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8393A -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 Google Patents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8393A
KR19990048393A KR1019970067067A KR19970067067A KR19990048393A KR 19990048393 A KR19990048393 A KR 19990048393A KR 1019970067067 A KR1019970067067 A KR 1019970067067A KR 19970067067 A KR19970067067 A KR 19970067067A KR 19990048393 A KR19990048393 A KR 19990048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dress
dram
data
main memory
process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7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대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70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8393A/ko
Publication of KR19990048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8393A/ko

Links

Abstract

디램(Dynamic RAM:DRAM)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액세스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는 외부 주기억부에서 최하위 어드레스를 제1 어드레스로 하고 최상위 어드레스를 제2 어드레스로 하는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디램, 프로그램 수행시 상기 외부 주기억부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프로그램 결과로 발생한 새로운 데이터를 디램으로 저장시키는 연산 처리 수단 및 연산 처리 수단이 외부 주기억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를 액세스하도록 주기억부의 어드레스를 디램의 어드레스로 변환시키는 어드레스 변환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하며, 하드웨어가 간단한 어드레스 변환부를 통해 연산 처리부는 외부의 주기억 장치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을 액세스할 수 있으며, 또한, 연산 처리부가 디램에 저장된 데이터와 액세스할 때는 외부의 주기억 장치와 액세스하지 않으므로 연산 처리부의 부담을 줄일수 있으며 액세스 시간을 빨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액세스 방법
본 발명은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액세스에 관한 것이며, 특히, 간단한 하드 웨어 구조를 갖는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액세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종래에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에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연산 처리부(10), 디램(12), 1차 캐시 메모리(14) 및 버스 인터페이스(16)로 구성된다.
도 1에 도시된 디램(12)은 외부 주기억부(미도시)에 기억된 데이터 중 캐시의 적중율(Hit Ratio)이 낮은 프로그램이나 자주 액세스(Access)되는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며, 1차 캐시 메모리(14)는 연산 처리부(10)가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로하는 디램(12)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며, 1차 캐시 메모리(14)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연산 처리부(10)는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한 데이터를 디램(12)으로부터 직접 얻는다. 또한, 연산 처리부(10)가 프로그램 수행시 발생되는 새로운 데이터는 외부 주기억부(미도시)로 직접 저장되며, 이로 인해, 외부 주기억부(미도시)는 항상 액세스되어 있으며, 버스 인터페이스(16)를 통해 외부의 주기억부(미도시)와 데이터 및 어드레스를 액세스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중앙 연산 처리 장치내에 캐시 메모리가 내장되면 연산 처리부(10)가 프로그램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도록 캐시 메모리와 액세스하기 위해, 캐시 메모리는 태그(Tag), 비교 논리(Comparator Logic) 및 캐시 제어 로직등의 주변 로직(미도시)들을 필요로 하며,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디램(12)을 내장하여 캐시 메모리로 사용할 경우, 디램(12)의 메모리 크기가 크므로 이러한 주변 로직들이 더욱 많이 필요하게되어 하드웨어가 복잡하게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하드 웨어 구조가 간단한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의 액세스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에 디램(Dynamic RAM:DRAM)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의 액세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는,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주기억부와 인터페이스되는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외부 주기억부에서 최하위 어드레스를 제1 어드레스로 하고 최상위 어드레스를 제2 어드레스로 하는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디램, 프로그램 수행시 외부 주기억부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프로그램 결과로 발생한 새로운 데이터를 디램으로 저장시키는 연산 처리 수단 및 연산 처리 수단이 외부 주기억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를 액세스하도록 주기억부의 어드레스를 디램의 어드레스로 변환시키는 어드레스 변환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의 데이터 액세스 방법은, 외부 주기억부와 인터페이스하며, 연산 처리부, 디램 및 어드레스 변환부로 구성된 디램 내장형 중앙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외부 주기억 장치에서 제1 어드레스부터 제2 어드레스까지의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상기 디램에 저장하는 단계, 제1 어드레스 및 제2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 연산 처리부가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면, 연산 처리부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와 최하위 어드레스의 차를 어드레스로 하는 디램의 데이터와 액세스하는 단계 및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면, 연산 처리부는 외부 주기억 장치와 액세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어드레스 검색부(208), 레지스터(210) 및 뺄셈부(212)로 구성된 어드레스 변환부(220), 연산 처리부(200), 1차 캐시 메모리(202), 디램(204) 및 버스 인터페이스(206)로 구성된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230)와 외부 주기억 장치(240)를 나타내었다.
도 2에 도시된 디램(204)은 외부 주기억 장치(240)에 기록된 프로그램 중에 캐시의 적중율이 낮은 프로그램 또는 자주 액세스되는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고, 이때,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최하위 어드레스를 제1 어드레스로 하고 최상위 어드레스를 제2 어드레스로 한다. 어드레스 변환부(220)는 연산 처리부(200)가 디램(2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액세스할 때 주기억 장치(240)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204)을 액세스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어드레스 변환부(220)를 구성하는 레지스터(210)는 디램(204)에 저장된 외부 주기억 장치(240)의 제1 어드레스를 저장하고, 저장된 어드레스를 뺄셈부(212)의 제1 입력 단자로 출력하며, 어드레스 검색부(208)는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를 저장한 후, 연산 처리부(200)가 프로그램 수행을 위해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검색부(208)에 저장되어 있는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있는가를 검색한다.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면, 어드레스 검색부(208)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뺄셈부(212)의 제2 입력 단자로 출력한다. 뺄셈부(212)가 제1 입력 단자로 입력된 최하위 어드레스와 제2 입력 단자로 입력된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의 차를 디램(204)으로 출력하면, 디램(204)에 저장된 데이터가 연산 처리부(200)로 액세스된다.
한편, 연산 처리부(200)가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검색부(208)에 저장된 최하위 어드레스와 최상위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어드레스 검색부(208)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버스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외부의 주기억부(240)로 출력하여 연산 처리부(200)가 외부의 주기억 장치(240)에 기억된 데이터를 직접 액세스하도록 한다. 이때, 연산 처리부(200)는 디램(204)을 계속 액세스하고 있으며,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서 새로운 데이터가 발생되면 액세스된 디램(204)의 어드레스 영역에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한다. 한편, 1차 캐시 메모리(202)는 도 2에 도시된 것 처럼 연산 처리부(200)와 디램(204) 사이에 놓일 수 있으며, 1차 캐시 메모리(202)는 연산 처리부(200)가 프로그램 수행시 필요로 하는 디램(204)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한다. 1차 캐시 메모리(202)로 에스램(Static RAM:SRAM)을 사용하며, 이와같이 에스램의 1차 캐시메모리(202)를 통해 데이터의 액세스 속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디램(204)이 새로운 주기억 장치(240)의 프로그램을 저장하고자 할 때에는 디램(204)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 주기억 장치(240)의 소정 어드레스 영역에 기록한 후, 디램(204)은 외부 주기억 장치(240)에 기억된 다른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며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는 내장된 디램(204)을 외부의 주기억 장치(240)처럼 사용하며, 이로 인해, 연산 처리부(200)가 디램(204)에 저장된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와 액세스할 때에는 주기억 장치(240)와 액세스하지 않아도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의 액세스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의 액세스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로서, 외부의 주기억 장치에 기억된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디램에 저장하는 단계(제300 단계),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최하위 어드레스와 최상위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제302 단계), 연산 처리부가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최하위 어드레스와 최상위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면 디램과 액세스하고, 그렇지 않으면 외부의 주기억 장치와 액세스하는 단계(제306 ~ 310 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디램(204)은 주기억 장치(240)에 기록된 데이터 중에 캐시 적중율이 낮은 프로그램이나 자주 액세스되는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며, 이때, 최하위 어드레스를 제1 어드레스로 하고, 최상위 어드레스를 제2 어드레스로 한다(제300 단계). 제300 단계 후에, 제1 어드레스를 레지스터(210)에 저장하고,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를 어드레스 검색부(208)에 저장한다(제302 단계). 제302 단계 후에, 연산 처리부(200)가 프로그램 수행 과정에서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어드레스 검색부(208)에 기억된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한다(제306 단계). 제306 단계 후에,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있으면, 연산 처리부(200)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와 제1 어드레스의 차를 디램(204)의 어드레스로서 출력하고, 연산 처리부(200)는 디램(204)에 저장된 데이터와 액세스한다(제308 단계). 제306 단계 후에,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있지않으면, 연산 처리부(200)는 버스 인터페이스(206)를 통해 외부 주기억 장치(240)에 기억된 소정 데이터와 직접 액세스한다(제310 단계).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및 그의 데이터 억세스 방법은 하드웨어가 간단한 어드레스 변환부를 통해 연산 처리부는 외부의 주기억 장치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디램을 액세스할 수 있으며, 또한, 연산 처리부가 디램에 저장된 데이터와 액세스할 때는 외부의 주기억 장치와 액세스하지 않으므로 연산 처리부의 부담을 줄일수 있으며 액세스 시간을 빨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버스 인터페이스를 통해 외부 주기억부와 인터페이스되는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기억부에서 최하위 어드레스를 제1 어드레스로 하고 최상위 어드레스를 제2 어드레스로 하는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는 디램;
    프로그램 수행시 상기 외부 주기억부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상기 디램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를 액세스하고, 프로그램 결과로 발생한 새로운 데이터를 상기 디램 으로 저장시키는 연산 처리 수단; 및
    상기 연산 처리 수단이 상기 외부 주기억부의 어드레스와 동일한 어드레스로 상기 디램에 저장된 소정 데이터를 액세스하도록 상기 주기억부의 어드레스를 상기 디램의 어드레스로 변환시키는 어드레스 변환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드레스 변환 수단은
    제2 입력 단자로 입력된 데이터와 제1 입력 단자로 입력된 데이터의 차를 구하고, 그 결과를 상기 디램의 어드레스로서 출력하는 뺄셈 수단;
    상기 제1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기억된 어드레스를 상기 뺄셈 수단의 제1 입력 단자로 출력하는 레지스터; 및
    상기 제1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어드레스를 기억하고, 상기 연산 처리 수단이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입력하여 상기 제1 어드레스 및 상기 제2 어드레스와 크기를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상응하여 상기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를 상기 뺄셈 수단의 제2 입력 단자 또는 상기 버스 인터페이스로 출력하는 어드레스 검색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 처리 수단과 상기 디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디램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저장하며, 상기 연산 처리 수단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1차 캐시 메모리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 장치.
  4. 외부 주기억부와 인터페이스하며, 연산 처리부, 디램 및 어드레스 변환부로 구성된 디램 내장형 중앙 처리 장치에서 수행되는 데이터 액세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외부 주기억 장치에서 제1 어드레스부터 제2 어드레스까지의 소정 어드레스 영역의 데이터를 블록 단위로 상기 디램에 저장하는 단계;
    상기 제1 어드레스와 제2 어드레스를 기억하는 단계;
    상기 연산 처리부가 액세스하고자 하는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상기 제1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는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상기 제1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면,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와 상기 제1 어드레스의 차를 어드레스로 하는 상기 디램의 데이터와 액세스하는 단계; 및
    상기 소정 데이터의 어드레스가 상기 제1 어드레스와 상기 제2 어드레스 사이에 존재하지 않으면, 상기 연산 처리부는 상기 외부 주기억 장치와 액세스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램 내장형 중앙 처리 장치의 데이터 액세스 방법.
KR1019970067067A 1997-12-09 1997-12-09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KR199900483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067A KR19990048393A (ko) 1997-12-09 1997-12-09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7067A KR19990048393A (ko) 1997-12-09 1997-12-09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8393A true KR19990048393A (ko) 1999-07-05

Family

ID=660889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7067A KR19990048393A (ko) 1997-12-09 1997-12-09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839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136A (ko) * 2000-10-25 2002-05-03 박성훈 메모리를 이용한 대용량 보조기억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2136A (ko) * 2000-10-25 2002-05-03 박성훈 메모리를 이용한 대용량 보조기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340326B2 (ja) メンテナンス動作の実行
US20190155740A1 (en) Semiconductor device and cache memory control method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US6578065B1 (en) Multi-threaded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for scheduling the execution of threads based on data received from a cache memory
US6915415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pping software prefetch instructions to hardware prefetch logic
EP1586039A2 (en) Using a cache miss pattern to address a stride prediction table
JP2001290706A (ja) Tlbキャッシュのためのプリフェッチ
JP2768503B2 (ja) 仮想記憶アドレス空間アクセス制御方式
CN108874691B (zh) 数据预取方法和内存控制器
JP3973129B2 (ja) キャッシュメモリ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中央演算処理装置
US5761718A (en) Conditional data pre-fetching in a device controller
US6862675B1 (en) Microprocessor and device including memory units with different physical addresses
KR960008320B1 (ko) 어드레스 변환장치 및 어드레스 변환방법
KR20210037216A (ko) 이종 메모리를 이용하여 메모리 주소 변환 테이블을 관리하는 메모리 관리 유닛 및 이의 메모리 주소 관리 방법
KR19990048393A (ko) 디램 내장형 중앙 연산 처리장치 및 그의 데이터액세스 방법
CN114925001A (zh) 处理器、页表预取方法、电子设备
JPH0695875A (ja) マイクロコンピュータのメモリアクセス方法
KR960015231A (ko) 향상된 어드레스 지정 방법 및 시스템
JPH0830568A (ja) 分散メモリ型並列計算機のキャッシュ制御方式
JP2004103012A (ja) プロセッサの動作速度を向上させるキャッシュ構造及びキャッシュ管理方法を有するプロセッサ
JP2851777B2 (ja) バス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JPH11238015A (ja) プロセッサ装置
US10860491B2 (en) Cache management method using object-oriented manner and associated microcontroller
KR200204909Y1 (ko) 분할된 내부 코드 메모리를 갖는 마이크로컨트롤러
JPH01177145A (ja) 情報処理装置
JP2570361B2 (ja) 記憶制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