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664A -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664A
KR19990039664A KR1019970059833A KR19970059833A KR19990039664A KR 19990039664 A KR19990039664 A KR 19990039664A KR 1019970059833 A KR1019970059833 A KR 1019970059833A KR 19970059833 A KR19970059833 A KR 19970059833A KR 19990039664 A KR19990039664 A KR 19990039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main body
support member
support
support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67222B1 (ko
Inventor
백현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67222B1/ko
Priority to CN98123558A priority patent/CN1114804C/zh
Publication of KR19990039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7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72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32Supports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or ventilation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내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켜 상기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부재가 원활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의 무게중심이 공기조화기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공기조화기가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본체(1) 하방에 결합되어 본체(1)를 지지하도록 측면판(8)과 배면판(9)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7)와, 상기 지지부재(7) 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부재(7)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01)와, 상기 보강부재(101)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보강부재(10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02)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써, 좀 더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열교환시켜 차가운 공기로 바꾼 다음 상기 차가워진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를 적정온도로 냉방시켜 주는 기기로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2)과,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실내의 공기를 흡입 및 토출시키도록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과, 상기 전면 패널(2)에 형성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5)과,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흡입그릴(5)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기 위해 찬냉매가 유동되는 열교환기(4)와, 상기 전면 패널(2)에 형성되어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된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는 토출그릴(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3)이 회전되면서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그릴(5)을 통해 본체(1) 내로 흡입되며, 이 흡입된 공기는 열교환기(4)를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차가워지고, 상기 차가워진 공기는 본체(1) 내를 유동하면서 토출그릴(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가 적정온도로 냉방된다.
이때, 본체(1) 내의 하부측에 열교환기(4)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열교환기(4)에 의해 본체(1) 하부의 강도가 유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전면 패널의 상, 하부에 토출그릴과 흡입그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흡입그릴이 형성된 곳 즉, 공기조화기의 하부에는 토출그릴을 통해 토출되는 찬공기가 미치지 못할 뿐만 아니라 토출되는 공기가 실내로 널리 확산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상기한 문제점을 보안하기 위한 공기조화기는 도 2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2)과,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본체(1) 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과, 상기 전면 패널(2)의 전면에 형성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5)과, 상기 본체(1) 내에 찬 냉매가 유동되게 설치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그릴(5)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와, 상기 전면 패널(2)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토출그릴(6)과, 상기 본체(1)의 하방에 결합되어 본체(1)를 지지하도록 측면판(8)과 배면판(9)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7)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3)이 회전되고, 상기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전면 패널(2)에 형성된 흡입그릴(5)을 통해 본체(1) 내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1) 내로 흡입된 실내의 더운 공기는 본체(1) 내에 결합되어 찬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나 차가워지고, 이 차가워진 공기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1) 내를 유동하면서 전면 패널(2)에 형성된 토출그릴(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가 적정온도로 냉방된다.
이때, 상기 본체(1) 내의 하방에 결합되어 측면판(8)과 배면판(9)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7)에 의해 본체(1)가 지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의 하방에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의 내부가 빈공간이므로 상기 지지부재의 강도가 약할 뿐만 아니라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서만 본체가 지지되므로 지지부재가 파손되거나 휘어지는 현상이 발생되어 본체를 지지부재가 원활하게 지지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본체 내에는 많은 부품들이 장착되어 있어 본체의 무게는 무거운데 비해 지지부재 내는 빈공간이어서 무게가 가벼우므로 공기조화기의 무게중심이 높아 적은 힘에 의해서도 공기조화기가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공기조화기의 본체를 지지하는 지지부재 내에 별도의 부품을 결합시켜 상기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도록 하여 상기 본체를 지지부재가 원활하게 지지함과 동시에 공기조화기의 무게중심이 공기조화기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공기조화기가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본체 하방에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도록 측면판과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부재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보강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가 제공된다.
도 1a는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1b는 도 1a의 I-I선단면도.
도 2는 종래 공기조화기의 일부가 절취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종래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하부지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5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하부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지지부재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보강부재 102: 고정부재
103: 돌기부 104: 삽입홀
105: 플랜지 106: 구멍
107: 결합홀 108: 스크류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4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하부지지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하부지지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로써,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본체(1) 하방에 본체(1)를 지지하도록 측면판(8)과 배면판(9)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7)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부재(7)는 측면판(8)과 배면판(9)이 도 4에서와 같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거나 도 6에서와 같이 지지부재(7)에 보강부재(101)가 원활하게 결합되도록 분리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재(7)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101)가 결합수단에 의해 지지부재(7)의 내측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재(101)의 하단부에 보강부재(101)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0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결합수단은 지지부재(7)의 내측면에 복수개의 돌기부(103)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돌기부(103)가 삽입되도록 돌기부(103)와 대응되는 위치에 보강부재(101)의 삽입홀(104)이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01)는 지지부재(7)의 측면판(8)과 배면판(9)에 접촉될 수 있도록 “ㄷ”자형으로 절곡되어 있고, 상기 보강부재(101)의 하단부에 보강부재(101)의 내측으로 절곡되는 플랜지(105)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01)의 하단부에 형성된 플랜지(105)에는 복수개의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부재(102)의 상단면에는 구멍(106)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결합홀(107)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구멍(106)과 결합홀(107)이 일치되면 보강부재(101)를 고정부재(102)에 결합시키도록 체결되는 복수개의 스크류(108)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강부재(101)는 지지부재(7)의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가격이 저렴하고 손쉽게 구할 수 있으며 작업이 용이한 철판을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측면판(8)과 배면판(9)이 일체로 형성된 지지부재(7) 내에 보강부재(101)를 결합시키므로 상기 지지부재(7)의 강도가 보강되는데, 즉 지지부재(7)와 보강부재(101)는 상기 지지부재(7)의 측면판(8)과 배면판(9)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103)를 상기 보강부재(101)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홀(104)에 삽입시킨 다음 스크류(108)를 체결하므로 상기 지지부(7)의 내측면에 보강부재(101)가 결합된다.
이때, 상기 보강부재(101)가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지지부재(7)의 측면판(8)과 배면판(9) 내측면에 보강부재(101)의 외측면이 접촉되어 상기 삽입홀(104)에 돌기부(103)가 원활하게 삽입되므로 상기 지지부재(7)의 내측면에 보강부재(101)가 용이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지지부재(7)에 보강부재(101)를 좀 더 용이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상기 지지부재(7)의 측면판(8)과 배면판(9)을 각각 분리한 후 상기 보강부재(101)의 배면에 형성된 삽입홀(104)에 배면판(9)의 돌기부(103)를 삽입시키고 상기 보강부재(101)의 측면에 형성된 삽입홀(104)에 측면판(8)의 돌기부(103)를 삽입시킨 다음 스크류(108)를 체결하므로 상기 지지부재(7)의 내측면에 보강부재(101)가 결합된다.
이와 같이, 결합된 보강부재(101)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105)의 구멍(106)과 상기 지지부재(7)의 하단부에 설치된 고정부재(102)의 상단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결합홀(107)을 일치시킨 다음 상기 결합홀(107)과 일치된 구멍(106)에 각각 스크류(108)를 삽입시켜 체결하므로 상기 지지부재(7)와 결합된 보강부재(101)가 고정부재(102)에 고정결합된다.
상기 고정부재(102)에 보강부재(101)의 하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7)의 내측면에 보강부재(101)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부재(7)의 강도가 보강되므로 상기 지지부재(7)에 의해 본체(1)가 지지될 뿐만 아니라 공기조화기의 무게중심이 공기조화기의 하부에 위치되므로 공기조화기가 안정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본체 하방에 설치된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보강부재를 결합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의 강도가 보강되고, 상기 지지부재에 의해 본체가 원활하게 지지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체의 하방 설치된 지지부재의 무게가 보강부재에 의해 무거워져 상기 공기조화기의 무게중심이 공기조화기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므로 상기 공기조화기가 흔들리거나 쓰러지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6)

  1. 공기조화기의 본체 하방에 결합되어 본체를 지지하도록 측면판과 배면판으로 이루어진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 내에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되어 지지부의 강도를 보강하는 보강부재와,
    상기 보강부재의 하단부에 설치되어 보강부재를 고정시키는 고정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보강부재는 “ㄷ”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결합수단은 지지부재의 내측면에 형성된 복수개의 돌기부와,
    상기 돌기부가 삽입되도록 돌기부와 대응되는 보강부재의 위치에 형성된 복수개의 삽입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보강부재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플랜지를 형성하고, 상기 플랜지에 복수개의 구멍을 형성하며, 고정부재의 상단면에 복수개의 결합홀을 형성하고, 상기 구멍과 결합홀이 일치되면 스크류를 체결하여 상기 보강부재를 고정부재에 결합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측면판과 배면판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부재의 측면판과 배면판이 각각 분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하부지지장치.
KR1019970059833A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KR100267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833A KR100267222B1 (ko)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CN98123558A CN1114804C (zh) 1997-11-13 1998-10-29 空调器的下部支撑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833A KR100267222B1 (ko)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64A true KR19990039664A (ko) 1999-06-05
KR100267222B1 KR100267222B1 (ko) 2000-10-16

Family

ID=19524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833A KR100267222B1 (ko)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267222B1 (ko)
CN (1) CN1114804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6261B1 (ko) * 2006-11-07 2007-11-15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745583B1 (ko) * 2006-11-09 2007-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0749061B1 (ko) 2006-11-27 2007-08-13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101880482B1 (ko) * 2011-10-21 2018-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텐드형 공기조화기
CN105222324B (zh) * 2015-08-27 2018-01-30 广东志高空调有限公司 一种空调防倾倒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67222B1 (ko) 2000-10-16
CN1114804C (zh) 2003-07-16
CN1217456A (zh) 1999-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56028B1 (en) Outdoor unit of air conditioner
KR20190139054A (ko) 공기 조화기의 실외기
KR100267222B1 (ko)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WO2007081078A2 (en) Vibration reducing structure of air conditioner
KR20010045979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070069772A (ko) 공기조화기
KR100244211B1 (ko)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KR20030042713A (ko)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조립체
KR200159554Y1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취부구조
KR0128923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지지대
JPH08285329A (ja) 空気調和機
KR100461651B1 (ko) 에어컨 실외기의 모터마운트
KR19990018714U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KR0111208Y1 (ko) 공기조화기
KR100223410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필터 일체형 그릴
KR012891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200156393Y1 (ko) 창문형 에어콘
KR200146087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의 리액터 장착구조
KR2004002134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200263461Y1 (ko) 제어부 지지수단을 구비한 에어컨
KR200171916Y1 (ko) 공조기기
KR200273015Y1 (ko) 분리형 룸 에어컨의 실내기
JP2002276989A (ja) 空気調和装置の天井埋込型室内ユニット構造
KR100500987B1 (ko) 공기조화기
KR017088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