이용한 데이터 통신 방법
US7860080B2 (en) Service provisioning in telecommunications system comprising call control service capability servers
JP3632612B2 (ja) リモート側交換機のリセット方法及び交換機システム
KR100222410B1 (ko) 교환시스템의 다중 데이터 링크 접속방법
KR100266259B1 (ko) 프레임 핸들러 모듈에서의 데이터 전송 장치
US6453026B1 (en) Telecommunications network architecture for accessing customer premises equipment
KR19990057981A (ko) 직렬 프로토콜을 이용한 교환기와 호스트 시스템간의 통신서비스방법
KR100233907B1 (ko) Isdn 교환기의 프레임 릴레이 모듈
JP3141822B2 (ja) セキュリティ通信方式
KR100468588B1 (ko) 탐-운용관리시스템의 통신신호관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JPH04255136A (ja) パケット交換装置
KR100438070B1 (ko) 1차군 인터페이스망을 이용한 네트웍 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100270738B1 (ko) 사설교환기의엑스.25계층3구동장치및방법
KR100219221B1 (ko) 종합정보통신망(isdn) 사용자-망 접속의 계층 3에서 정보요구 프리미티브 처리방법
KR20010056847A (ko)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전전자 교환기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