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20727B1 - 아이스 뱅크 - Google Patents

아이스 뱅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20727B1
KR101320727B1 KR1020060080366A KR20060080366A KR101320727B1 KR 101320727 B1 KR101320727 B1 KR 101320727B1 KR 1020060080366 A KR1020060080366 A KR 1020060080366A KR 20060080366 A KR20060080366 A KR 20060080366A KR 101320727 B1 KR101320727 B1 KR 1013207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bank
ice bank
mak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60080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8365A (ko
Inventor
김용수
김영진
이철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600803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20727B1/ko
Publication of KR200800183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83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207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207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18Storing ice
    • F25C5/182Ice bins therefor
    • F25C5/187Ice bins therefor with ice level sens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700/00Sensing or detecting of parameters; Sensors therefor
    • F25C2700/02Level of 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에 이용되는 아이스 뱅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는 얼음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만빙 레버 없는 구성이 간단한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가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에 기계적으로 구속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이스 뱅크, 압력 센서, 만빙 감지

Description

아이스 뱅크{Ice bank}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제빙기 6: 아이스 뱅크
7: 얼음 디스펜스 30: 케이스
32, 34: 압력센서
h: 만빙 위치
본 발명은 냉장고에 이용되는 아이스 뱅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아이스 뱅크에 수용될 때,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되는 아이스 뱅크에 관한 것이다.
제빙기는 얼음이 제조되는 기기로서, 냉장고의 내부 또는 도어에 부설되어 적절한 크기로 얼음이 제조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도록 한다. 근래 들어서는 사용자의 취향이 고급화됨에 따라서 냉장고의 내부에 제빙기가 고정형으로 장착되는 추세다. 그리고, 아이스 뱅크 또는 아이스 빈(ice bin)은 상기 제빙기에서 제조된 얼음이 수용되도록 하는 기기로서, 사용자가 많은 양의 얼음이 필요할 때에도 적절히 공급할 수 있도록 다량의 얼음을 저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이스 뱅크에 많은 양의 얼음이 저장되어 만빙되는 경우에, 아이스 뱅크 자체에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이 없었다.
특히, 상기 제빙기 및 아이스 뱅크가 냉장고의 도어 내에 고정되는 방식인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의 경우, 제빙기 자체에 만빙 감지 레버와 홀 소자를 사용하여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였다.
아이스 뱅크에 얼음이 저장되면 만빙 레버가 회전하여 아이스 뱅크 내부의 쌓여진 얼음과 만나게 된다. 만약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이 설정된 만빙 수준보다 적을 경우에는 만빙 레버가 회전할 때 레버와 얼음이 만나지 않아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다. 그러나, 얼음이 만빙 수준 이상이 되면 만빙 레버에 얼음이 걸려서 회전되지 않아 만빙을 감지한다.
따라서, 종래의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는 얼음이 아이스 뱅크 내에서 만빙 수준 이상이 된 경우 만빙 레버에 얼음이 걸려서 회전되지 않는 특성을 이용하여 만빙을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은 아이스 뱅크에 거의 만빙 위치까지 얼음이 쌓인 경우, 만빙 감지 레버가 회전할 때 얼음 사이를 지나갈 수 있어 만빙 감지 오류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얼음 사이를 지나가지 못한 상태에서 결빙이 생기는 경우 만빙 레버의 기계적 구속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아이스 뱅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가능한 아이스 뱅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아이스 뱅크의 구조를 개선하여, 아이스 뱅크 자체에서 얼음의 만빙을 감지할 수 있는 아이스 뱅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는 얼음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상기 케이스는 상기 만빙 높이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상기 감지부는 상기 만빙 높이에서 스트립 형상으로 둘러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만빙 레버 없는 구성이 간단한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가 아이스 뱅크 내의 얼음에 기계적으로 구속되는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가 적용되는 냉장고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가 적용되는 냉장고(1)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기 및 증발기 등의 부품으로 구성되는 소정 냉동 사이클을 이용하여 내부에 음식물이 보관되는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1)는 영상의 온도에서 음식물이 차게 보관되는 냉장실(2)과, 영하의 온도에서 얼음 등과 같은 음식물이 보관되는 냉동실(3)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3)의 내부에 얼음이 제조되는 제빙기(5)와, 상기 제빙기(5)에서 제조되는 얼음이 축적 보관되는 아이스 뱅크(6)와, 상기 아이스 뱅크(6)에 보관되는 얼음이 사용자가 원하는 때에 적절히 공급되도록 하는 얼음 디스펜서(7)를 포함한다.
상기 제빙기(5)와 관련되는 구성의 동작을 간단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제빙기(5)로 적절한 양의 물이 급수된 뒤에, 제빙기(5)로 냉기가 공급된다. 그리고, 공급된 냉기에 의해서 제빙기(5)에서 얼음이 제조된 뒤에는, 제빙기의 자체적인 동작에 의해서 얼음이 분리되어 아이스 뱅크(6)로 자유 낙하되어 수용된다. 그리고, 상기 아이스 뱅크(6)에 수용된 얼음은 사용자가 요구할 때마다, 원하는 양만큼 얼음 디스펜서(7)에 의해서 사용자에게 공급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제빙기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도시된 제빙기(5)는 냉장고(1) 내부의 냉기를 이용해 얼음을 제조하는 물품이다. 상기 제빙기(5)는 외부로부터 물이 급수되는 급수부(12)와, 얼음이 제빙되는 제빙실(13)과, 상기 제빙실(13)의 내부에서 제조된 얼음이 분리되는 이젝터(14)와, 상기 이젝터(14)가 회전되도록 하는 다수의 부품이 내장되는 제어박스(11)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후방에는 제빙기(5)가 냉장고의 내부에 안착되기 위한 안착부(19)가 형성된다.
상세히, 상기 이젝터(14)는 상기 제어박스(11)의 외측으로 연장되어 회전운동을 하는 축(15)과, 상기 축(15)의 외측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축(15)의 회전운동에 의해서 얼음을 퍼 올리는 연장부(16)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내부에는 제빙실(13)의 큰 공간이 다수의 작은 공간으로 구획되어 얼음의 크기가 조절되도록 하는 구획 돌기(20)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상측에는 상기 이젝터(14)에 의해서 퍼 올려진 얼음이 아이스 뱅크(6)로 안내되어 떨어지도록 하는 세퍼레이터(17)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빙실(13)의 하측에는 얼음과 제빙실(13) 내주면의 계면이 상호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열이 인가되는 히터(미도시)가 설치된다.
상술된 구성을 참조하여 상기 제빙기(5)의 동작 내지 작용을 간단하게 설명한다.
먼저, 소정 형상의 급수관에 의해서 안내된 물이 상기 급수부(12)로 공급된다. 상기와 같이 급수된 물은 제빙실(13)의 내부로 유입되어, 상기 구획 돌기(20)에 의해서 구분되는 각각의 공간에 수용된다. 그리고, 영하의 냉기가 공급되어 제빙실(13) 내부에 수용된 물이 얼려진다.
상기되는 과정을 거치면서 제빙실(13) 내부의 물이 완전히 얼려진 뒤에는 제어박스(11) 내부에 놓이는 소정의 구동 기구에 의해서 이젝터(14)가 동작된다. 상세히, 상기 축(15)이 회전되고, 성가 축(15)의 회전은 상기 연장부(16)의 회전으로 연계되어 제빙실(13)의 내부에 얼려진 얼음이 제빙실(13)의 내주면을 따라서 퍼 올려진다. 상기 이젝터(14)가 동작되기 전에 히터에 의해서 열이 가하여져서 얼음과 제빙실(13)의 접면이 상호 박리되도록 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이젝터(14)에 의해서 얼음이 퍼 올려진 뒤에는, 얼음은 상기 세퍼레이터(17)에 의해서 안내되어 아이스 뱅크(6)의 내부로 떨어져서 축적된다.
상기되는 동작은 계속해서 반복 수행되어 아이스 뱅크(6) 내로 얼음이 계속하여 채워지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단면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아이스 뱅크(6)는 얼음(40)이 수용되는 내부공 간을 구비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 내의 만빙 높이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0)에는 상기 제빙기(5)로부터 이빙되는 얼음이 자유 낙하하여 그 내부공간에 쌓이면서 저장된다.
상기 케이스(30)는 만빙 높이(h)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어, 냉장고의 도어 내에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도어의 개폐에 대한 흔들림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압력센서(32)는 상기 케이스(30)의 만빙 높이(h)에 부착되는데, 소정 간격으로 복수로 부착될 수 있다.
아이스 뱅크(6)의 케이스(30) 내에 쌓인 얼음(40)이 상기 압력센서(32) 상부에까지 쌓이게 되면 압력 센서에 얼음의 하중이 작용하게 되고, 압력센서(32)가 가압상태로 인식하게 되어 만빙 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아이스 뱅크(6)의 형상을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상기 아이스 뱅크(6)의 바닥은 저면부(310)에 의해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310)의 둘레를 따라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측면부(320)에 의해서 얼음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측면부(320)의 상단에는 감지부(330)가 형성된다. 상기 감지부(330)는 상기 측면부(320)의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되어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감지부(330)의 높이는 만빙 높이(h)에 해당하며, 경사지게 절곡 또는 만곡 형성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감지부(330)까지 얼음이 위치하게 되면 얼음이 가득차게 되었음을 감지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감지부(330)에는 압력센서가 구비된다. 상기 압력센서(32)는 상기 감지부(330)를 따라서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뱅크(6)에 얼음이 만빙될 경우 얼음이 상기 압력센서(32)를 눌러 만빙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감지부(330)의 외측에는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340)가 형성된다.
제빙기(5)가 상기 만빙 신호를 감지하면, 제빙 동작을 중단하여 얼음 생산을 중단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하여 얼음이 만빙 감지 레벨 이하가 되면, 압력 센서(32) 상부에 쌓여진 얼음이 없어져서 가압 상태에서 해제되고, 제빙기는 제빙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얼음을 생산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일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의 사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아이스 뱅크(6)도 얼음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케이스(30), 상기 케이스(30) 내의 만빙 높이에 형성되는 감지부(330)에 부착되어, 상기 얼음(40)의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32)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30)도 만빙 높이(h)에서 외측으로 절곡 또는 만곡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만빙 높이(h)에서 압력센서(32)가 스트립 형상으로 부착되어 만빙 감지를 더욱 민감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아이스 뱅크(6)의 동작 또한 도 3의 아이스 뱅크의 동작과 유사하다. 제빙기(5)에서 얼음이 자유 낙하되어 아이스 뱅크(6)의 내부공간에 쌓이고, 만빙 위치까지 얼음(40)이 쌓이면, 압력센서(32)를 얼음이 가압하게 되고 만빙 신호를 출력한다.
제빙기(5)가 상기 만빙 신호를 감지하면, 제빙 동작을 중단하여 얼음 생산을 중단하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얼음을 사용하여 얼음이 만빙 감지 레벨 이하가 되면, 압력 센서(32) 상부에 쌓여진 얼음(40)이 없어져서 가압 상태에서 해제되고, 제빙기는 제빙 동작을 다시 수행하여 얼음을 생산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를 사용하지 않을 수 있는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에 적용함으로써, 만빙 레버 없는 구성이 간단한 이젝터 타입의 제빙기를 제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아이스 뱅크에 의하면, 만빙 레버로 발생할 수 있는 기계적 구속 문제를 없앨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제빙장치의 하방에 구비되며, 제빙된 얼음이 저장되는 아이스 뱅크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뱅크 내부에 설정된 임의의 만빙 높이에서 제빙된 얼음이 적층될 수 있도록 아이스 뱅크의 측면 둘레를 따라 외측방향으로 절곡되는 감지부;와
    상기 감지부에에 구비되며, 얼음의 적층시 압력에 의해 만빙을 감지하는 압력센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아이스 뱅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뱅크는,
    상기 아이스 뱅크의 바닥면을 형성하는 저면부와;
    상기 저면부의 둘레에서 상방으로 연장되어 얼음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측면부와;
    상기 측면부 보다 더 외측 상단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감지부는 상기 측면부와 연장부의 사이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뱅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뱅크.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감지부의 둘레를 따라서 배치되며, 스트립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뱅크.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센서는 상기 감지 높이에 소정간격으로 복수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이스 뱅크.
KR1020060080366A 2006-08-24 2006-08-24 아이스 뱅크 KR1013207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366A KR101320727B1 (ko) 2006-08-24 2006-08-24 아이스 뱅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60080366A KR101320727B1 (ko) 2006-08-24 2006-08-24 아이스 뱅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65A KR20080018365A (ko) 2008-02-28
KR101320727B1 true KR101320727B1 (ko) 2013-10-21

Family

ID=3938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60080366A KR101320727B1 (ko) 2006-08-24 2006-08-24 아이스 뱅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2072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134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KR100416907B1 (ko) * 2002-03-22 2004-02-05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버티컬 방식의 대형 제빙기 운용 제어 방법
JP2004085098A (ja) * 2002-08-27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組み込み自動製氷機用貯氷箱及び冷蔵庫
KR20050033729A (ko) * 2003-10-07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43134A (ko) * 1997-11-28 1999-06-15 윤종용 냉장고용 제빙트레이 및 이 제빙트레이를 가지는 냉장고와 그제어방법
KR100416907B1 (ko) * 2002-03-22 2004-02-05 주식회사 세아이엔씨 버티컬 방식의 대형 제빙기 운용 제어 방법
JP2004085098A (ja) * 2002-08-27 2004-03-18 Sanyo Electric Co Ltd 冷蔵庫組み込み自動製氷機用貯氷箱及び冷蔵庫
KR20050033729A (ko) * 2003-10-07 2005-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제빙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8365A (ko) 2008-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543161B2 (en) Ice maker with reversing condenser fan motor to maintain clean condenser
KR101658674B1 (ko) 얼음 저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56572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KR101535481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US7810346B2 (en) Icemake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KR100900287B1 (ko) 제빙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0845859B1 (ko) 얼음배출장치
KR101456571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및 그 만빙 감지 방법
KR101474439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의 센서 히터 제어 방법
US20130092707A1 (en) Ice storage container and refrigerator having same
KR101189452B1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080046849A (ko) 냉장고용 제빙기의 만빙 감지 구조
KR101320767B1 (ko)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KR10145165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320727B1 (ko) 아이스 뱅크
KR20060133729A (ko) 냉장고용 제빙장치
KR100722051B1 (ko) 냉장고용 아이스메이커 및 아이스메이커의 제어방법
KR100519304B1 (ko) 냉장고
KR100408573B1 (ko) 냉장고의 디스펜서 제어방법
KR101535483B1 (ko) 냉장고 제빙기의 만빙 감지 장치
KR101442838B1 (ko) 냉장고용 제빙 어셈블리 및 제빙 어셈블리의 물넘침 방지방법
KR100688163B1 (ko) 만빙 감지 장치
KR20050034419A (ko) 만빙 감지장치 및 그 감지 방법
KR20060107666A (ko) 아이스메이커
KR100600726B1 (ko) 냉장고의 제빙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