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44211B1 -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44211B1
KR100244211B1 KR1019970059830A KR19970059830A KR100244211B1 KR 100244211 B1 KR100244211 B1 KR 100244211B1 KR 1019970059830 A KR1019970059830 A KR 1019970059830A KR 19970059830 A KR19970059830 A KR 19970059830A KR 100244211 B1 KR100244211 B1 KR 1002442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flow fan
bearing
cross flow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9661A (ko
Inventor
최학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70059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421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6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6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42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42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18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fans
    • F24F1/0025Cross-flow or tangential f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 Air-Conditioning Room Units, And Self-Contained Unit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체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을 고정결합시키는 작업공수를 줄이도록 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손실이 저감되도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본체(1)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7)와, 상기 지지대(7)에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삽입홈(8)과, 상기 삽입홈(8) 내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10)과,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고정되어 베어링(10)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11)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커버(11)를 지지대(7)의 전면에 록킹수단으로서 끼워 고정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공기조화기는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한 후, 이 흡입된 더운 공기를 열교환시켜 차가운 공기로 바꾼 다음 상기 차가워진 공기를 다시 실내로 토출시켜 실내를 적정온도로 냉방시켜 주는 기기로서,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전면에 결합되는 전면 패널(2)과, 상기 본체(1) 내에 설치되어 본체(1) 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과, 상기 전면 패널(2)에 형성되어 실내의 더운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그릴(5)과, 상기 본체(1) 내에 찬 냉매가 유동되게 설치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흡입그릴(5)을 통해 흡입된 공기를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4)와, 상기 전면 패널(2)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유동되는 공기가 실내로 토출되도록 형성된 토출그릴(6)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공기조화기는 공기조화기에 전원을 공급시키고 사용자가 냉방운전모드를 선택하면 본체(1) 내에 설치된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3)이 회전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실내의 더운 공기가 전면 패널(2)에 형성된 흡입그릴(5)을 통해 본체(1) 내로 흡입된다.
상기 본체(1) 내로 흡입된 실내의 더운 공기는 본체(1) 내에 결합되어 찬 냉매가 유동하는 열교환기(4)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열교환이 일어나 차가워지고, 이 차가워진 공기는 계속해서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회전력에 의해 본체(1) 내를 유동하면서 전면 패널(2)에 형성된 토출그릴(6)을 통해 실내로 토출되므로 실내가 적정온도로 냉방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 내에 설치되어 본체(1) 내로 실내의 더운 공기를 흡입시키고, 이 흡입된 공기를 실내로 토출시키도록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은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에 의해 본체(1) 내에 결합되는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고정장치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3)에 형성된 샤프트(9)와, 본체(1)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7)와, 상기 지지대(7)에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삽입홈(8)과, 상기 삽입홈(8) 내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10)과,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고정되어 베어링(10)의 이탈을 방지함과 동시에 베어링(10)을 보호하는 베어링 커버(11)와, 상기 베어링 커버(11)를 지지대(7)의 전면에 결합시키도록 체결되는 스크류(12)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는 본체(1) 내에 결합된 모터와 축결합되어 있는 크로스 플로우 팬(3)이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며,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 즉, 모터와 축결합된 반대편측 크로스 플로우 팬(3)의 샤프트(9)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이 원활하게 회전되도록 함과 동시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10)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샤프트(9)에 결합된 베어링(10)을 본체(1)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7)의 삽입홈(8)에 삽입시킨다.
상기 전면이 개방된 삽입홈(8)에 베어링(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지지대(7)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11)를 덮은 다음 상기 베어링 커버(11)의 양측에 스크류(12)를 각각 체결하여 상기 지지대(7)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의 샤프트(9) 즉, 피동축이 지지되므로 상기 본체(1)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이 고정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본체(1)의 지지대(7) 전면에 베어링 커버(11)가 스크류(12)에 의해 결합되므로 상기 모터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3)은 크로스 플로우 팬(3)의 샤프트(9)에 결합되어 지지대(7)의 삽입홈(8)에 삽입결합된 베어링(10)에 의해 원활하게 회전되고, 상기 베어링 커버(11)에 의해 베어링(10)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베어링(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는 크로스 플로우 팬의 피동축에 형성된 샤프트에 베어링을 결합시키고 나서 상기 베어링을 본체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의 삽입홈에 삽입시킨 후 지지대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를 덮고 나서 스크류로 체결하여 본체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을 결합시킴으로써, 상기 본체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을 고정시키는 작업공수가 많아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지지대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를 결합시키기 위해 체결되는 스크류가 계속해서 회전되는 크로스 플로우 팬의 회전력에 의해 풀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스크류가 풀려 베어링 커버가 분리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체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을 고정결합시키는 작업공수를 줄이도록 하여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작업성이 향상되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내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의 피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고정되어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커버를 지지대의 전면에 록킹수단으로서 끼워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일반적인 공기조화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공기조화기의 종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베어링 커버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를 나타낸 다른 실시예.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후크 102: 결합홀
103: 절곡부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도 3과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공기조화기는 종래의 구성에서 언급한 바 있으므로 중복되는 부분은 그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구조에 한해서는 종래와 동일한 부호를 부여키로 한다.
도 3은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공기조화기의 본 발명 베어링 커버 저면을 나타낸 사시도로써, 본 발명은 크로스 플로우 팬(3)을 본체(1) 내에 결합시키도록 상기 본체(1) 내의 지지대(7) 전면에 베어링 커버(1)가 끼워지면서 고정결합되도록 록킹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록킹수단은 베어링 커버(11)의 양측에 결합홀(10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7)의 전면 삽입홈(8) 양측에 각 결합홀(102)에 삽입되도록 후크(10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101)의 일측은 결합홈(102)에 삽입된 후크(10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각되게 형성되어 있고, 후크(101)의 타측은 후크(101)가 결합홀(10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록킹수단의 다른 실시예로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베어링 커버(11)의 양측 하부면에 절곡부(103)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각 절곡부(103)에 결합홀(102)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지지대(7)의 양측면에 각 결합홀(102)에 삽입되도록 후크(10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상기 후크(101)의 일측은 결합홈(102)에 삽입된 후크(101)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직각되게 형성되어 있고, 후크(101)의 타측은 후크(101)가 결합홀(102)에 원활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체(1) 내에 결합되어 있는 모터에 축결합된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에 형성된 샤프트(9)에 베어링(10)을 결합시킨 다음 상기 샤프트(9)에 결합되어 있는 베어링(10)을 본체(1) 내에 형성된 지지대(7)의 삽입홈(8)에 삽입시킨다.
상기 삽입홈(8)에 베어링(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11)를 덮는데, 상기 베어링 커버(11)의 양측에 형성된 결합홀(102)에 지지대(7)의 전면 삽입홈(8) 양측에 각각 형성된 후크(101)가 끼워지므로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11)가 결합된다.
이때, 후크(101)의 타측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타측면을 타고 후크(101)가 결합홀(102)에 원활하게 삽입되며, 상기 후크(101)의 일측이 직각되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결합홀(102)에 삽입된 후크(101)가 결합홀(10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결합된 베어링 커버(11)에 의해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인 샤프트(9)가 지지됨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에 의해 베어링(10)이 파손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와 같이, 상기 본체(1)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이 결합고정되고,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에 결합된 베어링(10)이 지지대(7)의 삽입홀(102)에 삽입고정되므로 상기 크로스 플로우 팬(3)은 모터의 구동력에 따라 원활하게 회전이 이루어져 실내의 더운 공기를 본체 내로 흡입 및 토출시키게 된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크로스 플로우 팬(3)의 피동축인 샤프트(9)에 베어링(10)을 결합시키고 나서 본체(1)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7)에 전면이 개방된 삽입홀(102)에 베어링(10)을 삽입시키고, 상기 삽입홈(102)에 베어링(10)의 삽입이 완료되면 지지대(7)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11)를 덮는다.
이때, 베어링 커버(11)의 양측 하부면에 각각 형성된 절곡부(103)의 결합홀(102)에 상기 지지대(7)의 양측면에 형성된 후크(101)가 각각 끼워져 결합되어 상기 지지대(7)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11)가 결합되므로 상기 본체(1)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3)이 결합고정된다.
상기 후크(101)의 타측이 일정한 각도로 경사져 있어 타측면을 타고 후크(101)가 결합홀(102)에 원활하게 삽입되며, 상기 후크(101)의 일측이 직각되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결합홀(102)에 삽입된 후크(101)가 결합홀(102)에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본체 내에 형성된 지지대의 전면에 후크를 각각 형성하고, 베어링 커버의 양측에 결합홀을 각각 형성하여 상기 각 결합홀에 후크가 각각 끼워 지지대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를 결합고정시킴으로써, 상기 지지대에 크로스 플로우 팬의 피동축이 용이하게 결합되어 상기 본체 내에 크로스 플로우 팬의 결합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작업시간 및 작업공수가 줄어들어 작업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베어링 커버의 결합홀에 일측은 직각되게 형성하고 타측은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지지대의 후크가 삽입결합되므로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베어링 커버가 원활하게 결합됨과 동시에 지지대에 베어링 커버가 견고하게 결합되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본체 내의 일측에 형성된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에 전면이 개방된 상태로 형성된 삽입홈과, 상기 삽입홈 내로 회전가능하게 삽입되어 크로스 플로우 팬의 피동축을 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지지대의 전면에 고정되어 베어링의 이탈을 방지하는 베어링 커버로 구성된 것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커버를 지지대의 전면에 록킹수단으로서 끼워 고정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베어링 커버의 양측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과,
    지지대의 전면 삽입홀 양측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홀에 삽입되는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록킹수단은 베어링 커버의 양측 하부에 각각 형성된 절곡부와,
    상기 각 절곡부에 각각 형성된 결합홀과,
    지지대의 양측면에 각각 형성되어 결합홀에 삽입되는 후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KR1019970059830A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KR1002442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830A KR100244211B1 (ko)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830A KR100244211B1 (ko)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61A KR19990039661A (ko) 1999-06-05
KR100244211B1 true KR100244211B1 (ko) 2000-03-02

Family

ID=19524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830A KR100244211B1 (ko) 1997-11-13 1997-11-13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421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661A (ko) 199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7000431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44211B1 (ko) 공기조화기의 크로스 플로우 팬 피동축 결합장치
KR100267222B1 (ko) 공기조화기의하부지지장치
KR20070069772A (ko) 공기조화기
KR0120745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팬 지지장치
KR19990018714U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착탈장치
KR100511987B1 (ko) 분리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10220809A (ja) 空気調和機
KR100262635B1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 결합장치
KR0128913Y1 (ko) 공기조화기의 실외기
KR0128923Y1 (ko) 공기조화기의 모터지지대
KR0120737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0120746Y1 (ko) 공기조화기
KR0124282Y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팬 지지장치
KR100277956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결합장치
KR0122722Y1 (ko) 공기 조화기용 송풍모터의 고정장치
KR0170886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JPH07110159A (ja) 空気調和機
KR20000055577A (ko) 창문형 공기조화기의 에어가이드와 쉬라우드 결합장치
JP3935634B2 (ja) 空気調和機
KR20040021343A (ko) 일체형 공기조화기의 파워코드 고정구조
KR19990020048U (ko) 공기조화기의 흡입그릴 유동방지장치
KR100272545B1 (ko) 공기조화기의콘트롤박스구조
KR100209600B1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결합장치
KR20000055121A (ko) 공기조화기의 열교환기 결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