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880A -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 Google Patents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880A
KR19990040880A KR1019970061386A KR19970061386A KR19990040880A KR 19990040880 A KR19990040880 A KR 19990040880A KR 1019970061386 A KR1019970061386 A KR 1019970061386A KR 19970061386 A KR19970061386 A KR 19970061386A KR 19990040880 A KR19990040880 A KR 199900408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unit
layer
protocol processing
tim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2834B1 (ko
Inventor
권영석
임종헌
이승문
Original Assignee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배, 주식회사 한화 filed Critical 박원배
Priority to KR10199700613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52834B1/ko
Publication of KR199900408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8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2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28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3/00Selecting arrangements
    • H04Q3/0016Arrangements providing connection between exchan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20Testing circuits or apparatus; Circuits or apparatus for detecting, indicating, or signalling faults or troub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18Electrical details
    • H04Q1/30Signalling arrangements; Manipulation of signalling curr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협대역 ISDN 교환기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임 스위치와 64 타임 슬롯/4.096Mbps 서브 하이웨이로 연결되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출력하는 타임 스위치 접속부와; 타임 스위치 접속부에서 서브 하이웨이 상태의 데이터를 해당 신호 링크의 접속 펄스 부호 변조 종류에 따라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에 적합한 상태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신호 유니트의 한계 결정, 신호 유니트의 동기 맞춤,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초기 동기, 신호 유니트의 오류 감시를 위하여 데이터를 NO.7 엠에스유 포맷으로 가공하여 환형 송수신 버퍼에 저장하며, 엠에스유와는 별도로 채움 신호 유니트, 링크 상태 신호 유니트 포맷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가공된 신호를 전송 받아 상위 프로세서에 탑재된 신호망 블럭으로 송수신하는 신호망 접속부와; 타임 스위치 접속부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신호망 접속부를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및 로컬 버스에 대한 중재 기능 및 회로팩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및 메모리부를 구비하므로,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협대역 ISDN 교환기 시스템에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본 발명은 협대역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CCS N0.7 국간 신호 장치에 있어서, 회로팩 당 4개의 신호 링크 처리 기능 및 타임 스위치 정합 기능, 신호망 접속 기능 등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도록 한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CCS NO.7 신호 장치는 ISDN 교환기 간, ISDN 교환기와 이동통신 기지국 간의 국간 신호 교환을 목적으로 신호 교환용 채널을 할당함에 있어 위 채널을 음성 신호 및 각종 데이터 신호 채널과는 별도의 채널로 할당하고 이 채널을 통하여 국간 호 제어 및 특수 서비스용 호트(Hoat) 접속, 회선 유지 보수와 관련된 국간 신호용으로만 사용하므로 국간 신호 교환을 신속하고 신뢰성 있게 수행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의 블록 구성도는 타임 스위치(10)와, 타임 스위치 접속 기능 회로팩(11)과, CCS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 기능 회로팩(13)과, 신호망 접속 기능 회로팩(15)과, 상위 프로세서 회로팩(16)으로 구성되며 신호망 접속기능 회로팩(15)과 NO.7 계층2 처리 기능 회로팩(13)은 제1 직렬버스로 연결되어 있고, 타임스위치 접속기능 회로팩(11)은 NO.7 계층2 처리 기능 회로팩(13)과는 제2 직렬버스를 통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임 스위치 접속 기능 회로팩(11)은 타임 스위치(10)와 접속하기 위한 회로팩으로서 32개의 타임 슬롯을 갖는 시분할 신호인 서브 하이웨이로 타임 스위치와 연결되어 있으며 내부 중앙 처리 장치 및 메모리, 처리 로직, 먹스/디먹스/속도 변환(MUX/DMUX/Rate Conversion) 기능을 탑재한 ASIC Chip의 상호 작용에 의해 32 타임 슬롯 다중화 신호를 각각의 독립된 직렬 신호로 분리하고 속도 변환하여 제2 직렬 버스를 통해 CCS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 기능 회로팩으로 송신하며 또한 그 역의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 기능 회로팩(13)은 타임 스위치 접속 기능 회로팩(11) 및 신호망 접속 기능 회로팩(15)으로부터 수신된 직렬 신호 데이터에 대하여 내부 중앙 처리 장치 및 메모리, 관련 로직, 펌웨어(Firmware)의 상호 작용에 의해 CCS NO.7 Layer2 프로토콜 처리 절차에 의해 데이터를 처리한 후 제1 직렬 버스(14) 및 제2 직렬 버스(12)를 통해 신호망 접속 기능 회로팩(15) 및 타임 스위치 접속 기능 회로팩(11)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블록이다.
신호망 접속 기능 회로팩(15)은 NO.7 계층 프로토콜 처리 기능 회로팩(13) 및 상위 프로세서 회로팩(16)에서 수신된 데이터를 내부 중앙 처리 장치 및 메모리, 처리 로직에 의해 본 회로팩에 접속된 상위 프로세서 회로팩(16) 및 최대 32매의 NO.7 계층 프로토콜 처리 기능 회로팩(13)으로 접속시켜 주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는 각각 내부에 중앙 처리 장치를 내장한 여러 종류로 이루어진 관련 회로팩과 회로팩 1매당 단일 신호 링크를 처리하는 CCS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 기능 회로팩으로 구성되어 관련 회로팩 간 신호 정합에 의한 성능 저하 및 비효율성으로 인하여 신호 터미널의 위치가 특정 서브 시스템에 고정되지 않는 분산형 CCS NO.7 국간 신호 장치 및 대규모 신호 링크를 처리해야 하는 개인 휴대 통신용 기지국과 국설 교환기 시스템 간의 신호 장치 구조에는 적절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단일 회로팩에 타임 스위치 접속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 CCS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신호망 접속 제어부가 처리하는 기능을 내부 제어 회로 및 메모리를 이용하여 집적함으로서 신호의 흐름을 원할하게 하고, 하프 사이즈(Half Size)의 PCB에 4배의 신호 링크 처리 기능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한 협대역 ISDN 교환기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협대역 ISDN 국설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정합 기능 및 신호망 접속 기능을 내장하며 제어 및 메모리부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속도 변환기능 및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갖는 CCS NO.7 국간 신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타임 스위치와 64 타임 슬롯/4.096Mbps 서브 하이웨이로 연결되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출력하는 타임 스위치 접속부와; 타임 스위치 접속부에서 서브 하이웨이 상태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데이터를 해당 신호 링크의 접속 펄스 부호 변조 종류에 따라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에 적합한 상태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신호 유니트의 한계 결정, 신호 유니트의 동기 맞춤,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초기 동기, 신호 유니트의 오류 감시를 위하여 데이터를 NO.7 엠에스유 포맷으로 가공하여 환형 송수신 버퍼에 저장하며, 엠에스유와는 별도로 채움 신호 유니트, 링크 상태 신호 유니트 포맷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가공된 신호를 전송 받아 상위 프로세서에 탑재된 신호망 블럭으로 송수신하는 신호망 접속부와; 타임 스위치 접속부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신호망 접속부를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및 로컬 버스에 대한 중재 기능 및 회로팩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및 메모리부를 구비한다.
도 1은 종래의 국간 신호장치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90 : 타임 스위치 100 : 단일 회로팩
110 : 타임 스위치 접속부
130 :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및 속도 변환부
150 :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170 : 신호망 접속부
190 : 제어 및 메모리부 200 : 상위 프로세서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발명의 목적 및 특징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협대역 ISDN 교환기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의 전체적인 블록 구성도서, 타임 스위치(90)와, 단일 회로팩(100)과, 단일 회로팩에 기능 블럭으로 탑재된 타임 스위치 접속부(110)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Rate Conversion Part)(130)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와, 신호망 접속부(170)와, 제어 및 메모리부(190)와, 상위 프로세서(200)로 구성된다.
타임 스위치 접속부(110)는 64 타임 슬롯, 4.096Mbps 의 서브 하이웨이의 차동 신호로서 데이터 교환을 위하여 타임 스위치(90)와 접속하는 블록이다.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는 타임 스위치 접속부(110)로 부터 입력된 신호를 각 신호 링크가 접속되는 펄스 부호 변조(Pulse Code Modulation : 이하, PCM이라 약칭함) 방식에 따라 각 신호 링크 별 직렬 신호로 변환한 후 64Kbps나 56Kbps로 속도를 변환하는 블록이다.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로부터 입력된 개별 채널별 신호를 내부 버퍼에 선입 선출 방식으로 일시 저장한 후 ITU-T CCS NO.7 계층2 프로토콜의 권고에 충족되도록 신호 유니트의 한계 결정, 신호 유니트의 동기 맞춤,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초기 동기, 신호 유니트의 오류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계층3에서 필요로 하는 메시지 신호 유니트를 추출하여 상위로 전송할 환형 방식의 전송 버퍼에 저장하는 블록이다.
신호망 접속부(170)는 상위 프로세서(200)와 계수기로 동작하는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의 직렬 버스를 사용하여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의 환형 방식 전송 버퍼의 데이터를 원활하게 상위 프로세서(200)와 교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블록이다.
제어 및 메모리부(190)는 단일 회로팩이 수용하는 각 기능 블럭 간 데이터 흐름에 필요한 내부 데이터 버스의 중재 회로, 어드레스 디코더 회로, 데이터 및 어드레스 라인 버퍼 제어 회로, 회로팩 상태 관리 회로 등을 내장하여 회로팩 제어 신호와 연산 및 데이터 일시 저장 용도의 메모리를 제공하는 블록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협대역 ISDN 교환기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로 타임 스위치로 부터 데이터 수신시의 동작은 타임 스위치 접속부(110)는 타임 스위치(90)와 64 타임 슬롯 4.096Mbps 시분할 데이터 및 8.192MHz 시스템 클럭(System Clock), 8KHz 플레임 펄스(Frame Pulse) 신호로 구성된 서브 하이웨이로 연결되어 있으며, 이러한 신호를 RS-422 차동 신호 입출력 방식으로 수신하여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로 전송한다.
타임스위치 접속부(110)에서 데이터를 전송받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는 제어 및 메모리부의 명령에 따라 64 타임 슬롯 4.096Mbps 시분할 데이터를 해당 타임 슬롯이 접속되는 PCM 방식에 따라 64Kbps 또는 56Kbps 직렬 신호로 변환한 후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로 전달한다.
이때, 상위 프로세서(200)의 명령에 따라 수신 데이터의 인버젼(Inversion) 여부를 결정한다.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로부터 입력된 개별 채널별 신호를 내부 버퍼에 선입 선출 방식으로 일시 저장한 후 ITU-T CCS NO.7 계층2 프로토콜의 권고에 충족되도록 신호 유니트의 한계 결정, 신호 유니트의 동기 맞춤,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초기 동기, 신호 유니트의 오류 감시 기능을 수행하며 계층3에서 필요로 하는 메시지 신호 유니트를 추출하여 상위로 전송할 환형 방식의 전송 버퍼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하여 중앙 처리 장치에게 회로팩의 로컬 버스에 대한 점유권을 벡터드 인터럽트 방식으로 요구한다.
이때, 제어 및 메모리부(190)와 연동하여 필요로 하는 신호들을 발생시킨다.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의 로컬 버스 점유 요구를 받은 제어 및 메모리부(190)는 버스 점유를 허가하고 이때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환형 방식의 전송 버퍼에 데이터를 전송하게 된다.
환형 방식의 전송 버퍼에 데이터가 입력되면 중앙처리 장치는 이를 감지하게 되고, 이러한 데이터들을 신호망 접속부(170)를 통하여 상위 프로세서(200)로 전송하기 위하여 신호망 접속부(170)가 상위 프로세서(200)와 연결된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의 직렬 버스로 전송 요구 인터럽트를 발생시켜 전송 허가 신호를 받은 다음 데이터를 송신하게 된다.
둘째로 상위 프로세서(200)로 부터 데이터 수신시의 동작은 상위 프로세서(200)로 부터 라운드 로빈(Round Robin) 방식의 직렬 버스를 통하여 회로팩의 신호망 접속부(170)로 데이터가 수신될 때 신호망 접속부(170)는 계수기에 의해 자기 차례가 되었을 때 데이터를 수신하고 환형 방식의 수신 버퍼에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 이 데이터를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로 전송한다.
데이터를 받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는 상기 데이터에 대하여 신호 유니트의 한계 결정, 신호 유니트의 동기 맞춤,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초기 동기, 신호 유니트의 오류 감시를 위하여 ITU-T CCS NO.7 프로토콜 포맷 중 메시지 신호 유지트(Message Signal Unit) 포맷으로 가공한 후 전송 버퍼에 일시 저장하고,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로 송신한다.
이때, 신호 링크의 상태 유지 및 감시를 위하여 ITU-T CCS NO.7 프로토콜 포맷 중 채움 신호 유니트(FISU), 링크 상태 신호 유니트(LSSU)도 주기적으로 송신하게 된다.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로부터 데이터를 받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는 64 타임 슬롯 4.096Mbps 시분할 신호 중 해당 타임 슬롯에 신호를 탑재한 후 타임 스위치 접속부(110)로 데이터를 보내고 타임 스위치 접속부(110)는 이러한 신호를 차동 신호로서 변환한 후 타임 스위치(90)로 송신함으로서 본 회로팩의 기능을 마감한다.
결론적으로, 상술한 위의 2가지 동작 상태에서 타임 스위치 접속부(170),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130),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150), 신호망 접속부(170), 제어 및 메모리부(190)를 단일 회로 팩에 집적하여 회로팩 당 4개의 국간 신호 링크를 처리하므로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상, 상기와 같이 설명한 본 발명은 단일 회로팩에 4개의 국간 신호 링크 처리 기능과 더블어 타임 스위치 접속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신호망 접속부, 제어 및 메모리부를 집적시키므로, 최소한의 시스템 구성 및 비용으로 다수의 신호 링크를 처리할 수 있으며, 집적화의 부가적 효과로서 내부 데이터 전송로를 축소로 인한 데이터 버스의 안정정을 크게 향상시킴에 따라 개인 휴대 통신 시스템 및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협대역 ISDN 교환기 시스템에 높은 효율성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협대역 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국설 교환기의 타임 스위치 정합 기능 및 신호망 접속 기능을 내장하며 제어 및 메모리부와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속도 변환기능 및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 기능을 갖는 CCS NO.7 국간 신호 장치에 있어서,
    상기 타임 스위치와 64 타임 슬롯/4.096Mbps 서브 하이웨이로 연결되어 정보를 연속적으로 입출력하는 타임 스위치 접속부;
    상기 타임 스위치 접속부에서 상기 서브 하이웨이 상태의 데이터를 전송받고 그 데이터를 해당 신호 링크의 접속 펄스 부호 변조 종류에 따라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에 적합한 상태로 변환하는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
    상기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에서 변환된 데이터를 신호 유니트의 한계 결정, 신호 유니트의 동기 맞춤, 오류 검출, 오류 정정, 초기 동기, 신호 유니트의 오류 감시를 위하여 상기 데이터를 NO.7 엠에스유 포맷으로 가공하여 환형 송수신 버퍼에 저장하며, 상기 엠에스유와는 별도로 채움 신호 유니트, 링크 상태 신호 유니트 포맷의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발생시키는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에서 가공된 신호를 전송 받아 상위 프로세서에 탑재된 신호망 블럭으로 송수신하는 신호망 접속부;
    상기 타임 스위치 접속부와, 상기 멀티플렉스/디멀티플렉스 및 속도 변환부, 상기 NO.7 계층2 프로토콜 처리부, 상기 신호망 접속부를 공통적으로 사용하는 메모리 및 로컬 버스에 대한 중재 기능 및 회로팩의 제어를 수행하는 제어 및 메모리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협대역 ISDN 교환기의 CCS NO.7 국간 신호 장치.
KR1019970061386A 1997-11-20 1997-11-20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KR1002528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386A KR100252834B1 (ko) 1997-11-20 1997-11-20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61386A KR100252834B1 (ko) 1997-11-20 1997-11-20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880A true KR19990040880A (ko) 1999-06-15
KR100252834B1 KR100252834B1 (ko) 2000-04-15

Family

ID=195251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386A KR100252834B1 (ko) 1997-11-20 1997-11-20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5283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55228A (ko) * 2000-12-28 2002-07-08 박종섭 제어국 시스템에서의 no.7 처리 장치
KR100347847B1 (ko) * 2000-01-14 2002-08-07 주식회사 머큐리 교환기의 넘버 세븐 신호 단말 장치
KR100365045B1 (ko) * 2000-06-29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및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계층3 프로토콜 통합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847B1 (ko) * 2000-01-14 2002-08-07 주식회사 머큐리 교환기의 넘버 세븐 신호 단말 장치
KR100365045B1 (ko) * 2000-06-29 2002-12-16 엘지전자 주식회사 광대역 및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계층3 프로토콜 통합 장치
KR20020055228A (ko) * 2000-12-28 2002-07-08 박종섭 제어국 시스템에서의 no.7 처리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52834B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125602B1 (en) Control communica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EP0125605B1 (en) Channel selection in a switching system having clustered remote switching modules
US4922484A (en) ISDN remote switching unit for accommodating analog and digital lines
US4558444A (en) Switching system having selectively interconnected remote switching modules
JPH0311159B2 (ko)
JPS62189895A (ja) 狭帯域チヤネルを持つ通信網を通じて広帯域通信施設を確立するための方法と装置
US4737950A (en) Multifunction bus to user device interface circuit
JPS6038999A (ja) 交換機制御方式
JP3161717B2 (ja)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0125604B1 (en) Switching system having remote switching capability
US4500985A (en) Communication path continuity verification arrangement
JP2847138B2 (ja) プログラム可能タイムスロット割当器マルチプレクサおよびその同期方法
JPH0336479B2 (ko)
KR100248074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KR20000065144A (ko) Pacs 무선기술을 특징으로 하는 유무선 액세스용 통합 원격통신 시스템 아키텍쳐
KR100252834B1 (ko)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KR0135912B1 (ko) 이동통신 교환기의 기지국 제어장치 정합 서브 시스팀
JPH07312657A (ja) 伝送路バックアップシステム
KR0141290B1 (ko) 소용량 교환기의 가입자용량 확장용 스위치 네트워크
KR100289577B1 (ko) 대용량 통신처리 시스템에 있어서 전화망 정합장치의 t1중계선 정합보드
KR0150284B1 (ko) Cdma 이동통신 시스템의 무선 데이터통신 연동장치
KR950000678B1 (ko) 회선/패킷 통합 스위칭 시스템
KR0118855Y1 (ko) 종합 정보 통신망 가입자 공통 제어 장치
NO151805B (no) Digital-fjernmeldingssystem
JP2757826B2 (ja) 回線監視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