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972A -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972A
KR19990047972A KR1019970066551A KR19970066551A KR19990047972A KR 19990047972 A KR19990047972 A KR 19990047972A KR 1019970066551 A KR1019970066551 A KR 1019970066551A KR 19970066551 A KR19970066551 A KR 19970066551A KR 19990047972 A KR19990047972 A KR 199900479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ing
telephone
telephone number
calling party
registe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65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창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65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7972A/ko
Publication of KR19990047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972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전화기에서 링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착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링의 종류가 발신측의 전화번호에 따라 선택되어 가변적으로 발생하는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을 제공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링 종류를 등록하고,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되는 호에 해당하는 발신측의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일치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 종류에 해당하는 링이 발생하는 링 발생 방법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발생되는 링을 듣고도 발신측을 알 수 있는 전화기 및 휴대폰을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본 발명은 전화기에서 링 발생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착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링의 종류가 발신측의 전화번호에 따라 선택되어 발생되도록 하는 링 발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무선전화기나 유선전화기, 휴대전화기 등과 같은 전화기는 외부로부터 전화가 걸려올 때 링을 발생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착신되는 호가 있음을 알린다. 이때 발생되는 링의 종류는 미리 등록된 한가지로 고정되어 있거나 전화기에 구비된 별도의 키를 이용하여 미리 등록된 여러 가지의 벨소리 중에 어느 한가지를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 있었다. 이러한 전화기는 발생되는 링의 종류를 제조업체 또는 사용자에 의해 한번 등록되면 항상 등록된 링 종류만을 발생하게 되어 있었다. 이는, 사용자가 발생되는 링을 듣고서는 발신측을 알 수 없는 불편함이 있었다.
위와 같은 종래 전화기의 사용일예를 들자면, 한 전화기를 다수의 사용자가 공동으로 사용하는 경우, 각 사용자별로 각각 다르지만 특정 발신자로부터 고정적으로 호출이 이루어지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되며, 또한 어느 특정한 발신자로부터 걸려올 전화를 기다리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된다. 이러한 경우들에 있어서도 호가 착신이 될 때 링은 한가지 종류로만 발생되어 실제 해당하는 사용자가 자신에게 걸려오는 전화여부를 알 수 없기 때문에, 다른 사용자가 전화를 받은 후 다시 바꿔주는 등의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많은 사람들이 무선호출을하고 전화를 기다리던중, 링이 발생하면, 모든 사람들이 자신의 전화 여부를 알지 못하여, 전화를 기다리는 동안 계속 전화기의 링 발생에 신경을 곤두세워야 하므로, 이는 또 다른 불편함을 야기시키게 되었다.
즉, 종래의 전화기는 발신자에 대한 구별 없이 항상 한가지 종류의 링만을 발생함으로써 발신자와 관계없는 사용자가 불필요하게 전화를 받게 되거나 궁금함을 해소시킬 수 없는 불편함을 가지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착신되는 호에 대응하여 발생하는 링의 종류가 발신측의 전화번호에 따라 선택되어 가변적으로 발생하는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은 발생되는 링의 종류를 발신자별로 선택하여 가변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발신자에 따른 서로 다른 종류의 링을 발생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전화번호 및 상기 전화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링 종류를 미리 등록하고,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되는 호에 해당하는 발신측의 전화번호와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를 검출하여, 상기 전화번호들이 동일한 전화번호인 경우,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링 종류에 해당하는 링이 발생 방법을 제안한다.
도 1은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화기의 블록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측에 따라 발생하는 링 종류 및 링 발생 동작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메모리의 메모리 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한편, 하기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고, 본 발명을 구성함에 있어 통상 관용적으로 사용되는 구성요소 및 기능들 또한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통상 사용되는 전화기가 가입된, 현재 대부분의 국설 교환기는 발신측 전화번호를 나타내는 CID(Caller Identification)를 국선을 통해 착신측으로 보내주어 착신측 사용자가 발신측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부가적인 서비스를 하고 있다. 이에 따라 키폰시스템, 구내 교환시스템등과 같은 사설교환시스템은 국선으로부터 수신되는 CID를 CID 검출회로에 의해 검출하여 내선가입자에게 서비스하고 있다. 또한, 휴대폰의 경우에도 호출회선정보(Call Line Identification)기능이 있어, 상기 CLI를 검출하여 발신측의 전화번호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서비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이 국설 교환기에서 국선으로 CID 혹은 CLI를 착신측으로 전송하는 점을 이용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CID 검출부28을 구비한 전화기에 적용한다.
상기 도 1에서 제어부10은 전화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훅크릴레이12는 통화회로부14와 전화라인 간에 통화로를 형성하거나 차단한다. 통화회로부14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하에 각종 톤신호, 링신호 및 통화 음성신호등을 인터페이싱 한다. 송수화부16은 가입자로부터 발생되는 음성신호를 전기적신호로 변환하는 송화기와, 전기적인 신호를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가청음을 발생하는 수화기로 구성된다. 톤발생부22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각종 톤신호를 발생한다. DTMF수신부20은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DTMF신호를 소정 데이터로 변환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링검출부22는 상기 훅크 릴레이12로 인입되는 전화라인에 접속되며, 상기 전화라인을 통해 착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제어부10에 제공한다. 링발생부24는 상기 제어부10의 제어를 받아 링을 발생한다. 메모리26은 상기 제어부20에서 수행되는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의 수행에 따른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 각각에 대응되는 여러 종류의 링 데이터를 저장한다. 일예로, 상기 링 데이터는 새소리, 멜로디, 알람음 등의 제조자 혹은 설정자에 의해 폭넓게 응용되어 설정되어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메모리26은 EEPROM로 구현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CID검출부28은 상기 전화기가 가입된 국선 교환기에서 송신하는 호출자정보(Caller ID ; CID)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며, 이는 발신측의 전화번호와 같은 정보를 포함하고 있다. 한편, 휴대폰일 경우에는 호출회선정보(Call Line Identification ; CLI)를 검출하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전화기에 있어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마다 발생되는 링 종류를 선택하여 설정하면, 국선으로부터 착신이 있을 때 CID를 검출하여 검출된 CID와 일치하는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설정된 링을 발생 시킨다. 이에 따라 호가 착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링 발생 상태만을 가지고서도 발신자가 누구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도 2는 상기한 바와 같은 전화기에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측에 따라 발생하는 링 종류 및 링 발생 동작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한 도 1의 제어부10에 의해 수행되며 메모리26에 프로그램 된다.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에 의해 전화번호에 따라 발생되는 링 종류를 설정하는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1의 전화기가 대기상태인 중에 상기 전화기에 구현된 키입력부로부터 링 설정에 대응되는 키입력이 있는지를 체크하여, 키입력이 있으면 상기 제어부10은 도 2의 2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210단계를 수행한다. 상기 200단계에서 만일 사용자가 다른 키를 입력한 경우는, 205단계에서 상기 입력된 키에 해당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210단계에서는 상기 제어부10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전화번호를 등록한다. 뒤이어, 220단계에서는 미리 저장된 링 종류를 표시하거나 가청음 상태로 출력하여, 사용자가 상기 210단계에서 입력된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링 종류를 선택하도록 한다. 상기 220단계에서 링 종류가 선택되면, 뒤이어 제어부10은 상기 입력된 전화번호에 대응되게 링 종류를 상기 메모리26에 저장하여 등록한다. 그리고, 230단계에서 종료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사용자가 더 이상 링 종류를 설정하기를 원치 않는다면 제어부10은 해당 루틴으로 리턴하여 대기상태를 수행한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또다른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링 종류를 설정하기를 원한다면 상기 제어부10은 상기 200단계부터 다시 수행하여 다음의 전화번호에 대해 링 종류를 설정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마다 원하는 링 종류가 대응되게 설정된다.
상기 설정된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설정된 링 종류가 등록된 상기 메모리26의 메모리 맵은 첨부된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는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는 링 종류가 메모리 테이블에 등록되어 있음을 보여준다.
도 3은 상기 도 2에서 설정되어 상기 메모리에 전화번호 및 그에 대응되는 링 종류가 등록된 경우,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 흐름도이다.
상기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한 도 1의 제어부10에 의해 수행되며, 상기 메모리26에 프로그램된다. 이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링 발생을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300단계에서는 도 1의 전화기에서 대기상태인 중에 국선으로부터 호 가 착신되는지를 검출한다. 상기 300단계에서 착신되는 호가 검출되는 경우, 310단계에서 링 검출 동작을 수행한다. 그러면, 320단계에서는 상기 CID검출부28을 통해 호출자정보(CID)를 검출하고, 330단계에서 상기 호출자정보(CID)에 검출된 전화번호와 상기 도 2의 과정서 등록된 전화번호가 동일한 전화번호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330단계에서 동일한 전화번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340단계예서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등록된 링 종류를 상기 메모리26에서 검출하여, 350단계에서 그에 해당하는 링을 발생시킨다. 상기 330단계에서 호출자정보(CID)에 의해 검출된 발신측의 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26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다른 경우에는, 상기 제어부10은 345단계에서 통상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인 기준에 해당하는 링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종료하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사용자가 원하는 전화번호에 해당하는 발신측으로부터 호가 착신되는 경우, 사용자는 벨소리만 듣고서도 어떠한 발신측인지를 알 수 있게 된다.
휴대폰의 경우 또한, 마찬가지로, 상기 호출자정보(CID)대신에 호출회선정보(CLI)를 검출하고 그외 다른 동작은 동일하게 수행된다.
한편, 상기 메모리26에 설정되어 등록되는 한 전화번호에 임의의 기준에 구별된 여러 전화번호들을 한 묶음으로 설정하여 저장 할 수 도 있다. 이의 일예를 들자면, 회사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링 종류 한가지, 친구군에 해당하는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링 종류 한가지 등으로 구현이 가능한 것이다. 그 외에도, 지역번호에 따라 각기 다른 링 종류를 설정하여 등록할 수도 있다. 발신측의 지역번호가 서울인 경우에는 특정한 종류의 링이 발생되도록 하고, 부산인 경우에는 상기 링 종류와 다른 종류의 링이 발생되도록 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제조자 혹은 사용자의 응용에 의해 실시 가능하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전화기의 적용예를 주로 설명하였으나. 호출회선정보(CLI)와 같은 정보로서 발신측을 알 수 있는 경우에는, 휴대폰에서 적용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하기 정의되는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하여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발생되는 링 종류를 발신측에 따라 달리 할 수 있으므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사용자가 발신측을 확인할 수 있는 편리함점을 가져다준다.

Claims (7)

  1.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링을 등록하는 메모리를 갖춘 전화기의 링 발생 방법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되는 호에 해당하는 발신측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검출과정에서, 검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여 저장된 링 톤이 발생하는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링 발생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과정에서,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메모리에 미리 지정되어 저장된 링 톤이 발생하는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링 발생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록되는 전화번호는,
    미리 정해진 기준에 따라 구분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화번호들로 이루어지며, 발신측이 상기 전화번호들에 포함되는 전화번호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링이 발생하는 과정을 더부가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링 발생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발신측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검출과정은,
    착신되는 호와 동시에 입력되는 호출자정보신호(CID) 검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링 톤 발생 방법
  5. 전화기에서 링 발생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한 종류 이상의 발생되는 링과, 상기 링의 종류 각각에 대응되는 전화번호를 등록한 후,
    상기 전화번호와 동일한 전화번호를 가진 발신측으로부터 호가 착신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된 링 종류중, 상기 전화번호에 대응되어 등록된 링이 발생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링 발생 방법.
  6. 전화기에서 링 발생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준에 따른 전화번호들이 한 묶음으로 적어도 한 개 이상 등록되고, 상기 묶음에 대응되는 각기 다른 링 종류가 등록되는 과정과,
    호가 착신되면, 상기 착신되는 호의 호출자정보를 검출하여 해당하는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과정과,
    상기 검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등록 과정서 등록된 전화번호에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 과정에서 포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가 속한 묶음에 대응하는 링 종류의 링이 발생하는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링 발생 방법.
  7.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전화번호와, 상기 전화번호 각각에 대응하여 발생되는 서로 다른 종류의 링을 등록하고 있는 메모리를 갖춘 휴대폰의 링 발생 방법에 있어서,
    호가 착신되는 경우, 상기 착신되는 호에 해당하는 호출회선정보(CLI)를 검출하여 발신측의 전화번호를 검출하는 검출과정과,
    상기 검출과정에서, 검출된 전화번호가 상기 메모리에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판단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등록된 전화번호와 일치하는 경우, 상기 등록된 전화번호에 대응하는 링이 발생하는 발생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에서 발신측에 따른 링 발생 방법
KR1019970066551A 1997-12-06 1997-12-06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KR199900479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551A KR19990047972A (ko) 1997-12-06 1997-12-06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6551A KR19990047972A (ko) 1997-12-06 1997-12-06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972A true KR19990047972A (ko) 1999-07-05

Family

ID=660890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6551A KR19990047972A (ko) 1997-12-06 1997-12-06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7972A (ko)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548A (ko) * 1998-12-14 2000-07-05 김천용 휴대전화기용 송신자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49579A (ko) * 2000-04-12 2000-08-05 박원전 발신자 아이디와 링신호를 이용한 발신자 선별통화기능을갖는 전화기
KR20000049989A (ko) * 2000-05-10 2000-08-05 정용남 전화기의 발신자정보를 통한 선택적 착신링신호발생장치와 그 방법
KR20020078781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전화기의 발신자 확인 서비스방법
KR20030008077A (ko) * 2001-07-16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신자에 따른 착신링 발생장치 및 방법
KR100407290B1 (ko) * 2001-05-19 2003-11-28 윤용식 발신번호 표시장치의 벨 소리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100608616B1 (ko) * 1999-12-08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폰의 벨 설정 방법
KR100732962B1 (ko) * 2000-08-30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정보를 이용한 음성벨 출력 방법
KR100751044B1 (ko) * 2001-05-09 2007-08-22 (주) 엘지텔레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무선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정보서비스 방법
WO2007097560A1 (en) * 2006-02-20 2007-08-30 Betawave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enabling both caller and receiver to listen the same musical sound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9548A (ko) * 1998-12-14 2000-07-05 김천용 휴대전화기용 송신자 표시장치 및 그 방법
KR100608616B1 (ko) * 1999-12-08 2006-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피폰의 벨 설정 방법
KR20000049579A (ko) * 2000-04-12 2000-08-05 박원전 발신자 아이디와 링신호를 이용한 발신자 선별통화기능을갖는 전화기
KR20000049989A (ko) * 2000-05-10 2000-08-05 정용남 전화기의 발신자정보를 통한 선택적 착신링신호발생장치와 그 방법
KR100732962B1 (ko) * 2000-08-30 2007-06-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발신자정보를 이용한 음성벨 출력 방법
KR20020078781A (ko) * 2001-04-10 2002-10-19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휴대용 전화기의 발신자 확인 서비스방법
KR100751044B1 (ko) * 2001-05-09 2007-08-22 (주) 엘지텔레콤 네트워크를 이용한 유무선통신단말기의 착신음 정보서비스 방법
KR100407290B1 (ko) * 2001-05-19 2003-11-28 윤용식 발신번호 표시장치의 벨 소리 제어회로 및 그 제어방법
KR20030008077A (ko) * 2001-07-16 2003-01-2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발신자에 따른 착신링 발생장치 및 방법
WO2007097560A1 (en) * 2006-02-20 2007-08-30 Betawave Co., Ltd Method for providing selective communication services enabling both caller and receiver to listen the same musical sound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5590B1 (ko) 가정용 기지국에서 발신자 식별코드 전송방법
US5745559A (en) Restricted access telephones for logical telephone networks
KR19990047972A (ko) 전화기에서 발신측에 따른 가변적인 링 발생 방법
JPH05160886A (ja) ディジタル端末装置
EP0999691A1 (en) Ring type based on call related information
JP2000059503A (ja) 着信拒否方法、並びに着信拒否機能付き電話機
JP2656309B2 (ja) 回線受信端末装置
KR0162840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정보를 프린터로 출력하는 방법
KR100305776B1 (ko) 망으로부터의 신호를 이용한 단말기에서의 부가 서비스 제공 방법
KR10022988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발신 및 음성정보 송출방법
KR20010092619A (ko) 발신번호 감응 부재중 자동응답장치 및 방법
JP3444758B2 (ja) 相手別着信音機能付き電話機
KR100506257B1 (ko) 키폰시스템에서 착신 국선 호 구별 착신음 발생 방법
KR20000037072A (ko) 전화기의 착신제어방법
US704301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ing again feature for a telephone system
KR0123474B1 (ko) 사설교환기에서의 호출신호 착신을 알리기 위한 링 신호 표출방법
JPH05114947A (ja) 通信端末装置
US5872839A (en) Office line selecting technique of a telephone switching system
JP2901592B1 (ja) 電話機
KR970068400A (ko) 키폰 주장치에서 외부 호출자 연락처 메모리 방법
US734005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coming melody
KR100421848B1 (ko) 키폰시스템의운용방법
KR0162615B1 (ko) 키폰시스템에서 포기호 정보를 읽을 수 있는 내선을 지정하는 방법
JP2972621B2 (ja) 電話装置
CN100466666C (zh) 一种基于原始被叫号码信息的业务触发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