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4022A - 다용도 식품 분쇄기 - Google Patents

다용도 식품 분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4022A
KR19990054022A KR1019970073753A KR19970073753A KR19990054022A KR 19990054022 A KR19990054022 A KR 19990054022A KR 1019970073753 A KR1019970073753 A KR 1019970073753A KR 19970073753 A KR19970073753 A KR 19970073753A KR 19990054022 A KR19990054022 A KR 199900540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motor
container
food grinde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7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진만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37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4022A/ko
Publication of KR199900540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4022A/ko

Links

Landscapes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의 재료를 잘게 분쇄하거나 얇게 썰어 주기 위한 다용도 식품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원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두 개의 분쇄용기가 동시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장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식품 분쇄기는 각 분쇄용기의 하측에 설치된 제 1, 제 2회전축과 동일축선을 이루는 제 1, 제 2피동축사이에 동력을 단속하는 연결클러치가 마련되는데, 이 연결클러치는 분쇄용기가 안착되면 연결이 되고, 분쇄용기가 분리되면 끊어지도록 되었다. 또한, 두 개의 분쇄용기가 동시에 장착되지 않도록 동시장착 방지장치가 마련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한쪽의 분쇄용기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상기 제 1, 제 2회전축은 분쇄용기의 장착시에만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이 안전하고, 동력 손실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다용도 식품 분쇄기
본 발명은 음식물의 재료를 잘게 분쇄하거나 얇게 썰어 주기 위한 다용도 식품 분쇄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력원인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하도록 두 개의 분쇄용기가 동시에 장착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장착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용도 식품분쇄기는 분쇄용기의 내부에 다양한 용도의 회전날이 마련되어, 마른식품인 멸치, 깨, 땅콩 등을 가루로 만들 때는 분쇄기로 사용되고, 고기를 잘게 자르거나 마늘 등을 다질 때에는 커터기로 사용되기도 하며, 과일, 야채 등을 갈 경우에는 쥬서기로서의 기능을 수행하는 주방기기이다.
이러한 기능을 하는 종래의 다용도 식품분쇄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의 중앙부에 동력원인 모터(2)가 설치되고, 모터의 회전축(3)은 하측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모터(2)의 양측방에는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되며, 그 내부에 가공물을 분쇄하거나 절단하는 회전날(6a,6b)이 장착된 고속분쇄용기(7)와 저속분쇄용기(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속분쇄용기(7)와 저속분쇄용기(8)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안착부(14,15)의 하측에는 상기 두 분쇄용기(7,8)의 중심부에 마련된 회전날(6a,6b)을 회전시키는 제 1회전축(4)과 제 2회전축(5)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고속분쇄용기(7)의 하측에 제 1회전축(4)이 설치되고, 저속분쇄용기(8)의 하측에 제 2회전축(5)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분쇄용기(7,8)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이들 회전축(3)의 상단부에는 분쇄용기의 회전날(6a,6b)과의 동력이 연결되거나 끊어질 수 있도록, 치합 구조로 마련된 연결장치(16)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본체의 하측 내부에는 모터(2)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회전축(4)과 제 2회전축(5)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가 마련된다. 이 동력전달장치는 모터(2)의 회전축(3)에 설치되는 제 1구동풀리(9) 및 제 2구동풀리(10)와, 상기 제 1, 제 2회전축(5)에 각각 설치되는 제 1피동풀리(11) 및 제 2피동풀리(12), 그리고 이들을 연결시키는 벨트(13a,13b)로 구성된다.
상기 제 1회전축(4)에 설치된 제 1피동풀리(11)는 모터의 회전축(3)에 설치된 제 1구동풀리(9)와 벨트(13a)로 연결되고, 제 2회전축(5)에 설치된 제 2피동풀리(12)는 제 2구동풀리(10)와 벨트(13b)로 연결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2피동풀리(12)는 저속분쇄용기(8) 내에 설치된 회전날(6a,6b)이 저속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제 2구동풀리(10)보다 크게 마련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속 및 저속분쇄용기(7,8)가 안착되는 안착부(14,15)에는 사용자의 안전을 고려하여 이들 두 분쇄용기(7,8)가 안착된 상태에서만 상기 모터(2)가 구동되게 하는 안전스위치(17,18)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전스위치(17,18)는 접점부가 안착부(14,15)의 상면으로 돌출되게 마련되어 분쇄용기(7,8)가 안착되면 안전스위치(17,18)가 연결되도록 되어 있고, 또한, 안전스위치(17,18)는 모터(2)의 전원입력부에 인터록되어 모터(2)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의 식품 분쇄기는 양측에 각각 마련된 두 안전스위치(17,18)가 연결된 상태, 즉 두 분쇄용기(7,8)가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다용도 식품 분쇄기는 양측의 두 분쇄용기(7,8)가 안착된 상태에서 전원이 인가 되면 모터(2)가 회동하게 되고, 이 모터(2)의 회전력은 제 1, 제 2구동풀리(9,10)와 벨트(13a,13b)에 의해 제 1, 제 2회전축(4,5)에 각각 설치된 제 1, 제 2피동풀리(11,12)로 전달되어 각 분쇄용기(7,8) 내의 회전날(6a,6b)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로써 사용자는 가공하고자하는 가공물의 종류에 따라 고속분쇄용기(7)를 이용하거나 저속분쇄용기(8)를 이용하여 가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다용도 식품 분쇄기는 두 개의 분쇄용기(7,8)가 모두 장착된 상태에서만 작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어느 한쪽 용기에서 가공물을 가공한 후, 분쇄용기를 본체(1)에서 분리시킬 경우, 모터(2)가 구동되지 않게 되어 타측 분쇄용기에서 가공물을 가공할 수 없는 단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어느 한쪽의 분쇄용기를 사용할 경우에도 양측 분쇄용기 내의 회전날이 모두 회동되게 되므로, 타측 분쇄용기 내의 회전날은 공회전을 하게 되어 안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동력 손실이 큰 문제가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두 개의 분쇄용기에 각기 다른 가공물을 넣고 동시에 가공을 하는 경우, 모터에 과부하가 걸려 고장이 발생되거나, 식품 분쇄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의 구조를 개선하여, 분쇄용기 내의 회전날이 어느 일측만 선택적으로 구동되게 하고, 또한 분쇄용기의 동시장착이 제한되게 함으로써, 안전하고 성능이 향상되는 다용도 식품 분쇄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 식품 분쇄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분쇄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분쇄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 본체, 31: 고속분쇄용기,
32: 저속분쇄용기, 33a,33b: 회전날,
34: 모터, 35: 모터의 회전축,
36: 연결장치, 40: 동력전달장치,
41: 제 1회전축, 42: 제 2회전축,
43: 제 1구동풀리, 44: 제 2구동풀리,
45: 제 1피동축, 46: 제 2피동축,
47: 제 1피동풀리, 48: 제 2피동풀리,
49,50: 벨트, 60: 제 1연결클러치,
70: 제 2연결클러치 80: 동시장착 방지장치,
81: 지지막대, 82: 지지홈.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본체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을 분쇄시키는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는 식품 분쇄기에 있어서,
그 양측단부가 상기 두 분쇄용기의 일측에 각각 접촉되어 간섭이 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의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가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홈을 구비하는 동시장착 방지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분쇄기의 전체적인 외형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분쇄기의 개략적인 내부 구성을 보인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분쇄기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의 중앙부가 상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고, 이 돌출부의 내측에는 식품 분쇄기의 동력원인 모터(34)가 설치된다. 이 모터(34)의 회전축(35)은 본체(30)의 하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그리고 모터(34)가 설치된 돌출부의 양측방에는 내부에 담기는 가공물이 분쇄되거나 절단되도록, 회전날(33a,33b)이 장착된 고속분쇄용기(31)와 저속분쇄용기(32)가 각각 착탈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에서 이들 분쇄용기(31,32)는 사용자가 분쇄용기 내부에 담기는 가공물의 가공 상태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부재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고속분쇄용기(31)와 저속분쇄용기(32)가 안착되어 설치되는 안착부(30a,30b)에는 상기 두 분쇄용기(31,32)의 중심부에 마련된 회전날(33a,33b)을 회전시키는 제 1회전축(41)과 제 2회전축(42)이 설치된다. 여기에서 고속분쇄용기(31)의 하측에 제 1회전축(41)이 설치되고, 저속분쇄용기(32)의 하측에 제 2회전축(42)이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고속분쇄용기(31)와 저속분쇄용기(32)는 사용자가 분쇄용기 내부에 가공물을 넣거나 빼기가 용이하도록, 본체(30)의 안착부(30a,30b)에서 분리와 결합이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본체(30)의 안착부(30a,30b)에 설치된 제 1회전축(41)과 제 2회전축(42)의 상단부에는 분쇄용기의 회전날(33a,33b)과의 동력이 연결되거나 끊어질 수 있도록, 치합 구조로 마련된 연결장치(36)가 설치된다.
또한, 본체(30)의 하측 내부에는 모터(34)의 회전력을 상기 제 1회전축(41)과 제 2회전축(42)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장치(40)가 마련된다. 이 동력전달장치(40)는 사용자가 상기 분쇄용기를 안착부(30a,30b))에 안착시킬 때에만 상기 제 1회전축(41)과 제 2회전축(42)이 회전이 되게 된다.
이러한 동력전달장치(40)는 상기 모터의 회전축(35)에 설치되는 두 개의 구동풀리(43,44)와, 상기 제 1, 제 2회전축(41,42)과 동일한 축선을 이루도록 이들 회전축(41,42)의 하측에 설치되는 각각 설치되는 피동축(45,46)과, 상기 피동축(45,46)에 각각 설치되는 피동풀리(47,48)와, 상기 두 구동풀리(43,44)와 상기 두 피동풀리(47,48)사이의 동력전달을 매개하는 벨트(49,50)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 1, 제 2회전축(41,42)의 하단부와 상기 두 피동축(45,46)의 상단부에는 이들을 연결시키거나 끊어주는 연결클러치(60,70)가 설치된다.
상기 연결클러치(60,70)는 사용자가 상기 고속 및 저속분쇄용기(31,32)를 안착부(30a,30b)에 안착시키면 제 1회전축(41)이나 제 2회전축(42)에 동력전달이 되도록 연결이 된다. 즉 고속분쇄용기(31)를 장착시키면, 제 1연결클러치(60)가 연결이 되고, 저속분쇄용기(32)를 장착시키면 제 2연결클러치(70)가 연결이 된다.
이러한 연결클러치(60)는 동일한 축선상에 상호 인접되게 마련되는 제 1피동축(45)의 상단부와 제 1회전축(41)의 하단부에 다수의 키이홈이 형성된 스플라인축부가 마련된다. 그리고 이들의 외주면에는 원통상의 연결부재(61)가 끼워지게 된다. 이 연결부재(61)는 내주면의 형상이 상기 제 1회전축의 하단부(41a)와 제 1피동축의 상단부(45a)에 대응되는 형성으로 마련되어, 상하방향으로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연결부재(61)가 상측으로 이동이 되면 제 1피동축(45)과 제 1회전축(41)이 연결되어 동력전달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연결부재(61)가 하측으로 이동을 하게 되면 연결부재(61)의 일단부가 제 1회전축(41)에서 빠져나오게 되어 동력이 끊어지게 된다.
또한, 연결부재(61)의 외주면에는 연결부(61)를 상하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레버(63)가 설치된다. 이 작동레버(63)는 그 중심부에 지지축이 마련된 지레대의 원리가 이용된 것으로 작동레버(63)의 일단부는 연결부재(61)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홈(62)에 끼워지고, 타단부는 본체의 안착부(30a)에 설치된 누름봉(64)의 단부와 힌지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식품분쇄기에는 상기 두 분쇄용기(31,32)가 동시에 장착되어 모터(34)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동시장착 방지장치(80)가 마련된다. 이 동시장착 방지장치(80)는 상기 본체(30)의 상단부 내측, 즉 모터(34)의 상측에 설치된다.
상기 동시장착 방지장치(80)는 본체(30)의 상단부를 관통하여 양측으로 연장된 일직선상의 지지막대(81)와, 상기 지지막대(81)가 미끄럼운동이 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양측으로 관통된 지지홈(82)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막대(81)의 일단부는 상기 고속분쇄용기(31)쪽으로 연장되어 돌출되고, 타단부는 상기 저속분쇄용기(31)쪽으로 연장되어 돌출된다.
이러한 구조의 동시장착 방지장치(80)는 사용자가 고속분쇄용기(31)를 안착부에 안착시키면, 고속분쇄용기(31)의 일측에 상기 지지막대(81)의 일단부가 접촉되어 밀리게 되고, 지지막대(81)의 타단부는 저속분쇄용기(32)가 안착되는 공간쪽으로 돌출이 되게 된다. 따라서 고속분쇄용기(31)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저속분쇄용기(32)를 장착할 수 없게 된다.
이와 반대로 저속분쇄용기(32)를 안착시킬 경우에는 상기 지지막대(81)가 역방향으로 밀리게 되어 고속분쇄용기(31)를 안착시킬 수 없게 된다.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식품 분쇄기의 작동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고속분쇄용기(31)쪽을 회동시키고자 할 때에는 고속분쇄용기(31)를 본체(30)에 안착시키고 식품 분쇄기를 가동시키면, 모터(34)의 회전력은 제 1구동풀리(43) → 벨트(49) → 제 1피동풀리(47) → 제 1피동축(45) 순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때, 상기 누름봉(64)은 고속분쇄용기(31)의 자중에 의해 눌려진 상태이므로, 제 1연결클러치(60)가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제 1피동축(45)의 회전력은 제 1연결클러치(60)를 통해 제 1회전축(41)에 전달되어 고속분쇄용기(31) 내의 회전날(33a)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때 저속분쇄용기(32)쪽의 제 2연결클러치(70)는 누름봉(74)이 눌려지지 않게 되므로 동력이 끊어진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반대로 저속분쇄용기(32)가 안착이 되면 제 1연결클러치(60)와 동일한 구조로 마련된 제 2연결클러치(70)가 연결이 되고, 제 1연결클러치(60)는 동력이 끊어진 상태가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식품 분쇄기는 두 개의 분쇄용기중 어느 한쪽만 장착이 되면 작동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어느 한쪽 용기에서 가공물을 가공하고, 이 분쇄용기를 본체에서 분리시킨 후에도, 타측 분쇄용기에서 가공물을 가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1, 제 2회전축은 분쇄용기의 장착시에만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이 안전하고, 동력 손실이 줄어들게 된다.
또한, 상기 동시장착 방지장치에 의해 두 분쇄용기의 동시장착이 방지되므로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게 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용도 식품 분쇄기는 각 분쇄용기의 하측에 설치된 제 1, 제 2회전축과 동일축선을 이루는 제 1, 제 2피동축사이에 동력을 단속하는 연결클러치가 마련되는데, 이 연결클러치는 분쇄용기가 안착되면 연결이 되고, 분쇄용기가 분리되면 끊어지도록 되었다. 또한, 두 개의 분쇄용기가 동시에 장착되지 않도록 동시장착 방지장치가 마련되었다. 따라서, 사용자가 어느 한쪽의 분쇄용기만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모터의 과부하가 방지되고, 상기 제 1, 제 2회전축은 분쇄용기의 장착시에만 회전되게 되므로 사용이 안전하고, 동력 손실이 줄어드는 이점이 있다.

Claims (1)

  1. 본체의 양측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두 개의 분쇄용기와, 상기 분쇄용기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가공물을 분쇄시키는 회전날과, 상기 회전날을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설치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날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를 구비하는 식품 분쇄기에 있어서,
    그 양측단부가 상기 두 분쇄용기의 일측에 각각 접촉되어 간섭이 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을 관통하여 양측으로 연장되는 일직선상의 지지막대와, 상기 지지막대가 미끄럼운동을 하도록 지지하는 지지홈을 구비하는 동시장착 방지장치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용도 식품 분쇄기.
KR1019970073753A 1997-12-24 1997-12-24 다용도 식품 분쇄기 KR1999005402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753A KR19990054022A (ko) 1997-12-24 1997-12-24 다용도 식품 분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753A KR19990054022A (ko) 1997-12-24 1997-12-24 다용도 식품 분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4022A true KR19990054022A (ko) 1999-07-15

Family

ID=66099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753A KR19990054022A (ko) 1997-12-24 1997-12-24 다용도 식품 분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402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807A (ko) * 2017-09-02 2019-03-12 창저우 시티 시파이케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식품산업용 스마트 로봇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25807A (ko) * 2017-09-02 2019-03-12 창저우 시티 시파이케 일렉트로닉 테크놀로지 컴퍼니 리미티드 식품산업용 스마트 로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29286B2 (en) Blade driving assembly for food processor and food processor incorporating same
KR200258626Y1 (ko) 쥬스추출기와 겸용 사용되게 한 믹서
US4173310A (en) Rotary cutter blade
RU2693709C1 (ru) Безопасная опорная конструкц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пищи
AU2019337282A1 (en) Mixer
KR100741140B1 (ko) 식품가공기 및 이에 이용되는 감속장치
KR19990054022A (ko) 다용도 식품 분쇄기
KR19990054017A (ko) 다용도 식품 분쇄기의 동력전달장치
KR19990054023A (ko) 다용도 식품 분쇄기
KR19990054024A (ko) 다용도 식품 분쇄기
CN211306434U (zh) 一种肉类切片机
KR19990054019A (ko) 다용도 식품 분쇄기의 동력전달장치
KR200393683Y1 (ko) 슬라이서 기능이 부가된 다기능 푸드 프로세서
KR19990054021A (ko) 다용도 식품 분쇄기의 동력전달장치
RU2332151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ухонных приборов
CN212092567U (zh) 一种两端输出安全互锁装置
CN201542481U (zh) 一种家用食品加工机可拆卸刀片的锁定机构
CN111248781A (zh) 一种安全互锁多功能切碎机
KR20170035759A (ko) 동력 전달 구조를 갖는 식품 가공 장치
CN211862582U (zh) 一种安全互锁多功能切碎机
KR890007115Y1 (ko) 쥬서겸용 믹서기의 동력 절환기구
KR200324383Y1 (ko) 식품분쇄기
KR102269544B1 (ko) 착즙기와 믹서기 겸용 동력 장치
CN216876098U (zh) 多功能打蛋器
JP3623808B2 (ja) 電動調理装置の駆動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