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5483A -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 Google Patents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5483A
KR19990055483A KR1019970075429A KR19970075429A KR19990055483A KR 19990055483 A KR19990055483 A KR 19990055483A KR 1019970075429 A KR1019970075429 A KR 1019970075429A KR 19970075429 A KR19970075429 A KR 19970075429A KR 19990055483 A KR19990055483 A KR 199900554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frames
slot
slots
base s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5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157B1 (ko
Inventor
정동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75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59157B1/ko
Publication of KR1999005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1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1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82Allocation of channels according to the instantaneous demands of the users, e.g. concentrated multiplexers, statistical multiplex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3/00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 H04J3/16Time-division multiplex systems in which the time allocation to individual channels within a transmission cycle is variable, e.g. to accommodate varying complexity of signals, to vary number of channels transmitted
    • H04J3/1694Allocation of channels in TDM/TDMA networks, e.g. distributed multiplex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는 블라인드 슬롯(blind slot)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모든 슬롯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셀 범위를 확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단말기와 스위칭 시스템을 구비한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부기지국과, 상기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으로 분리한 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부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된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홀수 슬롯의 프레임과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완전한 프레임을 출력하는 주기지국이 상부 부기지국과 쌍으로 구성됨에 그 요지가 있다.

Description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
본 발명은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 시스템은 기존의 유선 통신에서 무선 통신으로 그리고, 아날로그 방식에서 디지털 방식으로 급격히 변화하는 단계에 있다.
이러한 디지털 이동 통신은 크게 코드 분할 다중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과 시분할 다중접속(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이하 TDMA라 약칭함) 방식으로 나눌 수 있는데, TDMA 방식이란 문자 그대로 시간을 나누어 다중 접속을 한다는 의미로 현재 음성으로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DCS1800 등의 셀룰라(Cellular) 이동 통신과 DECT(Digital European Cordless Telephone), CT2(Cordless Telephone 2), PHS(Personal Handy phone System) 등의 디지털 무선(Digital Cordless) 통신 그리고, WAN(Wide Area Network) 등의 데이터 통신에 적용되고 있다.
그리고 점차 주파수가 한정됨에 따라 주파수 밴드(Frequency Band)는 높아지고 보다 나은 음질 또는 빠른 데이터 전송을 위해 데이터 전송율(rate)은 증가하는 추세이다.
상기 TDMA는 시스템(이동 통신에서는 기지국)에서 시간을 나누어 각 유저와 통신을 하기 때문에 기본적으로 프레임(frame)이라는 데이터 구조를 가진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프레임은 슬롯(slot)이라는 서브-프레임(sub-frame) 구조를 가지며 한 슬롯은 하나의 채널(channel)을 형성한다.
이러한 프레임은 시간적으로 반복되며 각 프레임의 특정 위치 즉, 특정 슬롯은한 유저에게 할당된다.
이렇게 각 기지국은 셀 범위(cell coverage)내의 유저와 시간을 나누어 통신을 하고, 각각의 기지국은 중앙의 시스템에 연결되어 다른 네트워크나 통신망으로 연결된다.
그렇기 때문에 TDMA 방식에서 한 기지국이 동시에 통신을 할 수 있는 유저의 수는 1 프레임에 슬롯 수는 N+1이므로, 채널(channel) 수는 N+1이 된다.
이 슬롯 수는 통신 프로토콜(protocol)의 구현 목표와 기술 수준에 따라 미리 규약된 표준이다.
그리고 무선 환경에서는 데이터를 공중-인터페이스(air-interface)로 주고 받기 때문에 기지국이 필요하고 각 기지국은 RF단의 성능(특히 파워 앰프의 용량)과 안테나의 성능에 따라 통신이 가능한 지역 즉, 셀 범위를 갖는다.
도 2a 내지 도 2c는 일반적인 셀(cell)의 배치도 및 각 기지국의 데이터 구조와 채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구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각 셀의 채널은 슬롯 수에 비례하는데, 일반적으로 TDMA는 FDMA(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겸용하기 때문에 이론적으로 가능한 채널의 수는 슬롯 수와 무선 채널 수를 곱한 것이다.
여기서 각 슬롯의 데이터를 다른 주파수 밴드로 유저와 연결한다고 해서 동시에 통신 가능한 유저의 수가 늘어나는 것은 아니지만 각 통신 패스(path)간의 인터페이스(interface)를 줄일 수 있는 측면에서 대부분의 경우 FDMA 방식을 혼용하고 있다.
이것은 같은 지역이라도 주위 전파 환경에 따라 주파수 밴드별로 상태가 다르기 때문이다.
예를 들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파수 ch 0로 통신을 하던 중 갑자기 상태가 나빠지는 경우 무선 채널의 주파수를 1, 2와 같은 다른 밴드로 옮겨 통신을 계속하게 된다.
이것을 인트라-핸드오버(intra-handover)라고 하고 기지국 A에서 B 등과 같은 셀간의 이동을 인터-핸드오버(inter-handover)라 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는 블라인드 슬롯(blind slot)을 갖는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으로, PSTN 등 외부 전화 교환 시스템(1)과, 스위칭 시스템(2)과, 다수개의 기지국(3~5)으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 기술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방식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반적으로 각 유저에게 할당된 슬롯은 싱크(sync)와 제어(control) 데이터를 전송하는 헤더(header) 부분이 있고 그 다음에 실제 음성 데이터가 있는 구조이다.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 구조에서 교대로 짙게 표현된 슬롯은 블라인드 슬롯(blind slot)이라고 불리며 시스템에서 사용할 수 없는 슬롯이다.
이러한 블라인드 슬롯이 발생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현재 기지국(3)내 단말기(3a)를 사용하는 유저가 스위칭 시스템(2)을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여 외부 전화 교환 시스템(1)을 통해 상대방과 통화하고 있을 경우 사용중인 slot을 N-1번째 슬롯이라 하고 다음 슬롯을 N번째 슬롯이라 하자.
그러면 N-1번째 슬롯에서는 '0'부터 'M'까지의 주파수 대역 중 주파수 '0'을 사용하고 있다고 하면 N번째 slot에서는 '0'부터 'M'까지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를 주변 상황과 채널 점유 현황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데, 상기 스위칭 시스템(2)의 제어신호에 따라 PLL(Phase Locked Loops;미도시)이 동작하여 캐리어(carrier) 주파수가 바뀌게 된다.
이 과정은 N-1번째 슬롯의 데이터가 모두 전송되고 N번째 헤더(Header) 즉 데이터의 시작 부분이 전송되기 전에 이루어져야 하는데, 상기 PLL의 locking time이 그 시간 간격보다 크면 다음 슬롯 데이터를 보낼 캐리어 주파수를 발생시키지 못하게 되어 쓸 수 없는 블라인드 슬롯이 생기게 된다.
이러한 상황은 데이터 전송율(rate)이 Mega-bps 이상으로 높아 각 슬롯의 길이 즉, 시간이 짧은 경우 그리고, 이러한 짧은 동작 시간을 극복할 수 있는 고성능 RF단을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한 소형 시스템에서 주로 발생한다.
이러한 블라인드 슬롯을 없애기 위한 방법으로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_even에서는 짝수(even number)의 슬롯을 처리해 주고 RF_odd에서는 홀수(odd number)의 슬롯을 처리해주게 된다.
여기서, 도 5는 기지국 RF단을 듀얼(dual)로 사용하여 블라인드 슬롯을 없앤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스위칭 시스템(2)에서 송수신되는 모든 슬롯을 포함하고 있는 프레임에서 RF_even slot과 RF_odd slot을 분리하여 처리하도록 기지국(3)내에 짝수 슬롯(Even slot)을 처리할 수 있는 RF단(3-1)과 홀수 슬롯(Odd slot)을 처리할 수 있는 RF단(3-2)을 각각 구성한 것이다.
이 방법은 블라인드 슬롯을 가지게 하는 RF단을 듀얼로 사용함으로써 시스템 측면에서는 모든 슬롯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 기술은 실제로 유럽의 DECT 방식 시스템에서 쓰이고 있다.
이 기술의 장점으로는 모든 슬롯을 사용할 수 있어서 가용 채널이 두 배로 늘어나고, 기지국의 일반 CPU, 통신 프로토콜 프로세서 등의 베이스-밴드 로직(base-band logic)을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또 하나의 RF단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만 추가로 처리해주면 되기 때문에 기지국을 두 개 세우는 것에 비해 비용 절감 효과가 크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는 기지국내 짝수 슬롯(Even slot)과 홀수(Odd slot)을 각각 처리할 수 있는 RF단을 구성함으로써 가용 채널은 늘어나는데 비해 셀의 범위는 늘어나지 않게 됨으로 특히, 전파의 직진성으로 인해 셀 범위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GHz이상의 고주파 대역에서 문제가 된다.
그리고 RF단을 dual로 써야 하기 때문에 RF단의 가격이 비쌀 경우, 비효율적이다.
또한, 단말기 측면에서 보면 단말기의 RF단 역시 똑같이 블라인드 슬롯을 가지므로, 듀얼 RF단을 사용한 기지국에서는 모든 슬롯을 사용할 수 있지만 단말기에서는 통화를 하는 슬롯만을 사용한다.
그리고, 소프트 핸드오버(soft-handover)시 동시에 두 슬롯에서 통화를 유지하기 위하여 최대한 두 슬롯만을 사용하므로, 단말기의 경우 듀얼로 RF단을 사용한다는 것은 비경제적이다.
또한, TDD 방식의 통신에서는 기지국과 단말기의 슬롯은 일치하므로, 기지국은 모든 슬롯을 사용하고 단말기는 그 중 짝수(even)이나 홀수(odd) 슬롯만을 사용한다면 슬롯과 캐리어 주파수 변경시에 고려해야 할 사항이 많아져 처리 소프트웨어(software)가 복잡해지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블라인드 슬롯(bline slot)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모든 슬롯을 사용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셀 범위를 확장하도록 한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일반적인 프레임 구조를 나타낸 블럭 다이어그램
도 2a 내지 도 2c-일반적인 셀(cell)의 배치도 및 각 기지국의 데이터 구조와 채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블라인드 슬롯(blind slot)을 갖는 프레임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4-일반적인 이동 통신 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낸 도면
도 5- 기지국 RF단을 듀얼(dual)로 사용하여 블라인드 슬롯(blind solt)을 없앤 구현 예를 나타낸 도면
도 6-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
도 7-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프레임을 나눈 주 및 부기지국의 개념도를 나타낸 도면
도 8-도 7의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의 기능을 나타낸 다이어그램
도 9-도 7의 데이터 처리부를 나타낸 상세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0 : 스위칭 시스템 120 : 주기지국
121 : 프로토콜 제어부 122 : 데이터 처리부
122a : 프레임 처리부 122b : 프레임 싱크발생부
122c : 고주파 신호처리부 123 : 제 1고주파 송수신부
130 : 부기지국 131 : 제 2고주파 송수신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특징은, 단말기와 스위칭 시스템을 구비한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부기지국과, 상기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으로 분리한 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부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된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홀수 슬롯의 프레임과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완전한 프레임을 출력하는 주기지국의 상부 부기지국과 쌍으로 구성되는데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특징은, 통신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제어수단과, 상기 프로토콜 제어수단의 프로토콜에 맞춰 송수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 1고주파 송수신수단으로 구성된 주기지국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 2고주파 송수신수단으로 구성된 부기지국이 상기 주기지국과 쌍으로 구성되는데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기본 개념을 나타내는 블럭 다이어그램으로, 외부 전화 교환 시스템(미도시)과 기지국을 스위칭하는 스위칭 시스템(110)과, 상기 스위칭 시스템(110)으로부터 송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처리하고 홀수 슬롯의 플레임을 분리하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주기저국(120)과, 상기 주기지국(120)으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송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처리하는 부기지국(130)으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프레임을 나눈 주 및 부기지국의 개념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주기지국(120)은 통신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제어부(121)와,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121)의 프로토콜에 맞춰 송수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부(122)와, 상기 데이터처리부(122)로부터 분리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단말기(미도시)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 1고주파 송신부(123)로 구성되고, 부기지국(130)은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로 출력하거나 상기 데이터 처리부(123)로부터 분리된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 2고주파 송수신(131)로 구성된다.
상기 주기지국(120)과 부기지국(130)은 쌍(pair)으로 구성된다.
도 8은 도 7의 데이터 처리부의 내부의 기능을 나타낸 다이어그램이다.
도 9는 도 7의 데이터 처리부를 나타낸 상세 구성도로서, 상기 주기지국(120)내 데이터 처리부(122)는 상기 제 1및 제 2고주파 송수신부(121)(131)로부터 출력된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 및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출력하거나 송신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프레임 처리부(122a)와, 상기 짝수 슬롯의 프레임 및 홀수 슬롯의 프레임의 전송에 필요한 프레임 싱크를 발생하는 프레임 싱크발생부(122b)와, 상기 프레임 싱크에 맞게 제어신호를 듀얼 모드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처리부(122c)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의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스위칭 시스템(110)은 외부 전화 교환 시스템(미도시)의 신호에 따라 통화를 위한 프레임을 송신한다.
그러면 주기지국(120)은 상기 스위칭 시스템(110)으로부터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통신 프로토콜에 맞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한다.
그리고 주기지국(120)은 상기 분리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외부로 송출하고,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부기지국(130)에서 송출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부기지국(130)은 상기 주기지국(12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분리된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외부로 송출한다.
다음으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에 대하여 설명하면, 먼저 외부로부터 주기지국(120)과 부기지국(130)으로 프레임이 수신되는 경우 주기지국(120)은 상기 프레임(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수신한 후 부기지국(130)으로 수신된 프레임(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출력한다.
상기 부지기국(130)에서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수신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를 짝수 슬롯의 프레임으로 인식하여 수신하게 된다.
그러면 스위칭 시스템(110)은 상기 주기지국(120)으로부터 출력된 프레이을 외부 전화 교환 시스템(미도시)으로 전송한다.
상기 전술한 프레임의 송수신 과정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지국으로부터 단말기로 프레임을 송신하는 경우, 주기지국(120)내 프로토콜 제어부(121)는 상기 스위칭 시스템(110)으로부터 송신된 프레임을 수신하여 통신 프로토콜에 맞춰 출력한다.
그러면 데이터 처리부(122)는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121)의 신호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고주파 송수신부(123)(131)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한 후 상기 짝수 슬롯의 프레임은 제 1고주파 송수신부(123)로, 상기 홀수 슬롯의 프레임은 부기지국(130)내 제 2고주파 송수신부(131)로 출력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122)내 프레임 처리부(122a)는 상기 프로토콜 제어부(121)의 신호에 따라 프레임을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으로 분리하여 출력한다.
아울러 프레임 싱크발생부(122b)는 상기 분리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싱크를 발생한다.
그리고 고주파 신호처리부(122c)는 상기 프레임 싱크발생부(122b)에서 발생된 싱크에 맞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제 1고주파 송수신부(123)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2)로부터 출력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상기 프레임 싱크와 제어신호에 맞춰 외부로 송출한다.
아울러 부기지국(130)내 제 2고주파 송수신부(131)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2)로부터 출력된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프레임 싱크와 제어신호에 맞춰 듀얼 모드로 외부로 송출한다.
한편, 다음으로 단말기로부터 기지국으로 프레임이 수신될 경우 먼저, 주기지국(120)내 제 1고주파 송수신부(121)는 외부로부터 프레임(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이를 데이터 처리부(122)로 출력한다.
아울러 부기지국(130)내 제 2고주파 송수신부(131)는 외부로부터 프레임(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수신하여 이를 상기 주기지국(120)내 데이터 처리부(122)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부기지국(130)내 제 2고주파 송수신부(131)는 상기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짝수 슬롯의 프레임으로 인식하여 수신한다.
그러면 데이터 처리부(122)는 상기 제 1 및 제 2고주파 송수신부(121)(131)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출력한다.
즉 데이터 처리부(122)내 프레임 처리부(122a)는 상기 제 1 및 제 2고주파 송수신부(121)(131)로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출력한다.
아울러 프레임 싱크발생부(122b)는 상기 분리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의 시작을 알리는 싱크를 발생한다.
그리고 고주파 신호처리부(122c)는 상기 프레임 싱크발생부(122b)에서 발생된 싱크에 맞춰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프로토콜 제어부(123)는 상기 데이터 처리부(122)에서 결합되어 출력된 프레임을 외부 전화 교환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는 블라인드 슬롯을 가지는 시스템에서 모든 슬롯을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의 분리 또는 결합 처리함으로써 통화 가능한 셀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단말기와 스위칭 시스템을 구비한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tem)의 슬롯활용장치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출력하는 부기지국과,
    상기 스위칭 시스템으로부터 외부의 단말기로 송신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으로 분리한 후 신호처리하여 출력하거나 상기 부기지국으로부터 출력된 프레임과 상기 단말기로 부터 수신된 프레임으로부터 홀수 슬롯의 프레임과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완전한 프레임을 출력하는 주기지국이 상기 부기지국과 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tem)의 슬롯활용장치.
  2. 통신 프로토콜을 제어하는 프로토콜 제어수단과, 상기 프로토콜 제어수단의 프로토콜에 맞춰 송수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거나 결합하여 신호처리하는 데이터 처리수단과,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짝수 슬롯의 프레임을 송신하거나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는 제 1고주파 송수신수단으로 구성된 주기지국과,
    상기 단말기로부터 프레임을 수신하여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으로 출력하거나 상기 데이터 처리수단으로부터 분리된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송신하는 제 2고주파 송수신수단으로 구성된 부기지국이 상기 주기지국과 쌍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지국내 데이터 처리수단은
    상기 제 1 및 제 2고주파 송수신수단으로부터 출력된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 및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결합하여 출력하거나 송신될 프레임으로부터 짝수 슬롯의 프레임과 홀수 슬롯의 프레임을 분리하여 출력하는 프레임 처리부와;
    상기 짝수 슬롯의 프레임 및 홀수 슬롯의 프레임의 전송에 필요한 프레임 싱크를 발생하는 프레임 싱크발생부와;
    상기 프레임 싱크에 맞게 제어신호를 듀얼 모드로 조정하여 출력하는 고주파 신호처리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TDMA System)의 슬롯활용장치.
KR1019970075429A 1997-12-27 1997-12-27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KR1004591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429A KR100459157B1 (ko) 1997-12-27 1997-12-27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5429A KR100459157B1 (ko) 1997-12-27 1997-12-27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5483A true KR19990055483A (ko) 1999-07-15
KR100459157B1 KR100459157B1 (ko) 2005-04-06

Family

ID=373018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5429A KR100459157B1 (ko) 1997-12-27 1997-12-27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5915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0096236A (ja) * 2018-12-10 2020-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ベースユニットおよび中継器
JP2020096237A (ja) * 2018-12-10 2020-06-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ベースユニットおよび中継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59157B1 (ko) 2005-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59779B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terminal
JP3329814B2 (ja) 周波数ホッピングtdma無線通信装置用の基地局
JP4322880B2 (ja) 電話システムにおける周波数間のハンドオフ実行方法
JP3110333B2 (ja) Tdma方式無線装置の送信ダイバシチー回路
US6088381A (en) System for transporting frequency hopping signals
EP111635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access communication
KR20140001909A (ko) 듀얼-모드 기지국
KR20010102279A (ko) 두 개의 송수신기를 지닌 이동국 및 상기 이동국에서수행되는 인터-프리컨시 방법
GB2365274A (en) Transmission of logical control channel on a single slot during handoff
EP1229693B1 (en)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thereof, an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mploying the same
JP3094221B2 (ja) コード分割多重方式基地局用の周期型ビーコン信号発生装置
CA2306485A1 (en) Dual mode mobile telephone
KR100459157B1 (ko) 시분할 다중접속 시스템의 슬롯활용장치
KR100243028B1 (ko)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간 통화장치 및 그 방법
JPH09289500A (ja) Tdma通信方法および装置
US6289006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arrier frequencies in each time slot in a telecommunications process
JP3253419B2 (ja) 移動通信装置および移動局装置
JP3250730B2 (ja) 時分割多重無線通話方式
JP3179091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ハンドオフ方法及び移動端末
JP3048930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10107726A (ja) 送信出力切り替え無線中継装通信システム
US6973060B1 (en) Rotating synchronization channel (SCH) transmission
JP3214500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基地局及び交換局
JPH06338835A (ja) 無線電話システムの基地局装置
KR200165261Y1 (ko) 에프에이변환핸드오프셀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