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51166A -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51166A
KR19990051166A KR1019970070442A KR19970070442A KR19990051166A KR 19990051166 A KR19990051166 A KR 19990051166A KR 1019970070442 A KR1019970070442 A KR 1019970070442A KR 19970070442 A KR19970070442 A KR 19970070442A KR 19990051166 A KR19990051166 A KR 199900511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arm
time
user
camcorder
alarm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0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승
유경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70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51166A/ko
Publication of KR199900511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116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휴대용촬영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휴대용 촬영장치의 기록테이프를 시간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배당 사용시간 알람방법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촬영시 시간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알람해 주는 알람시각을 설정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다. 그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캠코더 사용자가 촬영시간을 미리 배당하여 설정해 놓고 촬영시 해당 배당시간이 되면 가시적 알람으로 알려주므로 해당 장면들에 대한 테이프 사용시간을 적정하게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캠코더

Description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 제어방법
본 발명은 휴대용 촬영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그를 위한 알람시각 설정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촬영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원하는 장면을 촬영할 수 있는 장치로서, 그 대표적인 일예로 캠코더를 들 수 있다. 캠코더는 피사체를 촬영하는 일반적인 카메라(video camera)의 기능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촬영된 피사체를 녹화할 수 있는 녹화기(video recorder)로서의 기능도 함께 가지고 있다. 이러한 캠코더를 이용함으로써 사용자는 원하는 피사체를 촬영하여 기록할 수 있고, 또한 이후에 촬영된 피사체를 다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녹화된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뷰파인더(view finder) 또는 액정표시창, 외부의 텔레비젼 등을 통해 다시 볼 수 있다.
민생용으로 사용되는 캠코더는 테이프 기록용량이 약 30분 또는 60분용 정도 되며, 방송용 또는 전문용으로 사용되는 캠코더는 테이프 기록용량이 수 시간 정도가 된다. 이러한 기록용량의 테이프를 장착한 캠코더를 가지고 장시간동안 촬영(여러 장면 촬영)을 할 경우 사용자는 테이프의 잔여시간을 충분히 고려하여야 한다. 특히 장시간 촬영해야 하는 장면들이 모두 중요할 경우에는 무작정 촬영을 하다가는 촬영해야하는 장면 뒷부분에 가서 테이프가 부족해 버릴 수 있어 문제 소지가 있다. 그러므로 사용자는 테이프 용량을 고려하여 촬영해야할 장면에 대한 시간배당을 나름대로 하기 마련이다. 그렇지만 촬영에 열중하다보면 자신이 배당한 촬영시간을 초과해버리는 경우가 잦고 결국에 가서는 테이프가 부족해져서 원하는 장면을 다 촬영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용 촬영장치의 기록테이프를 시간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배당 사용시간 알람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캠코더에서 사용자가 촬영시 시간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알람해주는 알람시각을 설정하는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휴대용 촬영장치의 기록테이프를 시간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촬영전 사용자의 알람시각 설정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들을 설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촬영시작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2과정과, 상기 구동되고 있는 타이머의 현재 시간값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시각의 소정 시간 이전인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현재 시간값이 상기 설정된 알람시각의 소정 시간 이전임에 따라 상기 소정 시간까지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에 향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캠코더에서 사용자가 촬영시 시간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알람해주는 알람시각을 설정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알람키를 입력하면 알람시각을 초기화하고 알람시각 입력요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배당한 알람시각을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알람시각 저장완료 제어를 하기전까지 상기 제1과정과 제2과정을 되풀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캠코더의 기능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시각 설정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동작 제어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적용되는 비디오캠코더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능부 10은 키 또는 리모콘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시스템제어부 12로 인가해준다. 시스템제어부 12는 시스템 전체 동작을 판단하고 비디오 처리부 18, 카메라처리부 14, 메카니즘부 22, 전치증폭부 20 등 시스템 전체를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카메라처리부 14는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물체를 촬영하여 광학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이를 비디오처리부 18로 전달하는 제반기능을 수행한다. 비디오처리부 18은 시스템제어부 12의 제어 하에 카메라처리부 14로부터 인가된 비디오신호를 처리하여 전치증폭부 20으로 전달하고 전치증폭부 20으로부터 전달된 재생출력신호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입출력부 16은 비디오신호의 입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메카니즘부 22는 테이프, 헤드가 구비되어 있는 드럼, 드럼모터, 캡스턴모터, 로딩모터, 이를 제어하기 위한 서보부 등을 포함하며, 시스템제어부 12의 제어 하에 전치증폭부 20으로부터 출력된 신호를 테이프에 기록하고 테이프에 기록되어진 신호를 픽업하여 전치증폭부 20으로 전달한다. 전치증폭부 20은 비디오처리부 18로부터 전달되어진 신호가 메카니즘부 22의 테이프에 기록되어지는데 필요한 제반기능, 즉,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하고 메카니즘부 22의 테이프로부터 재생되는 자기적인 신호를 전기적인 신호로 바꾸어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가 촬영시간을 미리 배당하여 설정하고, 해당 배당시간이 되면 촬영자에게 가시적 알람으로 알려준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시각 설정 제어 흐름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자에게 가시적 알람하는 동작제어 흐름도이다.
도 2의 알람시각 설정 제어 동작은, 사용자가 알람키를 입력하면 알람시각을 초기화하고 알람시각 입력요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배당한 알람시각을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알람시각 저장완료 제어를 하기 전까지 상기 제1과정과 제2과정을 되풀이하는 제3과정으로 요약된다.
해당 배당시간이 되면 촬영자에게 가시적 알람으로 알려주는 도 3의 동작은, 촬영전 사용자의 알람시각 설정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들을 설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촬영시작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2과정과, 상기 구동되고 있는 타이머의 현재 시간값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시각의 소정 시간 이전인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현재 시간값이 상기 설정된 알람시각의 소정 시간 이전임에 따라 상기 소정 시간까지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알람을 제공하는 제4과정으로 요약된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알람시각 설정 제어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캠코더 사용자는 캠코더의 테이프 용량을 고려하여 촬영할 여러 장면들에 대한 촬영시간을 배당한다. 예를 들면, 캠코더의 테이프가 60분용 테이프라면, 6가지의 종류의 장면들을 각각 10분정도 촬영하도록 촬영시간을 배당할 수 있다. 그후 사용자가 도 1의 기능부 10에 본 발명에 구비된 알람키를 입력하게 되면, 시스템 제어부 12는 도 2의 10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02단계로 진행하여 알람시각을 초기화한다. 그후 104단계에서 입출력부 16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예컨대, 뷰파인더 또는 LCD 뷰 화면)에 알람시각 입력요구를 디스플레이할 것이다. 예를 들면, "00:00 INPUT ALARM TIME" 라는 메시지를 OSD(On Screen Display)로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가 알람시각을 입력하면 시스템 제어부 12는 106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108단계에서 입력된 알람시각을 저장한다.
사용자는 전술한 예에 따르면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분:초)의 알람시각을 입력할 것이다.
시스템제어부 12는 108단계에서 입력된 알람시각을 저장한 후 사용자가 알람키를 입력하는가를 판단하고, 알람키를 입력하지 않으면 사용자가 계속해서 알람시각을 입력하는 것으로 인식하여 104단계로 되돌아가 전술한 104단계부터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이러한 반복동작에 의해 사용자가 배당한 알람시각들은 메모리에 모두 저장될 것이다. 알람시각들을 모두 저장하면 사용자는 알람키를 다시 한 번 입력을 하는데, 시스템제어부 12는 110단계에서 이를 인식하고 알람시각 저장완료 제어로 판단하여 과정을 종료한다.
이렇게 사용자가 알람시각들을 배당하여 설정해 놓고 촬영을 하게 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과 같이 동작한다.
사용자가 촬영을 하게 되면 도 1의 시스템제어부 12는 도 3의 200단계에서 촬영시작을 인식하고 202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작동시킨다. 그후 204단계에서 작동되고 있는 타이머 시간을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시각들과 비교한다. 그후 206단계에서 상기 타이머 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시각들중 하나의 알람시각의 10초 전인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알람시각 "10:00"일 때 타이머 시간이 "09:50"인가를 판단한다. 상기 10초는 촬영자에게 알람시각까지 알람을 가시적으로 표시해주기 위한 시간으로서 필요에 따라 조정이 될 수 있다.
상기 206단계의 판단에서 타이머 시간이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시각들중 하나의 알람시각의 10초전이면 208단계로 진행하여 도 1의 입출력부 16에 구비된 디스플레이부로 OSD 알람 디스플레이를 한다. 예를 들면, "ALARM TIME"이라는 문자 메시지를 깜박거리며 사용자에게 10초 동안 디스플레이한다. OSD 알람은 상기 문자뿐만 아니라 문자와 형상으로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10초 동안 스피커를 통해 알람과 같은 경고음을 발생할 수 있다.
208단계에서 OSD알람 디스플레이를 한후 시스템제어부 12는 210단계에서 타이머시간이 알람시각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알람시각이 아니면 계속 OSD알람 디스플레이를 한다. 그렇지만 상기 알람시각이 되면 212단계로 진행하여 OSD알람을 오프시키고 214단계로 진행한다. 214단계에서는 테이프가 끝인가를 판단하고 테이프가 아직 남아 있으면 216단계로 진행하여 사용자에 의한 촬영중지인가를 판단한다. 만약 촬영중지이면 시스템제어부 12는 218단계로 진행하여 타이머를 중지시키고 200단계로 되돌아가서 거기서부터의 동작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가 촬영을 다시 시작하면 중지되어 있던 타이머를 다시 작동시킨다.
상기 214단계의 판단에서 테이프 끝이 아니고 216단계에서의 판단에서 촬영중지가 아니면 시스템제어부 12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거기서부터의 동작을 수행한다. 이러한 동작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배정된 후 저장된 알람시각이 되면 시스템제어부 12에서는 배정된 촬영시간이 다 되었음을 사용자에게 OSD 알람으로 알려준다. 그에 따라 캠코더 사용자는 촬영하고자 원했던 장면들을 모두 촬영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와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 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시간을 미리 배당하여 설정할 수 있고 해당 배당시간이 되면 가시적 알람으로 알려주므로 해당 장면들에 대한 테이프 사용시간을 적정하게 한다.

Claims (5)

  1. 휴대용 촬영장치의 기록테이프를 시간적으로 편집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촬영전 사용자의 알람시각 설정 제어에 의거하여 사용자가 입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알람시각들을 설정하고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1과정과,
    촬영시작에 따라 타이머를 구동하는 제2과정과,
    상기 구동되고 있는 타이머의 현재 시간값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알람시각의 소정 시간 이전인가를 판단하는 제3과정과,
    상기 현재 시간값이 상기 설정된 알람시각의 소정 시간 이전임에 따라 상기 소정 시간까지 사용자에게 알람을 제공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촬영중지가 되면 상기 구동되고 있는 타이머를 중지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알람은 캠코더의 표시창에 온스크린디스플레이를 통해 문자로 깜박거림 또는 스피커를 통한 경고음 발생임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4. 캠코더에서 사용자가 촬영시 시간적으로 편집할 수 있도록 알람해주는 알람시각을 설정하는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알람키를 입력하면 알람시각을 초기화하고 알람시각 입력요구를 디스플레이하는 제1과정과,
    사용자가 배당한 알람시각을 입력하면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2과정과,
    상기 사용자가 알람시각 저장완료 제어를 하기전까지 상기 제1과정과 제2과정을 되풀이하는 제3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람시각 입력요구 디스플레이는 캠코더의 표시창을 통해 가시적인 메시지로 디스플레이됨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방법.
KR1019970070442A 1997-12-19 1997-12-19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KR199900511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42A KR19990051166A (ko) 1997-12-19 1997-12-19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0442A KR19990051166A (ko) 1997-12-19 1997-12-19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1166A true KR19990051166A (ko) 1999-07-05

Family

ID=6609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0442A KR19990051166A (ko) 1997-12-19 1997-12-19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5116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97059B2 (en) Imaging system where a quick return mirror is returned to a down state and a stop is returned to a fully open state before the accumulation period ends
US8166210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7046275B1 (en) Digital camera and imaging method
US6965410B1 (en) Image sensing apparatus employing dark image data to correct dark noise
US20040136685A1 (en) Recording device and moving picture recording device with camera
US20040032490A1 (en) Image sensing apparatus, image sensing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KR19990051166A (ko) 캠코더에서 배당 촬영시간 알람방법 및 알람시각 설정제어방법
JPH0787379A (ja) 撮像システム
JP4276763B2 (ja) 電子カメラ装置
JPH11308488A (ja) ビデオカメラ、ビデオカメラシステム、撮影方法、ビデオ信号処理方法及び記憶媒体
JPH06165099A (ja) 画像記録装置及び電子スチル・カメラ
JP3106475B2 (ja) ビデオカメラ装置
JP2898999B2 (ja) ビデオ信号記録装置
JP3093700B2 (ja) 電子カメラ
JPH10257371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3144684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KR100251957B1 (ko) 이전화면에 대한 선택적 스냅샷 기능을 구비한디지털비디오캠코더 및 그 구현 방법
JP2001145002A (ja)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表示方法
JP2859267B2 (ja) 静止画記録装置
JP2001078062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を提供する媒体
JP2002300511A (ja) 電子カメラ及び電子カメラの記録方法
JPH10262207A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H0239687A (ja) カメラ一体型vtrおよびビデオカメラ
JP2003274262A (ja) 電子機器、撮像装置および電源制御方法
JP3101595B2 (ja) 記録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