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1759A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9990041759A KR19990041759A KR1019970062413A KR19970062413A KR19990041759A KR 19990041759 A KR19990041759 A KR 19990041759A KR 1019970062413 A KR1019970062413 A KR 1019970062413A KR 19970062413 A KR19970062413 A KR 19970062413A KR 19990041759 A KR19990041759 A KR 19990041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thode
- cap assembly
- rivet
- safety valve
- center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39000012212 insulat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8151 electrolyte solu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4880 explos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0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29910001416 lithium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HBBGRARXTFLTSG-UHFFFAOYSA-N Lithium ion Chemical compound [Li+] HBBGRARXTFLTS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2 cathode activ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30 et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97 mechanical methods and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733 Li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095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18477 Ni—MH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68 elect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89 lithium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21437 lithium-transition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79 soft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 H01M50/147—Lids or co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4—Construction or manufacture in general
- H01M10/0431—Cells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8—Construction or manufacture
- H01M10/0587—Construction or manufacture of accumulators having only wound construction elements, i.e. wound positive electrodes, wound negative electrodes and wound separato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30—Arrangements for facilitating escape of gases
- H01M50/342—Non-re-sealable arrangements
- H01M50/3425—Non-re-sealable arrangements in the form of rupturable membranes or weakened parts, e.g. pierced with the aid of a sharp memb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74—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 H01M50/578—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interruption of current in response to pressur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60—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or topping-up with liquids; 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draining liquids from casings
- H01M50/609—Arrangements or processes for filling with liquid, e.g. electrolytes
- H01M50/627—Filling ports
- H01M50/636—Closing or sealing filling ports, e.g. using li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Gas Exhaust Devices For Batterie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Filling, Topping-Up Batteries (AREA)
Abstract
목적 :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용에 의해 내압이 상승될 경우 개방되는 안전변을 구비하여, 폭발에 대한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상기 안전변의 작동 불량과 구조적인 복잡성 및 제조상의 어려움을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구성 : 음극부(62)와 양극부(66)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리벳(68)의 중심에 밴트(74)를 형성하고, 그 밴트가 안전변(76)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변의 저부로 전지의 내압이 작용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리벳의 중심에 형성된 밴트는 전해액의 주입구로 사용될 수 있다.
효과 : 상기한 안전변은 전지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변형되고 개방되어서 전지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한다. 상기 안전변은 리벳과 한 몸체로 형성되고, 또한 전해액의 주입구 역할을 겸하게 되므로서, 캡 어셈블리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가 용이하도록 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지의 비정상적인 작용으로 내부의 압력이 규정된 압력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작동되어서, 전지의 내압을 감소시키고 폭발을 방지하여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재충전이 가능하고 소형 및 대용량화가 가능한 것으로서, 대표적인 것으로 니켈수소(Ni-MH)전지와 리튬(Li) 및 리튬이온(Li-ion)전지가 사용되고 있다.
여기서, 리튬이온전지는 양극활물질로 리튬-천이금속산화물이 사용되고, 음극활물질로 리튬금속, 리튬합금, 탄소 혹은 탄소복합체가 사용되어서, 양극과 음극간에 리튬 이온이 이동되어 기전력을 발생시키므로서, 충·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7은 종래 공지된 리튬이온전지의 전체 구조를 나타내고 있다.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된 전극 롤(2)은 전해액과 함께 상기 음극과 접속되는 캔(4)의 내부에 수납되고, 그 캔(4)의 상부에는 상기 양극과 접속되는 캡 어셈블리(6)가 설치되어서 밀봉된다. 전극 롤(2)의 상면과 하면에는 캡 어셈블리(6) 및 캔(4)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각각 절연판(8)이 설치된다.
캡 어셈블리(6)는 캔(4)의 상부에 용접되는 음극부(10)를 갖추어서, 그 중심에 양극부(12)가 설치되고, 음극부(10)와 양극부(12)의 사이에 절연판(14)이 설치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양극부(12)는 상기 양극에 탭(16)으로 연결되고, 음극부(10) 및 양극부(12)의 중심을 관통하여 설치된 리벳(18)과 접속 및 지지된다. 리벳(18)은 절연판(20)을 개재하여 음극부(10)와 절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리튬이온전지는 외부의 쇼트와 같은 과부하나 전해액의 전기분해에 의한 가스발생 및 열폭주현상 등으로 내압이 상승될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기 때문에, 캡 어셈블리(6)에 방폭수단을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캡 어셈블리(6)의 음극부(10)에는 기계적인 방법이나 에칭 및 전기 주형법(electrofoaming)으로 일정한 홈을 형성하여 안전변(22)이 설치되고 있다. 이러한 안전변(22)은 전지 내부의 압력이 규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파열되어서, 내압을 감소시키므로서 폭발을 방지한다.
한편, 캡 어셈블리(6)의 음극부(10)에는 전해액 주입구(24)가 형성되는데, 이것은 전해액 주입후 플러그(26)를 넣어 용접함으로써 밀봉된다.
종래 기술에서 언급된 리튬이온전지에 있어서, 캡 어셈블리의 방폭수단 즉, 안전변은 작동이 불량하고 제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기계적인 방법에 의해 홈이 파여진 종래의 안전변은 그 홈의 깊이 및 형상에 차이가 있어, 내압에 따른 파단시 압력 오차가 발생되고, 작동이 불량하게 된다.
또한, 에칭이나 전기 주형법에 의해 형성된 종래의 안전변은 홈의 깊이 및 형상이 일정한 반면, 제조 공정이 복잡하고 비용이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목적에서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안전변이 규정 압력에서 작동되게 하여 전지의 안전성을 확보하고, 구조를 단순화하여 낮은 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음극부와 양극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된 리벳의 중심에 밴트를 형성하고, 그 밴트가 안전변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변의 저부로 전지의 내압이 작용되도록 한 기술적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안전변은 전지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그 압력에 의해 개방되어서 전지의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한다. 또한, 상기 안전변은 리벳과 한 몸체로 형성되므로서, 캡 어셈블리의 구조를 단순화하고, 제조가 용이하게 실현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은 리벳의 중심에 형성된 밴트는 전해액의 주입구를 겸할 수 있다. 이 경우, 캡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는 더욱 단순하게 실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이차전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캡 어셈블리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이차전지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안전변의 또 다른 설치 구조를 보인 일부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안전변의 또 다른 예를 보인 평면도이며,
도 7은 종래 공지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를 보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60,600-캡 어셈블리 62,602-음극부
66,606-양극부 68,608-리벳
74,614-밴트 76,616,622-안전변
78-전해액 주입구 80-플러그
620-오목부 624-크로스 마크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종래 기술에서 인용된 도면과 동일한 본 발명의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실시예 1
도 1 및 도 2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이차전지는 내압의 이상 상승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안전변을 갖추어 구성된 캡 어셈블리(6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캡 어셈블리(60)는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되어서 수납된 캔(4)의 상부에 결합되고 밀봉된다. 캔(4)은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권취된 전극 롤(2)과 전해액을 함께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로서, 도시되지 않은 탭을 이용하여 상기 음극과 접속된다. 전극 롤(2)은 캡 어셈블리(60) 및 캔(4)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절연판(8)을 갖추어서 캔(4)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캡 어셈블리(60)는 캔(4)의 상부에 용접되는 음극부(62)와, 그 음극부의 중앙에 절연체(64)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양극부(66)와, 상기 음극부(62)와 양극부(66)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리벳(6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벳(68)은 절연체(70)을 개재하여 음극부(62)와 절연되고, 탭(72)을 이용하여 전극 롤(2)의 양극과 접속되어서, 그 양극과 양극부(66)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캡 어셈블리(60)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리벳(68)의 중심에 내압 방출용 밴트(74)가 형성되고, 그 밴트(74)가 안전변(76)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변(76)의 저부로 전지의 내압이 작용되어서, 전지의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개방되도록 한다.
리벳(68)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밴트(74)는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져 테이퍼로 형성되고, 안전변(76)은 그 밴트(74)의 하측으로부터 끼워져 밀봉된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 상기 밴트(74)는 원통상으로 형성되고, 안전변(76)은 그 밴트(74)에 삽입되어 밀봉되는 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원통상의 밴트(74)를 구비하고 볼상의 안전변(76)이 삽입된 리벳(68)은 다소 소프트한 알루미늄 재질로 제조된다. 또한, 상기 볼은 강으로 제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이차전지는 음극부(62)의 일측에 형성된 전해액 주입구(78)를 통해 전해액이 주입된 후, 플러그(80)가 압입되어서 용접됨에 의해 밀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기한 안전변(76)은 전지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그 압력을 받는 볼 즉, 안전변(76)이 밴트(74)를 변형시키면서 밖으로 돌출되어 개방되므로서, 전지의 내압을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압의 이상 상승시에도 폭발이 방지되고, 구조적인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밴트(74)와 안전변(76)은 리벳(68)과 한 몸체로 형성되므로서, 캡 어셈블리(60)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용이한 제조를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3 및 도 4에 자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압의 이상 상승에 따른 폭발을 방지하는 안전장치로서, 안전변을 갖추어 구성된 캡 어셈블리(600)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캡 어셈블리(600)는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되어서 수납된 캔(4)의 상부에 결합되고 밀봉된다. 캔(4)은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권취된 전극 롤(2)과 전해액을 함께 수납하는 외장 케이스로서, 도시되지 않은 탭을 이용하여 상기 음극과 접속된다. 전극 롤(2)은 캡 어셈블리(600) 및 캔(4)과의 접촉을 방지하기 위해, 상면과 하면에 각각 절연판(8)을 갖추어서 캔(4)의 내부에 설치된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캡 어셈블리(600)는 캔(4)의 상부에 용접되는 음극부(602)와, 그 음극부의 중앙에 절연체(604)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양극부(606)와, 상기 음극부(602)와 양극부(606)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리벳(608)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리벳(608)은 절연체(610)를 개재하여 음극부(602)와 절연되고, 탭(612)을 이용하여 전극 롤(2)의 양극과 접속되어서, 그 양극과 양극부(606)의 전기적인 접속을 달성한다.
이렇게 구성된 본 실시예의 캡 어셈블리(600)는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장치로서, 리벳(608)의 중심에 내압 방출용 밴트(614)가 형성되고, 그 밴트(614)가 안전변(616)에 의해 밀봉되도록 하며, 상기 안전변(616)의 저부로 전지의 내압이 작용되어서, 전지의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개방되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안전변(616)은 밴트(614)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리벳(608)의 상면에 부착되는 판상의 리드로 구성된다. 리드(616)는 리벳(608)의 상면에 웰딩 접합에 의해 결합된다. 또한, 상기 리드(616)는 도 5에 표시된 다른 예와 같이, 리벳(618)의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파여진 오목부(620)에 안착되고 웰딩 접합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판상의 리드(616)는 전지의 내압 상승시 개방되는 규정의 압력을 결정하기 위해, 다소 소프트한 재질인 알루미늄으로 제조된다. 또한, 제 6에 표시된 다른 예와 같이, 리드(620)는 그 상면에 크로스 마크(622)를 형성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이차전지는 별도의 전해액 주입구를 제거하기 위해, 밴트(614)를 통한 전해액의 주입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 본 실시예의 안전변(616, 622)은 전해액의 주입 후 밀봉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거하여, 상기한 안전변(616, 622)은 전지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그 압력을 받아 파단되므로서 전지의 내압을 해소하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한 이차전지는 내압의 이상 상승시에도 폭발이 방지되고, 구조적인 안전성이 확보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밴트(614)와 안전변(616, 622)은 리벳(608)과 한 몸체로 형성되고, 그 밴트(614)에 의해 전해액의 주입이 동시에 이루어지므로서, 캡 어셈블리(600)의 전체 구조를 더욱 단순화할 수 있으며, 용이한 제조를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를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실질적으로 해소하고 있다.
즉, 본 발명은 양극부와 음극부를 어셈블리하는 리벳의 중심에 밴트를 형성하고, 그 밴트가 안전변에 의해 개방되도록 구성하므로서, 전지의 내압이 규정압 이상으로 상승될 경우 정확하게 개방되어서 전지의 안전성이 확보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밴트와 안전변을 리벳과 한 몸체로 형성하고, 필요한 경우 상기 밴트를 통하여 전해액의 주입이 이루어지도록 하므로서, 캡 어셈블리의 전체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캡 어셈블리의 제조 공정이 간소화되고, 제조가 용이하게 실현되며, 제조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하면 음극부에서 종래의 안전변을 제거하므로서, 절연체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보다 많이 확보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음극부와 양극부의 단락을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발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 청구의 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Claims (11)
-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되어서 수납된 캔의 상부에 결합되는 음극부와, 그 음극부의 중앙에 절연체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양극부와, 상기 음극부와 양극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음극부와 절연된 리벳과, 그 리벳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밴트와, 그 밴트를 밀봉하는 안전변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안전변의 저부로 전지의 내압이 작용되게 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되어서 수납된 캔의 상부에 결합되는 음극부와, 그 음극부의 중앙에 절연체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양극부와, 상기 음극부와 양극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음극부와 절연된 리벳과, 그 리벳의 중심을 관통하여 상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게 형성된 밴트와, 그 밴트의 하측으로부터 끼워져 밀봉되는 안전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변은 원통형의 밴트에 삽입되어 밀봉되는 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볼은 강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리벳은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음극부에는 전해액의 주입후 플러그에 의해 밀봉되는 전해액 주입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양극과 세퍼레이터 및 음극이 함께 권취되어서 수납된 캔의 상부에 결합되는 음극부와, 그 음극부의 중앙에 절연체를 개재하여 설치되는 양극부와, 상기 음극부와 양극부의 중심을 관통하여 결합되고 상기 음극부와 절연된 리벳과, 그 리벳의 중심을 관통하여 형성된 밴트와, 상기 밴트를 통하여 전해액이 주입된 후 그 밴트의 개구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리벳의 상면에 부착되는 안전변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변은 리벳 상면에 웰딩 접합되는 판상의 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안전변은 리벳의 상면에서 아래쪽으로 파여진 오목부에 안착되고 웰딩 접합되는 판상의 리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리드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판상 리드에는 크로스 마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2413A KR19990041759A (ko) | 1997-11-24 | 1997-11-24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JP10115943A JPH11176412A (ja) | 1997-11-24 | 1998-04-10 |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70062413A KR19990041759A (ko) | 1997-11-24 | 1997-11-24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9990041759A true KR19990041759A (ko) | 1999-06-15 |
Family
ID=195254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70062413A KR19990041759A (ko) | 1997-11-24 | 1997-11-24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H11176412A (ko) |
KR (1) | KR19990041759A (ko)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1307B1 (ko) * | 2004-05-19 | 2006-03-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0563034B1 (ko) * | 1999-04-21 | 2006-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원통형 이차 전지 |
KR100614397B1 (ko) * | 2004-10-28 | 2006-08-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0658680B1 (ko) * | 2005-04-08 | 2006-1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WO2014062022A1 (ko) | 2012-10-19 | 2014-04-2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중구조 세포배양용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배양시스템 |
KR20230037895A (ko) * | 2021-09-10 | 2023-03-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원통형 이차전지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6586131B2 (en) * | 2001-02-16 | 2003-07-01 | Wilson Greatbatch Ltd. | Apparatus for releasing gases from rechargeable lithium electrochemical cells during the formation stage of manufacturing |
JP4436587B2 (ja) | 2002-01-31 | 2010-03-24 |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 電池及び組電池 |
KR100436714B1 (ko) * | 2002-10-29 | 2004-06-22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각형리튬이차전지 |
JP2005158267A (ja) * | 2003-11-20 | 2005-06-16 | Nec Tokin Tochigi Ltd | 密閉型二次電池 |
JP4565862B2 (ja) * | 2004-03-09 | 2010-10-20 | 三洋電機株式会社 | 電解液の供給方法 |
CN100391032C (zh) * | 2004-05-14 | 2008-05-28 | 北京东皋膜技术有限公司 | 一种具有防爆膜的铝壳锂离子电芯 |
CN2772044Y (zh) * | 2004-11-18 | 2006-04-12 | 比亚迪股份有限公司 | 一种锂离子二次电池 |
JP6577328B2 (ja) * | 2015-03-13 | 2019-09-18 | 古河電池株式会社 | リチウムイオン電池用注液部の密閉構造 |
-
1997
- 1997-11-24 KR KR1019970062413A patent/KR1999004175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1998
- 1998-04-10 JP JP10115943A patent/JPH11176412A/ja active Pending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63034B1 (ko) * | 1999-04-21 | 2006-03-24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원통형 이차 전지 |
KR100561307B1 (ko) * | 2004-05-19 | 2006-03-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전지 |
KR100614397B1 (ko) * | 2004-10-28 | 2006-08-21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
KR100658680B1 (ko) * | 2005-04-08 | 2006-12-15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이차 전지 및 이의 제조 방법 |
WO2014062022A1 (ko) | 2012-10-19 | 2014-04-24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 이중구조 세포배양용기 및 이를 이용한 순환배양시스템 |
KR20230037895A (ko) * | 2021-09-10 | 2023-03-17 |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 원통형 이차전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H11176412A (ja) | 1999-07-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7781088B2 (en) |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cell | |
KR19990041760A (ko)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
JP4464483B2 (ja) | 二次電池のキャップアセンブリおよび二次電池の電流遮断機 | |
JP3306257B2 (ja) | 2次電池の安全装置 | |
KR20010056363A (ko) | 각형 밀폐전지 | |
KR20050037691A (ko) | 리튬 이온 2차 전지 | |
KR19990041759A (ko)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
KR100719728B1 (ko) | 캡 조립체 및 이를 채용한 이차전지 | |
CN219180738U (zh) | 一种集流构件及二次电池 | |
KR100274889B1 (ko) | 각형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 |
KR100277655B1 (ko)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제조방법 | |
KR100515356B1 (ko) | 이차 전지 및 이의 안전변 제조 방법 | |
KR19990041761A (ko) | 이차전지의 캡 어셈블리 및 그 조립방법 | |
KR100346386B1 (ko) |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 |
KR100553739B1 (ko) | 밀폐전지 | |
KR100346387B1 (ko) |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 |
KR100274897B1 (ko) |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 |
KR100325861B1 (ko) | 밀폐전지 | |
KR100573102B1 (ko) | 밀폐 전지의 케이스 | |
CN220492124U (zh) | 二次电池及电池包 | |
KR200228355Y1 (ko) | 각형전지의캡조립체 | |
KR100300403B1 (ko) | 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 |
KR100346385B1 (ko) | 이차전지의 안전장치 | |
KR100300400B1 (ko) | 각형이차전지의캡어셈블리 | |
KR100601532B1 (ko) | 이차 전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