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5602Y1 -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 Google Patents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5602Y1
KR0125602Y1 KR2019930000735U KR930000735U KR0125602Y1 KR 0125602 Y1 KR0125602 Y1 KR 0125602Y1 KR 2019930000735 U KR2019930000735 U KR 2019930000735U KR 930000735 U KR930000735 U KR 930000735U KR 0125602 Y1 KR0125602 Y1 KR 012560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witch
contact
tank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3000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9338U (ko
Inventor
맹창재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201993000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5602Y1/ko
Publication of KR94001933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933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560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5602Y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0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 D06F37/24Mountings, e.g. resilient mountings, for the rotary receptacle, motor, tub or casing; Preventing or damping vibrations in machines with a receptacle rotating or oscillating about a vertical axi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7/00Details specific to washing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21/00 - D06F25/00
    • D06F37/26Casings; Tu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02Operating parts, i.e. for operating driving mechanism by a mechanical force external to the swit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탈수행정시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일단에 접점이 구비된 상부접편과, 접점이 구비된 하부접편과, 상기 하부접편으로부터 연장되어서 하향으로 만곡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부와, 장봉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스위치부의 지지편을 지지하는 환형돌기가 중앙에 돌출됨과 동시에 상면이 평탄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환상의 받침판과, 연질의 쿠션재로 이루어진 스위치지지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쿠션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포위 설치하며, 상기 수조의 이상진동시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하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하부접편의 접점과 상기 상부접편의 접점이 오픈되어 전원이 단락되도록 하는 환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스위치작동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반구상을 갖는 지지부의 하측을 상향 지지하도록 중앙이 하향 만곡된 만곡홈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되는 한편 상하측 내경이 서로 상이하여 단차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과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받침판의 사이에 배설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평형유지부와; 상기 평형유지부의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위치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탈수행정시에 전후좌우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조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본 고안은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세탁기의 탈수행정시에 세탁조가 전후좌우의 어느 방향으로 과다하게 진동이 발생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세탁조의 회전을 정지시켜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1도는 세탁기의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로서, (10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이고, (200)은 세탁 및 헹굼, 그리고 탈수시에 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이며, (300)은 세탁 및 헹굼행정시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에 의해 정역회전되는 교반기이고, (400)은 탈수행정시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는 세탁조이며, (500)은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이다.
또, (600)은 상기 수조(500)로부터 이격설치 되어서 탈수행정시 상기 세탁조(400)에서 과다한 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수조(500)가 과다하게 진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탈수행정을 중단시키는 진동감지장치이고, (610)은 상기 수조(500)의 진동을 감지하는 레버이다.
또한, 상기 구동부(200)는, 동력을 발생시키는 모터(201)와, 상기 모터(201)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단속하여 상기 교반기(300) 혹은 상기 세탁조(400)로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201)와 풀리(202)에 의해 연결된 클러치(203)와, 상기 클러치(203)에서 단속된 동력이 상기 교반기(300) 혹은 세탁조(400)로 전달되도록 상기 클러치(203)에 돌출된 동력축(204)으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세탁기는, 세탁조(400) 내부에 세탁물을 수납시킨 후 세탁기를 작동시키면 제어프로그램, 혹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201)에서 동력이 발생되고, 이 모터(201)의 동력은 상기 풀리(202)를 통해서 상기 클러치(203)로 전달된다.
또, 상기 클러치(203)에서는 상기 모터(201)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단속하여 세탁 및 헹굼시에는 상기 교반기(300)가 정역회전되도록 하고, 탈수행정시에는 세탁조(400)가 회전되도록 한다.
즉, 세탁 및 헹굼시에는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이 상기 클러치(203)의 단속에 의해 상기 교반기(300)가 정역회전되어서 세탁물을 세탁 및 헹굼시키고, 탈수시에는 상기 구동부(200)의 동력이 상기 클러치(203)의 단속에 의해 상기 세탁조(400)가 고속으로 회전되어 세탁물을 탈수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탈수행정이 수행되기 전에 배수행정이 수행된다.
이와 같은 동작원리에 의해 일반적인 세탁기는 급수, 세탁, 배수, 탈수, 헹굼행정 등을 제어프로그램 또는 사용자의 세팅데이타 및 세탁물에 따라 일회이상 수회 반복하여서 수행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은 일반적인 세탁기에서 특히, 탈수행정시에 세탁물이 담겨진 상기 세탁조(400)가 고속회전될 경우 상기 세탁조(400)에서 진동이 발생되게 된다.
상기 세탁조(400)의 진동원인은 주로 상기 세탁조(400)에 담겨진 세탁물이 불균형하게 적재되거나, 혹은 세탁기의 안치상태가 평형을 이루지 못할 경우 발생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세탁조(400)가 진동되면 세탁기내부의 부품이 손상되는 것은 물론이고, 그에 따라 세탁기의 수명이 단축되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결점을 해소하고자 상기 수조(500)와 이격되게 진동감지장치(600)를 구비하여 상기 수조(500)가 과다하게 진동될 경우 스위치의 접점을 OFF시켜 탈수행정을 중지시키게 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세탁기에 장착되는 진동감지장치(600)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즉, 상기 진동감지장치(600)가 상기 수조(500)와 이격되어서 그 상단후방에 설치되므로써 탈수행정시 상기 수조(500)가 전후방으로 과다하게 진동될 경우만 상기 진동감지장치(600)가 제기능을 수행하게 되고, 상기 수조(500)가 좌우측으로 과다하게 진동될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종래의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는, 탈수행정시에 전후방향으로 과다한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고 좌우방향으로 과다한 진동이 발생될 경우에는 감지하지 못하므로써 제품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이고, 세탁기의 부품손상으로 세탁기의 수명이 단축된다는 등의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써, 본 고안의 목적은 세탁기의 탈수행정시 세탁조의 전후좌우로 발생되는 이상진동을 동시에 감지하여 세탁기의 내부 부품손상 및 수명단축의 요인을 해결할 수 있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는, 탈수행정시에 수조에서 발생되는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조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탈수행정 제어회로와 연결되며 일단에 접점이 구비된 상부접편과, 상기 상부접편과 연결된 탈수행정 제어회로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도록 상기 접점과 크로즈 혹은 오픈되는 접점이 구비된 하부접편과, 상기 하부접편으로부터 연장되어서 하향으로 만곡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편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부와; 탈수행정시 상기 수조가 이상진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하부접편의 접접과 상기 상부접편의 접점이 오픈되도록 상기 하부접편을 제어하며, 장봉형상의 지지봉과, 상기 지지봉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의 지지편을 지지하는 환형돌기가 중앙에 돌출됨과 동시에 상면이 평탄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하부에 형성된 환상의 받침판과, 상기 받침판이 형성된 상기 지지봉의 하단에 삽입 설치된 연질의 쿠션재로 이루어진 스위치지지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쿠션재를 일정간격을 두고 포위 설치하며 상기 수조의 이상진동시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하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위치부의 하부접편의 접점과 상기 상부접편의 접점이 오픈되어 전원이 단락되도록 하는 환고리가 구비되어 상기 수조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스위치 작동부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반구상을 갖는 지지부의 하측을 상향 지지하도록 중앙이 하향 만곡된 만곡홈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되는 한편 상하측 내경이 서로 상이하여 단차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와,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몸체의 내측과 상기 스위치지지부의 받침판의 사이에 배설된 탄성부재로 이루어진 평형유지부와; 상기 평형유지부의 몸체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위치부를 밀폐시키는 커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의하면, 탈수행정시에 전후좌우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조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도는 세탁기의 일부를 절결하여서 그 내부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제3도(a)는 제2도의 가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단면도.
제3도(b)는 제3도(a)의 평면도.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구성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위치부 10 : 하부접편
10' : 상부접편 11 : 접점
11' : 접점 12 : 지지편
2 : 스위치지지부 20 : 지지봉
21 : 지지부 21' : 환형돌기
22 : 받침판 23 : 쿠션재
3 : 평형유지부 30 : 몸체
30' : 만곡홈 31 : 탄성부재
4 : 스위치작동부 40 : 환고리
5 : 커버
이하,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가 장착된 세탁기의 내부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고, 제3a도는 제2도의 가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면이며, 제3b도는 제3a도의 평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에 적용되는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의 동작상태를 도시한 단면구성도이다.
제2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100)은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시키는 본체이고, (400)은 상기 본체(100)의 내부에 배설되어서 탈수행정시에 고속회전되는 세탁조이며, (500)은 상기 세탁조(400)의 외측에 장착되어서 세탁수를 담수하는 수조이다.
또, (1)은 탈수행정 제어회로를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스위치부로써, 탈수행정 제어회로와 연결되며 일단에 접점(11')이 구비된 상부접편(10')과, 상기 상부접편(10')과 연결된 탈수행정 제어회로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상기 접점(11')과 크로즈 혹은 오픈되는 접점(11)이 구비된 하부접편(10)과, 상기 하부접편(10)으로부터 연장되어서 하향으로 만곡된 반원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편(1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위치부(1)의 하부에는 탈수행정시 상기 수조(500)가 이상진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하부접편(10)의 접점(11)과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이 오픈되도록 상기 하부접편(10)을 제어하는 스위치지지부(2)가 수직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위치지지부(2)는, 장봉형상의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1)의 지지편(12)을 지지하는 환형돌기(21')가 중앙에 돌출됨과 동시에 상면이 평탄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형성된 환상의 받침판(22)과, 상기 받침판(22)이 형성된 상기 지지봉(20)의 하단에 삽입 설치된 연질의 쿠션재(23)로 이루어져, 탈수행정시 상기 수조(500)가 이상진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하부접편(10)의 접점(11)과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이 오픈되도록 작동한다.
또,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하부에는 상기 수조(5)가 이상진동될 경우 이와 연동하여 이상진동되도록 상기 수조(5)와 일체적으로 조립된 스위치작동부(4)가 위치되어 있다.
즉, 상기 스위치작동부(4)는, 상기 수조(500)의 일측상단에 연장설치되며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쿠션재(23)를 일정간격을 두고 포위 설치하여 상기 수조(500)의 이상진동시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하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위치부(1)의 하부접편(10)의 접점(11)과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이 오픈되어 전원이 단락되도록 환고리(40)를 구비한다.
또,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지지부(21)의 하측에는 상기 스위치지지부(2)를 평형유지시키는 평형유지부(3)가 설치되어 있다.
즉, 상기 평형유지부(3)는,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반구상을 갖는 지지부(21)의 하측을 상향 지지하도록 중앙이 하향 만곡된 만곡홈(30')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되는 한편 상하측 내경이 서로 상이하여 단차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30)와,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몸체(30)의 내측과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받침판(22)의 사이에 배설된 탄성부재(31)로 이루어진다.
또, 상기 평형유지부(3)의 몸체(30)의 상측에는 상기 스위치부(1)를 밀폐시키는 커버(5)가 구비되어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의 전체적인 설치상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것으로, 이는 세탁기의 탈수행정을 수행하거나 또는 탈수행정을 수행하는 초기상태라 할 수 있다.
또, 상기 수조(500)로부터 연장설치된 상기 스위치작동부(4)의 환고리(40)에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지지봉(20)의 하단부 즉, 쿠션재(23)가 삽입된 상태이다.
한편, 이와 같은 상태에서 탈수행정이 수행되면, 상기 세탁조(400)는 고속회전되어서 진동이 발생되게 된다.
또, 상기 세탁조(400)에서 진동이 발생되면 상기 수조(500)로 전달되어 상기 수조(500)에서도 진동이 발생되고, 상기 수조(500)와 일체적으로 조립된 상기 스위치작동부(4)로 상기 수조(500)와 연동하여 진동된다.
이때, 상기 수조(500)에서 이상진동이 발생되어 상기 수조(500)가 과다하게 진동될 경우, 상기 수조(500)와 연동하는 상기 스위치작동부(4)도 과다하게 진동된다.
또, 상기 스위치작동부(4)가 과다하게 진동되면 상기 스위치작동부(4)의 환고리(40)에 삽입된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쿠션재(23)가 상기 수조(500)의 진동방향으로 밀리거나 당겨진다.
또한, 상기 수조(500)의 진동에 의해서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쿠션재(23)가 밀리거나 당겨지면,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지지봉(20)의 상부에 구비된 상기 환형돌기(21')는 상기 스위치부(1)의 지지편(12)으로부터 이격되어서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으로부터 상기 하부접편(10)의 접점(11)이 오픈되어 전원이 단락되게 된다.
따라서, 세탁행정시에 상기 수조(500)에서 과다한 진동이 발생될 경우 전원이 단락되어 상기 세탁조(400)의 회전이 정지된다.
한편, 상기 세탁조(400)의 회전이 정지되면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받침판(22)에 탄지된 상기 탄성부재(31)는 원상복귀되어서 상기 스위치지지부(2)를 상승시키므로서 상기 환형돌기(21')가 원위치로 위치되게 된다.
또, 상기 환형돌기(21')가 원위치로 복원되므로서 상기 하부접편(10)의 접점(11)이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과 크로즈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는, 상기 수조(500)와 연동하여 진동되는 상기 스위치작동부(4)의 환고리(40)의 내부에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쿠션재(23)가 수용되므로써 상기 수조(500)의 전후좌우 어느 방향의 진동도 감지하여 상기 수조(500)가 이상 진동될 경우 상기 세탁조(400)의 회전을 정지시킬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탁기의 진동감지장치가 제기능을 충실하게 수행하지 못함에 따라서 발생되는 종래의 부품손상 및 수명단축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의하면, 탈수행정시에 전후좌우에서 발생되는 모든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조의 회전을 중지시킬 수 있으므로 제품의 신뢰성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탈수행정시에 수조(500)에서 발생되는 이상진동을 감지하여 세탁조(400)의 회전을 정지시키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에 있어서; 탈수행정 제어회로와 연결되며 일단에 접점(11')이 구비된 상부접편(10')과, 상기 상부접편(10')과 연결된 탈수행정 제어회로로 인가되는 전원을 온/오프 시키도록 상기 접점(11')과 크로즈 혹은 오픈되는 접점(11)이 구비된 하부접편(10)과, 상기 하부접편(10)으로부터 연장되어서 하향으로 만곡된 반원형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편(12)으로 이루어진 스위치부(1)와; 탈수행정시 상기 수조(500)가 이상진동될 경우, 이를 감지하여 상기 하부접편(10)의 접점(11)과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이 오픈되도록 상기 하부접편(10)을 제어하며, 장봉형상의 지지봉(20)과, 상기 지지봉(20)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부(1)의 지지편(12)을 지지하는 환형돌기(21')가 중앙에 돌출됨과 동시에 상면이 평탄한 반구형상으로 형성된 지지부(21)와, 상기 지지부(21)의 하부에 형성된 환상의 받침판(22)과, 상기 받침판(22)이 형성된 상기 지지봉(20)의 하단에 삽입 설치된 연질의 쿠션재(23)로 이루어진 스위치지지부(2)와;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쿠션재(23)를 일정간격을 두고 포위 설치하며 상기 수조(500)의 이상진동시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하부를 당기거나 밀어서 상기 스위치부(1)의 하부접편(10)의 접점(11)과 상기 상부접편(10')의 접점(11')이 오픈되어 전원이 단락되도록 하는 환고리(40)가 구비되어 상기 수조(500)의 상단에 연장설치된 스위치작동부(4)와;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반구상을 갖는 지지부(21)의 하측을 상향 지지하도록 중앙이 하향 만곡된 만곡홈(30')이 형성되고 하단이 개구되는 한편 상하측 내경이 서로 상이하여 단차를 갖는 원통형상의 몸체(30)와,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평형상태를 유지시키도록 상기 몸체(30)의 내측과 상기 스위치지지부(2)의 받침판(22)의 사이에 배설된 탄성부재(31)로 이루어진 평형유지부(3)와; 상기 평형유지부(3)의 몸체(30)의 상측에 설치되어서 상기 스위치부(1)를 밀폐시키는 커버(5)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KR2019930000735U 1993-01-20 1993-01-20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KR0125602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735U KR0125602Y1 (ko) 1993-01-20 1993-01-20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30000735U KR0125602Y1 (ko) 1993-01-20 1993-01-20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38U KR940019338U (ko) 1994-08-19
KR0125602Y1 true KR0125602Y1 (ko) 1998-12-15

Family

ID=19349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30000735U KR0125602Y1 (ko) 1993-01-20 1993-01-20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5602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9338U (ko) 1994-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6221559B2 (ko)
US5893934A (en) Dewatering method for automatic washing machine
JPH0785760B2 (ja) 気泡発生器を備える洗濯機並びに気泡を用いる被洗濯物の洗濯方法
KR0125602Y1 (ko) 세탁기의 세탁조 이상진동 감지장치
KR100487401B1 (ko) 세탁기의 언밸런스 검출장치 및 검출방법
JPH11156084A (ja) 洗濯機
KR0160413B1 (ko) 세탁기의 자동도어 개폐장치의 제어방법
KR20000060553A (ko) 분할된 세정용기를 갖는 초음파 세정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0233450B1 (ko) 세탁기
KR0129631Y1 (ko) 세탁기의 이상진동감지장치
KR0119419Y1 (ko) 세탁기의 세제량 조절장치
KR200159468Y1 (ko) 세탁기의 내조 회전 제동장치
JP2545187Y2 (ja) 洗濯機
KR960005804B1 (ko) 세탁기
KR100242574B1 (ko) 세탁기
KR100187266B1 (ko) 세탁기의 세제용해장치
JPH05200188A (ja) 洗濯機
KR19990039229A (ko) 세탁기
KR0125616Y1 (ko) 세탁기용 언바런스 감지스위치
JPH04132592A (ja) 洗濯機
KR0123889B1 (ko) 중량감지센서를 가진 전자동 세탁기
KR19990042126A (ko) 세탁기
KR20040046215A (ko) 세탁기
KR19990011532A (ko) 세탁기의 헹굼제어방법
KR20000004071A (ko) 세탁기의 불균형 감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10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