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2137A -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2137A
KR19990042137A KR1019970062857A KR19970062857A KR19990042137A KR 19990042137 A KR19990042137 A KR 19990042137A KR 1019970062857 A KR1019970062857 A KR 1019970062857A KR 19970062857 A KR19970062857 A KR 19970062857A KR 19990042137 A KR19990042137 A KR 199900421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hing machine
detection device
unbalance
switch
magnetic f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2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학실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628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42137A/ko
Priority to CN 98120771 priority patent/CN1218120A/zh
Priority to JP10284473A priority patent/JPH11197390A/ja
Publication of KR199900421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2137A/ko

Links

Landscapes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기구동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습기와 접점손상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동작소음을 없앨 수 있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에 의하여, 자기구동형 스위치인 리드스위치를 사용하여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를 구현하여 습기와 접점손상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동작소음을 없앨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장착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본 발명은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자기구동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습기와 접점손상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동작소음을 없앨 수 있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모터를 동력으로 하여 회전날개(펄셰이터라고도 함) 또는 교반기(에지 데이터)를 구동하여 수류를 형성, 수류가 세탁물에 충격을 주어 세탁을 하도록 한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세탁기는 그 내부에 수조(13), 탈수조(14) 및 교반기(15)가 설치된 본체(10)가 마련되고, 본체(10)의 상부에는 그 상면에 덮개(12)가 마련된 상부커버(11)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수조(13)의 하방에는 동력모터(17)가 마련되고, 동력모터(17)의 일측에는 변속장치(16)가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세탁기는 동력모터(17)의 회전을 변속장치(16)가 변속하여 교반기(15)를 정, 역회전 시켜 세탁행정을 수행하게 하고, 탈수조(14)를 회전시켜 탈수행정을 수행하게 한다.
한편, 탈수행정시 발생될 수 있는 언밸런스에 의한 탈수조(14) 및 수조(13)의 불규칙운동을 제어할 장치가 필요하였다. 그래서 언밸런스 감지스위치가 상부커버(11)의 일측에 마련되어 있다.
탈수행정시 언밸런스에 의하여 탈수조(14)의 불규칙운동이 발생하면 수조(13)가 흔들리게 된다. 수조(13)가 흔들리면 수조(13)의 상측부가 언밸런스 스위치(1)를 밀어서 온(ON)시키고 다시 원 위치로 복구되면서 언밸런스 스위치(1)를 오프시킨다. 언밸런스에 의하여 불규칙운동을 하는 탈수조(14)의 회전에 따라서 수조(13)가 흔들리게 되고 그에 따라 언밸런스 스위치(1)는 간헐적으로 온(ON)/오프(OFF)된다.
언밸런스 스위치(1)가 온(ON)되면 하이(High)를 유지하던 마이컴(20)으로 입력신호가 로우(LOW)로 떨어지는데 하이신호와 로우 신호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면서 마이컴(20)으로 입력된다.
마이컴(20)은 언밸런스 스위치(1)로 부터의 입력에 따라서 언밸런스를 감지한다. 언밸런스 스위치(1)로부터 마이컴(20)으로 입력되는 신호가 하이를 유지하다가 하이신호와 로우 신호가 불규칙하게 반복되면 마이컴(20)은 언밸런스를 감지하고 모터구동부(30)를 정지시켜 동력모터(17)의 회전을 정지시킨다.
그러나 종래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는 기계적인 동작으로 구동되는데 반복적인 동작시 스위치의 접점이 손상될 수 있으며, 습기에 의하여 접점이 소손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오동작을 일으킬 우려가 있어서 제품의 신뢰도가 떨어졌다. 또한 언밸런스 스위치 동작시 동작소음을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자기구동형 스위치를 사용하여 습기와 접점손상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동작소음을 없앨 수 있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자기구동형 스위치에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자기구동형 스위치에 자기장이 인가되었을 때의 동작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3:수조 14:탈수조 17:모터 30:모터구동부
40:자석 50:리드스위치 60:마이컴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 동력모터의 회전을 변속하는 변속기, 변속기에 연결되어 탈수를 행하는 탈수조, 탈수조의 외측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 자장발생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언밸런스신호를 출력하는 자기구동형스위치, 자기구동형스위치가 출력하는 언밸런스신호를 입력으로 받아서 탈수조의 언밸런스 여부를 판단하여 동력모터를 온/오프 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양호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겠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가 구비된 세탁기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자기구동형 스위치에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았을 때의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자기구동형 스위치에 자기장이 인가되었을 때의 동작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는 그 내부에 수조(13), 탈수조(14) 및 교반기(15)가 설치된 본체(10)가 마련되고, 본체(10)의 상부에는 그 상면에 덮개(12)가 마련된 상부커버(11)가 결합 설치되어 있다. 수조(13)의 하방에는 동력모터(17)가 마련되고, 동력모터(17)의 일측에는 변속장치(16)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수조(13)의 일측에는 자석(40)이 구비되어 있으며 그 자석(40)이 발생시키는 자기장에 의하여 온/오프되는 자기구동형스위치, 즉 리드스위치(50)가 마련되어 있다.
한편, 리드 스위치(50)는 자성재료를 프레스 가공한 리드편(51)(52)에 적당한 오버랩과 갭을 가지게 하여 불활성 가스(53)와 함께 유리관(54) 내에 봉입한 자기 구동형 스위치이다. 리드 스위치(50)의 종류를 기능별로 분류하면, 자계를 가하면 쇼트되는 A형(make type), 자계를 가하면 개방되는 B형(brake type), 자계를 가하면 트랜스퍼 동작을 하는 C형,D형(transfer type)등이 있다. 리드 스위치는 접점이 유리로 봉입되어 있어서 접점 장해등의 영향을 받지 않으며, 응답속도가 빠르고 습기침투의 염려가 없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리드 스위치의 종류는 자계를 가하면 쇼트되는 A형(make type)이다.
세탁물의 세탁행정이 종료하면 탈수행정을 하게된다. 탈수시 탈수조(14)가 언밸런스에 의하여 불규칙운동을 하면 탈수조(14)는 좌우요동을 하게된다. 탈수조(14)가 좌우요동을 하게되면 그에 따라서 정상적인 상태에서 흔들림이 없었던 수조(13)가 흔들리게 된다(도 4의 가, 나 방향). 수조(13)가 흔들리게 되면 수조(13)의 흔들림에 따라서 수조(13)의 외측에 부착되어 있는 자석(40)이 리드스위치(50)로 접근(도 4의 가 방향)하였다가 멀어지는(도 4의 나 방향)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언밸런스에 의하여 자석(40)이 리드스위치(50)쪽으로 소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즉 탈수조(14)가 언밸런스에 의하여 불규칙회전운동을 하게되어 수조(13)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40)이 소정거리 이내로 리드스위치(50)로 근접하면 리드스위치(50)가 온(ON)된다.
리드스위치가 온(ON)되면 전원(Vcc)에 의하여 하이(High)를 유지하던 마이컴(60)으로 입력되던 언밸런스신호가 로우(Low)로 떨어진다. 그때, 마이컴(60)은 언밸런스가 발생하였다고 판단한다.
언밸런스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마이컴(60)은 탈수행정을 중지시킨다. 다시 말하여 마이컴은 모터구동부(30)를 오프(OFF)시켜 모터(17)를 정지시킨다.
도 5, 도 6을 참조하여 리드스위치의 온(ON)/오프(OFF) 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탈수조(14)가 언밸런스 없이 정상적으로 탈수행정이 이루어지면 수조(13)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40)과 리드스위치(50)는 일정거리를 유지하게 된다. 전술한 자석(40)과 리드스위치(50)사이의 일정거리는 자석(40)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이 리드스위치(50)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거리이다. 이때 리드스위치(50)는 자기장의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오프(OFF), 즉 접점이 오픈(Open)(도 5의 다)상태가 되는데 도 5에 도시하였듯이 리드(51)와 리드(52)는 서로 떨어져 있다. 그렇게 되면 마이컴(60)으로는 전원(Vcc)에 의하여 하이(High)신호가 출력된다.
그런데 탈수행정시에 언밸런스가 발생하게 되면 탈수조(14)가 불규칙회전운동을 하게 된다. 탈수조(14)가 불규칙회전운동을 하게 되면 수조(13)가 흔들리게 되어 리드스위치(50)와 일정거리를 유지하던 수조(13)의 외측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40)이 리드스위치(50)쪽으로 접근하게 된다. 그에 따라서 자석(40)과 리드스위치(50)사이의 거리가 소정거리 이내가 되면 자석(40)에 의하여 발생하는 자기장이 리드스위치(50)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자기장의 영향을 받은 리드스위치(50)는 다음과 같은 동작을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리드스위치(50)는 자석(40)이 떨어져 있어서 자기장이 인가되지 않을 때 리드(51)(52)사이의 접점이 떨어져 있는(도 5의 다) 노멀오픈(Normal open) 타입(Type)이다.
자기장의 영향을 받은 리드스위치(50)의 리드(51)는 자성체이므로 자석(40)의 영향을 받아 자화된다. 리드(52) 역시 자석(40)이 접근하므로 자계의 영향을 받아 자화되는데 리드(51)과는 반대의 극성으로 자화된다. 그래서 리드(51) 과 리드(52) 사이에는 서로 당기는 인력이 발생한다. 그 인력에 의하여 리드(51)와 리드(52)는 서로 겹치는 부분만큼 접촉(도 6의 라)하게 된다. 그때 마이컴(60)으로 로우가 인가된다.
언밸런스가 발생하여 탈수조(13)가 불규칙회전운동을 하면 그에 따라 수조(13)가 흔들리게 되며, 수조(13)가 흔들리면 수조(13)에 마련되어 있는 자석(40)이 리드스위치(50)로 근접하였다가 멀어져서 전술한 리드스위치(50)의 동작이 반복된다.
그리하여 마이컴(60)으로 입력되는 언밸런스신호가 하이에서 로우로 또는 로우에서 하이로 반복 변환된다. 그때 마이컴(60)은 모터구동부(30)를 오프시켜 모터(17)를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에 의하여, 자기구동형 스위치인 리드스위치를 사용하여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를 구현하여 습기와 접점손상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하고 동작소음을 없앨 수 있어서 장치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언밸런스 감지 장치의 부피가 줄어들게 되어 장착이 용이하다.

Claims (2)

  1. 동력을 발생시키는 동력모터,
    상기 동력모터의 회전을 변속하는 변속기,
    상기 변속기에 연결되어 탈수를 행하는 탈수조,
    상기 탈수조의 외측에 구비되어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장발생부,
    상기 자장발생부와의 거리에 따라서 언밸런스신호를 출력하는 자기구동형스위치,
    상기 자기구동형스위치가 출력하는 상기 언밸런스신호를 입력으로 받아서 상기 탈수조의 언밸런스 여부를 판단하여 상기 동력모터를 온/오프 시키는 마이컴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구동형스위치는 언밸런스에 의하여 상기 탈수조가 불규칙회전운동을 하여 상기 탈수조에 구비된 자장발생부가 소정거리 이내로 근접하면 상기 마이컴으로 상기 언밸런스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KR1019970062857A 1997-11-25 1997-11-25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KR1999004213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57A KR19990042137A (ko) 1997-11-25 1997-11-25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CN 98120771 CN1218120A (zh) 1997-11-25 1998-09-29 洗衣机
JP10284473A JPH11197390A (ja) 1997-11-25 1998-10-06 洗濯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2857A KR19990042137A (ko) 1997-11-25 1997-11-25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2137A true KR19990042137A (ko) 1999-06-15

Family

ID=660940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2857A KR19990042137A (ko) 1997-11-25 1997-11-25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4213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78B1 (ko) * 2002-09-24 2005-03-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탈수조 진동방지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78878B1 (ko) * 2002-09-24 2005-03-25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세탁기의 탈수조 진동방지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226342B (en) Liquid injection device
KR20010097203A (ko) 펄세이터 방식 세탁기용 모터
KR900000581A (ko) 드로틀 작동기 제어 장치
KR19990042137A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감지 장치
KR870004186A (ko) 재봉틀 구동장치
KR19990042139A (ko) 세탁기의 덮개열림 및 언밸런스 감지장치와 제어방법
DK0423638T3 (da) Sikkerhedskreds for elektromotorisk drevne og elektrisk indkoblelige bremse- og stopindretninger for svingmasser eller maskindele
JPH11197390A (ja) 洗濯機
KR950005185Y1 (ko) 홀 센서(hall sensor)를 이용한 도어개폐 감지장치
KR860008540A (ko) 테이프 이송기구에서 테이크업 리일의 역회전을 검출하는 자동 논리회로장치와 테이프 덱크
KR910006554A (ko) 세탁기 뚜껑의 자동 개폐장치
KR910000297A (ko) 공작기계의 주축구동 장치
KR950003525A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모타 제조방법
KR900000791Y1 (ko) 세탁기의 탈수조운전 제어장치
KR960018231A (ko) 요동 밸브형 콘크리트 펌프
KR960002926B1 (ko) 제직기의 저속 및 고속제어장치
KR910008679A (ko) 다기능 메카포지션 확장제어장치 및 방법
KR0125602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KR0147217B1 (ko) 세탁기의 뚜껑개폐 감지장치
ES2022136B3 (es) Dispositivo de mando de motor de arrastre del tambor de una lavadora.
JP2000014199A5 (ko)
JPH0455914A (ja) 回転体のストロークエンド検出装置
KR0133459Y1 (ko) 수직 다관절 로보트의 동작 제한 장치
ES2134160A1 (es) Sistema de control de una maquina lavadora de ropa.
KR970027475A (ko) 세탁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