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496U - 엑스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 Google Patents

엑스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496U
KR19990040496U KR2019980005658U KR19980005658U KR19990040496U KR 19990040496 U KR19990040496 U KR 19990040496U KR 2019980005658 U KR2019980005658 U KR 2019980005658U KR 19980005658 U KR19980005658 U KR 19980005658U KR 19990040496 U KR19990040496 U KR 199900404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roller
bundle
filter
ray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565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11584Y1 (ko
Inventor
김한호
Original Assignee
노재혁
주식회사 케이.씨.알.무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재혁, 주식회사 케이.씨.알.무역 filed Critical 노재혁
Priority to KR201998000565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11584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4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49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1158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11584Y1/ko

Links

Landscapes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Photographic Processing Devices Using Wet Method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자를 진찰할 때에 외진과 함께 내진을 위한 X선 사진촬영을 하게 되고 이때에 사용되는 필름의 현상 및 장착에 이용되는 로울러는 사용후 또다시 재사용을 위하여 로울러를 세척하는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X선 촬영기에는 필름의 현상 및 장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로울러뭉치가 이용되고 있고 또한 사용된 로울러뭉치는 재사용을 위하여 현상액등 현상으로 발생된이물질을 세척하고 있다.
이때의 세척에서는 세척액과 세척도구들 일예로 부드러운 걸래등을 이용하여 뭉치의 로울러와 이 로울러들의 축수부에 낀 이물질등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로울러는 매우 미세한 구성으로 필름의 현상 및 장착등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 초정밀부품들이다. 이러한 초정밀부품 표면에 걸래나 작업자의 손 또는 기타의 도구들에 의해 로울러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면 다음 작업의 필름에 지대한 피해를 주게 되거나 또한 로울러뭉치를 교환하여야 되는 폐단이 야기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에 의한 수공 세척방법을 탈피하여 자동화된 자동세척기에 의해 분사되는 물세척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서 로울러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폐단을 개선함과 함께 로울러뭉치의 양 축수부에 형성된 좁은 공간내의 힌지부에 낀 이물질을 청결하고 간단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의 목적을 가진 고안이다.

Description

엑스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본 고안은 환자를 진찰할 때에 외진과 함께 내진을 위한 X선 사진촬영을 하게 되고 이때에 사용되는 필름의 현상 및 장착에 이용되는 로울러는 사용후 또다시 재사용을 위하여 로울러를 세척하는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같이 병원에서 의사가 환자를 진찰할 때에 외진과 함께 내진을 위한 X선 촬영을 하여 검진을 하게 된다.
이러한 X선 촬영기에는 필름의 현상 및 장착을 위하여 사용되는 로울러뭉치가 이용되고 있고, 또한 사용된 로울러뭉치는 재사용을 위하여 현상액등 현상으로 발생된 이물질을 세척하고 있다.
이때의 세척에서는 세척액과 세척도구들 일예로 부드러운 걸래등을 이용하여 뭉치의 로울러와 이 로울러들의 축수부에 낀 이물질등을 제거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로울러는 매우 미세한 구성으로 필름의 현상 및 장착등에 중요한 작용을 하게 되는 초정밀부품들이다. 이러한 초정밀부품 표면에 걸래나 작업자의 손 또는 기타의 도구들에 의해 로울러의 표면을 손상시키게 되면 다음 작업의 필름에 지대한 피해를 주게되거나 또한 로울러뭉치를 교환하여야 되는 폐단이 야기되는 것이다.
이러한 로울러뭉치는 기계장치와 함께 고가의 수입품으로 많은 외화낭비가발생됨과 함께 작업자에 의한 세척은 충분한 세척이 이루워지지 못하고 또한 축수부의 작은 틈새에 낀 이물질 제거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충분한 세척이 이루워지지 못한 상태에서 재사용을 하게 될 때에 로울러와 축수부에 낀 이물질로 인하여 로울러의 수명단축과 필름현상에 많은 폐단을 일으키고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을 시정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특히 작업자에 의한 수공 세척방법을 탈피하여 자동화된 자동세척기에 의해 분사되는 물세척을 실시하도록 함으로서 로울러의 표면을 손상시키는 폐단을 개선함과 함께 로울러뭉치의 양 축수부에 형성된 좁은 공간내의 힌지부에 낀 이물질을 청결하고 간단히 세척할 수 있도록 한 특징의 목적을 가진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정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요부를 살수관을 보인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요부 세척액용기의 체결수단을 보인 결합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기체 11 : 퇴수관 12 : 배수관
13 : 액주입관 14 : 순환파이프 15 : 원수인입관
20 : 세척조 21 : 펌프 30 : 세제통체결구
31 : 체결나관 40 : 살수관 41 : 분배관
42 : 수직관 43 : 살수공 50 : 여과판
51 : 배수공 52 : 필터 60 : 세제통
61 : 통공 62 : 캡 63 : 체결관
본 고안은 이동가능한 기체내에 세척조을 구성하여 세척물을 수납함과 함께 펌프로 펑핑되는 물을 살수관의 분출공으로 분사시켜 분사되는 물과 함께 분사되는 힘에 의한 세척이 이루워져 초정밀구성의 로울러와 로울러의 힌지부에 낀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세척조에는 세척액을 주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성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단면도, 도 3은 요부 살수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도 5는 요부 세척액 용기의 체결수단을 보인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내에 퇴수관(11)과 배수관(12)을 형성한 세척조(20)를 구성하되, 액주입관(13)으로 세제통체결구(30)에 체결된 세제통(60)의 세제액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관(12)에는 펌프(21)와 살수관(40)을 구성한 분배관(41)에 순환파이프(14)로 연결구성시켜 세척수을 순환되도록 구성함과 함께 원수 인입관(15)을구성하여 세척원수를 공급하도록 구성하되,
상기 세제체결구(30)는 액주입관(13)단부에 체결나선을 형성한 체결나관(31)을 형성하여 기체(10)외부로 돌출구성된 체결나관(31)에 통공(61)을 뚫은 세제통(60)의 캡(62)을 끼워마춤한 상태에서 체결관(63)으로 체결하도록 함과,
상기 분배관(41)은 원수인입관(15)과 순환파이프(14)를 연결한 상단부 양측으로 살수관(40)과 연결되는 수직관(42)을 상광하협으로 형성시켜 세척조(20)내의 살수관(40)과 연결구성함과,
상기 살수관(40)은 다공의 살수공(43)을 형성하되, 양단부측으로 많은 살수공(43)이 형성하고 내측으로 작은량의 구멍을 형성함과 함께 하향 분사되도록 구성하고,
상기 세척조(20)내에는 다공의 배수공(51)을 뚫은 여과판(50)과 필터(52) 및 필터(52)상단에 또다시 여과판(50)을 적층구성하여서 되는 구성이다.
미설명부호 9는 순환라인에서의 온,오프체크밸브이고 8은 세척조 내의 세척수가 넘침을 방지하는 역수관이며 7은 본 고안의 작동조작 콘트롤 및 6은 세척조 개폐뚜껑 5는 로울러뭉치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사시도이고 도 2는 정단면도, 도 3은 요부 살수관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정단면도 및 도 5는 요부 세척액용기의 체결수단을 보인결합단면도로 상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체(10)내에 퇴수관(11)과 배수관(12)을 형성한 세척조(20)를 구성하여 세제액체결구(30)와 순환파이프(14)로 공급된 세척수를 순환하도록 구성한 본 고안을 이용하여 X선필름의 현상로울로뭉치(5)를 세척하게 된다.
즉, 기체(10)의 세제액체결구(30)에 세제통(60)을 도 5에서와 같이 체결시키고 원수인입관(15)에는 원수를 공급함과 함께 세척할 X선필름로울러뭉치(5)를 세척조(20)내의 여과판(50)상에 적재하고 콘트롤(7)의 전원스위치를 온함으로서 본 세척기가 작동을 하게 된다.
이에의해 상기 원수인입관(15)으로 공급되는 원수는 도 2에서와 같이 분배관(41)에서 양측의 수직관(42)으로 분화되어 살수관(40)으로 공급됨과 함께 이 살수관(40)에 뚫린 살수공(43)으로 공급된 세척수가 분사되어 세척조(20)내로 분사된다.
이때에 상기에 의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로울러뭉치(5)에 강하게 분사되면서 로울러의 표면에 낀 이물질을 제거하게 된다. 이때의 분사량은 양측으로 더많은 살수공(43)들이 형성되어 로울러뭉치(5)의 힌지부측으로 집중분사됨으로서 힌지부의 좁은 공간에 낀 이물질을 보다 청결히 세척하게 되는 것이고, 이와함께 기체(10)의 세제체결구(30)에 체결된 세제통(60)에서는 세제액이 액주입관(13)을 거처 세척조(20)내로 공급되어 세척수과 혼합된다.
상기 세척수는 세척조(20)내로 낙하되어 일정한 량이 되면 콘트롤(7)에 의해 원수의 공급을 차단하면서 펌프(21)를 작동시켜 세척조(20)내의 세척수를 펑핑하게되고 또한 세제액의 혼합량에 따라 콘트롤(7)에서 그 공급을 중단시키게 된다.
상기 펑핑으로 세척조(20)내의 세척수가 배수관(12)을 거처 순환파이프(14)에 의해 다시 분배관(41)으로 순환하게 된다.
이와같이 순환되는 세척수는 세척조(20)에 낙하된 세척수가 내저면으로 적층된 세척조(20)내에는 여과판(50) 배수공(51)과 필터(52)를 지나면서 로울러뭉치(5)에서 이탈된 이물질을 제거시켜 다시 순환되는 것이다.
이상에 의해 세척액을 혼합한 세척수는 계속되는 순환과 분사로 로울러뭉치(5)를 가격하게 되어 로울러뭉치(5)에 낀 이물질을 완전히 제거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실시를 여러번 실시함으로서 순환되는 세척수가 오염될때에는 퇴수관(11)을 온시켜 세척수를 교환함과 함께 여과판(50)과 필터(52)를 교체 또는 청소를 하여 사용한다.
상기에서의 개폐는 콘트롤(7)에의해 작동되고 또는 시간설정 및 각종센서에 의한 구성을 할 수 있슴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은 본 고안은 기체내에 세척조을 구성하여 세척물을 수납함과 함께 펌프로 펑핑되는 물을 살수관의 분사공으로 상기 세척물에 강하게 분사시켜 이물질제거와 함께 세척이 이루워져 초정밀구성의 로울러와 로울러의 힌지부에 낀 이물질을 간단히 제거할수 있도록 하는 특징과 수공을 자동화된 기계에 의해 실시할 수 있고 또한 구성이 간단하여 제작이 간단한 고안이다.

Claims (5)

  1. 이동가능한 기체(10)내에 퇴수관(11)과 배수관(12)을 형성한 세척조(20)를구성시켜 여과판(50)을 구성함과 함께 세제통체결구(30)로 세제액이 주입되도록 하고,
    상기 배수관(12)에는 펌프(21)와 살수관(40)을 구성한 분배관(41)에 순환파이프(14)로 연결구성시켜 세척수을 순환되도록 구성함과 함께 원수 인입관(15)으로 세척원수를 공급시켜 살수관(40)으로 살수되는 세척수에 의해 로울러뭉치(5)를 분사 세척하도록 함을 콘트롤에 의해 조정할 수 있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제체결구(30)는 액주입관(13)단부에 체결나선을형성한 체결나관(31)을 형성하여 기체(10)외부로 돌출구성된 체결나관(31)에 통공(61)을 뚫은 세제통(60)의 캡(62)을 끼워마춤한 상태에서 체결관(63)으로 체결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관(41)은 원수인입관(15)과 순환파이프(14)를연결한 상단부 양측으로 살수관(40)과 연결되는 수직관(42)을 상광하협으로 형성시켜 세척조(20)내의 살수관(40)과 연결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살수관(40)은 다공의 살수공(43)을 형성하되, 양단부측으로 많은 살수공(43)이 형성되고 내측으로 작은량의 구멍을 형성시켜 로울러뭉치의 힌지부측으로 집중분사함을 특징으로 한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세척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20)내에는 다공의 배수공(51)을 뚫은 여과판(50)과 필터(52) 및 필터(52)상단에 다시 여과판(50)을 적층구성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KR2019980005658U 1998-04-11 1998-04-11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KR20021158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58U KR200211584Y1 (ko) 1998-04-11 1998-04-11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5658U KR200211584Y1 (ko) 1998-04-11 1998-04-11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496U true KR19990040496U (ko) 1999-11-25
KR200211584Y1 KR200211584Y1 (ko) 2001-02-01

Family

ID=695054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5658U KR200211584Y1 (ko) 1998-04-11 1998-04-11 X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11584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11584Y1 (ko) 200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10423B1 (ko) 식기세척기의 오물 처리방법 및 그 장치
KR950001350B1 (ko) 세탁기
KR100529879B1 (ko) 식기세척기의 필터 청소장치
KR20040006153A (ko) 식기세척기
KR20090006659A (ko) 세탁기
DE19964292B4 (de) Waschmaschine mit einer Filtervorrichtung und einer Sterilisationsvorrichtung
JP4737245B2 (ja) ドラム式洗濯機
KR101616225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KR19990040496U (ko) 엑스선 필름 자동현상기용 로울러뭉치 세척기
KR101674853B1 (ko) 세정용 필터를 갖는 협잡물 제거장치
CN205412422U (zh) 一种自动除渣清洗机
CH404106A (de) Programmgesteuerte Geschirrspülmaschine
KR101346949B1 (ko) Pcb기판 제조 공정 중 pcb기판 세척 공정에 사용되는 pcb기판 세척장치
NZ270822A (en) Warewasher drain valve; method for removing obstructions from drain valve area comprising rapid reciprocation of valve cover
CN115613304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CN117248358A (zh) 一种洗衣机及其控制方法
KR101054424B1 (ko) 드럼세탁기의 잔수 배출구조
KR950002455B1 (ko) 식기세척기의 급배수장치
KR100329425B1 (ko) 전자동 세탁기의 세탁조 세정방법
KR100558761B1 (ko) 회전식 케이지 자동 세척기
KR970004811Y1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KR100313518B1 (ko) 웨이퍼 세정장치
JP3286975B2 (ja) 食器洗浄装置
KR200392578Y1 (ko) 어류 세척기의 공기 분사장치
KR0130951Y1 (ko) 세탁기의 세탁수 순환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