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6488A - 입력전원의자동접지장치 - Google Patents

입력전원의자동접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6488A
KR19990046488A KR1019990009549A KR19990009549A KR19990046488A KR 19990046488 A KR19990046488 A KR 19990046488A KR 1019990009549 A KR1019990009549 A KR 1019990009549A KR 19990009549 A KR19990009549 A KR 19990009549A KR 19990046488 A KR19990046488 A KR 19990046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line
supply line
switching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095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234B1 (ko
Inventor
이영민
Original Assignee
이영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영민 filed Critical 이영민
Priority to KR10199900095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22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46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6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2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2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responsive to excess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H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 H02H3/00Emergency protective circuit arrangements for automatic disconnection directly responsive to an undesired change from normal electric working condition with or without subsequent reconnection ; integrated protection
    • H02H3/02Details
    • H02H3/04Details with warning or supervision in addition to disconnection, e.g. for indicating that protective apparatus has functione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Landscapes

  • Emergency Protection Circuit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는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2개의 전원라인중 어느 한 라인이 전기공급선인지 여부를 검출했을 경우,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서 바이어스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증폭수단에서 증폭하여, 그 중폭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수단을 스위칭 온시킴으로써,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중 -측라인을 접지선에 접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급전선(전원라인)중에서 -측라인을 접지선에 접지시켰음을 표시수단에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라인중에서 접지않된 -측라인을 자동으로 접지시킬 수 있으며, 전원라인중에서 -측라인을 찾아서 자동으로 접지시키므로, 전자제품 사용중 또는 산업기계/전자제품 사용중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An automatic ground apparaus for grounding power input ground line}
본 발명은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유해전자파를 차폐할 수 있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전력회사나 비상발전기 또는 기타의 전원으로부터 가정, 사무실, 건설현장 등의 여러가지 환경에서 공급되는 상용 교류전원(110V, 220V)에 부하(예를 들면, 가전제품, 산업전자제품)을 접속해서 사용할 경우 급전선(전원선)중에서 접지안된 전원선을 자동으로 검출해서 접지안된 전원선을 자동으로 접지시키고 표시할 수 있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원공급원에서 공급된 전원이 가정이나 공사현장,또는 사무실등에 공급되는 전력의 예로서는, 전력회사로부터 가정으로 송전하는 단상 3선식 220V 전원 또는 단상2선식 220V 전원, 220V와 단상 2선식 110V전원을 가정 또는 사무실, 공사현장에서 110V 또는 220V로 승압한 전원, 그리고 이동식 발전기로 부터 인출한 전원 등을 들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가정, 사무실 또는 기타 상황에서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자제품에 전원을 인가해서 사용할 경우에는 감전사고를 방지함과 동시에, 가전제품 및 산업전자제품에서 방출되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 별도의 전자파 차단기를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자제품에 설치하거나 또는 전기입력선중 접지선을 찾아서 접지시켜야만 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자제품에서 발생되는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해서는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자제품에 차단망을 만들어서 부착하고, 그 차단망을 접지하여야만 유해전자파를 차단 시킬수 있지만, 이러한 경우에는 실제적으로 접지하기가 곤란할 뿐만 아니라, 만약 접지하였다 할지라도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자제품을 이동하면, 그 때마다 다시 접지를 행하여야 하므로, 많은 불편함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말하면, 바람직한 접지의 예로써 가정에서 사용하는 세탁기나 냉장고등 가전제품내부 또는 산업전자 제품에서 접지선을 인출하여 수도꼭지나 또는 임의로 접지되어 있는 접지선에 연결하여 누전에 의한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유해전자파를 차단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접지방식은 가전제품 또는 산업전자 제품을 다른 장소로 이동시킬 때마다 접지하여야 하므로, 접지작업이 번거롭고 불편함이 많다는 등의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자가 항상 한 방향으로 내부접지선이 연결되도록 꼽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며, 가정용일 경우에는 특히 전기공사를 할 경우에 접지선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배선작업을 했기 때문에 각각의 콘센트마다 그 접지선의 위치가 틀리게 설치되어 있어 접지선을 찾아 연결한다는 것은 사실상 어렵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급전선(전원선)중에서 접지선을 용이하게 검출해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접지않된 전원선을 자동으로 접지시킬 수 있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유해전자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전파정류하는 전파정류수단과,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a)이 전기공급선(+측 전원라인)인지 여부를 검출해서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바이어스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선 검출수단과, 상기 전파정류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a,b)중 -측 전원라인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측 전원라인을 접지라인에 접지시키도록 절환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출력되는 증폭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온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1 시정수회로와, 2개의 안정상태중 하나의 안정상태를 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다른쪽 안정상태를 결정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에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2 시정수회로와, 상기 플립플롭에 노이즈의 인가를 차단하는 노이즈제거수단과, 상기 절환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를 부하에 연결한 상세회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전원플러그 10:전파정류수단
11:브리지정류회로 20:절환수단
21:제1 절환회로 21a:제1 포토트라이악
22:제2 절환회로 22a:제1 포토트라이악
30:전기공급선 검출수단 40:증폭수단
50:스위칭수단 60:제1 시정수회로
70:플립플롭 80:제2 시정수회로
90:노이즈제거수단 91:제1 노이즈 제거회로
92:제2 노이즈 제거회로 100:표시수단
101:제1 표시회로 102:제2 표시회로
110:전력소모 방지수단 111:제1 전력소모 방지회로
112:제2 전력소모 방지회로 130:부하본체
132:부하 134:콘트롤러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대하여 첨부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를 부하에 연결한 상세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는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전파정류하는 전파정류수단(10)과, 상기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전기공급선(+측 전원라인)인지 여부를 검출해서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바이어스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과, 상기 전파정류수단(10)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b)중 -측 전원라인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측 전원라인을 접지라인(3)에 접지시키도록 절환되는 절환수단(20)과,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증폭하는 증폭수단(40)과, 상기 증폭수단(40)에서 출력되는 증폭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스위칭수단(50)과, 상기 스위칭수단(40)의 스위칭 온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1 시정수회로(60)와, 2개의 안정상태중 하나의 안정상태를 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다른쪽 안정상태를 결정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는 플립플롭(70)과, 상기 플립플롭(70)에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2 시정수회로(80)와, 상기 플립플롭(70)에 노이즈가 인가됨을 차단하는 노이즈제거수단(90)과, 상기 절환수단(20)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100)과, 상기 절환수단(20)에서 소모되는 전력을 방지하는 전력소모 방지수단(110)을 구비하고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전파정류수단(10)은 스위치(sw) 온시에 교류전원을 전류조절용 캐패시터(C1) 및 저항 (R1)을 통해 받아 전파정류하는 브리지전파정류회로(11)와, 상기 브리지정류회로(11)에서 전파정류된 직류전원의 일정레벨(12V 또는 24V)이상의 전원을 바이패스해서 일정레벨(12V 또는 24V)의 전원전압을 출력하는 제너다이오드(12)와, 상기 제너다이오드(12)에서 출력되는 일정레벨(예를들면, 12V, 24V 등)의 직류전원을 평활화시켜서 출력하는 캐패시터(C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절환수단(20)은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상기 전파 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저항(R2)을 통해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전력소모 방지수단(110)의 제1 전력소모 방지회로(111)를 통해 교류전원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는 제1 포토 트라이악(21a)과,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21a)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저항(R3)으로 구성된 제1 절환회로(21)와,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b)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상기 전파 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저항(R4)을 통해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전력소모 방지수단(110)의 제2 전력소모 방지수단(112)을 통해 교류전원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는 제2 포토 트라이악(22a)과,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22a)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저항(R5)으로 구성된 제2 절환회로(2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21a)은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LED1)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에서 발광되는 광을 받아 스위칭 온되는 제1 트라이악(PT1)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22a)은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b)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발광되는 발광다이오드(LED2)와, 상기 발광다이오드(LED2)에서 발광되는 광을 받아 스위칭 온되는 제2트라이악(PT1)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증폭수단(40)은 전기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이 전기공급선 검출수단(30)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증폭하는 트랜지스터(Q1)와, 상기 트랜지스터(Q1)의 콜렉터단과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사이에 접속된 저항(R6)과, 상기 트랜지스터(Q1)에서 증폭된 신호를 다시 증폭하는 제1 낸드게이트(G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스위칭수단(50)은 상기 제2 낸드게이트(G2)에서 증폭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것으로, 상기 제1 시정수회로(60)에 설정된 시정시간 동안, 상기 제1 낸드게이트(G1)에서 증폭된 신호를 받아서 스위칭 온되는 것이다.
상기 제1 시정수회로(60)는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 일측이 접속된 캐패시터(C3)와, 상기 캐패시터(C3)에 일측이 접속되며 타측이 접지된 저항(R7)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2 시정수회로(80)는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 일측이 접속된 저항(R8)과, 상기 저항(R8)에 직렬접속되고 타측이 접지되어 있는 캐패시터(C4)와, 상기 저항(R8)에 병렬접속된 역전류방지 다이오드(D1)와, 상기 저항(R8) 및 캐패시터(C4)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R9)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립플롭70)의 제3 낸드 게이트(G3)의 일측 입력단과 상기 제2 시정수회로(80)의 캐패시터(C4)의 접지측과의 사이에는 상기 플립플롭(70)에 노이즈의 입력을 방지하는 제1 노이즈 제거회로(91)가 접속되어 있고, 상기 플립플롭70)의 제4 낸드 게이트(G4)의 일측 입력단과 상기 제2 시정수회로(80)의 캐패시터(C4)의 접지측과의 사이에는 상기 플립플롭(70)에 노이즈의 입력을 방지하는 제2 노이즈 제거회로(92)가 접속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있어서는 상기 제1 노이즈 제거회로(91)는 캐패시터(C5)를 사용하고 있고, 상기 제2 노이즈 제거회로(92)는 캐패시터(C6)를 사용하고 있다.
상기 전력소모방지수단(110)은 콘센트(1)의 전원라인(a)과 절환수단(20)의 제1 절환회로(21)사이에 접속된 제1 전력소모방지회로(111)과, 콘센트(1)의 전원라인(b)과 절환수단(20)의 제2 절환회로(22)사이에 접속된 제2 전력소모방지회로(11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 전력소모방지회로(111, 112)는 각각 캐패시터(C7,C8)로 구성되어 있다(상기 전력소모방지수단(110)은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표시수단(100)은 절환수단(20)의 제1 절환회로(21)의 도통을 표시하는 제1 표시회로(101)와, 상기 절환수단(20)의 제2 절환회로(22)의 도통을 표시하는 제2 표시회로(102)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표시회로(101)는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 일측이 접속된 전류제한저항(R1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2)의 타측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포토트라이악(21a)의 발광다이오드(LED1)의 발광시에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접지라인(c)에 접속되었음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표시회로(102)는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 일측이 접속된 전류제한저항(R11)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1)의 타측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포토트라이악(22a)의 발광다이오드(LED2)의 발광시에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b)이 접지라인(c)에 접속되었음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4)로 구성되어 있다.
도 2에 있어서, F는 퓨즈이고, 130은 본 발명의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가 적용된 부하본체로서, 예를 들면 가전전자제품 또는 산업기계/전자제품을 표시하고, 132는 상기 부하본체(130)의 부하를 표시하고, 134는 상기 부하본체(130)의 부하(132)에 전원의 인가를 제어하는 콘트롤러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의 작용 및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전원플러그(1)를 도시하지 않은 콘센트에 삽입한 다음, 스위치(sw)를 온시키면, 전파정류수단(10)의 교류전원이 캐패시터(C1) 및 저항 (R1)을 통해 브리지전파정류회로(11)에 인가되며, 상기 브리지전파정류회로(11)에서 전파정류된 직류전원은 제너다이오드(12)에 의해 일정레벨(12v 또는 24V)의 직류전원을 출력하며, 상기 일정레벨의 직류전원에 포함되어 있는 맥류성분은 캐패시터(C2)에서 평활화 되어 출력된다.
이때,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상기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전기공급선(+측 전원라인)이라고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서 바이어스 전압이 출력되어 트랜지스터(Q1)가 스위칭 온됨에 따라 저항(R6)을 통해서 제1 낸드게이트(G1)의 입력단에는 로우레벨(low level)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1 낸드게이트(G1)의 입력단에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그 출력단에는 하이레벨(high level)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제2 낸드게이트(G2)로 이루어진 스위칭수단(50)에서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70)의 제4 낸드게이트(G4)의 입력단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제4 낸드게이트(G4)의 출력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절환수단(20)의 제2 절환회로(21)가 스위칭 온된다. 즉, 제2 포토트라이악(22a)의 발광다이오드(LED2)에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서 평활화된 일정레벨(12V)의 직류전류가 저항(R4)을 통해 흘러서 발광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LED2)의 발광에 따라 제2 트라이악(PT2)이 도통되어 퓨즈(F), 제2 전력소모 방지회로(112), 제2 트라이악(PT2) 및 저항(R5)을 통해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b)을 접지라인(c)에 자동으로 접지시킴과 동시에, 부하본체(130)를 접지시키고, 또한 전원라인(a,b)중에서 전원라인(b;-측라인)을 접지라인(c)에 접지시켰음을 표시수단(100)의 제2 표시회로(102)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4)를 발광시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라인(a,b)중에서 전원라인(b;-측라인)을 찾아서 접지라인(c)자동으로 접지시키므로, 전자제품 사용중 또는 산업기계/전자제품 사용중 콘트롤러(134)를 통해서 부하(132)에 인가되는 전원의 누설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한편,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 의해 상기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이 -측 전원라인이라고 검출했을 경우에는 전원공급선 검출수단(30)에서 바이어스전압이 출력되지 않아 증폭수단(40)의 트랜지스터(Q1)가 오프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증폭수단(40)의 제1 낸드게이트(G1)의 입력단에는 하이레벨(high level)의 신호가 입력된다.
제1 낸드게이트(G1)의 입력단에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면 그 출력단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므로, 제2 낸드게이트(G2)로 이루어진 스위칭수단(50)에서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되어 플립플롭(70)의 제4 낸드게이트(G4)의 입력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제4 낸드게이트(G4)의 출력단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출력되며, 이때 상기 플립플롭(70)의 제3 낸드게이트(G3)의 입력단에는 로우레벨의 신호가 입력되어 제3 낸드게이트(G3)의 출력단에는 하이레벨의 신호가 출력된다.
이때, 절환수단(20)의 제1 절환회로(21)가 스위칭 온된다. 즉, 제1 포토트라이악(21a)의 발광다이오드(LED1)에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서 평활화된 일정레벨(12V)의 직류전류가 저항(R2)를 통해 흘러서 발광되며, 상기 발광다이오드(LED1)의 발광에 따라 제1 트라이악(PT1)이 도통되어 스위치(sw), 제1 전력소모 방지회로(111), 제1 트라이악(PT1) 및 저항(R3)을 통해서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a)을 접지라인(c)에 자동으로 접지시킴과 동시에, 부하본체(130)를 접지시키고, 또한 전원라인(a,b)중에서 전원라인(a;-측라인)을 접지라인(c)에 접지시켰음을 표시수단(100)의 제1 표시회로(101)를 구성하는 발광다이오드(LED3)를 발광시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라인(a,b)중에서 전원라인(a;-측라인)을 찾아서 자동으로 접지시키므로, 전자제품 사용중 또는 산업기계/전자제품 사용중 콘트롤러(134)를 통해서 부하(132)에 인가되는 전원의 누설에 따른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립플롭70)의 제3 낸드 게이트(G3)의 일측 입력단과 상기 제2 시정수회로(80)의 캐패시터(C4)의 접지측과의 사이에는 캐패시터(C5)로 구성된 제1 노이즈 제거회로(91)가 접속되어 있고, 또한 상기 플립플롭(70)의 제4 낸드 게이트(G4)의 일측 입력단과 상기 제2 시정수회로(80)의 캐패시터(C4)의 접지측과의 사이에는 캐패시터(C6)로 구성된 제2 노이즈 제거회로(92)가 접속되어 있으므로, 상기 플립플롭(70)에 노이즈가 입력되는 것을 방지하므로, 상기 플립플롭(70)의 오동작을 방지한다.
상기 스위칭수단(50)의 입력단에는 제1 시정수회로(60)에 설정된 시정시간 동안, 상기 제1 낸드게이트(G1)에서 증폭된 신호입력되어 스위칭 온되고, 플립플롭(70)의 입력단에는 제2 시정수회로(80)에 의해 설정되는 시간 동안 신호가 접속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에 의하면,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상기 전원플러그의 2개의 전원라인중 어느 한 라인이 전기공급선인지 여부를 검출했을 경우,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서 바이어스전압을 출력하며,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증폭수단에서 증폭하여, 그 중폭된 신호에 의해 스위칭수단을 스위칭 온시킴으로써,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중 -측라인을 접지선에 접지시키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급전선(전원라인)중에서 -측라인을 접지선에 접지시켰음을 표시수단에서 표시할 수 있음과 동시에, 전원라인중에서 접지않된 -측라인을 자동으로 접지시킬 수 있으며, 전원라인중에서 -측라인을 찾아서 자동으로 접지시키므로, 전자제품 사용중 또는 산업기계/전자제품 사용중 감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함과 동시에 인체에 유해한 전자파를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다는 매우 뛰어난 효과가 있다.

Claims (3)

  1. 교류전원을 직류전원으로 전파정류하는 전파정류수단과, 상기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이 전기공급선인지 여부를 검출해서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바이어스전압을 출력하는 전원공급선 검출수단과, 상기 전파정류수단에서 출력되는 직류전원을 받아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중 -측 전원라인을 검출했을 경우, 상기 -측 전원라인을 접지라인에 접지시키도록 절환되는 절환수단과,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서 출력되는 바이어스전압을 증폭하는 증폭수단과, 상기 증폭수단에서 출력되는 증폭신호에 의해 스위칭 온되는 스위칭수단과, 상기 스위칭수단의 스위칭 온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1 시정수회로와, 2개의 안정상태중 하나의 안정상태를 결정하는 신호가 입력되면 다른쪽 안정상태를 결정하는 신호가 입력될 때까지 하나의 안정상태를 유지하는 플립플롭과, 상기 플립플롭에 신호가 인가되는 시간을 제한하는 제2 시정수회로와, 상기 플립플롭에 노이즈가 인가됨을 차단하는 노이즈제거수단과, 상기 절환수단의 동작상태를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수단은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상기 전파 정류수단의 캐패시터(C2)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저항(R2)을 통해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전력소모 방지수단의 제1 전력소모 방지회로를 통해 교류전원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는 제1 포토 트라이악과, 상기 제1 포토 트라이악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저항으로 구성된 제1 절환회로와, 상기 전원공급선 검출수단에 의해 검출된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b)이 전기공급선일 경우에 상기 전파 정류수단의 캐패시터에서 출력되는 전류를 저항을 통해 받음과 동시에, 상기 전력소모 방지수단의 제2 전력소모 방지수단을 통해 교류전원을 받아서 스위칭 온되는 제2 포토 트라이악과, 상기 제2 포토 트라이악의 출력단에 접속되어 있는 출력저항(R5)으로 구성된 제2 절환회로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은 절환수단의 제1 절환회로의 도통을 표시하는 제1 표시회로와, 상기 절환수단의 제2 절환회로의 도통을 표시하는 제2 표시회로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 표시회로는 전파정류수단의 캐패시터(C2)에 일측이 접속된 전류제한저항(R12)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2)의 타측에 접속되어 상기 제1 포토트라이악의 발광다이오드(LED1)의 발광시에 전원플러그의 전원라인(a)이 접지라인(c)에 접속되었음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3)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 표시회로(102)는 전파정류수단(10)의 캐패시터(C2)에 일측이 접속된 전류제한저항(R11)과, 상기 전류제한저항(R11)의 타측에 접속되어 상기 제2 포토트라이악(22a)의 발광다이오드(LED2)의 발광시에 전원플러그(1)의 전원라인(b)이 접지라인(c)에 접속되었음을 표시하는 발광다이오드(LED4)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KR1019990009549A 1999-03-20 1999-03-20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KR1003322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549A KR100332234B1 (ko) 1999-03-20 1999-03-20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09549A KR100332234B1 (ko) 1999-03-20 1999-03-20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6488A true KR19990046488A (ko) 1999-07-05
KR100332234B1 KR100332234B1 (ko) 2002-04-12

Family

ID=374794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09549A KR100332234B1 (ko) 1999-03-20 1999-03-20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22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7470Y1 (ko) * 2009-08-31 2010-01-25 (주)한미미리락 전자파 차단 자동 전원 절환장치
KR100977948B1 (ko) * 2008-07-21 2010-08-24 박덕배 전원 접지선 자동 검출 장치
KR20190067028A (ko) * 2017-12-06 2019-06-14 유경학 교류 전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30983B1 (ko) * 2007-05-22 2009-12-10 주식회사 뉴지로 접지 전위를 갖는 전력선 판별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0022B1 (ko) * 1994-01-21 1997-10-23 강현구 접지선 검지에 의한 유해파 차단장치
KR970004257Y1 (en) * 1994-04-14 1997-05-07 Kim Jung Moo Earth device
KR0112814Y1 (ko) * 1994-09-24 1998-04-15 김정무 접지 검출장치
JP2835299B2 (ja) * 1995-07-25 1998-12-14 東光株式会社 自励式dc−dcコンバータ
JPH1127848A (ja) * 1997-07-07 1999-01-29 Shinkawa Denki Kk 地絡電流表示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7948B1 (ko) * 2008-07-21 2010-08-24 박덕배 전원 접지선 자동 검출 장치
KR200447470Y1 (ko) * 2009-08-31 2010-01-25 (주)한미미리락 전자파 차단 자동 전원 절환장치
KR20190067028A (ko) * 2017-12-06 2019-06-14 유경학 교류 전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2234B1 (ko) 2002-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12004B1 (ko) 대기전력 차단 멀티탭 및 멀티탭을 이용한 대기전력 차단방법
US7336463B2 (en) Device and method for dimming service loads
US10123393B1 (en) Power supply for a two-wire smart switch and lighting loads thereof
US7446539B2 (en) Identifying apparatus for AC power supply arrangement
CA2168707C (en) Two wire air gap off power supply circuit
KR100332234B1 (ko) 입력전원의 자동접지장치
CN211321597U (zh) 一种电网斩波恒压控制器
RU2672097C2 (ru) Осветительная система
CN215375727U (zh) 安全检测装置以及电子设备
KR102430761B1 (ko) 잔광 방지 장치
KR20180114327A (ko) 비상용 조명 장치
US10944316B2 (en) Circuit adapted to detect applied voltage and/or voltage dependent conditions
KR100927239B1 (ko) 전기 스위치
KR100572230B1 (ko) 전원접지장치 및 누전경보장치
US20020003688A1 (en) System for monitoring power consumers in an electrical circuit
KR200165197Y1 (ko) 멀티탭 콘센트의 사용전류량 표시 및 경보장치
KR102212122B1 (ko) 2선 1전등식 비상전원공급장치가 내장된 분전반 및 그를 이용하는 비상조명등기구
CN203690915U (zh) 用于控制电功率施加至负载的负载控制设备
KR19980078339A (ko) 전자기기 접지장치
US5748094A (en) Switch with current flow detector
KR0133418Y1 (ko) 접지전위를 이용한 전자파 차단 누전차단기
KR970007295B1 (ko) 공급 전원의 표시수단이 구비된 멀티탭
CN217587404U (zh) 一种三相电源缺相检测电路
EP3328164A1 (en) A switching system for an electrical appliance, a method of switching an electrical appliance and a lighting arrangement incorporating the switching system
KR100600439B1 (ko) 자동전원차단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21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