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7360A -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 Google Patents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7360A
KR19990047360A KR1019970065722A KR19970065722A KR19990047360A KR 19990047360 A KR19990047360 A KR 19990047360A KR 1019970065722 A KR1019970065722 A KR 1019970065722A KR 19970065722 A KR19970065722 A KR 19970065722A KR 19990047360 A KR19990047360 A KR 199900473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larm device
automatic alarm
interlayer slab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7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38007B1 (ko
Inventor
김상갑
변동열
윤우옥
최영모
손기상
Original Assignee
김헌출
삼성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헌출, 삼성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헌출
Priority to KR10199700657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38007B1/ko
Publication of KR199900473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73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380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380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32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for persons during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08B21/22Status alarms responsive to presence or absence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본발명은 건설현장내에 산재되어 있는 위험지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주는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발명은 공사가 진행중인 고층건축물의 층간슬라브(1a)에 형성되어서 작업자들이 추락사고의 위험을 가지는 위험지역(2)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작업자를 인식하는 감지수단(20)을 통하여 자동으로 음성경보수단(40)이 작동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자동경보장치(100)를 고정시켜서,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근처로 작업자가 접근하면 상기 자동경보장치(100)로서 발생된 경보음이 청각을 통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과; 위험지역(2)이 형성된 직상부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부착가능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어 움직이는 인체를 감지하여 주는 감지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장착되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수단(20)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경보음발생을 제어하여 주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변환되어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경보음으로서 발생시켜주는 음성경보수단(40)과, 상기 제어부(30)의 회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부(50)로서 구성된 자동경보장치이다.

Description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하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본발명은 건설현장내에 산재되어 있는 위험지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서, 건설현장내의 산업재해를 획기적으로 감소시켜주도록 하는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설현장에는 작업주변의 환경이나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안전사고에 의한 사망이나 부상과 같은 산업재해를 입을 수 있는 제반여건에 노출되어 있으며, 이러한 건설현장에서의 안전사고는 곧바로 작업자의 노동력 상실과 건설현장의 작업인력 손실 등을 동반하게 되는 심각한 결과를 초래하게 되었다.
특히, 건설현장내의 층간슬라브에 뚫어져 있는 개구부와 같은 위험지역은, 작업자가 흔히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염려가 있는 것으로 지적되어 왔다.
즉, 층간슬라브에는 다른 구조물을 연결하거나 설치하기 위하여 개구부를 뚫어서 형성하게 되며, 이러한 층간슬라브의 개구부는 다른 구조물의 연결 혹은 설치가 완료되기까지 상당한 기간을 그대로 방치하게 된다. 이러한 층간슬라브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그 층간슬라브의 개구부를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일으킬 수 있는 위험지역으로 인식하고는 있으나, 순간적인 부주의나 무관심으로 인하여 작업자가 추락하여서 안전사고를 당하는 사례가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최근에는 층간슬라브의 개구부 주변 둘레에 파이프를 종횡으로 조립하고 안전망을 펼쳐서 층간슬라브의 개구부를 통하여 작업자가 추락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주도록 하였다. 이와 같이 층간슬라브의 개구부 주변에 가설된 안전시설은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방지하여 주는 나름대로의 효과를 가지는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시설은 현장에서 임시방편으로서 가설하여서 사용되고 있는 실정임을 감안하여 볼때, 작업자의 안전을 보다 적극적이면서도 확실하게 보장하여 주기에 역부족하였으며, 특히 야간에는 작업자가 안전시설을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오히려 안전시설로 인하여 작업자가 부상을 입거나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을 수반하게 되었다.
본발명은 건설현장내에서 시공중인 고층건축물의 층간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와 같은 위험지역에서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고 경보음을 발생시켜주도록 구성하여서, 첫째 건설현장내의 작업여건과 작업환경을 보다 안전하게 개선시켜 주며, 둘째, 작업자의 부주의에 의한 산업재해를 보다 적극적으로 감소시켜주는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1은 본발명의 실시상태를 나타낸 예시도
도2는 본발명 자동경보장치의 회로구성을 블럭도로서 나타낸 것임
도3은 본발명 자동경보장치의 사시도
도4는 본발명 자동경보장치의 일부절결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층간슬라브1b : 직상층 층간슬라브
2 : 위험지역100 : 자동경보장치
10 : 하우징11 : 함체
12 : 덮개판13 : 브라켓
14 : 통공20 : 감지수단
21 : 적외선감지센서22 : 표시램프
30 : 제어부31 : 메모리
32 : 음성변환출력기33 : 음성변환입력기
34 : 내장형 마이크35 : 녹음버튼
36 : 삭제버튼37 : 카운터
40 : 음성경보수단41 : 스피커
42 : 음량조절스위치50 : 전원공급부
51 : 충전배터리52 : 전원스위치
본발명은 도1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공사가 진행중인 고층건축물의 층간슬라브(1a)에 형성되어서 작업자들이 추락사고의 위험을 가지는 위험지역(2)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작업자를 인식하는 감지수단(20)을 통하여 자동으로 음성경보수단(40)이 작동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자동경보장치(100)를 고정시켜서,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근처로 작업자가 접근하면 상기 자동경보장치(100)로서 발생된 경보음이 청각을 통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을 본발명의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발명은 층간슬라브(1a)의 개구부와 같이 추락위험이 있는 위험지역(2)에 무의식적으로 접근하는 작업자가, 그 위험지역(2)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에 설치된 자동경보장치(100)로서 감지하여서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경보음을 청각으로 들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으로부터 작업자가 안전하게 벗어날 수 있도록 유도하여서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전방 시야가 확보되지 않은 야간에 경보음으로서 작업자의 주의를 환시켜줌으로써, 야간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적극 방지하여 주는 등의 장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층간슬라브(1a)에 위험지역(2)이 형성되어 있는 직상층의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자동경보장치(100)를 설치할때에, 그 자동경보장치(100)의 감지수단(20)이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중앙에 맞추어서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이 중요하다. 그 이유는, 상기 자동경보장치(100)의 감지수단(20)이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을 중심부를 기준으로 어느 일측으로도 치우침이 없이 주변 둘레를 균등한 감시범위내에 있도록 배려하기 위함이다.
한편, 본발명에서 적용 설치되는 자동경보장치(100)는 도2 내지 도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위험지역(2)이 형성된 직상부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부착가능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어 움직이는 인체를 감지하여 주는 감지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장착되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수단(20)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경보음발생을 제어하여 주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변환되어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경보음으로서 발생시켜주는 음성경보수단(40)과, 상기 제어부(30)의 회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부(50)로서 구성하여서 된다.
따라서, 이와 같은 자동경보장치(100)는, 시공중인 고층건축물의 층간슬라브(1a)에 형성된 개구부와 같은 위험지역(2)이 있는 직상층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하우징(10)을 고정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근처에 작업자가 접근하면 곧바로 감지수단(20)이 작업자를 인식함과 동시에 전기적신호를 제어부(30)에 인가되게 하고, 전기적신호가 입력된 제어부(30)에서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받은 음성경보수단(40)은 곧바로 경보음을 발생시켜서, 청각을 통하여 경보음을 듣은 작업자가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으로부터 벗어나도록 하여서 안전사고의 발생을 방지하여주게 되는 것이다.
이하, 본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자동경보장치의 각 구성부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하우징은 각 구성부품들이 내장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여 주면서, 예정된 위치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하우징(10)은 일측이 트여지는 사각형상의 함체(11) 전면의 사방코너에 체결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판(12)으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함체(11) 후방측 외면에 측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일정위치에 통공(14)들을 형성하여서 된 브라켓(13)을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하우징(10)을 예정된 위치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견고하게 고정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서, 상기 하우징(10)을 이루는 함체(11)와 덮개판(12)은 경량의 합성수지로서 성형 제작하여서, 상기 하우징(10)을 예정된 위치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에 설치할 때의 무게 부담을 줄여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수단(20)은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내에 접근하는 작업자를 감지하고 전기적신호를 제어부(30)에 인가시켜서 음성경보수단(40)이 작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감지수단(20)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적외선감지센서(21)를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게 배치하여서 인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적외선감지센서(21)는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으로부터 주변 둘레를 폭넓게 감지할 수 있도록 대략 3-4m정도의 감시범위를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근처에 접근하는 작업자를 확실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최초의 감지지점으로부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에 작업자가 더이상 접근하지 않고 벗어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적 여유를 주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감지수단(20)은 상기 제어부(30)를 통하여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별도의 표시램프(22)를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적외선감지센서(21)가 정상적으로 작동중임을 표시하여 줄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감지수단(20)의 감지범위내에서 감지되는 작업자에 대하여 경보음발생을 단속 제어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제어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측에 PCB(Printed Circu it Board) 형태로서 장착되며,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저장된 경보메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31)와 연결되어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변환 출력시켜주는 음성변환출력기(32)로서 구성하여서, 상기 감지수단(20)이 작업자를 감지함과 동시에, 상기 제어부(30)의 메모리(31)에 저장된 음성메세지를 음성변환출력기(32)에 의하여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상기 음성경보수단(40)에 변환 인가되도록 하여서, 그 음성경보수단(40)이 경보음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30)는 그 메모리(31)와 음성변환입력기(33)를 통하여 연결된 내장형 마이크(34)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메모리(31)에 디지탈 음성신호를 녹음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녹음버튼(35)과 삭제버튼(36)을 상기 하우징(10) 외측에 노출되게 연결 설치하여서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음성메세지를 녹음하기 위하여는 설치 사용자가 녹음버튼(35)을 누른후, 내장형 마이크(34)를 통하여 음성메세지를 입력시키면, 상기 내장형 마이크(34)로부터 입력되는 설치 사용자의 음성메세지가 음성변환입력기(33)를 통하여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변환되고, 변환된 디지탈 음성신호는 다시 메모리(31)에 기억 저장되어 진다.
이때, 이전에 저장되어 있는 음성메세지가 삭제 되면서 새로운 음성메세지를 저장할 수도 있으며, 사용자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삭제버튼(36)을 눌러 임의로 음성메세지를 삭제시킬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30)는 그 메모리(31)와 음성변환출력기(32) 사이에 연결되는 카운터(37)를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메모리(31)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지탈 음성신호를 래치(latch)시켜 일정시간동안 경보음이 발생되게 단속하여 준다. 이때, 상기 카운터(37)는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즉, 감지수단(20)의 감지범위에 접근하는 작업자가 경보음을 듣을 수 있는 일정시간(대략 6-10초)동안 작동될 수 있도록 조작하여서, 작업자를 감지한 시점으로부터 음성경보수단(40)이 일정시간이 경과되면 경보음 발생을 자동적으로 멈출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음성경보수단(40)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변환 전달되는 경보음을 발생시켜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음성경보수단(40)은 상기 제어부(30)의 음성변환출력기(32)와 연결되어 하우징(10) 외측에 노출되게 착설되는 스피커(41)와, 그 스피커(41)의 음량을 조절하여 주도록 연결되어 역시 하우징(10) 외측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음량조절스위치(42)로서 이루어진다.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상기 제어부(30)의 회로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여 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5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공간부에 내장되는 충전배터리(51)로부터 연결되는 전원선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일정위치에 부착된 전원스위치(52)를 경유하여서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본발명은 건설현장내에서 시공중인 고층건축물의 층간슬라브에 형성된 개구부와 같은 위험지역에서 발생될 수 있는 추락에 의한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주는 매우 유용한 것이다.

Claims (12)

  1. 공사가 진행중인 고층건축물의 층간슬라브(1a)에 형성되어서 작업자들이 추락사고의 위험을 가지는 위험지역(2)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작업자를 인식하는 감지수단(20)을 통하여 자동으로 음성경보수단(40)이 작동되어 경보음을 발생시키는 자동경보장치(100)를 고정시켜서,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근처로 작업자가 접근하면 상기 자동경보장치(100)로서 발생된 경보음이 청각을 통하여 작업자의 주의를 환기시킴으로써,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층간슬라브(1a)에 위험지역(2)이 형성되어 있는 직상층의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자동경보장치(100)를 설치할때에, 그 자동경보장치(100)의 감지수단(20)이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 중앙에 맞추어서 위치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3. 위험지역(2)이 형성된 직상부 층간슬라브(1b) 하부면에 부착가능한 박스형상으로서 내부에 공간부를 가지는 하우징(10)과, 상기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어 움직이는 인체를 감지하여 주는 감지수단(20)과, 상기 하우징(10) 내측에 장착되어서 전기적으로 연결된 감지수단(20)로부터 감지된 결과에 따라 경보음발생을 제어하여 주는 제어부(30)와, 상기 제어부(30)로부터 변환되어 인가되는 음성신호를 경보음으로서 발생시켜주는 음성경보수단(40)과, 상기 제어부(30)의 회로에 구동 전원을 공급하여주는 전원공급부(50)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은 일측이 트여지는 사각형상의 함체(11) 전면의 사방코너에 체결볼트로서 착탈가능하게 조립되는 덮개판(12)으로서 이루지도록 하고, 상기 함체(11) 후방측 외면에 측방으로 수평하게 돌출된 일정위치에 통공(14)들을 형성하여서 된 브라켓(13)을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10)을 이루는 함체(11)와 덮개판(12)은 경량의 합성수지로서 성형 제작하여서, 상기 하우징(10)을 예정된 위치의 직상층 층간슬라브(1b)에 설치할 때의 무게 부담을 줄여주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20)은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킨 적외선감지센서(21)를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게 배치하여서 인체에서 반사되는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감지센서(21)는 상기 층간슬라브(1a)의 위험지역(2)으로부터 주변 둘레를 폭넓게 감지할 수 있도록 대략 3-4m정도의 감시범위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20)은 상기 제어부(30)를 통하여 하우징(10) 전면에 노출되도록 연결 설치되는 별도의 표시램프(22)를 가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하우징(10)에 내측에 PCB 형태로서 장착되며,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저장된 경보메세지를 저장하는 메모리(31)와 연결되어 디지탈 음성신호로서 변환 출력시켜주는 음성변환출력기(32)로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그 메모리(31)와 음성변환입력기(33)를 통하여 연결된 내장형 마이크(34)를 가지도록 하며, 상기 메모리(31)에 디지탈 음성신호를 녹음하거나 삭제할 수 있도록 녹음버튼(35)과 삭제버튼(36)을 상기 하우징(10) 외측에 노출되게 연결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30)는 그 메모리(31)와 음성변환출력기(32) 사이에 연결되는 카운터(37)를 가지도록 하여서, 상기 메모리(31)로부터 출력되는 경보음을 발생시키기 위한 디지탈 음성신호를 래치(latch)시켜 일정시간동안 경보음이 발생되도록 단속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50)는 상기 하우징(10) 내부의 공간부에 내장되는 충전배터리(51)로부터 연결되는 전원선이 상기 하우징(10)의 전면 일정위치에 부착된 전원스위치(52)를 경유하여서 상기 제어부(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경보장치.
KR1019970065722A 1997-12-03 1997-12-03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KR1002380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722A KR100238007B1 (ko) 1997-12-03 1997-12-03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722A KR100238007B1 (ko) 1997-12-03 1997-12-03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7360A true KR19990047360A (ko) 1999-07-05
KR100238007B1 KR100238007B1 (ko) 2000-01-15

Family

ID=195264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722A KR100238007B1 (ko) 1997-12-03 1997-12-03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38007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897A1 (en) * 2007-01-08 2008-07-17 Moon Seok Song A voice alarm and a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
KR100928028B1 (ko) * 2007-02-07 2009-11-24 사단법인 미래융합건설연구원 건설현장 안전관리방법
KR100981654B1 (ko) * 2008-03-14 2010-09-10 강경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0989237B1 (ko) * 2008-12-24 2010-10-20 송문석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경보 장치
KR102112149B1 (ko) * 2020-01-08 2020-05-1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터널의 졸음 방지장치
KR102136070B1 (ko) 2020-02-05 2020-07-21 안광호 인공지능형 영상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재난 및 사고 예방장치
KR200492492Y1 (ko) * 2019-04-17 2020-10-23 조보갑 높이조절이 되는 위험경고장치
CN114772305A (zh) * 2022-04-24 2022-07-22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斗轮机的安全防护系统及其工作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3246A (ko) 2018-03-28 2019-10-08 주식회사 엘큐브웍스 눈 보호구를 이용한 시각적 위험 알림 시스템 및 방법
KR102190121B1 (ko) 2018-09-28 2020-12-11 진현미 룰 설정에 기반한 건설현장 안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84897A1 (en) * 2007-01-08 2008-07-17 Moon Seok Song A voice alarm and a control apparatus for construction site
KR100805563B1 (ko) * 2007-01-08 2008-10-27 송문석 건설 현장용 음성 경보 및 제어 장치
KR100928028B1 (ko) * 2007-02-07 2009-11-24 사단법인 미래융합건설연구원 건설현장 안전관리방법
KR100981654B1 (ko) * 2008-03-14 2010-09-10 강경인 무선영상장치가 구비된 이동형 안전 및 인력관리 시스템 및그이용 방법
KR100989237B1 (ko) * 2008-12-24 2010-10-20 송문석 건설 현장에서의 안전 경보 장치
KR200492492Y1 (ko) * 2019-04-17 2020-10-23 조보갑 높이조절이 되는 위험경고장치
KR102112149B1 (ko) * 2020-01-08 2020-05-18 주식회사 태영티에스 도로터널의 졸음 방지장치
KR102136070B1 (ko) 2020-02-05 2020-07-21 안광호 인공지능형 영상분석을 이용한 건설현장의 재난 및 사고 예방장치
CN114772305A (zh) * 2022-04-24 2022-07-22 中国华能集团清洁能源技术研究院有限公司 一种用于斗轮机的安全防护系统及其工作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38007B1 (ko) 2000-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33839A (en) Smoke detector apparatus with emergency escape indicator
US7636049B2 (en) Emergency notification and directional signaling apparatus
US5463595A (en) Portable security system for outdoor sites
US5307763A (en) Restricted area alarm system
KR100238007B1 (ko) 건설현장내 위험지역의 안전사고 방지방법 및 그 자동경보장치
EP1012801B1 (en) Remote detecting system and method
US2003022278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ol alarm system
CN104851224A (zh) 一种施工现场电子围栏
US3827039A (en) Portable alarm system
JP2007164474A (ja) 侵入警戒システム
US5121104A (en) Pool alarm
US5657007A (en) Dumpster alarm system
KR101824527B1 (ko) 위험요소 감지 비상벨 시스템
JP2018128846A (ja) 作業現場用警報装置
US4931772A (en) Safety monitor
JP2001003380A (ja) マンホール内落下防止装置
JP2006306526A (ja) クレーン警報装置
KR101259379B1 (ko) 베터리가 내장된 이동식 경고등
KR200379923Y1 (ko) 건설장비 안전경보장치
GB2591288A (en) Crane block alert device
US5774050A (en) Radio alarm security system
CN112288968A (zh) 一种作业区域安全辅助报警装置
KR100686702B1 (ko) 인체감지센서를 구비한 위험지역 경보장치
GB2057173A (en) Anti-theft and anti-burglar portable alarm device
JP2008059130A (ja) 入出警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