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565A -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565A
KR19990043565A KR1019970064587A KR19970064587A KR19990043565A KR 19990043565 A KR19990043565 A KR 19990043565A KR 1019970064587 A KR1019970064587 A KR 1019970064587A KR 19970064587 A KR19970064587 A KR 19970064587A KR 19990043565 A KR19990043565 A KR 19990043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gital camera
setting
video file
image data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8470B1 (ko
Inventor
유항두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4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8470B1/ko
Publication of KR19990043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84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84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H04N1/212Motion video recording combined with still video recor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H04N5/772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the recording apparatus and the television camera being placed in the same enclos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recei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Abstract

개시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정지화면을 촬영하도록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동영상파일로 변환하여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 장치가 외부명령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촬영 및 전송하게 하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파일로 변환한 후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디지털 카메라부는 영상을 촬영하여 임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순서대로 소정의 명령에 의해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장치 및 방법은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정지화면을 동영상파일로 변환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소정의 영상 출력장치로 관찰할 수도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동영상파일을 생성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정지화면을 촬영하도륵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소정의 동영상파일로 변환하여 컴퓨터 장치의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같은 광전변환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반도체 기억소자나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영상입력 및 저장기기이다.
그 종류는 크게 영상을 단속적으로 촬영하여 반도체 기억소자에 저장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Digital still camera : DSC)와 영상을 연속적으로 촬영하여 자기 테이프와 같은 저장매체에 저장하는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Digital video camera : DVC)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모두 컴퓨터 장치와 연결하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즉,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와 기억장치에 따로 보관함으로써 영상 저장능력을 제고할 수 있으며,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상태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는 최근 가정용 컴퓨터 장치의 보급 확대와 함께 자기가 촬영한 영상을 컴퓨터 장치를 사용하여 컴퓨터 디스플레이장치를 통해 직접 보면서 편집하여 멀티미디어 홈 페이지 또는 프리젠테이션 자료를 작성하거나 편집된 영상을 프린터와 같은 출력장치로 출력하기도 하고, 하드디스크 드라이브나 컴팩트 디스크에 저장해 둘 수도 있음으로 하여 각광 받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카메라로 촬영한 영상 이미지를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여 저장하는 경우, 기존에는 하나의 영상 이미지가 하나의 이미지 파일로 저장됨으로써 꽃의 개화와 같은 연속적인 동작을 표현하기 위한 동영상은 편집하기가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컴퓨터 장치를 이용하여 디지털 카메라가 연속적으로 정지화면을 촬영하도륵 제어하고, 촬영된 영상을 동영상파일로 변환하여 컴퓨터 장치의 기억장치에 저장할 수 있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중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도 2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중 촬영 및 전송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디지털 카메라부 200 : 컴퓨터 장치
110 : 카메라부 120 : 카메라 제어부
130 : 임시기억장치 140 : 제 1 인터페이스부
210 : 명령 입력부 220 : 중앙처리장치
230 : 기억장치 240 : 제 2 인터페이스부
250 : 출력부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의 특징은 컴퓨터 장치가 외부명령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촬영 및 전송하게 하며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파일로 변환한 후 기억장치에 저장하고, 디지털 카메라부는 영상을 촬영하여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순서대로 소정의 명령에 의해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것에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4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의 일예를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는 크게 컴퓨터 장치(200)와 디지털 카메라부(100)가 소정의 통신라인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륵 구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요소에 의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은 다음과 같다.
먼저,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에서 컴퓨터 장치(200)는 사용자 등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명령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100)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카메라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파일로 변환한 후 기억장치에 저장한다.
그리고, 촬영전송과정에서는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에서 입력되는 컴퓨터 장치(200)의 제어명령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100)에서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한다.
여기서, 컴퓨터 장치(200)는 디지털 카메라부(100)의 동작을 설정해주기 위한 설정명령을 입력하는 키보드 장치와 같은 명령 입력부(210)와, 명령 입력부(210)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200) 및 디지털 카메라부(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220)와, 중앙처리장치(220)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230)와, 디지털 카메라부(100)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억장치(230)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부(100)와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제 2 인터페이스부(240)로 구성되며, 영상을 표시하기 위해 디스플레이장치와 같은 소정의 출력부(250)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리고, CCD와 같은 광전변환소자를 이용하여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영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한 후, 반도체 기억소자나 자기 테이프와 같은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영상입력 및 저장기기인 디지털 카메라부(100)는 디지털 카메라부(1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컴퓨터 장치(200)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제어하는 카메라 제어부(120)와, 카메라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영상을 촬영하여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카메라부(110)와, 카메라부(110)의 출력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임시 기억장치(130)와, 카메라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임시 기억장치(130)에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하고, 컴퓨터 장치(200)와의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제 1 인터페이스부(140)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의 동작을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중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파일은 명령 입력부(210)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되는 설정값 또는 미리 정해진 값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부(100)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S100)을 거치는데, 이 과정은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S110)과,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S110)의 판단결과,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경우는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값을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210)를 통해 외부에서 입력함으로써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외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20) 및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S110)의 판단결과, 동작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져 기억장치(230)에 저장되어 있는 값을 동작모드 설정값으로 정해줌으로써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내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30)으로 제어된다.
도 3은 도 2에서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과정(S100)을 자세하게 나타낸 순서도로서 외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20)과 내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30)으로 나뉘며 외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20)에서는 촬영시작시간, 촬영종료시간, 촬영간격, 촬영할 영상의 개수 및 수신영상 크기를 명령 입력부(210)를 통해 사용자가 외부에서 입력하고, 내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30)은 외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20)에서 설정되지 않는 값을 미리 정해서 기억장치(230)에 저장되어 있는 값으로 자동설정해 준다.
먼저, 외부 동작모드 설정과정(S120)은 촬영시작시간 설정과정에서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S110)과 판단결과,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촬영시작시간을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21) 시작시간을 설정하는 경우는 촬영시작시간을 명령 입력부(210)를 통해 입력하고(S122), 시작시간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기억장치(230)의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한다(S130).
촬영시작시간 설정 후 촬영종료시간 설정과정에서는 촬영종료시간을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23) 종료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촬영종료시간을 입력한다(S124).
촬영간격 설정과정에서는 촬영종료시간 설정 후 촬영간격을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25) 촬영간격을 설정하는 경우는 촬영간격을 입력(S126)하고, 촬영간격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한다(S130).
여기서, 촬영종료시간 설정과정에서의 판단결과(S123) 촬영종료시간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촬영하고자 하는 영상의 개수를 정해주어야 하므로,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23a)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하는 경우는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입력하고(S123b),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S130).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거친 후 수신영상크기 설정과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의 설정값에 따라 영상의 전송시간이 결정되게 되며, 이 과정은 촬영간격이나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한 다음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의 크기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S127) 수신영상의 크기를 설정하는 경우는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의 크기를 입력하고(S128), 수신영상의 크기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S130).
상술한 바에서 미리 정해진 값의 내용은 촬영시작시간, 촬영종료시간, 촬영간격, 촬영할 영상의 개수 및 수신영상의 크기로 기억장치(230)에 저장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명령 입력부(210)를 통해 각각의 설정치를 입력하지 않거나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S110)에서 사용자가 모드설정을 원하지 않는 경우 자동으로 설정되게 되는 값이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친 후 디지털 카메라부(100)의 촬영을 시작하는 시간인지를 판단하고(S200), 판단결과 촬영 시작시간이면 촬영명령을 디지털 카메라부(100)로 전송한 다음(S300) 디지털 카메라부(10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체크하여 판단하게 된다(S400).
이때,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파일로 변환하고(S500) 변환된 동영상파일을 기억장치(230)에 저장한 후(S600), 촬영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한다(S700).
이 과정(S700)에서의 판단결과, 촬영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다음 촬영시간인지를 판단하여(S800), 다음 촬영시간이 되었으면 또다시 디지털 카메라부(100)로 촬영명령을 전송하는 과정(S300)으로 되돌아 가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중 촬영 및 전송과정을 나타낸 순서도로서 디지털 카메라부(100)에서 이루어지는 제어과정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촬영전송과정은 먼저, 컴퓨터 장치(200)로부터 촬영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고(S910), 판단결과 촬영명령이 수신된 경우 한 프레임을 촬영하여(S920)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임시 기억장치(130)에 저장한다(S930).
이후, 전송을 원하는 영상의 크기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데(S940), 이 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전송을 원하는 영상의 크기가 결정된 경우 설정된 값으로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여(S950) 컴퓨터 장치(200)로 전송한다(S960).
전송 후에는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S970), 전송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다음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과정(S960)으로 제어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에 의하면, 디지털 카메라에 의해 정지화면으로 촬영된 꽃의 개화와 같은 현상을 연속적인 동작으로 표시되는 동영상으로 변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정의 디스플레이장치로 관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9)

  1. 영상을 촬영하여 임시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한편,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소정의 명령에 의해 외부로 전송하는 디지털 카메라부, 및 외부명령에 따라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를 제어하여 영상 데이터를 촬영 및 전송하게 하고,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파일로 변환한 후,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컴퓨터 장치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부의 동작을 설정해주기 위한 설정명령을 입력하는 명령 입력부, 상기 명령 입력부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컴퓨터 장치 및 디지털 카메라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앙처리장치, 상기 중앙처리장치의 제어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장치, 및 상기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기억장치로 출력할 뿐만 아니라 디지털 카메라부와 제어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부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소정의 출력부를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4. 컴퓨터 장치에서 외부명령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가 구동되도록 제어하고, 디지털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동영상파일로 변환한 후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 및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에서 입력되는 컴퓨터 장치의 제어명령에 따라 디지털 카메라부에서 영상을 촬영,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촬영전송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카메라 제어 및 동영상파일 생성과정은, 외부에서 입력되는 설정값 또는 미리 정해진 값에 의해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제 1 과정, 디지털 카메라의 촬영을 시작하는 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의 판단결과, 촬영 시작시간이면 촬영명령을 디지털 카메라로 전송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3 과정의 수행 후, 디지털 카메라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는지의 여부를 판단하는 제 4 과정, 상기 제 4 과정의 판단결과, 영상 데이터가 수신되면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동영상파일로 변환하는 제 5 과정, 상기 제 5 과정에서 변환된 동영상파일을 기억장치에 저장하는 제 6 과정, 상기 제 6 과정의 수행 후, 촬영이 종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7 과정, 및 상기 제 7 과정의 판단결과, 촬영이 종료되지 않은 경우 다음 촬영시간인지를 판단하는 제 8 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6. 제5항이 있어서, 상기 제 1 과정은, 디지털 카메라의 동작모드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는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 상기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의 판단결과,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경우는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값을 외부에서 입력함으로써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외부동작모드 설정과정, 및 상기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의 판단결과, 동작모드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을 동작모드 설정값으로 정해줌으로써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내부 동작모드 설정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동작모드 설정과정은, 상기 모드 설정여부 판단과정의 판단결과, 동작모드를 설정하는 경우 촬영시작시간을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시작시간을 설정하는 경우는 촬영시작시간을 입력하고, 시작시간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하는 촬영시작시간 설정과정, 촬영시작시간 설정 후 촬영종료시간을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종료시간을 설정하는 경우 촬영종료시간을 입력하는 촬영종료시간 설정과정, 촬영종료시간 설정 후 촬영간격을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촬영간격을 설정하는 경우는 촬영간격을 입력하고, 촬영간격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하는 촬영간격 설정과정, 및 촬영간격 설정 후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의 크기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수신영상의 크기를 설정하는 경우는 수신하고자 하는 영상의 크기를 입력하고, 수신영상의 크기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하는 수신영상크기 설정과정으르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종료시간 설정과정에서의 판단결과 촬영종료시간을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할 것인지를 판단하여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하는 경우는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입력하고, 촬영할 영상의 개수를 설정하지 않는 경우는 미리 정해진 값으로 설정하는 과정으로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전송과정은, 촬영명령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 상기 제 1 과정의 판단결과, 촬영명령이 수신된 경우 1 프레임을 촬영하는 제 2 과정, 상기 제 2 과정에서 촬영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제 3 과정, 상기 제 3 과정의 수행 후, 전송을 원하는 영상의 크기가 설정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4 과정, 상기 제 4 과정의 판단결과, 전송을 원하는 영상의 크기가 결정된 경우 설정된 값으로 영상의 크기를 변환하는 제 5 과정, 상기 제 5 과정의 수행 후, 영상 데이터를 컴퓨터 장치로 전송하는 제 6 과정, 및 영상 데이터의 전송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는 제 7 과정으로 디지털 카메라가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방법.
KR1019970064587A 1997-11-29 1997-11-29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KR1002684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587A KR100268470B1 (ko) 1997-11-29 1997-11-29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587A KR100268470B1 (ko) 1997-11-29 1997-11-29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565A true KR19990043565A (ko) 1999-06-15
KR100268470B1 KR100268470B1 (ko) 2000-10-16

Family

ID=19526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587A KR100268470B1 (ko) 1997-11-29 1997-11-29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684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16B1 (ko) * 2002-02-22 2005-11-17 주식회사 렛스비전 디지털 카메라용 동영상 모듈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216B1 (ko) * 2002-02-22 2005-11-17 주식회사 렛스비전 디지털 카메라용 동영상 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8470B1 (ko) 2000-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188431B1 (en) Electronic still camera and method for communication between electronic still cameras
JP3542653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における画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
US7388605B2 (en) Still image capturing of user-selected portions of image frames
US20040080653A1 (en)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JP3822380B2 (ja) 画像信号処理装置
JP2001169167A (ja) 電子カメラ
EP1484916A2 (en) Camera Apparatus
EP1484917A2 (en) Camera apparatus
JP2011077654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3812264B2 (ja) 撮像装置
KR100268470B1 (ko)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동영상파일 생성장치 및 방법
JP4244539B2 (ja) カメラの遠隔制御方法及びカメラシステム
JP2006340150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における画像一覧更新方法
JP3721927B2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記録媒体
JP2005045511A (ja) 立体撮影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1197346A (ja) 電子カメラ
JP2020058047A (ja) 電子機器
JPH1010813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KR19990070408A (ko) 영상정보를 송신하는 디지털 스틸 카메라 및 그 송신 방법
JP4226813B2 (ja) デジタルカメラ、情報提示方法、及び記録媒体
JP2004153369A (ja) デジタルカメラ及びバックアップ装置
JP6635210B2 (ja) 電子機器
KR100402927B1 (ko) 디지탈 카메라의 다중 화면 표시 방법
JP2005229538A (ja) デジタルカメラシステム
JP2004078075A (ja) オンスクリーンディスプレ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7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