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3134A -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3134A
KR19990043134A KR1019970064121A KR19970064121A KR19990043134A KR 19990043134 A KR19990043134 A KR 19990043134A KR 1019970064121 A KR1019970064121 A KR 1019970064121A KR 19970064121 A KR19970064121 A KR 19970064121A KR 19990043134 A KR19990043134 A KR 199900431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ice
ice making
making tray
refrig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41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류상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41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3134A/ko
Publication of KR19990043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3134A/ko

Links

Landscapes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갖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빙트레이는 다수의 물저장용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와 제어부를 상호 신호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고, 냉장고는, 상기 제빙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얼음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저수된 물의 양을 감지하고, 소정의 기준테이터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저수된 물의 양이 상기 소정의 기준테이터량 이상일 때, 상기 외부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되고,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질 수 있어 제작단가를 낮출수 있다.

Description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
본 발명은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냉장고가 점차적으로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러한 냉장고들 중에는 얼음제조용 제빙기를 가지는 것도 제안되어 있다. 얼음제조용 제빙기(31)는, 도 6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물을 저장시키는 제빙트레이(33)와, 제빙트레이(33)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을 외부로 이탈시키는 이빙모터부(35), 그리고, 이빙모터부(35)의 작동으로 제빙트레이(33)로부터 이탈되는 얼음을 저장시키는 얼음그릇(37)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얼음제조용 제빙기(31)를 가지는 냉장고에는, 얼음제조용 물을 급수하는 급수장치(41)가 설치되어 있다.
급수장치(31)는, 외부 수도꼭지등과 연결되는 급수관(43)과, 이 급수관(43)을 개폐시키는 급수밸브(47), 그리고, 급수밸브(47)를 통해 공급되는 급수의 양을 조절하는 급수량 조절부(45)를 가지고 있다. 외부로 부터의 급수는 수압에 따라 시간당 급수량이 다르고, 냉장고내에 수용되는 제빙트레이(33)는, 도 7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소정의 크기를가지고 있어서 저수되는 물의 양이 일정하기 때문에, 이를 위해 사용자가 급수량 조절부(45)의 도시않은 조절스위치를 조작하여 소정 시간당 급수량을 조절함으로써, 급수시 제빙트레이(33)에 물의 넘침을 방지하는 것이다.
그런데, 제빙기(31)를 가지는 종래의 냉장고에서는, 제빙트레이(31)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하여 급수량 조절부(45)등을 필연적으로 포함하여야 하는 이유 때문에, 복잡한 구성을 가지며, 이 때, 수도꼭지나 수도관으로부터 공급되는 급수의 수압에 따라 사용자가 일일이 수동적으로 그 급수량을 조절하여야 하여야 하므로 불편함이 있다. 또한, 비교적 고가로 제작되는 급수량 조절부(45)는 제빙기(31)의 제작단가를 상승시킴을 물론, 경우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파손시 수리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이러한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제빙트레이에 급수되는 물의 양을 사용자가 일일이 조절할 필요가 없도록 한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방시의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절취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서도,
도 6은 종래의 제빙트레이가 장착되어 있는 제빙기의 개략적 구성도,
도 7은 종래의 제빙트레이의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냉장고 3 : 본체케이싱
5 : 냉각실 11 : 중간격벽
13 : 선반 15 : 식품수용실
17, 19 : 도어 31 : 제빙기
33 : 제빙트레이 34 : 저수실
38 : 압력센서 39 : 배선
41 : 급수장치 47 : 급수밸브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냉동실내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여 얼음으로 형성하는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에 있어서, 다수의 물저장용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와 제어부를 상호 신호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에 의하여 달성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른면, 상기 목적은,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 1항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얼음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분야에 따르면, 상기 목적은, 냉동실을 가지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 제 1항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얼음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저수된 물의 양을 감지하고, 소정의 기준테이터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저수된 물의 양이 상기 소정의 기준테이터량 이상일 때, 상기 외부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의하여 달성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종래의 동일구성 및 명칭에 대해서는 동일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도어개방시의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냉장고는, 중간격벽(11)에 의하여 좌우로 구획된 한 쌍의 냉각실(5, 이하에서는 상대적으로 저온인 일측을 냉동실(7)이라 하고 타측을 냉장실(9)이라 한다.)을 가지는 본체(3)와, 각 냉각실(5)의 개구면를 회동개폐하는 도어(17, 19)를 가지고 있다. 각 냉각실(5)에는 그 상하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다수의 선반(13)이 수평하게 배치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이들 사이에 다수의 식품수용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하부영역에는 층상으로 배열된 다수의 인출철회가능한 서랍식 식품수용실(15)이 설치되어 있다.
냉동실(7)내의 상부영역에는, 종래의 도 6과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얼음은 제조하는 제빙기(31)가 설치되어 있다. 제빙기(31)는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내에 수평방향으로 지지되는 제빙트레이(33)와, 이 제빙트레이(33)를 회전구동시키는 이빙모터부(35), 그리고, 이빙모터부(35)의 작동으로 제빙트레이(33)로 부터의 이탈되는 얼음을 수령하여 저장하는 얼음그릇(37)을 가지고 있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절취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제빙트레이(33)는 행렬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는 다수의 물저장용 저수실(34)을 가지며, 저수실(34)의 바닥면에는 압력센서(38)가 설치되어 있다. 압력센서(38)는 외부로 인출되는 배선(39)으로 연결되어 있고, 이러한 배선(39)은 도시않은 제어부에 신호 전달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들 압력센서(38)와 배선(39)은 제빙트레이(33)의 사출시 인서트(Insert)사출함으로써 간단히 제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애 따른 제빙트레이(33)에서는, 모서리측 영역의 양측 저수실의 바닥면에 압력센서(38)가 마련되어 있다. 이러한 제빙트레이(33)는, 압력센서(38)가 설치되어 있는 모서리측 저수실(34)이 외부로 부터의 급수가 유출되는 도시않은 급수구로부터 가장 먼 위치에 배치되도록 제빙기(31)의 케이싱에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각 저수실(34)에 급수가 순차적으로 채워지고, 압력센서(38)가 바닥면에 설치되어 있는 저수실(34)에 급수가 가장 나중에 채워지도록 함으로써, 압력센서(38)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도시않은 제어부는 후술할 제어순서에 따라 급수밸브 및 냉동사이클을 제어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블록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냉장고(1)는, 외부로 부터의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52)와, 사용자가 기기의 작동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53), 조작부(53)로 부터의 출력신호를 인가하여 냉동시스템(54) 및 제빙기(31)등의 기기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1), 그리고, 표시부(55) 및 부저발생부(5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로 부터의 전원이 인가되면, 지지의 작동상태는 초기설정값으로 셋팅된다(S1). 사용자가 조작부(53)를 조작하여 각 냉각실내의 온도등을 설정하면, 제어부(51)는 냉동시스템(54)을 작동제어하여, 냉각실(5) 즉, 냉동실(7)과 냉장실(9)내를 설정온도에 해당하는 온도로 유지시킨다(S2). 이러한 냉장고(1)의 작동중에 제어부(51)는, 급수밸브(37)를 개방시켜 제빙트레이(33)에 제빙을 위한 물을 급수시킨다(S3). 이에 따라, 제빙트레이(33)에 급수가 진행되면, 제빙트레이(33)에 마련된 압력센서(38)는 급수되는 물의 양에 따라 미소변형하여, 단위면적당 가해지는 힘에 해당하는 출력신호를 제어부(51)에 보낸다. 이 때, 제어부(51)는 이 출력신호에 기초하여 제빙트레이(33)의 급수상태를 확인한다(S4).
한편, 제어부(51)에는 제빙트레이내의 소정 급수량에 관한 기준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그래서, 소정의 기준데이터량과 제빙트레이(33)의 급수량을 비교한 다음(S5), 제빙트레이내에 물이 저수되지 아니한 경우나 물이 저수되었다 하더라도 소정 기준데이터량 이하인 경우, 급수밸브(47)의 개방상태를 유지시킨다. 한편, 제빙트레이(33)에 급수되는 물의 양이 소정의 기준데이터량 이상이 되면, 급수밸브(37)를 차단시켜 외부로 부터의 급수를 중단시킨다.
그러면, 냉각실내를 사용자가 설정한 온도로 유지시키는 냉동시스템(54)의 작동으로, 제빙트레이내에 저장된 물은 얼음으로 형성된다. 한편, 제빙트레이내의 제빙상태는 도시않은 온도감지센서로 부터의 온도신호에 의해 감지되며(S7), 제빙트레이(33)의 온도가 일정온도에서 소정시간 이상 경과하면(S8), 제어부(51)는 이빙모터부(31)를 구동시켜 제빙트레이내의 얼음을 얼음그릇으로 이탈시킨다(S7). 그런 다음, 제어부(51)는 다시 급수밸브(37)를 개방시켜(S3), 제빙트레이내에 외부로 부터의 물을 재급수시키고, 상기와 같은 순서를 따라 얼음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수행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가지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작할 수 있으며, 급수되는 물의 양을 조절하기 위해 사용자가 수작업으로 조작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제거된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 제어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3)

  1. 냉동실내에 수용되어, 외부로부터 급수되는 물을 저장하여 얼음으로 형성하는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에 있어서,
    다수의 물저장용 저수실과;
    상기 저수실의 일측 바닥면에 설치되는 압력센서와;
    상기 압력센서와 제어부를 상호 신호전달가능하게 연결하는 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2. 냉장고에 있어서,
    상기 제 1항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트레이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얼음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급수밸브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급수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3. 냉동실을 가지는 냉장고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냉동실에 제 1항에 따른 냉장고용 제빙트레이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얼음제조를 위한 물을 공급하는 단계와;
    상기 제빙트레이에 설치되어 있는 압력센서로 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내부에 저수된 물의 양을 감지하고, 소정의 기준테이터량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저수된 물의 양이 상기 소정의 기준테이터량 이상일 때, 상기 외부로부터의 물의 공급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19970064121A 1997-11-28 1997-11-28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KR199900431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121A KR19990043134A (ko) 1997-11-28 1997-11-28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4121A KR19990043134A (ko) 1997-11-28 1997-11-28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3134A true KR19990043134A (ko) 1999-06-15

Family

ID=660941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4121A KR19990043134A (ko) 1997-11-28 1997-11-28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3134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042B1 (ko) * 2006-12-29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 트레이
KR101320727B1 (ko) * 2006-08-24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뱅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20727B1 (ko) * 2006-08-24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뱅크
KR100863042B1 (ko) * 2006-12-29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 트레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5767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EP1684036B1 (e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US7677055B2 (en) Refrigerator
EP2730865B1 (en) Refrigerator
EP2096383B1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ice making assembly for a refrigerator
US7100379B2 (en) Water supply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ce maker
KR100412948B1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급수량 표시장치 및 방법
KR101182276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US6655158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boosting ice rate formation in a refrigerator
KR101512123B1 (ko) 냉장고
JPH1123121A (ja) 冷蔵庫用自動製氷装置
KR20090092384A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수위 감지방법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KR19990043134A (ko)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JP4004722B2 (ja) 冷蔵庫
US20220282898A1 (en) Appliance with dual ice makers
KR101389674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KR19990043131A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12771327A (zh) 冰箱
KR100234962B1 (ko) 제빙기의 급수조절장치
KR101500732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의 제빙 완료 판단 방법
KR19980056367A (ko) 제빙기의 급수조절장치 및 그 방법
KR20080108188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090092387A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물넘침 방지방법
KR2011000934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