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960A -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960A
KR19990046960A KR1019970065140A KR19970065140A KR19990046960A KR 19990046960 A KR19990046960 A KR 19990046960A KR 1019970065140 A KR1019970065140 A KR 1019970065140A KR 19970065140 A KR19970065140 A KR 19970065140A KR 19990046960 A KR19990046960 A KR 199900469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device
unit
mobile
voice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51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1735B1 (ko
Inventor
류영무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51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1735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1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17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n electrical connector modu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3On hold, intercom or transfer communica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8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with current supply sources at the subst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이동용 고정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전원배터리를 가지며, 무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펄스 폭 변조한후, 이를 광 신호를 변환 하여 외부로 송출하거나, 외부에서 펄스 폭 변조되어 입력되는 광 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무선부를 통해 송신하는 이동용 고정장치와,
외부 전화선 및 외부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에서 송출되는 광 신호를 수신받아 상기 전화선을 통해 송신하는 고정용 고정장치로 이루어지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이루어진 무선전화기.

Description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하며 사용할 수 있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통상적으로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휴대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소정의 범위내에서 공간의 제약없이 전화 통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외부 전화선에 상기 고정장치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고정장치와 상기 휴대장치간에 무선신호를 통한 통화로가 형성됨으로해서 가능한 것이다. 이처럼 무선전화기는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서로 다른 공간에 있더라도 상호간의 통화로가 형성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이처럼 무선전화기는 외부 전화선이 있는 장소에서만 전화 통화를 하여야만 한다는 제약에 얽매이지 않고 사용자가 자유로이 전화 통화를 사용할 수 있는 편의성을 가져다 주는 이점이 있다.
하지만, 통상 사용되는 무선전화기의 경우, 고정장치는 필히 외부 전화선이 설치된 곳에 고정된 상태로 위치 하여야만 하는 조건이 있는데, 이에 상기 휴대장치가 사용자가 소지하거나 휴대한 상태에서 통화를 수행함으로 얻을수 있는 편의성을 상기 고정장치에서는 이룰수 없는 단점이 있음을 알수 있다.
더구나, 사용자들의 편의성에 대한 다양한 요구가 대두되면서, 고정장치 또한, 본래의 기능 수행과 동시에 휴대장치와 같은 휴대의 편의성을 갖도록 하는 무선전화기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가 외부 전화선이 접속되는 장소에만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사용될 수 있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상적으로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수행되는 인터컴 기능을 적용하여, 상기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가 무전기와 같이 상호 자유로이 이동하면서 통화 기능을 수행할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자체 전원배터리를 가지며, 무선부를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광 신호를 변환 하여 송출하거나, 외부에서 입력되는 광 신호를 입력받아 변환한 후 이를 무선 신호를 통해 송신하는 이동용 고정장치와, 외부 전화선 및 외부전원과 접속되며, 상기 외부 전화선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광신호로 변환하여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로 송신하거나,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에서 송출되는 광 신호를 수신받아 이를 변환한 후 상기 전화선을 통해 송신하는 고정용 고정장치로 구성되는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를 제안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고정장치와 고정용 고정장치가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동작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여주는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또는 칩설계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고정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는 이동용 고정장치100과 고정용 고정장치200으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이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가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로부터 착탈이 가능하게 되도록 구조됨을 말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가 상호 다른 기능을 갖는 두 개의 고정장치로 분리되어짐을 나타낸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고정장치의 착탈 상태 및 동작 상태는 이하 설명될 도 2 및 도 3에 도시되어 있는데, 이는 이후 참조되어 설명될 것이고, 우선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과 고정용 고정장치200의 내부 블록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을 살펴본다 .
제어부102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 키입력부122는 전화번호가 입력 가능한 숫자키와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의 동작을 사용자가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한다. 즉, 입력되는 상기 숫자키 혹은 기능키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102로 출력한다. RF부104는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며, 이는 무선 안테나를 통하여 이루어진다. 음성신호처리부106은 상기 RF부104에 수신된 상기 휴대장치의 무선신호의 음성신호를 처리 및 해석하여 소정의 레벨만큼 증폭 시키거나, 송수화부108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상기 RF부104로 전달한다. 상기 송수화부108은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06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스피커112를 통해 외부로 출력하거나, 마이크110을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입력받아 이를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06으로 전달한다. 적외선송수신부114는 적외선 발광소자 및 수광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06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변조시키는 변조부 및 상기 변조된 음성신호의 송신효율을 높이기 위해 상기 음성신호를 압축하는 압축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음성신호가 상기 적외선 발광소자를 통해 송출될 수 있도록 적외선 반송파와 상기 음성신호를 혼합하는 혼합부를 가진다. 즉,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06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는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14에서 PCM(Pulse Code Modulation) 음성의 디지털 신호로 바뀌어 펄스 변조 된 적외선 반송파와 혼합되어 상기 발광소자를 통해 외부로 송출된다. 또한,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14는 외부에서 송출되는 적외선을 입력받기 위해 필터부와 압축된 음성신호를 해제하는 압축해제부를 포함한다. 즉, 상기 수광부를 통해 입력된 적외선에서 PCM 음성의 디지털 신호 성분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된 성분을 증폭하여 압축 해제 시킨후, 이를 복조한다. 상기 복조된 음성 신호는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06으로 전달된다. 한편, 전화 통화는 통화자 쌍방간의 음성신호가 실시간으로 동시에 입출력되는 특성을 지니고 있는데,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14에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포함한 적외선은 펄스 변조된 적외선 반송파와 PCM 음성의 디지털 신호가 시간에 따라 일련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동시에 쌍방간의 통화가 불가능하게된다. 상기 음성신호를 포함한 적외선은 참조부호 300에 나타나 있다. 상기 적외선300은 펄스 변조된 적외선 반송파302와 PCM 음성의 디지털 신호304로 이루어짐을 알수 있다. 따라서, 버퍼메모리부115를 부가하여,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14에서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상기 버퍼메모리115에 저장시켜 상기 음성처리부106과 입출력 동작을 수행하므로 동시에 쌍방향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이는 시간 분할 이중 방식(TDD;Time Devision Duplex)과 동일한 방식으로 수행되는 것이다. 즉, 한 회선으로 쌍방향 통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교신용접속부116은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과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간의 통화로를 형성하도록 한다. 전원배터리부118은 일반적인 충전배터리로 구현되며, 이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휴대성을 가지기 때문에 구성되는 장치가 된다. 충전단자접속부120은 상기 전원배터리부118이 방전된 경우 이를 충전하기 위한 장치로, 외부 전원이 접속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구현되는 전원부220으로부터 충전 전원을 얻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착탈되는 고정용 고정장치200을 살펴본다.
제어부202는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적외선송수신부204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에 구비된 적외선송수신부114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갖는다. 다른점은, 전화선접속부208을 통해 외부 전화선에서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음성처리부206에서 소정 처리하여 이를 외부로, 여기서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으로 송출하는 동작을 하는 것이고, 마찬가지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에서 송출된 적외선을 수신받아 이를 상기 외부 전화선으로 전달한다는 것이다. 링검출부210은 상기 전화선접속부208에 수신되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에 링이 울리도록 한다. 톤 발생부212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의 키입력부122에서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DTMF톤 신호를 발생하도록 한다. 상기 링검출부210과 톤 발생부212에서 처리되는 링 신호 및 톤 신호에 대응하는 신호는 상기 적외선송수신부204를 통해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로 출력되거나 입력된다. 교신용접속부216은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의 교신용 접속부116과 접속되도록 구조되며, 이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장착되는 경우에 유효하게 된다. 충전단자 접속부218 또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의 충전단자접속부120에 접속된다. 상기 충전단자접속부218은 전원부220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로 전달한다. 이러한 경우도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장착되는 경우이다. 상기 전원부220은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의 동작 전원을 공급하며, 통상 어댑터로 이루어진다. 버퍼메모리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에 구성된 버퍼메모리부115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은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서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장착시에는 상기 교신용접속단자들116,216을 통해 통화로가 형성되고,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분리되는 경우에는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14,204를 통해 통화로가 형성된다. 제어신호의 경로 또한 마찬가지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도 1에 도시된 고정장치의 실시 상태의 일예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즉,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용 고정장치100과 고정용 고정장치200이 접속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용 고정장치100이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장착되어 있다. 참조부114와 204는 상기 적외선송수신부114,204에 구비된 적외선 발광소자 및 수고아 소자를 나타낸다. 참조부320,318은 상기 충전단자접속부120,218을 나타내며, 참조부316,315는 상기 교신용접속부116,216을 나타낸다. 참조부330은 상기 전원부220을 나타내고, 참조부308은 상기 전화선접속부208에 연결되는 전화선 접점장치를 나타낸다. 한편, 참조부330은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의 키입력부122에 구비되는 인터컴 기능키를 나타내는데, 이는 통상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의 내선 호출 및 내선 통화를 수행하도록 하는 키이다.
상기 인터컴 키330이 이동용 고정장치110에 구비되어 있으므로, 사용자는 상기 무선전화기의 휴대장치와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간의 내선 통화를 형성할 수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은 고정용 고정장치200에서 분리되어 사용이 가능하므로, 통상 사용되는 무전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무선전화기를 가지고 무전기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무선전화기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장치100은 이동용 고정장치100과 무선신호를 통해 무선통화를 수행하고,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은 적외선송수신부114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200에 구비된 적외선 송수신부204와 같이 적외선을 통한 무선통화를 이룰수 있게 된다. 더구나, 상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휴대장치10과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100은 무전기와 동일한 동작이 수행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의 무선전화기에서 유효하며, 이동용 고정장치와 고정용 고정장치간의 접속 상태는 다양한 형태로 실시 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에 따라, 본 발명은 고정장치가 전화선이 접속 가능한 곳에 고정되어 있지 않고 자유로이 이동되는 특성을 가지므로, 이에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또한, 무선전화기에 구현된 인터컴 기능을 응용하면, 휴대장치와 고정장치간에 무전기 기능과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는 이점을 가진다.

Claims (10)

  1. 무선전화기에 있어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휴대장치와;
    음성신호가 입출력되는 송수화부와, 입력되는 키에 대응하는 키데이터를 발생하는 키입력부와, 상기 휴대장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는 무선부와, 충전배터리를 포함하여 동작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배터리부와, 상기 무선부에 수신되거나 상기 송수화부에 입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처리 및 해석, 증폭하는 제1음성처리부와, 상기 제1음성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 하여 송출하고, 외부에서 입력되는 광 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1음성처리부로 출력하는 제1적외선송수신부를 갖춘 이동용 고정장치와;
    외부 전화선과 접속되는 전화선 접속부와, 상기 전화선 접속부에 입력되는 링 신호를 검출하는 링검출부와, 입력되는 키데이터에 대응하는 톤신호를 발생하는 톤 발생부와, 외부 전원으로 동작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와, 상기 전화선 접속부에 입력되거나 출력되는 음선신호를 처리 및 해석, 증폭하는 제2음성처리부와, 상기 제1적외선송수신부에서 송출되는 광신호를 입력받아 음성신호로 변환한 후 상기 제2음성처리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2음성처리부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광 신호로 변환 하여 송출하는 제2적외선송수신부를 갖춘 고정용 고정장치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는,
    상기 휴대장치와 인터컴 동작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는,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에 착탈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와 통화로 및 제어신호 경로를 형성하는 제1교신용 접속부를 더부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가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배터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배터리를 충전시키는 제1충전단자 접속부를 더부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가 착탈되는 외부 구조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7.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교신용 접속부와 접속되고,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와 통화로 및 제어신호 경로를 형성하는 제2교신용 접속부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8. 제4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고정장치는,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가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1충전단자 접속부와 접속되어 상기 전원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전원배터리부로 전달하여 상기 충전배터리를 충전하는 제2충전단자 접속부를 부가하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적외선송수신부 및 제2적외선송수신부는,
    광신호를 송출하는 적외선 발광소자와,
    광신호를 입력받는 적외선 수광소자와,
    상기 제1음성신호처리부 및 상기 제2음성신호처리부에서 출력된 음성신호를 변조시키는 변조부와,
    상기 변조부에서 변조된 음성신호를 압축하는 압축부와,
    적외선 반송파와와 상기 압축된 음성신호를 혼합하는 혼합부와,
    적외선을 입력받는 필터부와,
    상기 필터부를 통과한 압축된 음성신호를 압축 해제하는 압축해제부와,
    상기 압축 해제된 음성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10. 제1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용 고정장치 및 고정용 고정장치는,
    상기 적외선송수신부에서 송수신되는 음성신호를 시간 분할 이중 방식에 따라 처리하고, 상기 처리한 음성신호가 송수신될 시 이를 소정 제어하에 저장 및 출력하여 양방향 통화가 수행되게 하는 버퍼메모리를 가지고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용 고정장치를 가지는 무선전화기.
KR1019970065140A 1997-12-02 1997-12-02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KR100241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40A KR100241735B1 (ko) 1997-12-02 1997-12-02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5140A KR100241735B1 (ko) 1997-12-02 1997-12-02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960A true KR19990046960A (ko) 1999-07-05
KR100241735B1 KR100241735B1 (ko) 2000-02-01

Family

ID=19526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5140A KR100241735B1 (ko) 1997-12-02 1997-12-02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17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003B1 (ko) * 1997-12-31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5003B1 (ko) * 1997-12-31 2005-09-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1735B1 (ko) 200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0341B1 (ko) 라디오 겸용 이어폰-마이크 및 그 이어폰-마이크를 이용한전화 통화/라디오 청취 제어 방법
US5263079A (en) Dual mode cellular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having an echo canceller employed in both analog and digital modes
US4542262A (en) Subscriber telephone station
KR20000010415A (ko) 휴대전화기의휴대감지에따른통화서비스제공방법
GB2382952A (en) Wireless headset communication
US5848353A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mobile phone set having analog/ digital capability
KR100557161B1 (ko) 무전기 겸용 휴대폰 장치
KR100241735B1 (ko) 무선전화기의 이동용 고정장치
KR19990087732A (ko) 휴대전화용어댑터
JPH07143051A (ja) 無線機能内蔵型セルラー電話機
KR200187695Y1 (ko) 다이얼 리모콘을 갖는 이어폰마이크 타입 무선 전화기
KR200168443Y1 (ko) 적외선을 이용한 혼합 통신방식의 전화기
JP2700415B2 (ja) 個別呼出装置付き無線電話機
JP2983326B2 (ja) 携帯無線電話装置
KR100189638B1 (ko) 무선전화기의 dtmf를 이용한 데이타통신 방법
KR100495003B1 (ko) 이동 통신 단말기의 고정장치
KR200256982Y1 (ko) 무선전화기의 생활무전기 겸용 휴대장치
KR200169244Y1 (ko) 휴대용 통신장치의 부가 송수신장치
KR200292434Y1 (ko) 무선방식의 구내전화 시스템
KR100678278B1 (ko) 차량용 라디오 수신기를 이용하여 이어 마이크로폰 장치를 통해 핸즈프리 통화가 가능한 휴대폰의 통화방법 및 그 장치
KR200179159Y1 (ko) 라디오 수신이 가능한 휴대용 전화기
JPH0227854A (ja) ワイヤレス電話機
KR940009771B1 (ko) 무선전화기의 모뎀 자동선택 장치
JP2544970Y2 (ja) 携帯電話装置
KR0136732B1 (ko) 다수개의 휴대장치를 구비한 무선전화기의 국선 전환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