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5462A - 공기청정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청정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5462A
KR19990045462A KR1019980049951A KR19980049951A KR19990045462A KR 19990045462 A KR19990045462 A KR 19990045462A KR 1019980049951 A KR1019980049951 A KR 1019980049951A KR 19980049951 A KR19980049951 A KR 19980049951A KR 19990045462 A KR19990045462 A KR 199900454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dust collector
resin
lower frame
electrostatic precipit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1769B1 (ko
Inventor
신이치로 가츠무라
노리오 마키
다카유키 야마시타
요시카즈 오노구치
Original Assignee
마츠무라 후지외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991697A external-priority patent/JPH111514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011688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688878B2/ja
Application filed by 마츠무라 후지외, 미도리안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츠무라 후지외
Publication of KR199900454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54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17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17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60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 B03C3/64Use of special materials other than liquids synthetic res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02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 B03C3/04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 B03C3/08Plant or installations having external electricity supply dry type characterised by presence of stationary flat electrodes arranged with their flat surfaces parallel to the gas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개시되는 공기청정장치는, 하전부의 방전전극에 의해 공기중의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고,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집진부의 저압전극에 의해 발생된 전계로 통과시킴으로써, 전기적 흡인력으로 미립자를 포집하는 집진기능을 가지는 것으로,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수지를 이용한 일체성형에 의해 한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연결부재의 실질적으로 전 길이에 걸쳐 급전부재를 설치하며, 급전부재를 통해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전기를 공급함과 동시에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하부 프레임에 지지하는 구성을 가진다. 또한,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이용하여,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107Ωcm 차수 이하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내는 전기집진장치도 개시되어 있다.

Description

공기청정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전기집진장치에 해당하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집진부의 고압전극으로의 급전 및 지지구조에 특징을 갖는 공기청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공기청정장치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집안이나 차량내의 공기를 항상 청정한 상태로 유지하고자 하는 요망에 따라 공기청정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공기청정장치는, 산업용의 대형 장치로부터 가정용의 소형 장치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공기청정장치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에어컨 내부에 장착되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공기청정장치에는, 공기 중의 미립자에 대해 코로나 방전 등에 의해 전하를 부여하고, 이 하전입자가 전계중을 통과하는 동안 정전력에 의해 하전입자를 포집(捕集)하여 제거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이 있으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소위 전기집진장치나 정전집진장치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전기집진장치는,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는 하전부와, 이 하전부에 의해 하전된 미립자를 포집하는 집진부를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하전부의 대향전극, 집진부의 저압전극이나 고압전극에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금속판이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일반적으로는, 이러한 대향전극이나 저압전극은, 접지된 전극이다.
그러나, 이러한 금속판을 사용하였을 경우, 먼지 등과 같은 미립자에 의해 금속판인 각 전극 사이에 스파크가 발생하여 불쾌한 음을 내게 되며, 고장의 원인이 되기 쉽다. 또한, 제작의 측면에 있어서도, 금속판과 절연부를 교대로 적층할 필요가 있으므로, 제작공정수가 늘어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일본공개특허공보 6-296898호에 있어서는,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반절연성 수지에 의해 소정 간격을 가지는 사다리구조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이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프레임에 고정하는 위치와 동일한 위치를 급전위치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의 고압전극(201)을 프레임(203)에 고정할 때, 접지 전위인 프레임(203)이 직접 집진부의 고압전극(201)에 접촉되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등가회로와 동일한 상태가 된다. 즉, 집진부의 고압전극(201)에 있어서 전압강하가 발생하고, 집진효율이 감소되는 문제가 있다.
이하, 종래의 전기집진장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즉, 이러한 전기집진장치는, 일반적으로 도 3 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며, 도 3에서는, 공기중의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는 하전부(211)의 방전전극(213)에 대향되는 대향(접지)전극(215), 하전입자를 포집하는 집진부(212)의 고압전극(216)이나 고압전극(216)에 대향되는 대향(접지)전극(215)에, 도 4에서는, 하전부(211)의 방전전극(213)에 대향되는 대향전극(214), 집진부(212)의 고압전극(216)이나 고압전극(216)에 대향되는 접지전극(215)에, 통상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레스강 등과 같은 금속재료가 사용된다.
또한 이러한 전극은, 일반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전부(211)에서는 복수의 대향전극(214)을 스페이서(217)를 통해 배열하고, 집진부(212)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의 전위를 인가하는 고압전극(216)과, 이에 대향되는 접지전극(215)을 교대로 스페이서(217)를 통해 나란히 배열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을 가진 종래의 전극에 있어서는,
1) 각 전극이 금속제이므로 중량이 무겁다.
2) 하전부나 집진부의 전극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스페이서를 사용하여 금속전극을 복수개 겹쳐 쌓음으로써 전극부분을 조립하여야 하므로, 공정수가 많아지고, 제조과정이 복잡하다.
3) 집진부에 들어오는 하전입자 중에 도전성 분진이 혼재되어 있으면, 고압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에서 스파크가 일어나 불쾌한 음과 빛이 발생하고, 때로는 그것이 계속되는 경우가 있으며, 한편 스파크의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고압전극과 접지전극 사이의 인가전압을 낮추면, 이들 전극간의 전계강도가 저하되어 집진부에서의 포집효율의 저하를 초래하게 된다.
4) 최근 공기청정장치의 공간절약·소형화에 대한 요청에 대해서는, 직육면체의 장치의 형상을 갖게 하면 스스로 한계가 있으며, 게다가 금속제이므로 자유로운 형상으로 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상술한 일본공개특허공보 6-296898호에 있어서는, 집진부의 고압측의 전극을 교대로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하고, 이들 각 전극을 반절연성 수지에 의해 일체성형한 고압 사다리를 가지고 있는 콜렉터(집진부)와, 고압 사다리를 광체(筐體)에 고정하는 위치 및 고압 사다리에 급전하는 위치를 동일하게 하는 급전 겸용 지지기구를 구비한 구성이나, 더 나아가서는 집진부의 각 전극과 일체성형한 복수의 전극을 대향전극으로 사용하는 아이오나이저(하전부)를 구비한 구성도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8-71451호에 있어서는, 공기중의 미립자에 대하여 전하를 부여하는 아이오나이저(하전부)와, 하전된 입자를 정전력에 의해 포집하는 집진측 전극 및 고압측 전극을 구비하는 콜렉터(집진부)를 가지며, 고압측 전극이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 차수인 흡습수지로 이루어지는 구성이 제안되어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공보 8-227789호에는,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와 도전재를 배합한 수지로서,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 이하인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 수지전극을, 고압측 전극의 대향전극 등으로 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 즉, 전극을 특정한 구조로 하거나, 전극재료를 특정한 것으로 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은 상당히 개선될 수 있다.
그러나, 특히,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에 도전재를 배합하여,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 이하인 수지를 이용하여 형성한 수지전극을 이용할 경우에는, 수지를 사출성형하는 등 원하는 각 전극을 얻기 때문에, 중량의 감소, 하전부나 집진부의 공정수삭감 및 자유로운 형상으로의 성형에 효과가 있으나, 수지의 사출성형시 성형품 표면에 발생되는 수지층, 소위 스킨층의 영향에 의해, 도전재 등이 거의 포함되지 않은 높은 저항값을 나타내는 스킨층이 성형시 형성되어 버리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경우, 가령 흡습성을 갖는 수지를 이용하거나, 이에 도전재를 배합한다 해도, 전극의 형상 등과 같은 조건에 의해서는, 성형된 전극의 스킨층의 형성상태나 도전재 등이 포함되는 상태가 균일하지 않고, 그 결과, 표면 저항값이 제각각이 되므로 표면저항값이 균일하게 되지 않아, 균일한 전계를 얻을 수 없는 등, 집진효율이 저하하는 경우가 발생하기 쉽다.
그리고, 전기집진장치의 전극을 형성할 경우에는, 통풍저항의 감소나 집진면적의 확대를 목적으로 하여, 박판 형상으로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사출성형 등에 의해 박판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스킨층의 불균일성이 더욱 심해지고, 그 결과, 표면저항의 불균일성에 의한 집진효율의 저하에 따라, 실질적으로 사용에 견디지 못할 정도로 성능이 저하되는 경우도 있다.
또한, 박판 형상으로 전극을 형성하였을 경우에는, 동일한 중량%의 난연소제를 부가한 동일 수지덩어리에 비해 난연소성이 뒤떨어지는 경향도 있다.
따라서, 우선, 공기청정장치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과 같은 종래의 기술에 착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불쾌음인 딱딱거림을 방지하고, 높은 집진효율을 유지할 수 있는 급전·지지구조를 가지는 공기청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다음, 전기집진장치에 따른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집진부와 하전부를 가지는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이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성형된 전극의 표면 저항값이 균일하지 않아도,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전극을 성형하여도, 또는 체적 고유 저항값이 높은, 일반적으로는 절연성이라 할 수 있는 수지재료를 이용하여 전극을 성형하여도, 집진효율이 뛰어나고, 난연소성이 향상된 전기집진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하부 프레임과 집진부 고압전극이 직접 접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태를 나타내는 등가회로이고,
도 3은 종래의 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4는 종래의 전극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정정장치의 전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측면도이고,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메인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6b는 도 6a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메인 프레임에 결합되는 각 부품의 분해·조립도이고,
도 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고압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고압전극의 연결부재와 급전부재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급전부재의 평면도이고,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급전부재의 정면도이고,
도 9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일부가 생략된 급전부재와 집진부 고압전극의 결합관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0a 내지 도 10h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급전부재의 단면을 결정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설명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저압전극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걸림턱과 집진부 고압전극의 관계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2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걸림턱과 집진부 고압전극의 관계를 비교하여 설명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2c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걸림턱과 집진부 고압전극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고,
도 12d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부 프레임의 걸림턱과 집진부 고압전극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등가회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집진부 고압전극을 결합한 상태 및 집진부 고압전극과 집진부 저압전극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b는 도 13a의 측면도이고,
도 13c는 도 13a의 C1-C1 단면도이고,
도 13d는 도 13a의 D1-D1 단면도이고,
도 13e는 도 13a의 E1-E1 단면도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고압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부의 확대도이고,
도 1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부 프레임에 대한 급전부재의 위치결정을 나타내는 개략 평면도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저압전극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부의 확대도이고,
도 17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고압전극의 전극판과, 집진부 저압전극의 접지측 전극판의 피치 엇갈림과 집진효율의 관계를 나타낸 그래프이고,
도 17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집진부 고압전극의 전극판과, 집진부 저압전극의 접지측 전극판의 피치 엇갈림과 집진효율의 관계를 나타낸 표이고,
도 18a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전부 방전전극을 장착한 상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8b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의 공기청정장치의 하전부 방전전극을 장착한 상부 프레임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단면도이고,
도 18c는 도 18a의 C2-C2 단면도이고,
도 19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기집진장치의 각 전극의 구성을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의 전기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측정하기 위한 시험장치의 설명도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는, 하전부의 방전전극에 의해 공기중의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고,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집진부의 저압전극에 의해 발생된 전계로 통과시킴으로써, 전기적 흡인력으로 상기 미립자를 포집하는 공기청정장치로서,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수지를 이용한 일체성형에 의해 한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실질적으로 전 길이에 걸쳐 급전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급전부재를 통해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급전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하부 프레임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이러한 구성에서는 한쌍의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극판을 일체적으로 성형함으로써, 집진부 고압전극을 만들고, 연결부재의 전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급전부재를 통해 하부 프레임에 고정된다. 이에 따라, 집진부 고압전극은 접지 전위인 하부 프레임과는 직접 접촉되지 않는다.
따라서, 우선, 한쌍의 연결부재와 이 연결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는 전극판을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있으므로, 전극판은 정확하게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 고압전극은, 반드시 연결부재의 전 길이에 걸쳐 설치되어 있는 급전부재를 통해 하부 프레임에 고정되어 있고, 접지 전위인 하부 프레임과는 직접적으로 접촉하지 않으므로, 균일하게 급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균일한 전계를 발생하여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연결부재의 단면이 모자 형상이고, 급전부재가 연결부재에 삼면으로 접촉하는 단면 ″ㄷ″자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어도 무방하다.
즉, 이러한 구성이면, 단면형상이 모자 형상인 연결부재에 단면 ″ㄷ″자 형상의 급전부재를 취부하여, 삼면 접촉으로 급전을 행하는 구성으로, 급전효율이 개선된다.
또한, 모자 형상의 연결부재의 챙 부분이 급전부재와 집진부 저압전극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므로,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하여, 불쾌한 딱딱거리는 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집진부 고압전극에 있어서의 전압강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하부 프레임에 대한 X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상기 급전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집진부 고압전극의 X축 방향의 위치는 하부 프레임을 기준으로 하여 정확한 위치에 위치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하부 프레임에 대한 Y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Z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정확한 위치에 확실히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저압전극의 하부 프레임에 대한 X축 방향의 위치 결정, Y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Z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이웃하는 전극판의 중심위치에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인 접지측 전극판을 위치시키도록,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정확한 위치에 고정시키면서 균일한 전계도 발생시킬 수 있어,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부의 바깥측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걸림턱부 누름용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집진부 고압전극을 하부 프레임에 고정하고 있는 걸림턱부가 바깥쪽으로 열리는 것을,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설치되어 있는 리브가 방지하므로, 집진부 고압전극이 탈락하는 것을 완전히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상기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는, 고압전극 및 저압전극을 포함하는 집진부와 대향전극 및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하전부를 가지며,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사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107Ωcm 차수 이하인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성에서는, 전극 재료에 수지를 사용하고 있으므로, 금속제 전극에서 발생하는 스파크나 방전음을 효과적으로 억제하고, 성형가공에 있어서의 설계 자유도가 증가하여 임의의 형상의 전극을 만들 수 있으며, 또한 전극에 난연소성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107Ωcm 차수 이하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내므로 높은 집진효율을 실현할 수 있다.
여기서, 또한,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107Ωcm 차수 이하의 체적 부피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이면, 높은 집진효율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하전부의 대향전극과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 구성의 간이성을 위해 바람직하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전부의 대향전극과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고,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저압전극 또는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에 도전처리를 한 재료로 형성되어도, 확실하게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의 저압전극 또는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고, 그 표면에 도전처리를 한 것이라도, 확실하게 집진효율을 높일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고, 도전처리가 도금처리인 것도 바람직하다. 또한, 도금처리는 그 최외층을 크롬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가 입수 등의 간편성이나 물성의 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합성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술한 전기집진장치는, 하전부의 방전전극에 의해 공기중의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고, 또한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집진부의 저압전극에 의해 발생된 전계로 통과시킴으로써, 전기적 흡인력으로 미립자를 포집하는 것으로, 다시 말하면 공기청정 기능을 가진 것이다.
또한, 상술한 공기청정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는, 모두 하전부는 방전전극 및 대향전극을 구비하고, 집진부는 고압전극 및 저압전극을 구비하는데,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러한 하전부의 방전전극과 대향전극 사이,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저압전극 사이에는 소정의 수 kV 정도의 전위차가 부여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전부의 대향전극 또는 집진부의 저압전극은 접지전위로 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이하,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 및 전기집진장치에 대해, 각 실시의 형태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 형태 1)
도 5a 및 도 5b에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 형태의 공기청정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이 공기청정장치(1)는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혹은 에어컨의 내부 등에 장착되어 공기를 청정하는 것으로, 집진기능을 가지는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이 공기청정장치(1)는 단독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케이스에 취부하기 위한, 또는 에어컨의 내부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에어컨에 취부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3)을 가지고 있다. 이 메인 프레임(3)은, 그 좌단부를 케이스 등에 끼워 넣음과 동시에, 우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브라켓(5, 7)을 볼트로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메인 프레임(3)은 사각형의 틀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중앙에 설치되어 있는 칸막이(9)에 의해 좌우에 동일한 형상의 공간(11)을 가지고 있다. 여기서, 그 우측단부에는 전력공급장치(13)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칸막이(9)에는, 후술되는 집진부 저압전극(15)에 접하는 접지전극 접점(17)을 가지고 있으며, 리드선(19)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또한, 메인프레임(3)의 우측단부에는, 후술되는 집진부 고압전극(21)과 접하는 집진부 접점(23)과, 후술되는 하전부 방전전극(25)과 접하는 하전부 접점(27)을 가지고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따라, 전력공급장치(13)로부터 하전부 접점(27)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은 하전부 방전전극(25)에 의한 코로나 방전에 의해 공기중의 미립자를 양으로 하전하고, 집진부 저압전극(15)과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사이에 발생되어 있는 전계 내에 들어오는 양으로 하전된 미립자를, 접지전위의 집진부 저압전극(15)에 의해 포집하는 것이다.
이하, 보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공기청정장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3) 상에는, 최하측(도 5b의 최우측)에 하부 프레임(29)이 마련되어 있고, 이 하부 프레임(29) 상에, 하측에서 상측 방향으로 차례대로, 한쌍의 집진부 고압전극(21), 집진부 저압전극(15), 중간 프레임(31), 하전부 방전전극(25) 및 상부 프레임(33)이 설치되어 있다.
이 하부 프레임(29)은, 사각형의 틀형상을 이루고 있으며, 메인 프레임(3)의 칸막이(9)에 대응하여 중앙에 설치된 중앙부재(35)에 의해 좌우로 분할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부재(35)의 좌우양측에 설치되어 있는 공간(37)도, 메인프레임(3)의 공간(11)과 대응하도록 되어 있고, 좌우 공간(37)의 전후 및 좌우에는, 각각 집진부 고압전극(21)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부(39F, 39B) 및 집진부 저압전극(15)을 고정하기 위한 걸림턱부(39L, 39R)가 한쌍씩 설치되어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9)의 중앙부 하측(도 6a의 중앙부 하측)에 손잡이(41)를 가지고 있으며, 메인프레임(3)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여, 집진부 고압전극(2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집진부 고압전극(21)은 좌우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43)를 전후에 가지며, 이 전후의 연결부재(43)의 사이에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며 설치되어 있는 다수의 전극판(21P)을 가지고 있고, 이들은 반절연성 수지로 일체성형에 의해 만들어져 있다. 따라서, 용이하고, 그리고 정확하게 전극판(21P)의 간격을 확보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부재(43)는, 도 8b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하 양측에 챙(45)을 돌출시킨 모자형의 단면형상을 이루고 있고, 소정 간격으로 걸림 돌기(47)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도 9a∼도 9c를 참조하면, 좌우의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연결부재(43)에는, 단면 ″ㄷ″자 형상을 한 급전부재(49)가 전 길이에 걸쳐 취부되고, 좌우의 집진부 고압전극(21)이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이 급전부재(49)는, 메인프레임(3)에 설치되어 있는 집진부 접점(23)으로부터 급전되고 있다.
여기서, 도 10a∼도10h를 참조하여, 급전부재(49)의 단면형상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이 급전부재(49)는, 연결부재(43)를 통해 집진부 고압전극(21)에 균일한 전위를 부여하기 위한 것으로, 그 형상으로는 도 10a∼도 10h에 도시된 바와 같은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도 10a 및 도 10b에는, 일면접촉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고, 급전부재(51)의 단면형상은 하나의 평판이다. 이러한 경우, 단순한 평면 형상이기때문에 급전부재(51)가 연결부재(4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도 10a의 화살표방향)으로 휘기 쉽고, 휨으로써 비접점 부분이 생겨 접촉확률이 저하되므로, 균일한 전위를 부여하는 확실성이 결여된다. 따라서, 평가는 ×이다.
다음, 도 10c 및 도 10d에는, 2면접촉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급전부재(53)의 단면은 앵글형상이다. 이러한 경우, 평면형상인 경우보다는 잘 변형되지 않으나, 제품 정밀도의 격차에 의해 급전부재(53)가 연결부재(4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도 10c의 화살표방향)으로 엇갈림 으로써, 비접점 부분이 생겨 접촉확률이 저하하므로, 균일한 전위를 부여하는 충분한 확실성을 확보하기 어렵다. 따라서, 평가는 △이다.
이어서, 도 10e 및 도 10f에는, 2면접촉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급전부재(55)의 단면은 2개의 평판형상으로, 연결부재(43)의 상하면에서 접촉한다. 이러한 경우, 급전부재(55)가 연결부재(4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도 10e의 화살표방향)으로 다소 어긋나더라도 2면접촉은 유지되나, 대체로 제품 정밀도를 얻기 어렵고, 장착하기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평가는 ×이다.
이어서, 도 10g 및 도 10h에는, 3면접촉인 경우가 도시되어 있으며, 급전부재(49)의 단면은 ″ㄷ″자 형상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연결부재(43)의 전면 및 상하면에 접촉되어 있으므로, 급전부재(49)가 연결부재(43)로부터 이탈되는 방향(도 10g의 화살표방향)으로 어긋나더라도 2면접촉은 유지되고, 급전효율의 저하는 적다. 또한, ″ㄷ″자 형상이므로 제품 정밀도가 좋고, 강도적으로 뛰어나 장착도 용이하다. 따라서, 평가는 ◎이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급전부재(49)의 단면형상을 ″ㄷ″자 형상으로 하였다.
또한, 급전부재(49)를 ″ㄷ″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전부재(49)와 집진부 저압전극(15)이 가까워져 스파크를 일으킬 우려가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연결부재(43)를 모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스파크를 방지하고 있다 (도 8a 및 도 8b 참조). 구체적으로는, 모자형의 챙(45) 부분이 없는 경우에는, 6.5KV에서 스파크가 일어났던 것이, 챙(45)을 붙여 모자형으로 함으로써, 스파크 전압이 7. 7 KV까지 상승하는 실험결과를 얻었다.
이에 따라, 급전부재(49)와 집진부 저압전극(15)의 간격을 확대하지 않고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불쾌한 딱딱거리는 소리를 방지함과 동시에, 집진부 저압전극(15)의 집진면적을 넓게 취하면서도, 공기청정장치(1)의 전체 크기를 소형화할 수가 있다.
그리고, 다시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급전부재(49)는 좌우 한쌍의 집진부 고압전극(21)을 연결하는 것이므로, 길이 방향(도 9a 및 도 9b의 좌우방향)으로 대칭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도 9c를 참조하면, 좌측 절반 또는 우측 절반에 각각 좌우의 집진부 고압전극(21)의 걸림 돌기(47)을 걸기 위한 걸림구멍(57)이 펀칭에 의해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집진부 고압전극(21)과 급전부재(49)의 위치관계는, 용이하게 고정밀도를 가지고 위치시킬 수 있다.
다음, 도 11에는 집진부 저압전극(15)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 집진부 저압전극(15)은, 집진부 접지전극(59)(본질적으로 집진부의 저압전극에 해당한다)과 하전부 대향전극(61)을 수지에 의해, 서로 등을 맞대도록 일체적으로 성형하고, 표면에 도금처리를 하여 도전체로 되어 있다. 또한, 도전체 대신 도전성 수지(흡습성이 있는 도전성 수지를 포함한다)나 도체 즉 금속성의 전극을 사용하여도 좋다. 이에 따라, 집진부 접지전극(59)의 전극판(59P) 및 하전부 대향전극(61)의 전극판(61P) 사이를, 용이하게 고정밀도로, 소정간격으로 유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좌우 양단부에는, 이 집진부 저압전극(15)을 하부 프레임(29)에 고정하기 위한 턱 끼움부재(63)가 설치된다. 또, 집진부 저압전극(15)은, 메인프레임(3)의 접지전극 접점(17)을 통해 접지되어 있다.
이하, 집진부 고압전극(21)을 하부 프레임(29)에 취부하는 구조 및 집진부 저압전극(15)을 하부 프레임(29)에 취부하는 구조에 대해 각각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9)는 접지 전위이므로, 집진부 고압전극(21)이, 직접 하부 프레임(29)에 접촉되면,도 12b의 등가회로 상태로 되며, 전압이 강하하여 집진효율이 저하되어 버린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도 12c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단면 ″ㄷ″자 형상의 급전부재(49)를 통해, 집진부 고압전극(21)을 하부 프레임(29)에 장착하고 있다. 이에 따라 도 12b의 등가회로의 상태가 되고, 집진부 고압전극(21)은 급전부재(49)에 의해 좌우방향의 전 길이에 걸쳐 균일하게 급전된다.
이러한 구성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걸림턱부(39F, 39B)에 아래와 같은 구성을 채용하였다.
도 13a∼도 13e를 참조하면, 집진부 고압전극(21)을 장착하는 하부 프레임(29)의 공간(37)의 전후 양측에는, 각각 한쌍의 걸림턱부(39F, 39B)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더불어 도 14를 참조하면, 이 걸리턱부(39F, 39B)에는, 공간(37)의 내측으로 돌출한 돌출부(65)를 가지며, 이 돌출부(65)의 중앙에는, 좌우의 슬릿(67)에 의해 전후방향으로 다소 요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69)과, 돌출부(65)의 내측에 한쌍의 지지대(71)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돌출부(65)는, 급전부재(49)의 측면을 통해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연결부재(43)의 측면을 눌러, 집진부 고압전극(21)이 전후방향(Y축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에 따라, 집진부 고압전극(21)은 하부 프레임(29)의 공간(37)에서 Y축방향으로 소정의 위치에 위치된다.
또한, 걸림턱(69)은, 급전부재(49)의 표면을 통해 연결부재(43)의 표면을 눌러, 집진부 고압전극(21)이 하부 프레임(29)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이 걸림턱(69)은, 도 1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접 집진부 고압전극(21)에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집진부 고압전극(21)은 하부 프레임(29)에 확실히 장착된다.
또한, 도 1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9)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69)의 바깥측 위치에 대응하는 상부 프레임(33)의 내측 위치에는, 이 걸림턱(69)을 안쪽으로 누르는 리브(81)가 설치되어 있다. 이에 따라 걸림턱(69)이 벌려져 걸려 있던 집진부 고압전극(21)로부터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리고, 지지대(71)는 하부 프레임(29)의 바닥면(73)으로부터 한층 높아지며, 급전부재(49)를 통해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연결부재(43)를 지지한다. 즉, 급전부재(49) 및 연결부재(43)는, 하부 프레임(29)으로부터 뜬 상태로 되어있다. 이에 따라, 집진부(75)를 세정하였을 때의 소위 배수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좌우방향의 위치결정은, 급전부재(49)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도 9a∼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부 고압전극(21)의 걸림돌기(47)를 급전부재(49)의 걸림구멍(57)에 삽입하여, 집진부 고압전극(21)과 급전부재(49)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도 13a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프레임(29)의 우(각 도면에 있어서 화살표X로 도시된 방향에서 오른쪽)측 단부의 상하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위치결정 돌기(77)에 이 급전부재(49)의 우측 단면을 접촉시킴으로써,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위치를 결정한다.
여기서, 각 급전부재(49)의 좌측 단부는 스프링(79)에 의해, 위치 결정 돌기(77)의 방향으로 항상 가압되어 있고, 각 급전부재(49)의 우측 단면을 위치 결정 돌기(77)에 확실하게 접촉시키고 있다.
동시에, 도 13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79)은, 전후의 급전부재(49) 사이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점퍼 선의 역할도 하고 있으며, 집진부 고압전극(21)의 모든 연결부재(43)를 덮도록 급전부재(49)가 접하고 있으므로, 균일하게 급전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급전부재(49)는, 하부 프레임(29)의 내측의 길이보다 약간 짧게 하여, 급전부재(49)의 취부가 용이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도 13a의 좌측 절반에 있어서는, 이상과 같이 하여 집진부 고압전극(21)만을 하부 프레임(29)에 장착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도 13c에서는, 그 단면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이상과 같이 걸림턱(39F, 39B)을 구성하므로, 집진부 고압전극(21)은 접지 전위인 하부 프레임(29)에 직접 접촉하지 않고 소정위치에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전면에 걸쳐 균일하게 급전할 수 있으므로, 균일한 전계를 발생시켜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다음, 집진부 저압전극(15)을 하부 프레임(29)에 취부하는 구조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 집진부 저압전극(15)은, 집진부 접지전극(59)의 각 전극판(59P)을,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전극판(21P)들 사이의 중앙에 위치하도록 삽입하여 결합됨으로써 집진부(75)를 형성하고 있다.
여기서, 집진부 저압전극(15)은 접지 전위이므로, 직접 하부 프레임(29)에 고정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진부 저압전극(15)의 하부 프레임(29)으로의 취부부는, 아래와 같은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3a∼도 13e를 참조하면, 하부 프레임(29)의 각 공간(37)에 있어서의 좌우 양단면에는, 걸림턱부(39L, 39R)가 설치되어 있다. 도 16도 아울러 참조하면, 이 걸림턱부(39L, 39R)에서는, 집진부 저압전극(15)을 X축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X돌기(83), Y축방향으로 위치시키기 위한 노치 측면(85), Z축 방향 윗쪽으로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걸림턱(87), 아래쪽으로부터 지지하는 노치 상면(89)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 11도 아울러 참조하면, 집진부 저압전극(15)의 양단면에 설치되어 있는 턱 끼움부재(63)는 걸림턱(87)을 윗쪽으로 관통시키는 관통공(91), 노치 측면(85)에 접촉하여 Y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Y면(93), 노치 상면(89)에 접촉하여 Z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바닥면(95), X돌기(83)에 접촉하여 X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하는 X면(97)을 가지고 있다.
또한, 도 16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노치 상면(89)의 중앙부에, 윗쪽으로 돌출하는 돌기(99)가 마련되어 있고, 이 돌기(99)는 턱 끼움부재(63)의 중앙에 마련되어 있는 관통공(101)(도 11참조)에 끼워져, 하부 프레임(29) 전체가 Z축방향으로 휜 경우 집진부 저압전극(15)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걸림턱부(39L, 39R)를 구성하므로, 집진부 저압전극(15)은 하부 프레임(29)의 소정위치에 확실하게 지지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집진부 고압전극(21) 및 집진부 저압전극(15)을, 하부 프레임(29)에 장착한 상태가, 도 13a의 우측 절반에 도시되어 있다. 또한, 집진부 저압전극(15)은, 도 1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지 스프링(103)에 의해, 메인 프레임(3)에 설치되어 있는 접지전극 접점(17)에 접속되어, 접지 전위로 되어 있다.
여기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하여, 집진부 고압전극(21)과 집진부 저압전극(15)의 소위 치수적인 결합에 기인하는 피치의 엇갈림 Δ(mm)이 집진효율 η(%)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여기서는, 처리풍량을 1.3mm2/분으로 하고,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전극판(21P)과 집진부 접지전극(59)의 전극판(59P)의 간격을 1.8mm로 설정한 경우에 대해 도시하고 있다. 이에 따라 피치 엇갈림이 약 0.4mm를 초과하면 집진효율이 80% 이하로 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진부 접지전극(59)의 전극판(59P)과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전극판(21P)를 조립할 때에 있어서의 X축 방향의 엇갈림을 약 0.4mm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집진부 고압전극(21)과 집진부 저압전극(15)은 다른 전위이고, 본래는 한쪽을 기준으로 하여 다른 한쪽의 위치를 정할 수가 없으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집진부 고압전극(21)과 집진부 저압전극(15)을 각각 개별적으로 하부 프레임(29)을 기준으로 하여 위치결정을 하고 있다. 이는, 위치결정에 개재되는 부품수를 최소한으로 하여 효과적으로 위치결정을 하고 있는 것을 의미하며, 상술한 그 상세한 구성과 함께, X축 방향의 엇갈림을 최소한 억제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리고, 다시 도 7을 참조하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술한 바와 같이 하여 하부 프레임(29)에 집진부 고압전극(21) 및 집진부 저압전극(15)을 취부한 후, 중간 프레임(31)을 취부하고, 다시 하전부 방전전극(25)을 장착한 상부 프레임(33)이 취부되게 된다.
또한, 도 18a 및 1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와이어 가드인 상부 프레임(33)을 따라 하전부 방전전극(25)이 설치되어 있고, 이들 하전부 방전전극(25)은 하전부 대향전극(61)의 전극판(31P) 사이에 연장되는 것이다. 여기서, 하전부 방전전극(25)의 도 18a에 있어서의 우측 단부에는, 도 1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3)에 설치되어 있는 하전부 접점(27)에 접촉하는 스프링 후크(10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하전부 방전전극(25)의 양단부에는 스프링(107)에 의해 일정한 장력이 가해지고 있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공기청정장치에 있어서는,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전 길이에 걸쳐 급전부재(49)를 설치하고, 이 급전부재(49)를 통해 접지전위인 하부 프레임(29)의 걸림턱부(39F, 39B)로 지지하므로, 집진부 고압전극(21)에 있어서의 전압강하를 방지하고, 균일한 전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리고, 급전부재(49)의 단면을 ″ㄷ″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전부재(49) 자체의 강성을 높임과 동시에, 집진부 고압전극(21)을 취부하는 걸림구멍(57)을 펀칭에 의해 설치하므로, 급전부재(49)와 집전부 고압전극(21)의 위치관계를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면을 ″ㄷ″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연결부재(43)와 3면으로 접촉하게 되므로, 급전확률이 향상되고, 집진효율을 개선할 수 있다.
또한, 급전부재(49)를 취부하는 연결부재(43)의 단면을 모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고압인 급전부재(49)와 접지전위인 집진부 저압전극(15) 사이를 전기적으로 차단하므로, 간격을 넓히지 않고 스파크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불쾌한 딱딱거리는 음의 발생을 방지함과 동시에 공기청정장치(1)의 크기를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 고압전극(21) 및 집진부 저압전극(15)이 모두 수지에 의해 일체적으로 성형되어 있으므로, 전극판(21P, 59P, 61P)의 간격이나, 하부 프레임(29)에 대한 취부위치 등을 정확하게 설정할 수 있고, 집진부 고압전극(21)의 전극판(21P)과 집진부 저압전극(59)의 전극판(59P)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균일한 전계를 발생시켜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하부 프레임(29)에 대한 집진부(75)의 위치관계를 하부 프레임(29)을 기준으로 하여 설정하므로, 집진부 고압전극(21)과 걸림턱부(39F, 39B)의 결합, 집진부 저압전극(21) 과 걸림턱부(39L, 39R)의 결합 등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에 따른 공기청정장치는, 상술한 실시의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적당히 변경함으로써 다른 태양으로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설명에 있어서, 전후, 좌우, 상하 등의 방향성은 설명을 위해 정한 것으로, 사용 상태에 있어서의 방향성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어떠한 방향성으로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집진부 저압전극(15)을 구성하는 집진부 접지전극(59) 및 하전부 대향전극(61)은 접지전극으로서 설명하였으나, 물론 각각 집진부 고압전극(21) 사이, 하전부 방전전극(25) 사이에 수 kV 차수의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반드시 접지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실시 형태 2)
이하, 본 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 실시의 형태 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전기집진장치는, 실시형태 1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기본 구성을 가지는 공기청정장치의 정전적인 집진기능을 가지는 부분으로 특화한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와 하전부를 가지는 것이라면 적절히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집진부와 하전부를 가지는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사용하는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 집진부의 접지전극이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구성에 있어서,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집진부의 저압전극과 마찬가지로,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 이하인 것도 바람직하다.
우선,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형태의 전기집진장치는, 방전전극(113)과 그 대향전극(114)으로 이루어지는 하전부(111)와, 고압전극(116) 과 그 접지전극(115)으로 이루어지는 집진부(112)를 가지고 있다. 도시한 바와 같이, 이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는, 대향전극(114)과 접지전극(11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들 대향전극(114)과 접지전극(115)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고,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교차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은, 대향전극(114)과 접지전극(115)을 이와 같이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집진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하전 입자의 포집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직교·일체화되어 함께 사용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므로, 박판 형상으로 대향·접지전극 각각을 형성할 경우에는, 대향전극(114) 및 접지전극(115)의 굽어짐·휨 등을 상호 보강하는 형태로 되는 것을 고려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집진부(112)의 저압전극을 접지전극(115)으로서 설명하고, 하전부(111)의 대향전극(114)도 접지전극으로 설명하였으나, 물론 각각 고압전극(116)간, 방전전극간에 수kV 차수의 전위차를 발생시킬 수 있으면 충분하며, 반드시 접지되어 있을 필요는 없다.
그리고, 이상과 같은 구성요소에 의해 전기집진장치로서 조립될 때는, 대향전극(114)의 복수개의 판형상 돌출부분은 각 방전전극(113) 사이에 삽입되도록 위치하여 하전부(111)가 되고, 접지전극(115)의 복수개의 판형상 돌출부분은 고압전극(116)의 복수의 개구부에 균등한 간격으로 삽입되어, 집진부(112)가 된다.
또한, 도 19에서는, 각 전위차 직육면체 형상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그 형상은 임의적인 것으로, 예컨대 그 도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하여도 좋다. 또한, 실시형태 1에서 적용한 각 전극의 형상을 적용할 수 있음도 물론이다.
여기서, 집진부(112)의 고압전극(116)에 사용할 수 있는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로는, 흡습성을 가지며, 사용 환경의 습도 및 온도에서 고전압에 대해 108∼1013Ωcm, 바람직하기로는 1010∼1013Ωcm 차수의 범위에 있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로는, 수지자체에 흡습성이 있고, 이러한 체적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것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컨대 열가소성 수지와 같은 기재수지에 흡수성 수지를 첨가하여 흡습성을 부여한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수지는, 수지중에 배합된 흡수성 수지에 의해 흡수된 수분에 의해 반절연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흡수성 수지의 배합량을 조정함으로써 수지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적어도 108∼1013Ωcm 차수의 범위가 되도록 조정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흡수성 수지의 배합량은, 수지의 종류에 따라 다르나, 5∼50 중량%이다.
기재수지로는, 예컨대 아크릴 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틸렌)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가 있고, 특히, ABS 수지를 사용하면 성형성, 난연소성, 내열성, 내충격성이 뛰어난 것을 얻을 수 있고, 또한 제조단가 측면에서도 저렴하다.
또한, 수지 자체가 흡습성을 가지고 있는 기재수지로는 페놀수지, 멜라민수지, 요소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열경화성 수지 중에서도 페놀수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원하는 저항값을 얻기 쉬워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혼합하는 흡수성 수지로는, 아크릴산염계, 폴리 비닐 알콜계, 폴리아미드계 등이 있으며, 흡수력, 저항값의 지속성 및 기재수지와의 혼합성 등을 고려하여 선택된다. 또한, 이와 같은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로는, 예컨대 엑셀로이(상품명, 테크노폴리머사 제품) 등과 같은 시판품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는, 예컨대 ABS수지에 흡수성 수지를 첨가한 수지인 경우에는 충분히 건조한 수지 플레이트(두께 2mm)를, 온도 70℃, 습도 65%의 항온항습조 내에 48시간 둔 후의 흡습량은, 건조수지에 대해 0.7∼1.5 중량%이고, 이후 통상의 분위기로 복귀하여 일정시간(48시간 이상) 방치하였을 때의 체적 고유 저항값은 1012∼1013Ωcm 차수를 나타내었다. 또한, 페놀 수지인 경우에는, 체적 고유 저항값은 1012∼1013Ωcm 차수였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에서의 집진부(112)의 접지전극(115), 바람직하기로는, 또한 하전부(111)의 대향전극(114)은, 107Ωcm 차수 이하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인데, 그러한 것으로는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 이하인 어떠한 재료로 이루어진 것, 예컨대 금속제, 합성수지제 등을 들 수 있으며,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재료에 도전처리를 실시하여, 그 체적 고유 저항값을 107Ωcm 차수 이하로 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그 표면에 도전처리를 하여, 그 도전처리부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107Ωcm 차수 이하로 한 것으로 이루어진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재료로는, 성형성이나 비중의 관점, 또는 전기집진장치로서 조립하였을 때 서로 각 전극판을 삽입하는 형상으로 배치되고, 상대되는 반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고압전극과 성형시의 성형 기울기를 동일하게 하여 균일한 전계를 용이하게 얻을 수 있도록 한다는 관점에서 볼 때 합성수지가 바람직하며, 예컨대, 상기 집진부의 고압 전극에 사용할 수 있는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Ωcm∼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제조할 때 사용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수지, 더욱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수지와 흡수성 수지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는, 예컨대 ABS 수지에 흡수성 수지를 첨가한 수지인 경우에는, 충분히 건조한 수지 플레이트(두께 2mm)를, 온도 70℃, 습도 65%의 항온항습조 내에 48시간 둔 후의 흡습량은, 건조수지에 대하여 0.5∼1.5 중량%이고, 통상의 분위기에서 사용하는 집진장치인 경우에는, 1.0∼1.3중량%, 특히 습도가 높은 분위기하에서 사용하는 경우 0.5∼1.0 중량% 정도의 흡습량을 가지는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를 통상의 분위기하에서 일정시간(48시간 이상) 방치하였을 때의 체적 고유 저항값은 1010Ωcm∼1013Ωcm의 차수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재료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는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에 실시하는 도전처리로는, 이러한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에 도전재를 배합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여기서, 배합하는 도전재로는, 예컨대, 카본파이버나 카본블랙 등과 같은 카본계 물질, 반도전성 또는 도전성 휘스커(예컨대, 티탄산 칼륨 등), 스테인레스강 섬유, 동분, 은분 등 금속계 물질과 같이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Ωcm 차수 이하의 도전성 물질을 들 수 있다. 물론,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이들 물질 중 카본계 물질이나 금속계 물질이 바람직하며, 특히 섬유상의 형태를 가지는 카본파이버, 스테인레스 강섬유 등이 보다 적은 양으로 원하는 저항값을 달성할 수 있고, 바람직한 결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와 도전재를 배합한 수지를 얻기 위해서는, 예컨대, 믹싱 롤, 밴버리 믹서, 연속 믹서 등을 사용한 통상의 방법에 의해,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를 용융한 상태에서 도전재와 혼련함으로써, 또, 기재수지, 흡수성 수지 및 도전재를 용융 혼련함으로써 조제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도전재의 배합량은 얻어지는 수지에 대해 10 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배합량이 많아지면 내충격성이 저하되는 경향이 있다.
이러한 배합에 의해 얻어지는 수지의 흡습량은, 상술한 측정법으로 측정하였을 경우, 일반적으로 0.4∼1.5 중량%이고, 또한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 이하인 값을 나타낸다.
또한,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는 기재수지의 표면에 실시하는 도전처리로는, 도금, 도전성 도료의 도포, 금속 증착 등에 의한 처리를 들 수 있으나, 특히 도금에 의한 처리가 바람직하다. 도금은, 전기 도금이어도 좋으며, 무전해 도금이어도 무방하다. 도금하는 금속으로는, 구리, 크롬, 코발트, 니켈, 은, 금, 백금 등이 일반적이고, 도금층은 이종의 금속층을 적층한 구성으로 하여도 좋으나, 내오론성의 측면에서 볼 때 최외층은 크롬층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금층의 두께는, 내구성의 측면에서 볼 때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나, 통상은 5㎛m 이상, 특히 10∼50㎛m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최외층을 크롬층으로 할 경우 크롬층은, 0.1㎛ 이상의 두께이면 된다. 이렇게 하여 그 표면이 도전처리된 전극은, 107Ωcm 차수 이하인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낸다.
본 실시형태의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의 집진부(112)의 접지전극(115) 및 하전부(111)의 대향전극(114), 나아가서는, 집진부(112)의 고압전극(116)에 난연소성을 부여하는 것이 좋으며, 이러한 전극에 난연소성을 부여하는 방법으로는, 전극을 형성하는 재료, 특히 합성수지에 난연소제를 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난연소제로는, 수지의 종류에 따라 선택할 필요가 있으므로 일률적으로 정할 수 없으나, 예컨대 수지로서, 기재수지로 이용할 수 있는 ABS 수지를 이용할 경우, 테트라비스페놀A(TBA), 2, 2-비스(4-히드록시-3, 5-디브로모페닐)프로판 등과 같은 할로겐계 함유 유기 난연소제를 들 수 있으며, 이들에 3산화 안티몬 등과 같은 무기계 난연소제를 병용할 수 있다. 난연소제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 수지 100 중량당 25 중량 이하이다. 물론, 수지와 난연소제의 배합은, 흡습성을 가지는 수지와 도전재를 배합할 때 난연소제를 동시에 사용하여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집진부(112)의 접지전극(115) 및 하전부(111)의 대향전극(114)에 열가소성 수지로 전극을 형성한 다음, 표면에 도전처리를 실시한 전극에 난연소성을 부여할 때, 형성전의 열가소성 수지재료에 상술한 내용과 동일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성형후 도금층으로 금속 피복처리를 한 경우에는, 도금층 자체가 난연소성의 향상에 공헌하는 파급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전기집진장치에 있어서의 방전전극(113)은,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 형상이어도 좋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침 형상이어도 무방하다. 선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예컨대 텅스턴선, 피아노선, 니크롬선, 스테인레스강 선 등과 같은 금속선에 금, 백금 등과 같은 귀금속을 도금 등, 표면처리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금속선은, 선의 직경이 통상 50㎛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50㎛∼200㎛ 정도이다. 또한, 텅스턴 등을 심선으로 하여 니켈을 압접 또는 도금한 다음, 신선(wire drawing) 가공 등에 의해 밀착시킨 클래드 선을 사용할 수도 있다. 침 형상으로 할 경우에는, 상기 금속재료로 평판을 가공하여, 침 형상의 돌기부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이하,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전기집진장치의 대향전극 및 접지전극의 구성이 집진효율에 미치는 영향을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먼저, ABS 수지에 난연소제로서 테트라비스페놀(15 중량%)을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로부터, 도 19에 도시된 대향전극(114)과 접지전극(115)이 수직방향으로 교차된 전극을 사출성형법에 의해 일체성형하였다.
다음, 이렇게 일체성형한 전극의 표면에 구리도금, 니켈도금, 크롬도금을 차례로 실시하여, 두께 35㎛(크롬도금층 0.3㎛)인 도금층을 형성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을 사용하여, 집진부(112)의 안길이 9mm, 전기집진장치 전체의 안길이 32mm인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전기집진장치를 제조하였다.
또한, 도 19에 있어서의 고압전극(116)은, 흡수성을 가지는 수지(체적 고유 저항값이 2×1010Ωcm ; 상술한 시험법에 의함)을 사용하여 제작하였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장치를 부호 118에 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시험장치의 측정물 취부부에 취부하였다. 이러한 시험장치에는, 입자지름이 0.3㎛인 DOP(디옥틸프탈레이트) 표준입자를 P방향으로부터 공급하고, 피측정 집진장치(118)의 전후에는 이들 전후의 DOP 입자수를 측정하는 입자계수기(121 및 112)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여기서, 집진장치(118)의 방전부의 인가전류를 250㎂, 집진부의 인가전압을 4.2KV, 화살표 A에 의해 도시된 통과풍속을 1m/초로 하여 시험장치를 가동하고, 집진장치(118)의 집진효율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시험을 3회에 걸쳐 실시한 평균 집진효율(η)은 64.4%였다.
집진효율(η)은 다음의 수학식으로 구해진다.
η=(입자계수기(121)의 DOP 입자수-입자계수기(122)의 DOP입자수)× 100/(입자계수기(121)의 DOP 입자수)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는, ABS수지에 흡수성 수지를 배합한 흡수성을 가지는 수지에, 도전재로서 카본파이버(6중량%), 난연소제로서 테트라비스페놀(15중량%)을 배합한 수지조성물을 조제하였다. 이러한 조성물의 체적 고유 저항값은 1.9×106Ωcm(ASTM D257 준거 ; 온도 20℃, 상대습도 50%)였다.
이어서, 상기 수지조성물로부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대향전극(114) 및 접지전극(115)로 이루어지는 전극을 사출성형법에 의해 일체성형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전극을 도금처리하지 않고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집진장치를 제작하였다.
이러한 집진장치의 집진효율을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측정하였더니 51.5%였다.
이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결과로부터,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사용될 수 있는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기재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한 대향전극 및 접지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에 도금처리한 전극을 사용한 경우가, 흡수성을 가지는 수지에 도전재를 배합한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형성한 대향전극 및 접지전극으로 구성되는 전극을 이용한 경우에 비해 보다 높은 집진효율을 나타내며, 전자가 보다 바람직한 실시예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전기집진장치는, 전극재료에 수지를 사용하므로, 금속제 전극에서 발생되는 스파크, 방전음을 억제하고, 성형가공에 의해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여 임의의 형상의 전극을 만들 수 있다.
그리고, 전극성형에 있어서 세부적인 성형조건의 관리·조정없이 전극을 일체성형할 수 있고, 난연소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높은 집진효율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집진부와 하전부를 가지는 전기집진장치의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사용하였을 경우, 성형된 전극의 표면저항값이 균일하지 않아도,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전극을 형성하여도, 또는 체적 고유 저항값이 높은, 일반적으로 절연성이라 할 수 있는 수지재료를 사용하여 전극을 형성하여도, 뛰어난 집진효율과 난연소성을 실현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청정장치에 의하면, 집진부 고압전극의 전 길이에 걸쳐 급전부재를 설치하고 이 급전부재를 통해 하부 프레임의 걸림턱부로 지지함으로써, 집진부 고압전극의 전압강하를 방지하고 균일한 전계를 발생할 수 있어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급전부재의 단면을 ″ㄷ″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3면 접촉에 의해 급전확률이 향상되고, 급전부재를 취부하는 연결부재의 단면을 모자 형상으로 함으로써 급전부재와 집진부 저압전극을 전기적으로 차단하여 스파크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발명의 전기집진장치에 의하면, 전극을 수지를 사용하여 일체성형함으로써 급속재 전극에 비해 스파크를 억제할 수 있고, 성형의 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난연소성과 집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16)

  1. 하전부의 방전전극에 의해 공기중의 미립자에 전하를 부여하고,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집진부의 저압전극에 의해 발생된 전계로 통과시킴으로써, 전기적흡인력으로 상기 미립자를 포집하는 공기청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수지를 이용한 일체성형에 의해 한쌍의 연결부재 사이에 일정한 간격으로 전극판을 설치하여 형성하고, 상기 연결부재의 실질적으로 전 길이에 걸쳐 급전부재를 설치하여, 상기 급전부재를 통해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급전함과 동시에,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을 하부 프레임에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의 단면이 모자형상이고, 상기 급전부재가 상기 연결부재에 3면으로 접촉되는 단면 ″ㄷ″자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한 X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상기 급전부재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한 Y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Z축방향의 위치 결정이,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5. 제 1항 내지 제 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의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한 X축 방향의 위치 결정, Y축 방향의 위치 결정 및 Z축 방향의 위치 결정이, 각각 상기 하부 프레임에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이웃하는 전극판의 중심위치에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인 접지측 전극판을 위치시키도록,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 및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각각 개별적으로 상기 하부 프레임에 대해 X축 방향으로 위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의 탈락을 방지하도록, 상기 하부 프레임에 설치되어 있는 걸림턱부의 바깥측 위치에 해당하는 상부 프레임의 내측에 상기 걸림턱부 누름용 리브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청정장치.
  8. 고압전극 및 저압전극을 포함하는 집진부와 대향전극 및 방전전극을 포함하는 하전부를 가지며, 상기 집진부의 고압전극에 체적 고유 저항값이 1010∼1013Ωcm인 반절연성 수지를 이용하는 상기 집진장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107Ωcm 차수 이하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107Ωcm 차수 이하의 체적 고유 저항값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0. 제 8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의 대향전극과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1. 제 8항 내지 제 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부의 대향전극과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이 수직방향으로 교차하며, 일체가 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2.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 또는 상기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에 도전처리를 한 재료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3. 제 8항 내지 제 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부의 저압전극 또는 상기 하전부의 대향전극이,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로 형성되고, 또한 그 표면에 도전처리를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처리가 도금처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처리는 그 최외층을 크롬층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16. 제 12항 내지 제 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107Ωcm 차수를 초과하는 체적 고유 저항값을 가지는 재료가 합성 수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집진장치.
KR1019980049951A 1997-11-20 1998-11-20 전기집진장치 KR1002817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9916 1997-11-20
JP31991697A JPH11151452A (ja) 1997-11-20 1997-11-20 電気集塵装置
JP01168898A JP3688878B2 (ja) 1998-01-23 1998-01-23 空気清浄装置
JP10-011688 1998-0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5462A true KR19990045462A (ko) 1999-06-25
KR100281769B1 KR100281769B1 (ko) 2001-03-02

Family

ID=26347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951A KR100281769B1 (ko) 1997-11-20 1998-11-20 전기집진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0281769B1 (ko)
CN (1) CN1217953A (ko)
TW (1) TW442334B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145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20180120471A (ko) 2017-04-27 2018-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190119730A (ko) * 2018-04-13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US10464074B2 (en) 2015-10-3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200004458A (ko) 2020-01-03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102304362B1 (ko) * 2020-09-29 2021-09-24 주식회사 쎄이프인도어에어 공기청정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94807B2 (ja) * 1999-08-30 2009-07-15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空気清浄機
JP4823027B2 (ja) * 2006-06-14 2011-11-24 臼井国際産業株式会社 ディーゼルエンジン排気ガスの電気式処理方法およびその装置
EP1967276B1 (en) 2007-03-05 2019-05-08 General Electric Technology GmbH A method of estimating the dust load of an esp, and a method and a device of controlling the rapping of an esp
KR101610854B1 (ko) * 2008-12-11 2016-04-21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그 고전압 전극
TWI579052B (zh) * 2013-06-20 2017-04-21 Electrostatic dust collector and air cleaning equipment to prevent contamination of the electrode
CN104566692B (zh) * 2014-12-16 2018-04-27 广东顺德净研科技有限公司 中央空调的空气净化装置
CN104748267B (zh) * 2015-03-23 2017-09-22 广东美的制冷设备有限公司 集尘组件、空气净化装置及空调器
TWI548455B (zh) * 2015-11-13 2016-09-11 歐亞科技環保工程有限公司 靜電集塵器之電極板
KR102002127B1 (ko) 2017-09-08 2019-10-02 한국기계연구원 소형 공기정화기용 전기집진유닛과 이를 이용한 소형 공기정화기
KR102060141B1 (ko) * 2018-03-26 2019-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공지능에 기반한 창문형 집진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51145A (ko) * 2015-10-30 2017-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US10464074B2 (en) 2015-10-30 2019-11-05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ust collector and air conditioner including the same
KR20180120471A (ko) 2017-04-27 2018-11-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US10913074B2 (en) 2017-04-27 2021-02-09 Lg Electronics Inc. Electric dust collector
KR20190119730A (ko) * 2018-04-13 2019-10-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20200004458A (ko) 2020-01-03 202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전기집진장치
KR102304362B1 (ko) * 2020-09-29 2021-09-24 주식회사 쎄이프인도어에어 공기청정기
WO2022071724A1 (ko) * 2020-09-29 2022-04-07 주식회사 쎄이프인도어에어 공기청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42334B (en) 2001-06-23
KR100281769B1 (ko) 2001-03-02
CN1217953A (zh) 1999-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5462A (ko) 공기청정장치 및 전기집진장치
JP4960831B2 (ja) 電気集塵機
EP1993735B1 (en) Improved active field polarized media air cleaner
KR950004657B1 (ko) 전기 집진기
KR102636066B1 (ko) 전기집진용 대전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차량용 공기조화기
JP3729403B2 (ja) 樹脂電極及びそれを用いた静電式集塵装置
CN110732410B (zh) 电集尘用带电装置及包括其的车辆用空调机
US10933431B2 (e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3688878B2 (ja) 空気清浄装置
JP6871020B2 (ja) 電気集塵ユニット、および電気集塵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KR102035137B1 (ko) 전기집진장치
JP3597405B2 (ja) 空気清浄装置
JP4362001B2 (ja) 空気清浄装置
KR101860917B1 (ko) 전기집진장치
KR20180090563A (ko) 대전부를 포함하는 필터링 장치
JPH08227789A (ja) 樹脂電極
US20060150815A1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10913074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2558592B1 (ko) 전기 집진기
JP2011161355A (ja) 集塵装置
JP6871021B2 (ja) 電気集塵ユニット、および電気集塵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FI129270B (en) Electrostatic filter and holder for filter discs in an electrostatic filter
US20240085039A1 (en) Air conditioner and electrostatic precipitator
CN111569619A (zh) 电净化结构、电净化组件、空气净化装置
KR20200009891A (ko) 차량용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90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