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4623A -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 Google Patents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4623A
KR19990044623A KR1019980701876A KR19980701876A KR19990044623A KR 19990044623 A KR19990044623 A KR 19990044623A KR 1019980701876 A KR1019980701876 A KR 1019980701876A KR 19980701876 A KR19980701876 A KR 19980701876A KR 19990044623 A KR19990044623 A KR 199900446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plug
hole
electromagnet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8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게랄트 휴넨
Original Assignee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클라우스 포스, 게오르그 뮐러
Publication of KR199900446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462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21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 F15B13/0825Attachment or sealing of modular units to each other the modular elements being mounted on a common member, e.g. on a rai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07Manifolds
    • F15B13/0817Multiblock manifol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32Modular valves
    • F15B13/0835Cartridge type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46Electrical details
    • F15B13/0857Electrical connecting means, e.g. plugs, sock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3/00Details of servomotor systems ; Valves for servomotor systems
    • F15B13/02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 F15B13/06Fluid distribution or supply devices characterised by their adaptation to the control of servomotors for use with two or more servomotors
    • F15B13/08Assemblies of units, each for the control of a single servomotor only
    • F15B13/0803Modular units
    • F15B13/0875Channels for electrical components, e.g. for cables or sens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03Housing formed from a plurality of the same valve el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5109Converti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6493Multi-way valve unit
    • Y10T137/86574Supply and exhaust
    • Y10T137/86622Motor-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169Supply and exhaust
    • Y10T137/87217M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137/00Fluid handling
    • Y10T137/8593Systems
    • Y10T137/877With flow control means for branched passages
    • Y10T137/87885Sectional block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Valve Housings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 Multiple-Way Valves (AREA)

Abstract

압축공기 공급용 연결부(11), 배기구(12) 및 적어도 하나의 압축공기 소모기용 연결부를 포함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10)가 서술된다. 일체화된 밸브 조립체로서 여러개의 밸브를 쉽고 효율적으로 장착시킬 수 있는 모듈 시스템을 설계하기 위하여, 소모기 연결부(13)로 통하는 채널과,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 및 배기구(12)로 통하는 유입 및 배기채널과, 구동 자석을 갖는 상기 배기구(12)와 밸브 요소는, 압축 공기 공급용 연결부(11,13)와 소모기가 주 하우징(24)에서 분리될 수 있는 연결기 플레이트(25)에 위치될 때, 밸브 하우징(24)에 모두 집적되는 채널을 통해 흐름을 제어한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용 연결부(11)는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일측부(251)상에 있는 연결편(34)과, 플레이트(25)의 반대측부(252)상에 있으며 연결편과 연결되는 구멍(35)으로 구성되므로써, 두 개의 밸브가 서로에게 고정될 때 하나의 연결기 플레이트상의 연결편(34)이 다른 플레이트에 있는 구멍(35)안으로 삽입 연결될 수 있으며 플레이트의 두 개의 측부(251,252)상에 있는 연결수단(47,48)에 의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상기한 분배밸브(ditribution valve)들은 차동브레이크와 같은 공기 시스템 보조 소모기(sub-consumer)를 작동하거나 모터 브레이크를 작동하거나 기어 셋팅 제어 또는 버스에서 운전석으로부터 가방뚜껑을 작동하기 위한 실용차량에 이용된다. 상기 분배밸브들은 이 때 대부분 이른바 밸브블록으로 통합되는데, 이 블록은 압축공기 공급파이프에 연결되어 있다. 한 밸브블록내에 있는 밸브의 수는 스위칭되는 공기 시스템 보조 소모기의 수에 의해 결정된다.
상기 분배밸브들은 전자석으로 직접 구동되는 밸브뿐 아니라 전자석으로 예비제어된 밸브로서 구현된다. 후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전자석으로 구동된 예비제어 밸브에 의해 공기 시스템으로 구동된 주(主)밸브가 개폐된다. 상기와 같이 차량내에서 두종류의 밸브를 사용하는 것은 일반화되어 있다.
서두에 언급한 타입과 같은 종래 분배밸브(US-PS 4 524 797)에 있어서, 밸브하우징안에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로 통하는 유입채널 및 배기구로 통하는 배기채널이 서로 나란히, 그리고 동작포트로 통하는 동작채널이 직각으로 설치되어 있다. 전자석의 자석스풀은 상기 유입채널을 포함하고 있는 밸브하우징의 실린더형 하우징부에 동축상(co-axial)으로 놓여있다. 상기 전자석의 실린더형 앵커(anchor)는 하우징내부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이어지고, 상기 유입채널과 배기채널의 채널입구에 자리한 상기 두 개의 밸브지점중 하나에 교호적으로 셋팅되는 밸브링크를 형성한다. 상기 밸브링크 각각의 위치에 따라 상기 작동채널은 배기채널 및 유입채널과 연결된다. 분배밸브를 자동차내의 캐리어기판에 고정시키기 위해서 밸브하우징으로부터 상기 유입채널에 직각을 이루는 핀이 나와있다. 여러 밸브들을 하나의 밸브블록으로 집적시킬 때에 밸브들은 상기 유입채널들에 평행을 이루어 서로 인접하여 상기 캐리어기판에 고정되고 상기 별개의 밸브의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는 개별 플러그어댑터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상기 플러그어댑터들은 서로 안으로 찔러넣어져 상기 밸브하우징에 있는 각각의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 위에 꽂히게 된다. 제 1 플러그어댑터는 압축공기 공급파이프용 터미날스탠드를 운반하며, 제 2 플러그어댑터는 그 단부측이 스토퍼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에 정의되어 있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전자석으로 제어된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의 전면도.
도 2는 도 1의 밸브들의 평면도.
도 3은 도 1의 밸브들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밸브를 IV-IV선을 따라 절개도시한 단면도.
도 5는 상기 밸브를 도 3과 같은 방식으로 절개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밸브의 밸브하우징의 전면도.
도 7은 도 6의 밸브하우징을 VII-VII선을 따라 절개도시한 단면도.
도 8은 전자석으로 예비제어된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의 전면도.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밸브의 평면도.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밸브의 측면도.
도 11은 도 10과 같은 형식으로 도시한 확대 부분 단면도.
도 12는 세 밸브가 취합된 밸브블록의 전면도.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밸브블록의 회로도.
도 14는 밸브블록안에 고정 결합되기 이전에 서로 연이어 결합된 두 밸브의 측면도.
도 15는 하나의 밸브블록에 집적된 두 밸브들 사이의 연결수단을 확대도시한 단면도.
도 16은 도 12에서 밸브블록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한 버스바(bus bar)를 부분적으로 절개도시한 측면도.
도 17은 도 16에 도시된 버스바의 압축스크린의 개략적 평면도.
도 18은 폐쇄부재의 전면도.
도 19는 도 18의 화살표 XIX에 따른 폐쇄부재의 도면.
청구항 1에 있는 특징부의 요지를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분배밸브는 밸브하우징으로 분리되고 연결편과 연결채널들이 적절하게 배열되며 아울러 연결수단들이 미리 장착된 연결기 플레이트들을 통해서 단지 필요한 두종류의 밸브만을 집적하기 위한 모듈 시스템뿐만 아니라 밸브들을 하나의 밸브블록안에 통합연결시키는 것을 단순하고도 효율적인 방법으로 가능케 한다. 상기 밸브하우징과 연결된 상기 복수개 밸브들의 연결기 플레이트들은 간단하게 접촉하게 된다. 이 때 한 밸브의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편은 인접한 밸브 압축공기 연결부의 연결구멍안으로 찔러넣어진다. 이어서 연결부재들에 의해 서로 형합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조립과정은 다른 공구없이도 단시간에 이루어진다. 별다른 연결수단, 즉 종래 분배밸브에서 필요했던 플러그어댑터와 같은 수단은 필요하지 않다. 인장성문제는 연결편과 연결구멍사이에 사용된 방사상 압축 O-링으로 인해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O-링들은 예비조립되어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구멍내에 보호장착된다. 상기 밸브블록의 분해는 편평한 공구를 사용해서 수행한다. 이 공구를 사용함으로써 잠금부로서 구현된 연결수단을 떼어낼 수 있다. 최단의 조립 및 분해시간만이 필요하므로 조립 및 서비스작업시에 비용절감효과가 뛰어나다.
본 발명에 따른 분배밸브로 구성가능한 모듈 시스템은 개별단위의 밸브하우징 및 두 개의 서로 다른 연결기 플레이트의 실시예들과 더불어 상기 압축공기공급 연결부의 연결구멍들을 폐쇄하기 위한 폐쇄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두 개의 연결기 플레이트 변형예들은 외관상 동일하게 구성되어 있어서 동일한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편과 연결구멍 및 동일한 연결수단들이 장착되어 있다. 단지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의 내부만이 약간 변경되었다. 즉, 직접 개폐되는 밸브를 위한 연결기 플레이트에는 순수한 채널이 그리고 예비제어되는 밸브를 위한 연결기 플레이트에는 채널구성 이외에도 또하나의 공기 시스템용 구동가능한 시트밸브를 통합시켰다.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들을 동일하게 구성함으로써 서로 다른 밸브종류에서 각각의 필요에 맞게 아무런 문제 없이 한 밸브블록안에 집적시킬수 있다.
종속항에서 실시되는 방법들은 청구항 1에 제시된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분배밸브의 용이한 재구성 및 개선을 가능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밸브하우징의 하측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축편 단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단계식 플러그 유입편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의 상측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축 구멍단부들을 포함하고 있는 플러그 유입 단계 구멍들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유입편은 방사상으로 각 유입편 단부와 그리고 부가된 구멍단부와의 사이에 밀폐된 O-링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유입 구멍 안으로 밀폐되어 찔러넣어진다. 상기 소직경 연결편 단부의 원형 전방측내에는 유입채널이 그리고 상기 대직경 연결편 단부의 원형 전방측에는 작동채널이 통한다. 상기 플러그 유입 구멍의 소직경 구멍단부는 연결기 플레이트내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편 및 연결구멍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채널과 연결상태에 있다.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는 전자석으로 직접 구동되는 분배밸브용으로서 상기 플러그 유입 구멍의 대직경 구멍단부는 상기 작동 연결부와 연결상태에 있도록 구현되며, 전자석으로 예비제어되는 공기로 구동가능한 밸브용으로 사용될 때에는 상기 플러그 유입 구멍의 대직경 구멍단부가 제어채널에 의해 이동피스톤에 의해 제한되는 시트밸브의 작동챔버와 연결가능한 연결채널로 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이동피스톤은 밸브플런저에 의해 밸브개구를 폐쇄하고 개방하는 밸브기판을 구동한다. 상기 밸브개구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에 있는 작동포트를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내의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편과 연결구멍사이의 연결채널과 연결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하우징과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는 서로 제동가능하다. 이를 위하여 잠금 구멍 및 그 안에 걸리게 되어 있는 잠금 노우즈가 구성되어 있는데, 상기 잠금 노우즈는 밸브하우징의 외주에, 그리고 상기 잠금 구멍은 연결기 플레이트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제동을 통해 단일밸브의 조립이 매우 손쉬워진다. 여기서 상기 밸브하우징의 플러그 유입편과 연결기 플레이트내의 플러그 유입 구멍사이에서 방사상으로 압축된 O-링이 있기 때문에 인장성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O-링은 손상되지 않도록 예비조립되어 있으며 밸브를 집적할 때에 다른 특수한 조작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내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구멍을 폐쇄하기 위해서 상기 연결구멍을 포함하고 있는 연결기 플레이트 기판측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해당 부재측면에 연결수단이 달린 폐쇄부재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폐쇄부재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에 닿은 폐쇄부재에 있어서 압축링에 의해 공기밀폐되도록 압축되어 있는 연결구멍 안으로 돌출하게 되는 페그를 달고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밸브를 개별밸브로서 사용할 시에는 각 밸브에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의 연결구멍을 압축하는 상술한 바와 같은 폐쇄부재가 요구된다. 여러개의 개별밸브들을 하나의 밸브블록에 취합하는 경우에 상기 폐쇄부재는 단지 마지막 밸브의 연결기 플레이트에만 장착하면 된다. 상기 폐쇄부재는 간단한 주조부로서 단순하게 제조되며 다른 공구없이 조립할 수 있다. 조립 및 해체는 연결기 플레이트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연결편들 내지는 연결구멍을 받치는 기판측 사이에서 거기에 직각으로 연장된 연결기 플레이트의 기판측에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를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고정수단은 연결기 플레이트를, 특히 일체형으로 주조되었으며 무엇보다도 대각선으로 배열된 두 개의 고정눈이 달린 고정기판을 포함한다. 고정눈을 관통하여 찔러넣어지는 나사에 의해 각 밸브는 개별적으로 자동차프레임에 또는 자동차프레임을 고정하는 캐리어기판에 고정된다. 고정할 때에는 단지 짧은 나사만이 필요하다. 이로써 조립시간, 자재비용 및 무게가 절감된다.
전자석을 전기적으로 접촉시키기 위해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전자석 자석스풀의 전기적 연결부(단자)들이 밸브하우징에 닿은 외부로부터 뻗어 두 개의 플러그핀이 달린 양극 플러그로 안내된다. 상기 플러그는 두 개의 상기 플러그핀 위로 꽂히게 구성된 플러그쉘을 구비한 플러그 케이싱에 의해 덮히게 된다.
밸브블록들에 사용할 경우에는 복수개의 플러그 케이싱이 분사 압축스크린으로 구현된 전기 버스바(bus bar)와 연결된다. 상기 버스바는 복수개의 도선을 구비하고 있으며 그 수는 상기 플러그케이싱의 수보다 1개 더 많다. 상기 플러그케이싱의 두 플러그쉘들 중 하나의 플러그쉘은 모든 플러그쉘을 위한 하나의 전체 도선과, 그리고 다른 하나의 플러그쉘은 다른 독립적인 도선과 각각 연결되어 있다. 타측단의 모든 도선들은 일측이 전기 연결플러그의 독립 전기적 접점에 연결되어 있다. 한 밸브블록안에 있는 세 밸브들의 전류공급을 위한 버스바용으로 바람직한 연결플러그는 DIN 72 585에 따른 것을 사용한다. 이 플러그는 상술한 방실로 버스바의 네 도선과 연결되는 네개의 전기적 접점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케이싱은 버스바에 그리고 플러그는 밸브블록내에 취합되는 밸브들의 밸브하우징에 방사상으로 압축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자세히 설명하기로 하겠다.
도 1 내지 도 5의 여러 도면들로 그리고 단면도에 도시된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10)는 종래의 방식대로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 배기구(12) 및 압축공기 소모기용 작동포트(13)를 포함하고 있는 3/2-분배밸브로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3/2-분배밸브의 회로상 특징은 도 13의 우측에 도시되어 있다. 도 13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작동포트(13)는 상기 밸브의 비여기 접지상태에서는 배기구(12)와 연결되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와 반대로 제동되며, 상기 밸브가 여기 동작상태일때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와 연결되어 있고 배기구(12)에 의해 가로막혀 있다. 도 4 및 도 5의 단면도에 명확히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공간(14)내에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로 통하는 유입채널(15) 및 배기구(12)로 통하는 배기채널(16) 및 작동포트(13)로 통하는 작동채널(17)이 서로 통한다.
유입채널(15) 및 배기채널(16)들은 서로 직선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밸브공간(14)내에서 각 채널 입구에 밸브지점(18,19)를 운반한다. 이 밸브지점에 밸브링크(20)가 교호적으로 접촉한다. 상기 밸브링크(20)는 디스크형 금속스탬핑으로 구성된 전자석(21) 앵커(20')에 고정되는데, 그 자석스풀(22)은 상기 배기채널(16)에 동축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밸브링크(20)는 밸브스프링(23)에 의해 상기 자석스풀(22)이 여기되지 않았을 경우에는 유입채널(15)이 있는 밸브지점(18)위로 눌려진다. 이로써 밸브지점이 가로막혀 상기 작동포트(13)가 배기구(12)와 연결된다. 자석스풀(22)이 여기될 경우에는 밸브링크(20)가 밸브지점(18)에서 들어올려져 배기채널(16)이 있는 밸브지점(19)위로 눌려진다. 이로써 상기 배기채널(16)이 제동되고 상기 작동포트(13)는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와 연결된다.
상기 분배밸브의 설계를 위한 모듈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자석스풀(22)을 포함한 전자석(21), 밸브링크(20)를 포함한 밸브공간(14), 작동채널(17), 밸브지점(18,19)을 포함한 유입채널 및 배기채널(15,16) 및 배기구(12)가 밸브하우징(24) 안에 모이게 된다. 반면 압축공기 공급부와 압축공기 소모기를 위한 연결부(11,13)들은 밸브하우징(24)으로부터 분리가능하며 밸브하우징(24)으로부터 해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기 플레이트(25)에 놓인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작업자는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초가 서로 다른 연결기 플레이트(25)에 연결가능한 표준화된 밸브하우징(24)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구성에 따라 전자석으로 직접 구동된 분배밸브(10)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것과 같이, 또는 전자석으로 예비제어된 분배밸브(10')가 도 8 내지 도 11에 따라 제조된다. 상기 밸브하우징(24)는 두부분으로 실시되었으며 단계식 플러그 유입편(26)으로서 구성된 하우징하부 및 상기 플러그 유입편(26)을 부분적으로 감싸쥐는 캡(27)으로 구성된 하우징상부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캡(27)은 페그형 중앙부(271)를 구비하고 있는데, 그 안에서 동축으로 상기 배기채널(16)이 연장되어 있고 그 위로는 자석스풀(22)이 셋팅되어 있다. 상기 자석스풀(22)의 스풀단부들은 상기 캡(27)을 통과하며 상기 캡과 양극 플러그(30)의 양측 플러그핀(28,29)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플러그(30)는 일측이 상기 캡(27)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플러그 유입편(26)은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유입편 단부(261,262)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플러그 유입편(26)안에는 유입채널(15)이 동축구멍으로서 그리고 작동채널(17)이 그에 대한 동축 링챔버로서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링챔버는 앵커(20')내 유입개구(31)의 밸브공간(14)과 연결되고, 배출개구(32)에 의해서 직경이 좀 더 큰 유입편 단부(261)의 링형 전방측으로 통한다. 직경이 작은 유입편 단부(262)의 원형 전방측에는 유입채널(15)의 입구(33)가 있다.
상기 밸브하우징(24)과 해체가능하게 연결된 연결기 플레이트(25)에는 도 4에서는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가 그리고 도 5에서는 작동포트(13)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일측부(251)에 인접한 연결편(34)과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그 반대측부(252)에 장착된 연결구멍(35)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구멍은 동축 연결채널(36)에 의해서 상기 연결편(34)과 연결되어 있다(도 4). 상기 연결편(34)은 내부 나사산이 있는 나사쉘로 구현되어 있다. 상기 나사쉘은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연결기 플레이트(25) 안으로 압력밀폐되어 형성되고, 서로 편차가 있는 나사산 크기, 나사산 형태 및 밀폐시스템에도 접합될 수 있다. 연결편(34) 및 연결구멍(35)들은 이격 중첩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편(34)은 방사상으로 밀폐된 O-링(37)이 끼워진 상태에서 공기차단하여 상기 연결구멍(35) 안으로 찔러넣어진다. 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도 4에서는 단면도 형식으로서 연결구멍(35)이 달린 인접한 분배밸브상의 연결기 플레이트(25')이 단면형식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단면도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연결편(34)이 인접한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연결구멍(35)안으로 찔러넣어지며 플러그결합은 상기 O-링(37)에 의해서 밀폐된다.
상기 플러그 유입기판(25)의 상측(263)에는 구멍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축 구멍단부(381,382)가 포함된 플러그 유입단계구멍(38)이 장착되어 있다. 상기 구멍단부들(381,382)은 밸브하우징(24)에 있는 플러그 유입편(26)의 유입편 단부(261,262)에 그 수납부가 연결되어 있다. 이로써 상기 플러그 유입편(261)을 플러그 유입 단계구멍(38)안으로 유입할 시에 상기 유입편 단부들(261,262)은 각각 방사상으로 밀폐된 O-링(39,40)이 끼워진 상태에서 밀폐되도록 봉입된다. 상기 직경이 작은 구멍단부(382)는 축방향 개구(41)에 의해 연결편(34) 및 연결구멍(35) 사이에 있는 연결채널(36)과 연결되고 이로 인해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와 연결된다. 이로써 유입채널(15)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에 닿게 된다. 상기 직경이 큰 구멍단부(281)는 도 5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연결채널(42)에 의해 작동포트(13)와 연결된다. 이로써 상기 작동채널(17)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작동포트(13)로 통하게 된다. 상기 작동포트(13)는 다시 내부에 나사선이 있는 나사쉘로 구현되는데, 이 나사쉘을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안으로 매립형성하게 된다. 상기 나사쉘의 내부나사선 안으로 압축공기 소모기에 통하는 압축파이프가 나사체결된다.
밸브하우징(24)과 연결기 플레이트(25)를 연결하기 위해서 밸브하우징(24)은 그 외주에 방사상으로 튀어나오는 잠금 노우즈(43)(도 1 및 3 내지 7도 비교)를 받치고 있다. 이 노우즈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 내에 있는 해당 잠금 구멍(44) 안에 걸려 잠금 된다. 상기 밸브하우징(24) 및 플러그 유입 단계 구멍(38) 사이에는 O-링(39,40)이 끼워져 있기 때문에 밸브하우징(24) 및 연결기 플레이트(25)을 접합하는데 아무런 인장력 문제가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두 부재의 접합은 최단시간내에 수행된다. 분해는 상기 잠금 노우즈(43)를 적절한 공구를 사용해서 잠금 구멍(44) 밖으로 꺼냄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분배밸브(10)를 자동차측에 고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에 고정기판(45)을 일체로 형성시킨다. 상기 고정기판은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상측 및 하측에 아울러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양측부(251,252)에 직각을 이루도록 연장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34) 내지 연결 구멍(35)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고정기판(45)에는 주조 금속부시로 구성되어 서로 대각선을 이루는 두 개의 고정눈(46,47)이 있어서 고정나사들이 상기 고정눈을 통과함으로써 자동차 프레임에 또는 자동차 프레임의 적절한 캐리어기판에 고정된다.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편(34) 내지 연결구멍(35)을 받치고 있는 기판측(251,252) 위에는 연결수단이 형성되어 있는데, 이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편(34)과 연결구멍(35)이 내부적으로 찔러지도록 구성된 두 개의 연결기 플레이트(25,25', 도 4)간의 기계적 연결이 서로 상응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연결기 플레이트내에 각 양측부(251 내지 252) 상부의 연결수단은 두 개의 돌출한 클러치들(47,48) 및 상기 기판측(251,252) 위에서 서로 대각선으로 대향하도록 설치된 두 개의 통합된 포켓(49,50)이 포함되어 있다. 상기 기판측(251) 위에는 동일한 클러치(47,48)와 포켓(49,50)이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일측부(251)가 타측 연결기 플레이트(25')의 반대측부(252)에 닿도록 장착할 때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 일측부(251)에 있는 해당 클러치(47,48)들이 타측 연결기 플레이트(25')의 반대측부(252)에 있는 포켓들(49,50) 안으로 기어링됨으로써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25,25')들이 서로 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마찬가지로, 상기 클러치(47,48) 및 상기 포켓(49,50)들은 상기 일측 연결기 플레이트(25)에 있는 상기 클러치(47,48)를 상기 타측 연결기 플레이트(25')에 있는 상기 포켓(49,50) 안으로 교호적으로 밀어넣기 위하여 그리고 반대로 밀어넣기 위하여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25,25')들은 α각 만큼 서로 회전하여 맞닿게 되어야만 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연결편(34)은 타측 연결기 플레이트(25', 도 4)의 연결구멍(35) 안에 잠긴다. 그 다음에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25,25')는 나란히 정렬된 상기 연결편(34) 및 연결구멍(35)의 길이축들만큼 상기 각도 α가 "0"이 될 때까지 다시 역회전된다. 이렇게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클러치(47,48)들은 배치된 포켓(49,50)들 안으로 밀어넣어져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25,25')들이 축방향으로 서로 맞대어져 잠금 된다.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가 우연히 서로 떨어져 해체되는 것을 연결기 플레이트(25,25')를 각도 α만큼 다시 회전시켜 방지하기 위해 상기 연결수단은 또 하나의 잠금 노우즈(51) 및 잠금 윈도우(52)를 구비하게 된다. 두 개의 잠금 노우즈(51)가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구멍(35) 맞은편 상부 측부(252)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 노우즈들을 서로 마주보도록 180°회전시킨다. 상기 두 개의 잠금 윈도우(52)들은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 연결편(34) 양측부(251) 위에서 잠금 윈도우가 상기 잠금 노우즈(51)에 상응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도 14에 따르면 서로 맞닿아 있는 상기 양쪽 연결기 플레이트(25,25')을 상기 회전각 α보다 작게 회전시킬 경우 상기 회전부(α=0) 말단에서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기판측(252) 상부의 잠금 노우즈(51)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 기판측(251) 상부의 잠금 윈도우(52) 안으로 체결된다. 이로써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들(25,25')은 역회전되지 않게 되고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들(25,25')간의 연결도 실수로 풀리지 않게 된다. 상기 잠금 결합의 유지 및 이로 인한 상기 양측 연결기 플레이트(25,25')들의 서로 맞회전은 상기 잠금 노우즈(51)가 상기 잠금 윈도우(52)로부터 빠진 다음에야 가능하며, 이는 평평한 공구를 사용하여 빼낸다.
상술한 분배밸브의 모듈 시스템을 위하여 도 18 및 도 19에 도시된 것과 같은 또 하나의 폐쇄부재(53)가 부가된다. 이 폐쇄부재(53)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구멍(35)을 폐쇄하는데 사용되며 상기 연결구멍(35)에 상응하는 페그(54)를 받치고 있다. 상기 페그는 방사상으로 압축된 O-링의 중간개폐가 이루어지는 가운데 공기가 새지 않도록 상기 연결구멍(35)안으로 끼워진다. 상기 폐쇄부재(53)의 페그(54)를 받치는 측부 위에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측부(251)위에 연결편(34)이 돌출한 것과 같은 동일한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수단은 다시 대각선상으로 장착된 두개의 클러치(47,48)와 대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두 개의 포켓(49,50)을 포함하여 아울러 두 개의 잠금 윈도우(52)를 포함하고 있다. 도 14에서 상기 두 연결기 플레이트(25,25')가 맞닿아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상기 폐쇄부재(53)도 역시 동일한 회전각도 α하에서 연결기 플레이트(25)의 측부(252)에 닿아야만 한다. 이어서, 상기 연결부재(53)를 상기 회전각(α)을 축소 방향으로 α=0이 될 때까지 역회전시킴으로써 상기 폐쇄부재(53)의 클러치(47,48)들은 연결기 플레이트(25)에 있는 포켓(49,50) 안으로 그리고 역으로 상기 클러치(47,48)가 상기 폐쇄부재(53)측 포켓(49,50) 안으로 선회하게 된다. 더불어 상기 연결편(34)에 압축공기 공급부에서 나온 압축공급파이프가, 그리고 상기 작동포트(13)에 압축공기 소모기로 통하는 압축파이프가 연결되어 있고 또한 전자석(21)이 양극 플러그(30)에 의해 전기적으로 접촉되어 있다면 상기 3/2-분배밸브(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한 기능을 할 수 있게 된다.
도 8 내지 도 11에는 전자석 예비제어부가 달린 공기 시스템용 3/2-분배밸브(10')가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예비제어된 밸브(10')의 회로상 특징은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렇게 예비제어된 밸브를 모듈 시스템으로 구현하기 위하여 또 하나의 연결기 플레이트(25')가 구비되는데, 이 연결기 플레이트는 또한 그 외측이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와 동일한데, 다만 그 내측은 공기 제어된 주밸브를 장착하기 위해 약간 교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24)을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와 선택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전자석으로 직접 구동된 3/2-분배밸브(10) 및 상기 하우징(24)을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와 연결함으로써 전자석으로 예비제어된 공기 구동 3/2-분배밸브(10')가 구현된다.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는 도 1 내지 도 5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가 연결채널(36)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는 연결편(34)과 연결구멍(35)이 달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를 구비하며, 작동포트(13)와 아울러 클러치(47,48), 포켓(49,50), 잠금 노우즈(51) 및 잠금 윈도우(52)로 이루어진 연결수단을 구비한다. 플러그 유입단계구멍(38)도 동일하게 실시되는데, 그 양측 구멍단부(381,382)가 밸브하우징(24)에서 공기가 밀폐되도록 플러그 유입편(26)의 양측단부(261,262)를 수납하고 있다. 여기서 다시 상기 직경이 작은 구멍단부(382)는 다시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편(34)와 연결구멍(35) 사이의 연결채널(36)에 연결된다. 연결기 플레이트(25)으로의 기점에서 상기 직경이 큰 구멍단부(381)은 상기 동작포트(13)와 직접 연결되지 않고 오히려 제어채널(55)을 통해 공기로 구동되는 시트밸브(seat valve, 57)에 연결되어 있는 연결채널(79)과 연결된다. 상기 시트밸브(57)는 상기 연결채널(36)과 작동포트(13)간의 연결부 역할을 하는 밸브개구(58)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밸브개구(58)는 밸브시트(59)로 둘러싸여 있는데 그 위에는 밸브플런저(60)에 고정된 밸브기판(61)이 덮혀 있다. 상기 밸브기판(61)에 의해 치워진 단부에는 상기 밸브플런저(60)가 상기 작동챔버(56)를 일측에서 제한하는 이동피스톤(62)과 연결되어 있다. 작동챔버(56)안에 소정 기압이 형성되면 상기 이동피스톤(62)은 밸브폐쇄스프링(63)의 반동력에 대향하도록 이동하게 되고 상기 밸브기판(61)을 밸브시트(59)에서 밀어 올린다. 그리고 연결채널(36)은 작동포트(13)와 연결된다. 이로써 채널이 압축공기 공급부에 닿게 된다. 상기 시트밸브(57)가 폐쇄된 경우에 상기 작동포트(13)는 배기채널(64)에 의해서 떨어져있는 배기구(65)에 연결된다. 상기 배기채널(64)은 동시에 밸브플런저(60)용 안내채널 역할을 한다. 상기 배기채널의 자유로운, 상기 밸브기판(61) 맞은편에 놓인 전방측 배기채널(64)에는 밸브시트(66)가 있는데, 상기 밸브시트에서 시트밸브(57)가 열릴 경우에는 상기 밸브기판(61)이 덮히고 상기 배기구(65)는 작동포트(13)에 의해 제동된다. 상기 밸브하우징(24)내에 있는 배기구(12)는 상기 시트밸브(57)의 작동챔버(56)안의 공기를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작동챔버(56)가 달린 시트밸브(57), 이동피스톤(62), 밸브폐쇄스프링(63), 밸브플런저(60) 및 밸브기판(61)과 아울러 제어채널(55), 밸브시트(66)가 달린 배기채널(64)이 밸브바디(80)에 통합되어 있다. 상기 밸브바디는 연결기 플레이트(25')의 하측에 닿도록 구성되어 있고, 잠금 노우즈 및 잠금 구멍으로 이루어진 잠금 결합부(81)를 통해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와 연결되어 있다. 상기 연결채널(36)과 연결포트(13)사이의 밸브개구(58)를 감싸고 있는 시트밸브(57)의 밸브시트(59)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에 구성되어 있다.
도 12는 상기한 바와 같은 밸브 세 개를 하나의 밸브블록(67)에 통합가능함을 일례로서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밸브 중 2개의 밸브는 예비제어된 3/2-분배자석밸브(10')이며 나머지 하나의 밸브는 직접 제어된 3/2-분배자석밸브(10)이다. 상기 두 개의 밸브(10')는 도 8 내지 11에 도시된 밸브구조에 해당하며 밸브(10)는 도 1 내지 5에 도시된 밸브구조에 해당한다. 상기 밸브블록(67)의 회로도는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개별적인 연결기 플레이트(25,25' 및 25') 및 세 개의 밸브(10,10' 및 10')들은 상술한 그리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식으로 인접하여 구성되어 있다. 상기 마지막 밸브(10')(도 12, 좌측)의 연결기 플레이트(25')내에 구성된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구멍(35)은 도 18 및 도 19에 따라 폐쇄부재(53)에 의해 폐쇄된다. 상기 제 1 밸브(10)의 연결기 플레이트(25)내에 구성된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편(34)에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의 압축공급파이프가 나사체결되어 있다. 압축공기의 흐름방향은 도 12에서 화살표(68)로 표시되어 있다. 상기 밸브블록(67)은 6개의 고정눈(46)에 의해 자동차에 연결된 하나의 연결기 플레이트(25,25',25')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밸브블록(67)의 세 플러그(30)를 접촉시키기 위해서는 세 개의 플러그케이스(76) 및 하나의 연결플러그(70)가 달린 버스바(69)가 쓰인다. 이 버스바는 도 16에서 부분 절개 측면도로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연결플러그(70)는 DIN 72 585에 따라 상기 버스바(69)의 각 도선(71-74, 도 17)에 연결되어 있는 4개의 전기 접점에 의해 도통한다. 상기 도선(71-74)들은 하나의 압축스크린(75)으로 구현되는데, 이 압축스크린은 플라스틱으로 주조된 것이다. 각 플러그케이싱(76)에는 두 개의 플러그쉘(77,78)들이 설치되어 있어서 이 쉘들은 상기 플러그케이싱(76)이 하우징(24)부분 플러그(30) 위에 덮혀 있는 경우에 상기 플러그(30)의 양측 플러그핀(28,29)들로 밀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모든 플러그쉘(77)들은 도선(71)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으며, 반면 제 1, 제 2 및 제 3 플러그케이싱(76)의 각 플러그쉘들은 각 도선(72,73,74)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도 17). 플러그케이싱(76)이 달린 상기 버스바(69)를 밸브블록(67)에 있는 플러그(30)에 꽂음으로써 상기 세 개의 밸브들의 전자석들 모두가 전기적으로 올바르게 연결된다.

Claims (14)

  1. 하나의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와, 하나의 배기구(12)와, 압축공기 소모기를 위한 적어도 하나의 작동포트(13)와, 하나의 전자석(21)에 의해 구동되며 작동포트(13)를 안내하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 및 상기 배기구(12) 반대편에 있는 작동채널(17)을 교호적으로 제동하기 위해서 교호적으로 덮혀있으며 둘 중 하나는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로 통하는 유입채널(15)의 채널입구에, 다른 하나는 상기 배기구(12)로 통하는 배기채널(16)로 통하는 채널입구에 있는 2개의 밸브시트(18,19)가 덮혀 있는 하나의 밸브링크(20)로 이루어진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10;10')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21), 밸브링크(20), 작동채널(17), 밸브시트(18,19)가 씌워진 유입채널, 배기채널(15,16) 및 배기구(12)는 밸브하우징(24)내에 통합되어 있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 및 압축공기 소모기를 위한 연결부(11,13)는 밸브하우징(24)에서 착탈가능하며 밸브하우징(24)과 해체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연결기 플레이트(25;25')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일측부(251)에 연장되어 있는 연결편(34)에 이와 연결되어 있는 그 반대편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측부(252)에 장착되어 있는 연결구멍(35)을 구비하고 있으며, 상기 측부들은 상기 연결편(34)이 방사상으로 압축된 O-링(37)이 끼워진 상태에서 공기밀폐되도록 제 2 분배밸브(10;10')의 연결구멍(35)안으로 찔러넣어지도록 서로 접합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편(34) 내지 연결구멍(35)을 지지하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측부(251,252) 각각에는 연결수단이 설치되어 있고, 이 연결수단은 상기 연결편(34)와 연결구멍(35)이 안으로 찔러넣어지는 상기 두 개의 분배밸브(10;10')의 두 연결기 플레이트(25,25')사이를 결합시키기에 적합한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하우징(24)의 하측(241)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축편 단부(261,262)를 포함하고 있는 단계식 플러그 유입편(26)이 구성되어 있고,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상측(253)에는 직경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동축 구멍단부(381,382)를 포함하고 있는 플러그 유입 단계구멍(38)들이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유입편(26)은 방사상으로 각편 단부(261,262)와 부가된 구멍단부(381,382)와의 사이에 밀폐된 O-링(39,40)이 끼워져 있는 상태에서 플러그 유입 구멍(38) 안으로 밀폐되어 찔러넣어지며,
    상기 소직경편 단부(261)의 원형 전방측 내에는 유입채널이(15), 상기 대직경편 단부(262)의 원형 전방측에는 작동채널(17)이 통하며,
    상기 플러그 유입 구멍(38)의 소직경 구멍단부(382)는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편(34) 및 연결구멍(35)을 서로 연결시키는 연결채널(36)과 연결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유입 구멍(38)의 대직경 구멍단부(381)는 상기 작동 연결부(13)와 연결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편(34)과 연결구멍(35) 사이에 있는 연결채널(36)은 시트밸브(57)의 밸브기판(61)에 의해 압축밀폐된 밸브개구(58)를 구비하고, 이 개구부는 상기 작동 연결부(13)와 연결상태에 있으며,
    상기 밸브기판(61)은 작동챔버(56)를 제한하는 이동피스톤(62)에 고정되어 있는 밸브플런저(60)에 의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플러그 유입 구멍(38)의 대직경 구멍단부(381)는 상기 작동챔버(56)와 연결상태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배밸브.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밸브(57)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과 연결된 밸브보디(80)안에 통합되어 있고, 그 안에는 배기구(65)와, 상기 배기구(65)를 상기 작동연결부(13)와 연결하며 상기 밸브개구(58) 앞에서 소정간격 이격되어 자유롭게 통하게 되어 있는 배기채널(64)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채널입구에는 밸브시트(66)가 구비되어 있는데 그 위에는 상기 밸브개구(58)가 해체되어 있는 밸브기판(61)이 놓여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내의 상기 압축공기 공급 연결부(11)의 연결구멍(35)은 상기 연결구멍(35)을 포함하고 있는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측부(252)에 설치된 연결수단과 연결되어 있는 해당 부재측면(531)에 연결수단이 설치된 폐쇄부재(53)에 의해 폐쇄가능하며,
    상기 폐쇄부재(53)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4)에 접촉하는 폐쇄부재(53)에 있어서 압축링(37)에 의해 공기밀폐되도록 압축되어 있는 연결구멍(35) 안으로 돌출하게 되는 페그(54)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24) 및 연결기 플레이트(25;25')들은 서로 제동가능하며 또한 잠금 구멍(44) 및 그 안에 걸리게 되어 있는 잠금 노우즈(43)가 구비되어 있고, 상기 잠금 노우즈(43)는 밸브하우징(24)의 외주에, 그리고 상기 잠금 구멍(44)은 연결기 플레이트(25;25')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두 개의 연결편(34) 내지는 연결구멍(35)을 지지하는 측부(251,252) 사이에서 거기에 직각으로 연장된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측부에는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를 공간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수단이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는 일체형으로 주조되었으며 상기 고정수단은 대각선으로 배열된 두 개의 고정눈(46)이 달린 고정기판(45)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에서 서로 이격되어 맞대어진 측부(251,252)에 형성된 연결수단은 두 개의 돌출한 클러치(47,48) 및 두 개의 연동하는 포켓(49,50)을 포함하며, 상기 포켓(49,50)은 상기 클러치(47,48)를 수납하기 위해 구비되어 있으며,
    상기 두 개의 클러치(47,48) 및 두 개의 포켓(49,50)은 각각의 측부(251,252)에 서로 대각선으로 그리고 양측부(251,252)에 상기 일측 분배밸브(10)의 연결편(34)을 타측 분배밸브(10')의 연결구멍(35) 안으로 꽂아넣은 다음에 상기 각 일측 연결기 플레이트(25내지 25')의 클러치(47,48)가 상기 타측 연결기 플레이트(25'내지 25)의 각 포켓(49,50)을 후방에서 고정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47,48)와 포켓(49,50)은 클러치와 포켓이 연결편(34) 및 연결구멍(35)의 길이축을 회전각(α)만큼 두 번 역회전시킨 다음에 서로 대향하도록 회전되어 인접한 연결기 플레이트(25;25')들이 축방향에서 형합적으로 뒤섞여 놓이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수단은 일측부(252)에 구성된 잠금 노우즈(51)와 타측부(251)에 구성된 잠금 윈도우(52)를 구비하며,
    상기 잠금 윈도우(52) 및 잠금 노우즈(51)는 서로 상기 두 분배밸브(10;10')의 연결기 플레이트(25,25')의 연결편(34) 및 연결구멍(35)을 안으로 꽂아넣고 상기 연결기 플레이트(25,25')를 클러치(47,48)와 포켓(49,50)의 형합을 이루기 위하여 회전시킨 다음 상기 잠금 노우즈(51)가 배열된 잠금 윈도우(52)안에 걸려 제동되고 상기 두 연결기 플레이트(25;25')는 상기 연결편(34)과 연결구멍(35)의 길이축을 돌아 회전하지 못하도록 고정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1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석(21)의 자석스풀(22)의 각진 단부들은 밸브하우징(24)에 닿은 외부로부터 뻗어 두 개의 플러그핀(28,29)이 달린 양극 플러그(30)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30)는 두 개의 상기 플러그핀(28,29) 위로 꽂히게 구성된 플러그쉘(77,78)을 구비한 플러그케이싱(76)에 의해 덮히게 되며,
    복수개의 플러그케이싱(76)이 가장 바람직하게는 압축스크린(75)으로 구현된 도선(71-74)갯수 만큼을 구비하는 하나의 전기 버스바(69)와 연결되어 있으며, 하나의 플러그케이싱(76)내에 있는 각 플러그쉘(77)은 모든 플러그쉘(76)을 위한 하나의 전체 도선(71)과 연결되고 하나의 플러그쉘(78)은 다른 하나의 도선(72-74)과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타측단의 모든 도선(71-74)들은 전기 연결플러그(70)의 전기적 접점에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KR1019980701876A 1995-09-15 1996-07-12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KR199900446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534285A DE19534285A1 (de) 1995-09-15 1995-09-15 Elektromagnetisch betätigbares pneumatisches Wegeventil
DE19534285.2 1995-09-15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4623A true KR19990044623A (ko) 1999-06-25

Family

ID=7772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876A KR19990044623A (ko) 1995-09-15 1996-07-12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69834B1 (ko)
EP (1) EP0850376B1 (ko)
JP (1) JPH11512168A (ko)
KR (1) KR19990044623A (ko)
DE (2) DE19534285A1 (ko)
WO (1) WO19970104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2747B4 (de) * 1998-10-05 2010-07-01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Druckregelventils für ein Automatikgetriebe eines Kraftfahrzeuges und nach dem Verfahren hergestelltes Druckregelventil
JP2001116162A (ja) * 1999-10-18 2001-04-27 Smc Corp 電磁弁
EP1381802A1 (en) * 2001-04-26 2004-01-21 Swagelok Company Valve with snap connector
US6848672B2 (en) * 2001-10-04 2005-02-01 Swagelok Company Mounting bracket for valve actuator
DE10161498A1 (de) * 2001-12-14 2003-06-26 Wabco Gmbh & Co Ohg Magnetspuleneinheit
DE10204250A1 (de) * 2002-02-02 2003-08-14 Bosch Gmbh Robert Mehrfachventilanordnung für strömende Medien
US7036522B2 (en) * 2003-08-19 2006-05-02 Mac Valves, Inc. Solenoid actuated pneumatic valve with an integrated pass-through and a quick mount body
US20060225798A1 (en) * 2005-03-29 2006-10-12 Robert Bordonaro Integrated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US7261122B2 (en) * 2005-03-29 2007-08-28 Imi Norgren, Inc. Valve for an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US7261121B2 (en) * 2005-03-29 2007-08-28 Norgren, Inc. Expandable gas or fluid distribution system
US20070228311A1 (en) * 2006-03-28 2007-10-04 Beneker Gerrit V Pressure balanced valve
DE102007043554A1 (de) 2007-03-10 2008-09-11 Continental Teves Ag & Co. Ohg Ventilbaugruppe
DE102007019095A1 (de) * 2007-04-23 2008-11-06 Continental Automotive Gmbh Standardisiertes Trägerelement mit integrierter Schnittstelle
US8267375B1 (en) * 2007-10-01 2012-09-18 Numatics, Incorporated Cartridge valve and manifold assembly
US10544874B2 (en) * 2011-01-04 2020-01-28 Robertshaw Controls Company Coil capture apparatus and pilot operated water valve incorporating same
US8746272B2 (en) * 2011-09-26 2014-06-10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Solenoid bypass system for continuous operation of pneumatic valve
DE102012102645A1 (de) * 2012-03-27 2013-10-02 Ebm-Papst Landshut Gmbh Gasregeleinheit in modularer Bauweise und Gasregelventil
DE102013102354A1 (de) * 2013-03-08 2014-09-11 Ebm-Papst Landshut Gmbh Pneumatische Gasregeleinheit in modularer Bauweise und modulares Gasregelventil
ITMI20140106U1 (it) * 2014-03-17 2015-09-17 Rpe Srl Gruppo idraulico per il controllo di un liquido
US20170314700A1 (en) * 2014-11-13 2017-11-02 Eagle Industry Co., Ltd. Solenoid valve device
US10352470B2 (en) * 2015-11-17 2019-07-16 Ge Aviation Systems Llc Control valve and air starting system
JP2018090071A (ja) * 2016-12-02 2018-06-14 ローベルト ボッシュ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モータサイクル用ブレーキシステム、及び、ブレーキ液圧制御装置の製造方法
US11112025B2 (en) 2017-03-30 2021-09-07 Robertshaw Controls Company Water valve guide tube with integrated weld ring and water valve incorporating same
US9964220B1 (en) * 2017-10-23 2018-05-08 Useong Electro-Mechanics Co., Ltd. Electromagnetic water supply valve
KR102623687B1 (ko) * 2022-07-15 2024-01-11 우성알앤디주식회사 전자 급수 밸브의 결합 구조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230156A (en) * 1978-10-17 1980-10-28 Graham-White Sales Corporation Solenoid-actuated valve
US4524797A (en) * 1982-02-25 1985-06-25 Robert Bosch Gmbh Solenoid valve
US4524807A (en) * 1982-05-21 1985-06-25 Humphrey Products Company Snap-together modular manifold construction
FR2588935B1 (fr) * 1985-10-17 1987-12-04 Gurtner Sa Electrovane constituee de modules juxtaposes
JPH0338540Y2 (ko) * 1987-03-30 1991-08-14
US4898203A (en) * 1988-09-22 1990-02-06 Jacob Kobelt Valve apparatus
US5178191A (en) * 1990-09-05 1993-01-12 Newmatic Controls Inc. Modular pneumatic control system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59603800D1 (de) 2000-01-05
WO1997010459A1 (de) 1997-03-20
EP0850376A1 (de) 1998-07-01
DE19534285A1 (de) 1997-03-20
US6269834B1 (en) 2001-08-07
EP0850376B1 (de) 1999-12-01
JPH11512168A (ja) 1999-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44623A (ko) 전자석으로 구동되는 공기 시스템용 분배밸브
US7118087B2 (en) Coupling solenoid valve
KR100481774B1 (ko) 차단개방기
CN109849382B (zh) 用于分配轮胎密封剂的设备
JP2597782Y2 (ja) 電磁弁組立体の給電装置
JP4045366B2 (ja) 流体圧機器用配管継手
US7677264B2 (en) Manifold-type solenoid valve with external port
KR101676561B1 (ko) 액츄에이터 장치
CN1110637C (zh) 流体压力机器用手动给排换向阀
JP2000283324A (ja) シリアル信号駆動のマニホールド形電磁弁
EP0810397A2 (en) Solenoid valve manifold with switch
US5996629A (en) Pilot solenoid valve
EP0915275B1 (en) Solenoid-operated valve assembly
KR0136846B1 (ko) 제동유압 제어유니트
CN115052642A (zh) 用于透析机用的液压组件的阀岛
US6820634B2 (en) Valve block and valve block assembly for producing such a valve block
KR100302412B1 (ko) 파일럿식절환밸브
EP0625109B1 (en) Fluid operated brake device
WO1983002811A1 (en) Solenoid operated flow control module
US6142182A (en) Base-mounted electromagnetic valve
EP0800002A1 (en) Solenoid pilot valve
CN102625887A (zh) 电磁阀
CN114110653B (zh) 一种双通道安全点火机构及方法
EP0800001B1 (en) Pilot solenoid valve
CN210890218U (zh) 一种常开比例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