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40014U - 모니터 - Google Patents

모니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40014U
KR19990040014U KR2019980006505U KR19980006505U KR19990040014U KR 19990040014 U KR19990040014 U KR 19990040014U KR 2019980006505 U KR2019980006505 U KR 2019980006505U KR 19980006505 U KR19980006505 U KR 19980006505U KR 19990040014 U KR19990040014 U KR 1999004001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stand
display member
hinge mechanism
moni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650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1314Y1 (ko
Inventor
신종화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650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1314Y1/ko
Publication of KR1999004001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4001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131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1314Y1/ko

Links

Landscapes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는, 힌지기구의 지지축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부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도록 구성되므로, 힌지기구와 스탠드와의 결합작업이나 힌지기구와 디스플레이부재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탠드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재의 회전범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게 되어 스탠드를 디스플레이부재의 후방에 위치시켜서 모니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가 있다.

Description

모니터
본 고안은 모니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디스플레이부재를 스탠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힌지기구의 구조가 개선된 모니터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화상표시장치 등에 사용되는 모니터는 일반적으로 도 1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탠드(1)와, 화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재(2)를 구비하고 있다. 스탠드(1)와 디스플레이부재(2) 사이에는 힌지기구(3)가 설치되며, 그 힌지기구(3)에 의해 디스플레이부재(2)는 스탠드(1)에 대해 소정각도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힌지기구(3)는 디스플레이부재(2)의 회전을 억제하는 저항력을 제공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그 사용자의 자세나 모니터의 설치위치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부재(2)를 스탠드(1)에 대해 원하는 각도가 되도록 회전시켜 둘 수 있다.
그런데 종래 모니터는, 스탠드와 디스플레이부재 각각의 일부가 서로 중첩되며, 힌지기구는 상기 중첩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그 힌지기구의 일부는 스탠드에 내장되고 나머지부분은 모니터에 내장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힌지기구와 스탠드와의 결합작업이나 힌지기구와 디스플레이부재와의 결합작업이 쉽지 않을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재는 회전에 필요한 공간이 확보될 수 있도록 스탠드의 상부에 위치되어야 하므로 모니터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스탠드와 힌지기구와의 결합작업이나 디스플레이부재와 힌지기구와의 결합작업이 향상될 수 있으며 스탠드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재의 설치위치의 제약이 줄어들 수 있도록, 힌지기구의 구조가 개선된 모니터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모니터의 개략적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니터의 개략적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힌지기구의 "K"부위의 개략적 분리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힌지기구 부위의 개략적 결합단면도,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모니터의 개략적 우측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스탠드 20...디스플레이부재
25...힌지기구 30...제1브라켓
31...제1고정부 32...제1결합부
40...지지축 42...축부
50...제2브라켓 51...제2고정부
52...제2결합부 90...토오션스프링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는 스탠드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를 상기 스탠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기구를 포함하는 것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스탠드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는 제1브라켓;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디스플레이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부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된 지지축;을 포함하는 점에 특징이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의 개략적 분리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모니터는 스탠드(10)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재(20)를 구비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재(20)는 힌지기구(25)에 의해 스탠드(1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힌지기구(25)는 도 3 및 도 4에도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브라켓(30)과, 한 쌍의 지지축(40)과, 한 쌍의 제2브라켓(50)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브라켓(30)은 제1고정부(31)들과 한 쌍의 제1결합부(32)를 구비하고 있다. 제1고정부(31)는 스탠드(10)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부위이며, 각각의 제1결합부(32)는 제1고정부(31)로부터 연장된 부위로서 스탠드(1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제1결합부(32)에는 비원형 관통공(3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각각의 제2브라켓(50)은 제2고정부(51)와 제2결합부(52)를 구비하고 있다. 제2고정부(51)는 디스플레이부재(20)에 나사 등에 의해 고정되는 부위이며, 제2결합부(52)는 제2고정부(51)로부터 연장된 부위로서 디스플레이부재(20)의 바깥쪽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각 지지축(40)은, 대응되는 제1브라켓(30)의 관통공(34)과 동일한 형상의 단면을 가지는 결합부(43)가 제1브라켓(30)의 관통공(34)에 끼워져서 너트(35)와 나사결합됨으로써, 제1브라켓(30)에 대해 상대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고정되게 된다. 참조부호 39는 너트(39)의 풀림을 억제하기 위한 스프링와셔이다. 지지축(40)은 지지부재(30)과 제2브라켓(50) 사이의 간격유지를 위한 스페이서부(41)와, 제2브라켓(50)의 제2결합부(5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축부(42)를 구비하고 있다. 이 축부(42)에는 또한, 스토퍼부재(55)와 와셔(59)들과 접시스프링(60)과 부시(70)와 고정부재(80)가 설치되어 있다. 스토퍼부재(55)는 축부(42)에 대한 상대회전이 방지되게 결합되며, 제2브라켓(50)의 회전각도를 제한하기 위해 제1브라켓에 형성된 스토퍼돌기(54)를 구속하는 한 쌍의 스토퍼부(56)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시스프링(60)들은 축부(42)의 길이방향으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부시(70)는 축부(42)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80)는 축부(42)에 상대회전이 방지된 상태로 끼워지며, 축부(42)에 나사결합되는 록킹부재(89)에 의해 이탈이 방지된다. 고정부재(80)는 축부(42)에 고정되는 과정에서 부시(70)를 통해 접시스프링(60)을 압압하여 탄성변형시키게 되고, 그 접시스프링(60)들은 와셔(59)들을 통해 제2브라켓(50)을 스페이서부(41)측으로 탄력적으로 가압하게 된다. 접시스프링(60)에 의한 가압력으로 인하여, 지지축(40)과 제2브라켓(50) 사이에는 제2브라켓(50)의 회전을 억제하는 일정한 크기의 마찰저항력이 발생된다. 이 마찰저항력에 의해 제2브라켓(50)은, 제1브라켓(30)에 대해 임의의 각도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재(20)의 자중 등 작은 외력에 의해 임의로 다른 위치로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부시(70)의 외주에 토오션스프링(90)은 삽입되어 있으며, 그 토오션스프링(90)의 일단부(91)는 고정부재(80)의 결합부(81)에 삽입되어서 제1브라켓(30)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있으며, 타단부는 제2브라켓(50)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그 제2브라켓(50)에 대해 위치고정되어 있다. 이 토오션스프링(90)에 의해서, 제2브라켓(50)의 회전시에 그 회전각도가 증대될수록 제2브라켓(50)의 회전을 억제하는 저항력의 크기가 커지게 된다. 예를 들어, 제2브라켓(50)이 도 5에 실선으로 도시한 위치(이하 '제1위치'라 함)로부터 가상선으로 도시한 위치(이하 '제2위치'라 함)로 회전되는 동안에 그 제2브라켓(50)에 가해지는 저항력의 크기는, 상기 일정한 크기의 마찰저항력과 토오션스프링(90)의 원주방향으로의 탄성변형에 필요한 힘을 합한 값이 되는데, 토오션스프링(90)의 원주방향으로의 탄성변형량이 큰 상태일수록 상기 토오션스프링(90)을 탄성변형시키는데 필요한 힘이 커지게 된다. 즉, 제2브라켓(50)이 상기 제2위치측에 가까이 위치될수록 토오션스프링(90)을 탄성변형시키기 위한 힘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제1위치로부터 제2위치로의 회전시에 제2브라켓(50)의 회전각도가 커질수록 그 제2브라켓(50)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반대로 제2브라켓(50)이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원주방향으로 탄성변형되어 있는 토오션스프링(90)의 원주방향으로의 복원력이 제2브라켓(50)의 회전을 돕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그러므로, 제2브라켓(50)에 가해지는 저항력의 크기는 상기 접시스프링(60)의 탄성가압력에 의한 마찰저항력에서 상기 토오션스프링(90)의 복원력을 뺀 값이 된다. 그런데 토오션스프링(90)의 복원력은, 그 토오션스프링(90)의 원주방향으로의 탄성변형량이 작은 상태일수록 즉, 제2브라켓(50)이 제1위치측에 가까이 위치될수록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제2위치로부터 제1위치로의 회전시에 제2브라켓(50)의 회전각도가 커질수록 그 제2브라켓(50)의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 작용되는 저항력이 커지게 된다.
이러한 구조를 가지는 모니터에 있어서는 힌지기구(25)의 지지축(40)이, 스탠드(1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결합부(32)에 고정되고 디스플레이부재(20)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결합부(52)에 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므로, 그 지지축(40)이 스탠드(10) 및 디스플레이부재(2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힌지기구(25)와 스탠드(10)와의 결합작업, 힌지기구(25)와 디스플레이부재(20)와의 결합작업이 스탠드(10) 및 디스플레이부재(20)의 외부에서 행해지게 되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게 된다.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재(20)의 회전중심이 되는 지지축(40)이 스탠드(10) 및 디스플레이부재(20)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므로, 스탠드(10)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재(20)의 회전에 필요한 공간이 넓게 확보되게 되며 이에 따라,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재(20)를 지지하는 스탠드(10)를 그 디스플레이부재(20)의 후방에 위치시키더라도 스탠드(10)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재(20)의 회전을 위한 공간이 충분히 확보될 수 있다. 따라서, 모니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가 있게 되어 그 모니터의 설치공간이 축소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재(20)를 지지하는 스탠드(10)를 그 디스플레이부재(20)의 후방에 위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스탠드(10)는 디스플레이부재(20)의 전면에서 작업하는 사용자의 시야로부터 벗어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재(20)의 화면에 집중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외관면에서도 간결하고 정돈된 느낌을 주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와 같이, 힌지기구(25)에 설치된 토오션스프링(90)을 설치하게 되면, 그 토오션스프링(90)에 의해 제2브라켓(50)이 임의의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로 회전될 때 제2브라켓(50)의 회전각도가 커짐에 따라 그 회전을 억제하는 저항력도 함께 증대되므로, 제2브라켓(50)이 소정크기의 외력에 의해 상기 마찰저항력을 극복하고 회전되기 시작한 후 관성에 의해 원치않는 위치까지 쉽게 회전되어 버리는 것이 억제될 수 있다. 따라서, 제2브라켓(50)에 고정된 디스플레이부재(20)를 제1브라켓(30)에 고정된 스탠드(10)에 대해 원하는 각도만큼 정확하게 회전시키기가 용이하며, 디스플레이부재(20)의 회전각도조절이 보다 정밀하게 행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모니터에 있어서는 지지축(40)이 동일선상에 한 쌍 구비된 힌지기구(25)가 사용되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제1브라켓(30)에 하나의 제1결합부(32)가 마련되고 제2브라켓(50)도 하나만 구비되어 그들 사이에 설치되는 하나의 지지축에 의해 제1브라켓 및 제2브라켓을 상대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본 실시예의 모니터에 있어서는, 상기 지지축(40)이 제1브라켓(30)에 고정되고 제2브라켓(50)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있으나, 반대로 지지축(40)이 제2브라켓(50)에 고정되고 제1브라켓(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이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토오션스프링(90)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님은 물론이며 그 토오션스프링이 마련되지 않더라도 본 고안의 목적은 충분히 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모니터는, 힌지기구의 지지축이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부재로부터 소정거리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므로, 힌지기구와 스탠드와의 결합작업이나 힌지기구와 디스플레이부재와의 결합작업이 용이하게 행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스탠드에 대한 디스플레이부재의 회전범위가 넓게 확보될 수 있게 되어 스탠드를 디스플레이부재의 후방에 위치시켜서 모니터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출 수가 있다.

Claims (2)

  1. 스탠드와, 화상이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재와, 상기 디스플레이부재를 상기 스탠드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시키는 힌지기구를 포함하는 모니터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스탠드에 고정되는 제1고정부와 스탠드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1결합부를 가지는 제1브라켓;
    상기 디스플레이부재에 고정되는 제2고정부와 디스플레이부재의 외측에 위치되는 제2결합부를 가지는 제2브라켓; 및
    상기 제1결합부와 제2결합부 중 어느 일측에 고정되고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스탠드 및 디스플레이부재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는 지지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기구는: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한 제2브라켓의 회전시에 그 회전을 억제하는 방향으로의 저항력을 제공하는 저항수단; 및
    상기 제2브라켓이 임의의 위치로부터 회전될 때 그 회전각도가 증대됨에 따라 상기 저항력이 커지도록, 일단이 상기 제1브라켓에 대해 위치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제2브라켓에 대해 위치고정된 토오션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니터.
KR2019980006505U 1998-04-23 1998-04-23 모니터 KR200231314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05U KR200231314Y1 (ko) 1998-04-23 1998-04-23 모니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6505U KR200231314Y1 (ko) 1998-04-23 1998-04-23 모니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40014U true KR19990040014U (ko) 1999-11-25
KR200231314Y1 KR200231314Y1 (ko) 2001-10-25

Family

ID=69513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6505U KR200231314Y1 (ko) 1998-04-23 1998-04-23 모니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1314Y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69B1 (ko) * 2001-12-24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90B1 (ko) * 2001-12-2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91B1 (ko) * 2001-12-2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87B1 (ko) * 2001-12-2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8534B1 (ko) 2003-07-23 2005-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3869B1 (ko) * 2001-12-24 2004-08-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90B1 (ko) * 2001-12-2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91B1 (ko) * 2001-12-2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KR100489787B1 (ko) * 2001-12-24 2005-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 표시 기기용 힌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1314Y1 (ko) 2001-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160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100461184B1 (ko) 디스플레이장치
US6912120B2 (en) Tilting and shielding apparatus of monitor
EP1626223B1 (en) Mount for image display apparatus
KR10056818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050284997A1 (en) Flat screen monitor desktop support
CN211232222U (zh) 支撑装置
US20050087666A1 (en) Display apparatus
US20070001084A1 (en) Swiveling apparatus for a monitor apparatus
KR20030055779A (ko) 평면 영상 표시 기기의 힌지 구조
EP1470467B1 (en) Hinge structure for flat visual display device
US20030042385A1 (en) Liquid crystal display with a ball-and-socket mounting joint
KR200231314Y1 (ko) 모니터
KR101475490B1 (ko) 지지장치와 이를 구비하는 듀얼 디스플레이장치
EP2557776B1 (en) Display device
JP5519134B2 (ja) ディスプレイ支持装置
KR200256809Y1 (ko) 힌지를 이용한 각도조절장치
KR20040068485A (ko) 경사운동장치
KR100339537B1 (ko) 피봇힌지
JP6407329B2 (ja) ヒンジ軸装置
KR100439727B1 (ko) 디스플레이장치
KR20100138010A (ko) 디스플레이 기기
JP4438935B2 (ja) 表示装置
KR10056821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TWI399163B (zh) 鉸鏈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4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