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8074B1 -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 Google Patents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8074B1
KR100248074B1 KR1019970072049A KR19970072049A KR100248074B1 KR 100248074 B1 KR100248074 B1 KR 100248074B1 KR 1019970072049 A KR1019970072049 A KR 1019970072049A KR 19970072049 A KR19970072049 A KR 19970072049A KR 100248074 B1 KR100248074 B1 KR 1002480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matching
data
network
b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52556A (ko
Inventor
오돈성
신동진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7007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8074B1/ko
Publication of KR199900525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525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80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807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2Access point controll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66Arrangements for connecting between networks having differing types of switching systems, e.g. gatew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1/00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 H04Q11/04Selecting arrangements for multiplex systems for time-division multiplexing
    • H04Q11/0428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i.e. systems for transmission of different types of digitised signals, e.g. speech, data, telecentral, television signals
    • H04Q11/0478Provisions for broadband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1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electing arrangements in general and for multiplex systems
    • H04Q2213/29AT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IMT-2000 망에 있어서,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기와 망 형태에 따라 ATM 사용자와 망간 또는 ATM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국에서 여러 개의 기지국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IMT-2000 망에 있어서, 비동기 전송모드(ATM) 교환기와 망 형태에 따라 ATM 사용자와 망간 또는 ATM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국에서 여러 개의 기지국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망 전체적으로 시스템의 효율성을 향상시키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제어국들은 ATM 정합부 등을 가지고 있지 않고, 모듈 형태로 되어 있지가 않아서 ATM 교환망과의 정합이 불가능했다.
본 발명은 ATM 교환기와 망 형태에 따라 ATM 사용자와 망간 또는 ATM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여러 개의 제어국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국에서 여러 개의 기지국을 효율적으로 수용할 수 있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와 망 형태에 따라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 사용자와 망간 또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여러 개의 제어국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국에서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다수의 정합모듈,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및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정합모듈은 유티오피아이에이(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와 연결되고,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며, 상기 제어 및 유지보수장치는 제어국 전체의 호 제어 등 각종 제어 기능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는 상기 유티오피아이에이 버스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정합모듈을 수용하고,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와 기본적인 신호처리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정합모듈에서 전송되는 각종 트래픽 셀과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에서 전송되는 제어 및 유지보수 셀을 멀티플렉싱 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정합모듈은 다수의 기지국을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와,
각종 데이타들의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타임스위치와, 음성 및 영상 관련 트래픽 데이타를 상기 타임스위치로부터 전송받아 AAL 1 형태의 비동기 전송모드 셀로 변환시키는 기능 및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 1 물리계층처리부와, 상기 정합모듈 내의 제어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타임스위치에서 에스티-버스(ST-bus)를 통해 핸드오버에 데이타들을 전송받아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선택 처리하여, 음성 관련 데이타인 경우는 보코더로 보내고 음성 관련 데이타가 아닌 경우는 선택된 데이타를 타임스위치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셀렉터와, 상기 음성관련 데이타에 대한 소스 코딩 및 디코딩 기능과 각종 톤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코더와, 상기 프로세서와 타임스위치간에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형태의 테이타로 변환/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정합부와, 상기 프로세서 또는 제어국의 제어 데이타들을 상기 유티오피아이에이 버스를 통해 다른 정합 모듈 또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AAL 5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 5 물리계층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정합모듈 사이에 각종 데이타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정합해 주는 글로벌 버스 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망 용 제어국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합모듈에 대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교환기 102: 제어국
103: 기지국 104: 타망 접속용 제어장치
105: 단말기 106: 이동성 제어부
210, 250: 정합모듈 260: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270: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 310: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
320: 타임스위치 330: AAL 1 물리계층처리부
340: 프로세서 350: 셀렉터
360: 보코더 370: 하이 레벨 테이터 링크 제어 정합부
380: AAL 5 물리계층처리부 390: 글로벌 버스 인터페이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의 구조도이다.
ATM 교환기(101)는 차세대 이동통신망(IMT-2000)의 중심이 되는 교환기로서, 여러 개의 제어국(102)을 수용하고 망 연동을 위하여 타망 접속용 정합장치(104)와 연결된다. 또한, 차세대 이동통신망 사용자의 이동성을 보장하기 위한 위치 데이터 및 인증 기능을 가지는 이동성 제어부(106)와 결합된다. 제어국(102)은 여러 개의 기지국(103)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한다. 타망 접속용 정합장치(104)는 공중교환 전화망(PSTN) 접속용 정합장치로 사용되는 경우는 차세대 이동통신망 용 교환기인 ATM 교환기와 접속되는 ATM 사용자와 망간 또는 ATM 망간 정합규격에 의한 데이터를 공중교환 전화망에서 사용되는 통신 규약(T1 또는 E1) 전송 형태로 변환/역변환 시키는 기능, 코드 변환 기능과 반향 제거 기능, 공중교환 전화망 신호처리 프로토콜을 ATM 제어 프로토콜로 변환, 역변환 기능을 수용하게 된다.
기지국(103)은 단말기와의 무선 규격에 따른 정합에 관한 종단 기능을 수행하며, 제어국(102)과 연결된다.
단말기(105)는 무선 규격에 의해 기지국(103)과 연결되며 음성부호화 기능 등을 포함한다.
도 1과 같은 차세대 이동통신망에 있어서, 제어국(102)은 ATM 교환기(101)와 ATM 사용자 망간 또는 ATM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연결되고, 여러개의 기지국을 수용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세대 이동통신망 용 제어국의 블럭도이다.
제어국은 5개의 정합모듈(210 내지 250)과, 하나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이하 MUX/DMX)(260)와,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270)로 구성된다.
각 정합모듈(210 내지 250)은 유티오피아이에이(UTOPIA) 버스를 통해서 MUX/DMX(260)와 연결되며, 여러 개의 기지국(BTS)를 수용한다.
제어 및 유지보수장치(270)는 제어국 전체의 호제어 등 각종 제어 기능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한다.
MUX/DMX(260)는 유티오피아이에이(UTOPIA) 버스를 통해서 정합모듈(210 내지 250)을 수용하고, ATM 교환기와 기본적인 신호처리 기능을 담당하며, 주로 정합모듈에서 전송되는 각종 트래픽 셀과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270)에서 전송되는 제어 및 유지보수 셀을 멀티플렉싱 하여 ATM 교환기로 보낸다. 또한, 역으로 ATM 교환기에서 ATM 셀을 수신하여 디멀티플렉싱 한 후 해당 정합모듈과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270)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의 기능을 수행하는 제어국 장치의 정합모듈은 도 3과 같은 구조를 갖는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정합모듈에 대한 블럭도이다.
정합모듈은 다수의 기지국(BTS)을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310)와, 각종 데이타들의 타임 슬롯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타임 스위치(320)와, 음성 및 영상 관련 트래픽 데이타를 타임 스위치(320)에서 받아 AAL 1 형태의 ATM 셀로 변환시키는 기능 및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 1 물리계층 처리부(330)와, 정합모듈 내의 제어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340)와, 타임스위치(320)에서 에스티-버스(ST-bus)를 통해서 핸드오버에 데이타들을 받아 프로세서(340)의 제어하에 선택 처리하여, 음성 관련 데이타인 경우는 보코더(VOC: 360)로 보내고, 음성 관련 데이타가 아닌 경우는 선택된 데이타를 타임스위치(320)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셀렉터(350)와, 음성관련 데이타에 대한 소스코딩 및 디코딩 기능과 각종 톤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코더(360)와, 프로세서(340)와 타임스위치(320)간에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이하, HDLC 이라 함) 형태의 테이타로 변환/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HDLC 제어 정합부(370)와, 프로세서(340) 또는 제어국의 제어 데이타들을 유티오피아이에이(UTOPIA) 버스를 통하여 다른 정합 모듈 또는 ATM 교환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AAL 5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5 물리 계층처리부(380)와, 정합모듈(210 내지 250) 사이에 각종 데이타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정합해주는 글로벌(Global) 버스 정합부(390)로 구성된다.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310)에서는 기지국(BTS)과 E1 2.048Mbps 전송 속도로 ITU-T 규격에 따른 전기적인 특성을 만족시키는 전송 선로 정합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수신시 등화 기능까지를 포함하며, 수신된 클럭을 추출하여 각종 클럭을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ITU-T에서 권고한 표준 형태의 프레임 형태를 추출하여 프레임 동기화를 수행한다.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310)가 제어국으로부터 HDLC 형태의 데이타를 수신하여 타임 스위치(320)로 전송한다.
타임스위치(320)는 프로세서의 제어를 받아 타임 슬롯 교환기능을 수행하므로서,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310)가 전송한 HDLC 형태의 데이타를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셀렉터(350)또는 HDLC 형태의 테이타로 변환/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HDLC 정합부(370) 등으로 전송된다.
셀렉터(350)는 타임스위치(320)에서 에스티-버스(ST-bus)를 통해서 핸드오버에 데이타들을 받아 프로세서(340)의 제어하에 선택 처리하여, 음성 관련 데이타인 경우는 보코더(360)로 보내고, 음성 관련 데이타가 아닌 경우는 선택된 데이타를 타임스위치(320)로 보낸다.
보코더(360)는 셀렉터(350)로부터 음성 데이타에 대한 소스 코드를 받아 디코딩을 수행하여 디코딩 된 데이타를 타임스위치(320)로 보낸다.
타임스위치(320)는 보코더(360)로부터 디코딩 된 데이타를 받아 타임슬롯 교환을 수행하여 AAL 1 물리계층처리부(330)로 보낸다.
AAL 1 물리계층처리부(330)는 음성 및 영상 관련 트래픽 데이타를 타임스위치(320)에서 전송받아 프로세서(340)의 제어에 의해 AAL 1 형태의 ATM 셀로 변환시켜서 유티오피아이에이(UTOPIA) 버스를 통해서 MUX/DMX(260)로 보낸다.
한편,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310)가 보낸 HDLC 형태의 데이타가 제어 트래픽인 경우는 타임스위치(320)에서 제어부의 제어를 받아 HDLC 형태의 테이타를 HDLC 정합부(370)로 보낸다.
HDLC 정합부(370)에서는 HDLC 형태의 테이타를 받아 다른 정합 모듈 또는 ATM 교환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AAL 5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5 계층처리부(380)로 보낸다. 상기와 같은 트래픽 처리는 역방향으로도 처리된다.
차세대 이동통신망인 IMT-2000 망에 있어서, ATM 교환기와 망 형태에 따라 ATM 사용자와 망간 또는 ATM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여러 개의 제어국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국에서 여러 개의 기지국(BTS)을 효율적으로 수용 하므로써, 망 구성을 경제적으로 할 수 있으며, 망 전체적으로 시스템 구성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와 망 형태에 따라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 사용자와 망간 또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 망간 정합규격에 의하여 여러 개의 제어국을 수용하고, 핸드오버 기능 등을 수행하는 제어국에서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는데 있어서,
    상기 제어국은 다수의 정합모듈,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및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로 구성되고,
    상기 다수의 정합모듈은 유티오피아이에이(UTOPIA) 버스를 통해 상기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와 연결되고, 여러 개의 기지국을 수용하며,
    상기 제어 및 유지보수장치는 제어국 전체의 호 제어 등 각종 제어 기능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며,
    상기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는 상기 유티오피아이에이 버스를 통해 상기 다수의 정합모듈을 수용하고,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와 기본적인 신호처리 기능을 담당하고, 상기 정합모듈에서 전송되는 각종 트래픽 셀과 제어 및 유지보수 장치에서 전송되는 제어 및 유지보수 셀을 멀티플렉싱 하여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로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정합모듈은 다수의 기지국을 디지털 중계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디지털 중계 E1 선로 정합부와,
    각종 데이타들의 타임슬롯 교환기능을 수행하는 타임스위치와,
    음성 및 영상 관련 트래픽 데이타를 상기 타임스위치로부터 전송받아 AAL 1 형태의 비동기 전송모드 셀로 변환시키는 기능 및 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 1 물리계층처리부와,
    상기 정합모듈 내의 제어 및 유지보수 기능을 담당하는 프로세서와,
    상기 타임스위치에서 에스티-버스(ST-bus)를 통해 핸드오버에 데이타들을 전송받아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하에 선택 처리하여, 음성 관련 데이타인 경우는 보코더로 보내고 음성 관련 데이타가 아닌 경우는 선택된 데이타를 타임스위치로 보내는 기능을 수행하는 셀렉터와,
    상기 음성관련 데이타에 대한 소스 코딩 및 디코딩 기능과 각종 톤을 발생시키는 기능을 수행하는 보코더와,
    상기 프로세서와 타임스위치간에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형태의 테이타로 변환/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하이 레벨 데이터 링크 제어 정합부와,
    상기 프로세서 또는 제어국의 제어 데이타들을 상기 유티오피아이에이 버스를 통해 다른 정합 모듈 또는 비동기 전송모드 교환기와 송수신 할 수 있도록 AAL 5 형태의 데이타로 변환/역변환 기능을 수행하는 AAL 5 물리계층처리부와,
    상기 각각의 정합모듈 사이에 각종 데이타를 송수신 할 수 있도록 정합해 주는 글로벌 버스 정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KR1019970072049A 1997-12-22 1997-12-22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KR10024807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049A KR100248074B1 (ko) 1997-12-22 1997-12-22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72049A KR100248074B1 (ko) 1997-12-22 1997-12-22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556A KR19990052556A (ko) 1999-07-15
KR100248074B1 true KR100248074B1 (ko) 2000-03-15

Family

ID=19528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2049A KR100248074B1 (ko) 1997-12-22 1997-12-22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807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2930A (ko) * 2001-09-11 2003-03-19 한빛전자통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의에이티엠 선로 정합 장치
KR100427578B1 (ko) * 2001-12-19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Imt-2000 비동기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의 atm스위치 정합 장치
US7092366B2 (en) 2000-12-18 2006-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 network controller in IMT-2000 asynchronous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45598A (ko) * 1998-12-30 2000-07-25 김영환 미래육상이동통신 시스템 제어국의 비동기 전송 모드 이1 정합장치
KR20000059393A (ko) * 1999-03-03 2000-10-05 김영환 음성 트래픽을 위한 미래육상이동통신 기지국과 제어국간 비동기전송 모드 방식 인터페이스 방법
KR20020014104A (ko) * 2000-08-16 2002-02-25 윤종용 이동통신시스템에서 스위칭 가상 회선 설정장치 및 방법
KR100363743B1 (ko) * 2000-11-28 2002-12-06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차세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제어국 프로세서 보드
KR100728860B1 (ko) * 2001-02-15 2007-06-15 유티스타콤코리아 유한회사 아이엠티-2000 시스템에서 95비 데이터 서비스시 데이터검출 방법
KR100428861B1 (ko) * 2001-06-09 2004-04-28 주식회사 현대시스콤 기지국/제어국 서브 시스템의 음성 서비스 시험 장치 및그 방법
KR100411881B1 (ko) * 2001-12-21 2003-12-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제어국 정합 장치
KR100412974B1 (ko) * 2002-03-23 2003-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브이티오에이 게이트웨이 시스템 및 그 시스템에서의아이에스디엔 디 채널 메시지 처리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92366B2 (en) 2000-12-18 2006-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Radio network controller in IMT-2000 asynchronous system
KR20030022930A (ko) * 2001-09-11 2003-03-19 한빛전자통신 주식회사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과 기지국 제어 장치간의에이티엠 선로 정합 장치
KR100427578B1 (ko) * 2001-12-19 2004-04-28 삼성전자주식회사 Imt-2000 비동기 시스템에서 무선망 제어국의 atm스위치 정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52556A (ko) 1999-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2358B1 (en) Vocoder by-pass for digital mobile-to-mobile calls
KR100248074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에서 기지국 정합을 위한 제어국의 구조
US6577623B1 (en) Fixed-length cell data and time-division data hybrid multiplexing apparatus
US6950412B2 (en) Base station controller in IMT-2000 system
JPH11331191A (ja) 加入者アクセス装置
KR100197898B1 (ko) 비동기식 전송모드 사설망의 음성전화 서비스장치
KR100258178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멀티플렉서/디멀티플렉서 장치
AU755263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coded telecommunication signals
KR100258179B1 (ko) 공중통신망 정합장치를 이용한 차세대 이동 통신망
KR100311352B1 (ko) 범세계 이동통신 제어국 시스템의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 및 그를 이용한 셀렉터/트랜스코더
KR100243098B1 (ko) 공중 통신망 정합장치
KR100337639B1 (ko) 차세대 이동통신망 제어국의 비동기 전송모드 정합모듈의 구조
KR100252834B1 (ko) 협대역 아이에스디엔 교환기의 씨씨에스 넘버.7 국간 신호 장치
KR20000059393A (ko) 음성 트래픽을 위한 미래육상이동통신 기지국과 제어국간 비동기전송 모드 방식 인터페이스 방법
KR20000045598A (ko) 미래육상이동통신 시스템 제어국의 비동기 전송 모드 이1 정합장치
KR20010082937A (ko) 아이엠티-2000 제어국의 기지국 정합 서브시스템
KR100270442B1 (ko) 종합정보통신망 접속채널 선택기능을 구비한 중계장치
JP2689061B2 (ja) 非同期転送モード交換機
KR100264855B1 (ko) 아이디엘씨기능구현을위한가입자전송장치
KR0153933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고정속도 서비스 연동을 위한 셀 조립/분해 장치
JPH06197119A (ja) アナログ回線用非同期転送モード加入者回路
KR0175466B1 (ko) 비동기 전달모드 교환시스템에서 공중전기통신망 가입자정합장치 및 호처리 방법
KR19990005228A (ko) 무선가입망 기지국 제어기의 vsoa장치
JPWO2004093358A1 (ja) 通信装置
JPH10243484A (ja) 音声圧縮伸張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11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