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371A -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 Google Patents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371A
KR19990054371A KR1019970074182A KR19970074182A KR19990054371A KR 19990054371 A KR19990054371 A KR 19990054371A KR 1019970074182 A KR1019970074182 A KR 1019970074182A KR 19970074182 A KR19970074182 A KR 19970074182A KR 19990054371 A KR19990054371 A KR 199900543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ase
point
link
network layer
e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1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5743B1 (ko
Inventor
이진우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41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5743B1/ko
Publication of KR199900543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3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7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7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14Sess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16Implementation or adaptation of Internet protocol [IP], of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TCP] or of user datagram protocol [UDP]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을 위한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불필요하게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에서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을 때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고,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없으면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의 링크 데드 페이즈로 진행하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로 진행하여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에 이용한다.

Description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본 발명은 통신방식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방식을 위한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Point-to-Point Protocol: 이하 "PPP"라 함)방법에 관한 것이다.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은 회선의 양단에 각각 하나의 단말장치나 컴퓨터 등이 접속되고 그 사이에 다른 단말장치나 컴퓨터 등이 접속되는 않는 통신방식이다. 이러한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을 채용하여 일반 전화선과 같은 포인트 투 포인트 선로를 이용하여 인터넷(Internet) 등에 접속하여 네트워크(network) 패킷(packet)을 송수신하기 위한 프로토콜을 "PPP"라 부른다. 이 프로토콜은 예를들어 1994년 7월자로 발행된 IETF(Internet Engineering Task Force)의 RFC(Request for Comments) 1661 문서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며,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프로토콜이다.
이러한 PPP는 일단 물리적 연결이 이루어진 상태에서는 종료(closing)하기 전까지는 계속 물리적 연결을 지속한다. 이에따라 실제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동안에도 계속 회선을 점유하고 있게 된다. 이에따라 통신 요금이 통신 시간과 관계없이 일정한 경우에는 이러한 PPP를 사용하더라도 별 문제가 없으나, 우리나라와 같이 통신 요금이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우에는 패킷 전송이 없는 동안에도 PPP 접속을 계속 유지하게 됨으로써 사용자는 실제 패킷이 전송되지 않는 동안에도 통신 요금을 지불해야만 하였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PPP는 실제 패킷 전송되지 않는 동안에도 PPP 접속을 지속함에 따라 통신 요금이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우에 PPP를 사용할 때 불필요한 통신 요금을 지불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하게 PPP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PPP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전형적인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의 통신 구성도,
도 2는 통상적인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 구성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PPP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network layer protocol phase)에서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을 때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는 과정과,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패킷 전송이 없으면 PPP의 링크 데드 페이즈(link dead phase)로 진행하는 과정과,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할 때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로 진행하여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을때에도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으며, 이후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에도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로 진행하여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이벤트(event)나 페이즈 또는 처리 흐름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형적인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의 통신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서로 통신을 하기 위한 2개의 단말장치(10,14)는 서로간에 선로(18)를 통해 접속되는 각각의 모뎀(12,16)을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을 채용하는 단말장치들(10,14)에 채용되는 통상적인 PPP는 다음과 같은 세가지 주요 요소로 되어 있다. 첫 번째는 멀티 프로토콜 데이터그램(datagram)을 인캡슐레이션(encapsulation)하기 위한 방법이다. 두 번째는 데이터 링크 연결을 형성하고, 구성하고, 테스트하기 위한 링크 제어 프로토콜(LCP: Link Control Protocol)이다. 세 번째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을 형성하고 구성하기 위한 일련의 네트워크 제어 프로토콜(NCP: Network Control Protocol)이다.
도 2는 이러한 포인트 투 포인트방식을 채용하는 단말장치들(10,14)에 채용되는 통상적인 PPP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링크 데드 페이즈(link dead phase)(100)와 링크 설정 페이즈(link establishment phase)(102)와 링크 인증 페이즈(authentication phase)(104)와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network layer protocol phase)(106)와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link termination phase)(108)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 2는 전술한 IETF의 RFC 1661에 기술된 내용을 보인 것으로, 포인트 투 포인트 링크를 구성, 유지, 종료하는 과정에서 PPP 링크는 도 2에 보인 바와 같은 여러개의 페이즈를 거치게 된다.
상기 도 2에서 링크 데드 페이즈(100)는 링크의 시작과 끝이다. 링크 설정 페이즈(102)는 링크의 구성을 위한 패킷의 교환을 통해 연결을 형성하기 위한 페이즈이다. 인증 페이즈(104)는 상대방과 네트워크 계층 패킷을 교환할 수 있는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페이즈이다.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는 각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을 구성하기 위한 페이즈이다. 이 페이즈를 거친후에 도 1에 보인 바와 같은 2개의 단말장치(10,14) 사이에 네트워크 계층 프로토콜 패킷을 송수신할 수 있다.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108)는 양 단말 사이의 링크를 종료하기 위한 페이즈에다. 링크 데드 페이즈(100)에서 업(up)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링크 설정 페이즈(102)로 진행한다. 링크 설정 페이즈(102)에서 오픈(opened)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인증 페이즈(104)로 진행하고, 페일(fail) 이벤트가 발생하면 링크 데드 페이즈(100)로 진행한다. 인증 페이즈(104)에서 성공(success) 이벤트가 발생하거나 인증을 거치지 않음에 따른 넌(none) 이벤트가 발생할 때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로 진행하고, 페일 이벤트가 발생하면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108)로 진행한다.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에서 종료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108)로 진행한다.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108)에서 다운 이벤트가 발생할 때 링크 데드 페이즈(100)로 진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PPP를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PPP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은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에서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을 때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는 정지모드를 추가한다. 이에따라 통신 요금이 시간에 비례하여 증가하는 경우에 PPP를 사용할때도 통신 요금을 절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이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로 진행하여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한다. 이에따라 링크 설정 페이즈(102)나 인증 페이즈(104)를 다시 거치지 않고 바로 PPP 접속을 재개할 수 있다.
도 3은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도 1의 단말장치들(10,14) 각각에서 수행되는 동작을 보인 것이다. 먼저 도 3의 (200)∼(202)단계에서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에서 종료 이벤트의 발생 여부와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는지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종료 이벤트가 발생할 때 이에 응답하여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108)로 진행하는 것은 통상의 경우와 동일하다. 이와 달리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에서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을 때에는 (204)단계의 정지모드로 되어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는다. 이러한 정지모드에서 (206)단계를 수행하여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는지 체크하고,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없으면 (208)단계에서 타임아웃, 즉 일정시간의 경과 여부를 체크한다. 이때 타임아웃이 아니면 상기 (204)단계부터 계속 수행한다. 이러한 (204)∼(208)단게에서 일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없으면 링크 데드 페이즈(100)로 진행한다. 이와달리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에는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로 진행하여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한다.
도 4는 이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PPP 구성도를 보인 것으로, 상기한 도 2와 같은 통상적인 PPP에서 정지(suspend) 페이즈(110)와 정지상태(suspended) 페이즈(112)와 재개(resume) 페이즈(114)로 이루어짐과 아울러 정지(suspending) 이벤트와 정지상태 이벤트와 재개(resuming) 이벤트와 재개상태(resumed) 이벤트와 타임아웃(timeout) 이벤트를 가지는 정지모드(116)를 추가한 것이다. 상기 정지모드(116)는 상기한 (204)단계에 대응한다.
상기한 정지 페이즈(110)는 실제 물리적인 연결, 즉 선로의 연결을 끊기 위한 페이즈이다.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를 수행하는 중에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을 때 정지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 정지 이벤트에 의해 정지상태 페이즈(112)로 진행하게 된다. 이 이벤트는 도 1과 같이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되어 있는 양 단말장치(10,14)중에 어느 쪽이라도 먼저 발생할 수 있으며, 먼저 이벤트가 발생한 측에서 상대방에게 정지 요구를 한다. 이러한 정지 페이즈(110)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에는 상대방에게 나중에 재개 페이즈(114)에서 사용될 ID(Identification)를 부여하는 작업, 타임아웃 값을 합의하는 작업등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정지 페이즈(110)에서 정지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정지상태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 이벤트에 의해 정지상태 페이즈(112)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한 정지상태 페이즈(112)는 정지 페이즈(110)가 완료되어서 정지상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진입하는 페이즈이다. 이 페이즈에서는 어떠한 패킷도 상호 전송되지 않는다. 또한 만일 정지 페이즈(110)에서 합의된 타임아웃값보다 오랜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으면 타임아웃 이벤트를 발생하여 링크 데드 페이즈(100)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링크 데드 페이즈(100)로 진행하게 된 이후에는 PPP 접속을 재개하기 위해서는 처음 PPP 접속을 하는 과정과 동일한 과정을 거쳐야 한다. 즉, 링크 데드 페이즈(100)로 진행하는 경우에는 PPP 접속이 끊어진 것과 같으며 다시 패킷을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처음 PPP 접속을 할 때와 마찬가지 작업을 하여야 한다. 이와 달리 타임아웃 이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하거나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 패킷이 발생된 측 또는 링크 재개 요구를 받은 측에서 재개 이벤트를 발생하고 재개 페이즈(114)로 진행한다. 이 이벤트는 도 1과 같이 포인트 투 포인트 연결되어 있는 양 단말장치(10,14)중에 어느 쪽이라도 먼저 발생할 수 있으며, 먼저 이벤트가 발생한 측에서 상대방에게 재개 요구를 한다.
또한 재개 페이즈(114)는 정지상태 페이즈(112)에서 재개 이벤트가 발생하였을 때 진입하는 페이즈이다. 이 페이즈에서는 정지되었던 물리적 연결을 다시 재개하기 위한 작업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정지 페이즈(110)에서 상호 부여되었던 ID에 의해 상대방과 서로를 인식하는 작업이 이루어지고, 재개 작업이 완료되었을 때 재개상태 이벤트를 발생한다. 이 이벤트에 의해 다시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로 진행하게 된다. 이에따라 링크 설정 페이즈(102)와 인증 페이즈(104)를 거치지 않고 바로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로 진행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재개된 상태는 정지되기 전의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106)의 상태와 동일하여야 한다.
따라서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을 때 또는 사용자가 원할 때 실제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선로를 끊는 정지모드를 추가함으로써 불필요하게 PPP 접속을 유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패킷 전송의 유무뿐만아니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이벤트들을 발생하여 다음의 페이즈로 진행하는 예를 보였으나, 필요에 따라 사용자의 요구에 따른 처리는 생략할 수도 있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는 경우에는 선로를 일시적으로 끊어 불필요한 PPP 접속을 유지하는 방지함으로써 통신 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6)

  1. 링크 데드 페이즈와 링크 설정 페이즈와 인증 페이즈와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와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를 구비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에서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을 때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는 과정과,
    이후 일정시간이 경과할때까지 패킷 전송이 없으면 상기 링크 데드 페이즈로 진행하는 과정과,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할 때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로 진행하여 상기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에서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를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실제 물리적인 연결을 끊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로 진행하여 상기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4. 링크 데드 페이즈와 링크 설정 페이즈와 링크 페이즈와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와 링크 터미네이션 페이즈를 구비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를 수행하는 중에 일정 기간동안 패킷 전송이 없을 때 정지 이벤트를 발생하는 과정과,
    상기 정지 이벤트에 응답하여 물리적 연결을 끊고 이후 물리적 연결을 재개할 때 사용될 ID를 부여함과 아울러 상대방과 타임아웃값을 합의한후 정지상태 이벤트를 발생하는 정지 페이즈과정과,
    상기 정지상태 이벤트에 응답하여 정지상태로 되고 이후 상기 타임아웃될때까지 패킷 전송이 없을 때 상기 링크 데드 페이즈로 진행하며 상기 타임아웃 이전에 전송할 패킷이 발생할 때 재개 이벤트를 발생하는 정지상태 페이즈과정과,
    상기 재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ID에 의해 상대방과 서로를 인식한후 재개상태 이벤트를 발생하는 재개 페이즈과정과,
    상기 재개상태 이벤트에 응답하여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로 진행하여 상기 물리적인 연결을 다시 형성하여 접속을 재개하는 과정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 이벤트 발생과정이, 상기 네트워크 레이어 프로토콜 페이즈에서 사용자로부터 링크 정지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정지 이벤트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정지상태 페이즈과정이, 상기 일정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사용자로부터 링크 재개 요구가 있을 때 상기 재개 이벤트를 발생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포인트 투 포인트 프로토콜방법.
KR1019970074182A 1997-12-26 1997-12-26 포인트투포인트프로토콜방법 KR1002857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182A KR100285743B1 (ko) 1997-12-26 1997-12-26 포인트투포인트프로토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4182A KR100285743B1 (ko) 1997-12-26 1997-12-26 포인트투포인트프로토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371A true KR19990054371A (ko) 1999-07-15
KR100285743B1 KR100285743B1 (ko) 2001-04-02

Family

ID=37514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182A KR100285743B1 (ko) 1997-12-26 1997-12-26 포인트투포인트프로토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57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74B1 (ko) * 1999-12-29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호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52679A (ja) * 1992-11-11 1994-05-31 Fujitsu Ltd パケット網を利用した通信システム
JPH088917A (ja) * 1994-06-15 1996-01-12 Sumitomo Electric Ind Ltd Atm lanのコネクション確立および切断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78074B1 (ko) * 1999-12-29 2007-0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패킷 이동 통신시스템의 착호 서비스를 위한 호 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5743B1 (ko) 2001-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7592B1 (en) LNS high availability and load balancing with LNS-to-LNS state offloading
US20030065799A1 (en) Communication device
CN101228765B (zh) 一种实现虚拟拨号接入网络的接入动态更新的方法
JP2000307650A (ja) データ通信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WO2007034954A1 (ja) 移動式無線通信装置及びその接続状態の管理方法
RU2251223C2 (ru) НЕЗАВИСИМАЯ СИНХРОНИЗАЦИЯ КАНАЛОВ СВЯЗИ ПРОТОКОЛА "ТОЧКА-ТОЧКА" НА ИНТЕРФЕЙСАХ Um И Rm
US20040071133A1 (en) Intelligent PPPOE initialization
US7983227B2 (en) Communication terminal apparatus, communication connection apparatus, and communication method using them
JP3231657B2 (ja) ネットワークを利用した端末間のセッションの確立法、リモート端末、ローカル端末および記録媒体
US20040008671A1 (en) Mechanism for conducting in-band communications between terminal adapter and digital terminal device during internet session
KR100285743B1 (ko) 포인트투포인트프로토콜방법
JP2001197082A (ja) マルチチャネル通信制御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4686875B2 (ja) データ通信装置
JP3553343B2 (ja) Ppp中継接続システム
Cisco Configuring PPP for Wide-Area Networking
EP1757062A1 (en)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a first and second protocol between a data processing system and an isp
US20090262738A1 (en) Method for promptly redialing a broadband access server
KR100259768B1 (ko) 분산 노드 환경에서 점대점 프로토콜 및 다중링크 프로토콜을이용한 서비스 처리 방법
JP4092858B2 (ja) インターネット接続におけるセキュリティ方法およびターミナルアダプタ装置
JP3829023B2 (ja) 通信処理装置およびターミナルアダプタ
WO2005091575A1 (ja) パケットデータサービングノード、ならびに、これを用いた通信方法
US6725273B1 (en) Point-to-point prefix protocol
KR100642320B1 (ko) 외장형 무선 모뎀
CN112905303B (zh) 一种基于有线网卡的无感知网络桥接方法及其装置
KR100593477B1 (ko) 무선환경에서의 데이터통신 연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2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