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3540A -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 Google Patents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3540A
KR19990053540A KR1019970073185A KR19970073185A KR19990053540A KR 19990053540 A KR19990053540 A KR 19990053540A KR 1019970073185 A KR1019970073185 A KR 1019970073185A KR 19970073185 A KR19970073185 A KR 19970073185A KR 19990053540 A KR19990053540 A KR 199900535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message
video
storage unit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1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현열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731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3540A/ko
Publication of KR19990053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3540A/ko

Links

Abstract

본 발명은 ITU-T H.320으로 제안된 비디오 터미널에서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비디오 카메라(201); 비디오 카메라의 출력을 디지탈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2);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소정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캡쳐 영상 저장부(203);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수단; 메시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이미지 저장부(206); 캡쳐 영상저장부의 데이터와 상기 메모이미지 저장부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결합부(204)를 구비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터미널은 메시지를 전달할 때 별도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 H.261에 의한 입력 영상에 메시지를 결합하여 전송하므로써 터미널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Apparatus for transmitting messages in a video terminal)
본 발명은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를 전송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ITU-T H.320으로 제안된 비디오 터미널에서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를 위한 별도의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서도 간단하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종합정보통신망(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이하 ISDN 라함)과 더 나아가 광대역 ISDN(B-ISDN)이 활발히 연구되면서 통신분야에 있어서도 기존의 음성 통신서비스 이외에 영상 및 데이터를 함께 통신할 수 있는 새로운 서비스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서비스의 가장 대표적인 예가 바로 "화상 전화(visual telephone)" 및 "화상회의시스템"이다.
화상전화 및 회의 시스템과 관련된 국제 전기통신 연합의 전기통신 표준화 분야(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t - Telecommunication Standardization sector: 이하 ITU-T 라함)의 권고안은 다음 표 1과 같다.
화상전화관련 ITU-T 권고안
권고안 내 용
H.320 협대역 시청각 시스템의 기술규격
H.242 호 설정 및 해제
H.230 제어 및 표시용 신호
H.221 멀티미디어 정보의 다중화/역다중화
H.261 비디오 부호화
G.711 64Kbps PCM 오디오
G.722 48,56,64 Kbps ADPCM오디오
G.728 16 Kbps 오디오
I 시리즈 단말과 망간의 인터페이스
화상전화를 구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협력과 비디오신호의 압축기술의 향상에 따라 상기 표 1과 같은 화상전화관련 표준이 제안될 수 있었고, 이를 구현하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 경주되고 있다.
상기 ITU-T의 권고안에 따라 실제로 구현되고 있는 일반적인 화상 전화 시스템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입출력부(102), 영상압축 및 복원부(104), 음성입출력부(112), 음성압축 및 복원부(114),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부(120), 시스템 제어부(130),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0), 통신망접속부(150)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영상입출력부(102)는 화상전화기 혹은 화상회의시스템의 비디오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이고, 영상 압축 및 복원부(104)는 영상입출력부(102)로부터 입력되는 영상을 H.261규격에 따라 압축부호화하거나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0)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H.261 규격에 따라 디코딩한다. 음성입출력부(112)는 화상전화기 혹은 화상회의시스템의 마이크 및 스피커등이고, 음성 압축 및 복원부(114)는 음성입출력부(112)로부터 입력되는 음성 데이터를 G.711, G.722, G.728 규격에 따라 압축부호화하거나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0)로부터 수신된 음성 데이터를 G.711, G.722, G.728 규격에 따라 디코딩한다.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부(120)는 영상 및 음성 이외의 이미지 데이터(즉, 메시지등)를 전송하기 위한 프로토콜로서 T.120계열의 권고안에 따라 구현된다. 즉, T.120 규격은 영상회의를 위한 화이트보드 응용과 파일전송, 그리고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을 공유하기 위한 표준으로서, T.123의 망프로토콜, T.122/T.125의 멀티포인트 통신서비스, T.124의 일반제어구조 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T.120은 멀티미디어 회의를 위한 데이터 프로토콜의 일반적인 사항을 기술하고 있고, T.121은 응용들의 일반적인 형식, 포맷 등을 기술한 템플릿이고, T.123은 ISDN, POTS, LAN, ATM 등의 하부망의 상태에 따라 접속할 수 있는 기능을 표현하고 있으며, T.122/125(MCS: Multipoint Communication Control)는 T.120 영상회의 구조에서 수송계층 규약(T.123)을 기반으로 다자간의 대화형 멀티미디어회의 응용을 지원한다. T.124(GCC:Generic Conference Control)는 실시간회의를 관리하고 영상회의 시스템을 관리하며 MCS를 제어하는 상위계층 프레임워크로서, 회의를 설정하고 종료시키며, 회의 참석자의 초대, 탈퇴 등의 일과 회의 참가그룹에 노드를 추가, 제거하는 등의 관리기능을 제공한다. T.126은 영상회의에서 스틸 이미지를 공동영역에 놓고 다자간이 핸들링할 수 있는 프로토콜로서, 각 사용자가 주석을 붙이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시스템제어부(130)는 H.242, H.230등 프로토콜로 정의된 신호방식, 제어 및 표시 기능을 제공한다.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140)는 H.221 권고안에 따라 비디오, 오디오, 제어 스트림을 다중화 및 역다중화하고, 통신망 접속부(150)는 실제 통신망과의 접속기능을 제공한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비디오 단말기에서는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하여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부의 T.120 계열의 프로토콜을 이용해야 했기 때문에 단말기의 구조가 복잡해지고 비용도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영상 스트림에 메시지 스트림을 결합하므로써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부분을 제거할 수 있게 하는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음성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압축 부호화한 후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신호를 역다중화한 후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터미널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 비디오 카메라의 출력을 디지탈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소정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캡쳐 영상 저장부;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수단; 상기 메시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이미지 저장부; 상기 캡쳐 영상저장부의 데이터와 상기 메모이미지 저장부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결합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ITU-T H.320으로 제안되는 일반적인 비디오 터미널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터미널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메시지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 영상입출력부 104,210: 영상압축 및 복원부
112,220: 음성입출력부 114,222: 음성압축 및 복원부
120: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부 130,230: 시스템 제어부
140,240: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 150,250: 통신망접속부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단말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디오 카메라(201), 아날로그 디지탈 변환기(ADC), 캡쳐영상 저장부(203), 영상결합부(204), 팬 디지타이져(205), 메모 이미지 저장부(206), 영상 결합부(204), 영상압축 및 복원부(210), 음성 입출력부(220), 음성압축 및 복원부(222), 시스템제어부(230),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04), 통신망 접속부(2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메시지 전송을 위해 데이터 전송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영상 스트림의 전송을 이용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영상 데이터와 메시지 데이터를 결합하는 기능이 필요하다. 이와 같이 메시지와 영상 데이터를 결합하는 영상 프리프로세싱부분은 도 2에서 점선으로 표시된 부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디오 카메라(201)는 회의 참석자 혹은 화자의 얼굴 모습을 촬상하고,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ADC:202)는 비디오 카메라(201)가 출력하는 아날로그 영상을 디지탈 영상으로 변환하여 캡쳐영상 저장부(203)에 저장한다.
캡쳐영상 저장부(203)는 비디오 메모리로서, 도 3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2 x 240" 픽셀의 비디오 데이터를 저장한다.
그리고 펜 디지타이져(Pen Digiter:205)는 메시지 입력수단으로서 송신할 메모 이미지를 입력하고, 메모 이미지 저장부(206)는 메모리로서, 펜 디지타이져(205)로부터 입력된 메모 이미지를 저장한다. 메모 이미지 저장부(206)에 저장된 메시지의 비디오 포맷은 도 3의 (나)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2 x 48"의 크기를 갖는다.
영상결합부(204)는 캡쳐영상 저장부(203)의 비디오 데이터와 메모 이미지 저장부(206)의 메시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도 3의 (다)에 도시된 바와 같이, "352 x 288" 크기의 비디오 포맷을 출력한다. 즉, 영상결합부(204)는 비디오 이미지와 메시지 데이터를 결합하여 H.261 규격의 CIF(Common Intermediate Format) 비디오 포맷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결합된 영상은 영상 압축 및 복원부(210)에서 H.261 규격에 따라 압축부호화된 후 멀티미디어 다중화 역다중화부(240)에서 다중화된 후 통신망 접속부(250)를 통해 상대측으로 전송된다. 음성입출력부(220), 음성압축 및 복원부(222), 시스템제어부(230), 멀티미디어 다중화 및 역다중화부(240), 통신망 접속부(250)는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유사하므로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한다. 다만,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입출력 및 처리부가 생략되어 구조가 컴팩트해진 점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터미널은 메시지를 전달할 때 별도의 데이터 처리를 위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지 않고, H.261에 의한 입력 영상에 메시지를 결합하여 전송하므로써 터미널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따라서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성신호와 비디오신호를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압축 부호화한 후 다중화하여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고, 통신망을 통해 수신된 음성 및 영상신호를 역다중화한 후 소정의 프로토콜에 따라 복호화하여 출력하는 비디오 터미널에 있어서,
    비디오 카메라(201);
    비디오 카메라의 출력을 디지탈로 변환하기 위한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202);
    상기 아날로그-디지탈 변환기를 통해 입력된 소정 크기의 영상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캡쳐 영상 저장부(203);
    메시지 데이터를 입력하기 위한 메시지 입력수단;
    상기 메시지 입력수단을 통해 입력된 메시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이미지 저장부(206);
    상기 캡쳐 영상저장부의 데이터와 상기 메모이미지 저장부의 데이터를 결합하여 소정 크기의 영상 데이터를 출력하는 영상결합부(20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KR1019970073185A 1997-12-24 1997-12-24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KR1999005354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185A KR19990053540A (ko) 1997-12-24 1997-12-24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3185A KR19990053540A (ko) 1997-12-24 1997-12-24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3540A true KR19990053540A (ko) 1999-07-15

Family

ID=66098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185A KR19990053540A (ko) 1997-12-24 1997-12-24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354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91276A (en) Videoconference system
JP3676979B2 (ja) 電話回線による高速映像伝送
US8947487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mbining speakerphone and video conference unit operations
US7787605B2 (en) Conference bridge which decodes and responds to control information embedded in audio information
US8223942B2 (en) Conference endpoint requesting and receiving billing information from a conference bridge
US8977683B2 (en) Speakerphone transmitting password information to a remote device
US8102984B2 (en) Speakerphone and conference bridge which receive and provide participant monitoring information
US8885523B2 (en) Speakerphone transmitting control information embedded in audio information through a conference bridge
US6724416B1 (en) Image transceiving telephone with integrated digital camera
US20050213739A1 (en) Conference endpoint controlling functions of a remote device
US20050213726A1 (en) Conference bridge which transfers control information embedded in audio information between endpoints
CA2205023C (en)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facsimile-coded data between communications terminals with multimedia capability
WO1999018728A1 (en) Interconnecting multimedia data streams having different compressed formats
KR19990053540A (ko) 비디오 터미널에서 메시지 전송장치
JP2902220B2 (ja) 通信会議システム
JPH09214923A (ja) 多地点テレビ会議システム及びテレビ会議付加情報表示方法
KR19990053519A (ko) 비디오 터미널에서 원격화질 제어장치
KR19990061602A (ko) 화상회의 시스템의 영상 구성 제어 방법
JP3030019B2 (ja) 通信会議システム
KR0168923B1 (ko) 다양한 멀티미디어 통신 서비스를 통합 제공하는 멀티미디어 단말 장치
JPH0522719A (ja) Avミ−テイング端末
Langi A multimedia communication terminal for telephone channels based on H. 324
KR100464029B1 (ko) 화상휴대단말기의 동영상과 문자 동시 표시 장치 및 방법
JPH0522720A (ja) 画像コ−デツクおよびavミ−テイング端末
JP3254304B2 (ja) テレビ会議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