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9416A - 우슬 또는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치료용 약제조성물 - Google Patents

우슬 또는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치료용 약제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9416A
KR19990039416A KR1019970059512A KR19970059512A KR19990039416A KR 19990039416 A KR19990039416 A KR 19990039416A KR 1019970059512 A KR1019970059512 A KR 1019970059512A KR 19970059512 A KR19970059512 A KR 19970059512A KR 19990039416 A KR19990039416 A KR 19990039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rheumatoid arthritis
pharmaceutical composition
milky skin
pa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9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86791B1 (ko
Inventor
석재균
김상년
박상기
김정훈
김문무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59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86791B1/ko
Publication of KR19990039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9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86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8679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1Amaranthaceae (Amaranth family), e.g. pigweed, rockwort or globe amaran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236/00Isolation or extraction methods of 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
    • A61K2236/30Extraction of the material
    • A61K2236/33Extraction of the material involving extraction with hydrophilic solvents, e.g. lower alcohols, esters or keto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프로스타글란딘(PGE2),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결합조직의 기질인 콜라젠 단백질을 분해하는 콜라제나제(Collagenase)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콜라젠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우슬추출물, 우백피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우슬 또는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
본 발명은 우슬 또는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치료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히, 본 발명은 관절염 치료를 위하여 슈퍼옥사이드(Superoxide), 프로스타글란딘(PGE2), 인터루킨-1β(Interleukin-1β)의 생성을 억제할 뿐만아니라, 결합조직의 기질인 콜라젠 단백질을 분해하는 콜라제나제(Collagenase)효소의 활성을 억제시킴과 동시에 콜라젠 단백질 합성을 촉진시키는 우슬추출물, 우백피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함유한 류마토이드 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류마토이드 관절염은 대칭성 만성 활막염으로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하여 발생된다고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백혈구 항원중 HLA-Dr4와 연관되어 있어 유전적 배경이 있을 것으로 사료되고 있으며 여자에서 평균 2 내지 3배 호발하므로 성호르몬과 발생이 연관되어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이에 대한 직접적인 증거는 아직 없다.
에프스테인-바르 바이러스(Epstein-Barr Virus) 등의 미생물이 질병과 연관되어 있음이 보고되어 있지만, 이 역시 일률적이 아니어서 다인성 원인질환의 하나로 생각되어 진다. 어떠한 원인에서건 최초의 관절활막의 병변은 활막내 미세혈관의 소상 소견과 활막세포의 원인에서건 최초의 관절활막의 병변은 활막내 미세혈관의 손상 소견과 활막세포의 증식이라 하겠다. 최초에 이러한 병변을 야기시킨 세포가 무엇인지는 알 수 없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파누스(Pannus)라고 하는 특징적인 조직소견이 나타나게 된다. 이 파누스는 조직학적으로 활막세포, 임파구, 형질세포(Plasma cell), 유미세포(mast cell) 및 거식세포(macrophage)등으로 구성되어지며, 이들이 분비하는 각종 사이토카인(cytokine) 및 콜라제나제(collagenase)와 같은 효소들이 관절 및 관절주위조직을 파괴시킨다. 류마토이드인자(rheumatoid factor)는 파누스의 형질세포로부터 분비되어 지는데, 특히 lgG 면역글로불린과 면역복합체를 형성하여 보체(complement)를 활성화시키고 중성다핵백혈구 및 대식세포에 의한 phagocytosis에 의하여 여러 가지 라이소멀 프로테이즈(lysosomal protease), 활성산소(Oxygen radicals)등이 생성된다. 아울러 라이포옥시제네이즈(lipooxygenase)와 시이크로옥시지네이즈(cyclooxygenase) 대사경로의 활성화 등도 관절조직의 파괴에 관여한다. 이러한 변화외에도 혈관염등이 증세가 심한 류마토이드관절염에서 나타날 수 있어, 류마토이드관절염은 국소적인 관절질환인 동시에 전진적인 자가면역성 질환으로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류마토이드 관절염을 치료하는 내과적 약물치료는 크게 세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 첫째, 임상증세만을 호전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일차단계 약물, 둘째, 질병의 진행을 막거나 지연시킬 목적으로 사용하는 질환변형약제와 셋째, 면역억제제 혹은 세포독성제 등으로 구분된다. 첫번째 범주는 아스피린계통,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 단순한 진통제와 1일 7.5㎎ 이하의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가 사용된다. 가장 널리 사용되는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제는 인도메타신(indomethacin), 나프록센(naproxen), 피록시캄(piroxicam), 수린닥(sulindac), 이부프로펜(ibuprofen), 톨메틴(tolmetin), 디클로페낙(diclofenac) 등이 있으며, 이들약제의 효능이 아스피린보다 더 우월하다고 하는 증거는 없고 다만 위장장애가 경미할 뿐이지 신기능저하, 간효소치상승, 피부발진의 부작용 등도 아스피린에서 처럼 나타날 수 있어 환자 개개인에 알맞은 약제가 선택되어져야 한다. 제 2군에 속하는 약제들은 거의 경험적으로 발굴된 약제들로 금제제, 페니실아민(D-penicillamine), 안티말라리얼 드럭(antimalarial drug)과 설파살라진(sulfasalazine)을 들 수 있는데, 이들 약제의 효과는 수주 혹은 수주일이 경과되어야 하므로 항염증제가 반드시 동반되어야 한다. 염증을 감소시키고 병의 진행을 지연시키는 것은 확실하지만 진정한 의미의 관해는 현재까지 입증되어진 바 없다. 약제마다 독성을 가지고 있어 이에 대한 면밀한 관찰이 요구된다.
글루코코르티코이드(glucocorticoid)는 항염효과에 탁월한 효과를 보이지만 여러 가지 부작용으로 인하여 가급적 사용을 피해야 한다. 상기 두단계의 약제로 조절되지 않을 때 면역억제제나 세포독성제인 아자티오프린(azathioprine)이나 사이톡산(cytoxan)등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포리산(folic acid)의 항길항제인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가 최근에 각광을 받게 되었는데 효과가 빨리 나타나지만, 간경변이나 폐의 섬유화의 부작용이 간혹 있어 조심스럽게 선택적으로 사용되어져야 한다.
이러한 부작용의 문제를 해결하고 전신 또는 국부에서 약효를 극대화하기 위해서 경피투여제제인 첩표제를 이용해 약물을 피부를 통해 흡수시키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이러한 경피투여법에서는 경구투여시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위장관내의 pH, 위장관내의 체류시간, 위장관의 운동성, 위장관내의 세균, 음식물 등에 의한 변화 및 위장관내의 효소에 의한 분해를 피할 수 있고, 흡수된 약물이 체내에서 순환할 때 간장을 먼저 통과하지 않으므로 간장에서의 대사에 의해 약효가 크게 감소되는 일이 없고, 특히 경피를 투여함으로서 환자의 상태가 변하거나 부작용이 나타날 때 투약을 중단하기 편리하다.
이와같은 잇점을 고려하여 최근에는 경피적 약물전달계에 관한 연구가 증가되어 미국특허 제 4393076 및 제 4534980에서 프로피온산계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약물을 외용제제로 연고제나 크림제로 사용하여 류마토이드 관절염에 치료효과가 있다는 보고가 있고, 첩포제를 사용한 제품에는 멀미치료제로 에스트라디올, 고혈압치료제로 크로니딘, 협심증치료제로 니트로글리세린, 관절염치료제로 케토프로펜 등의 시판품이 제조되어, 약물의 방출성을 조절하여 약물이 단시간에 대량으로 방출되어 생체에 흡수되어 나타나는 부작용을 경감시키고, 장시간에 걸쳐 약물의 혈중농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킴으로서 약물의 투여횟수를 감소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되었다.
첩포제를 이용하여 필요량의 약물이 경피에 흡수되도록 하기 위하여 약물의 절대량을 높이는 첩포제를 개발하기 위한 시도로 미국특허 제 4031894호에서는 첩포제, 연고제, 크림제 등의 기제중에 약물을 포화농도 이상으로 함유시켜 해당약물을 재결정의 미립자 상태로 분산시켜 피부표면에 적용시키면 약물이 점차적으로 용해되면서 피부를 통과하여 흡수되나 재용해되기 어렵고 흡수율도 그다지 높지 않다.
다른 방법으로서 미국특허 제 4814168호에는 첩포내에 약물의 최대량을 함유할 수 있으며, 점착특성인 전단성, 점착력부가성, 벗김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는 경피투여 시스템으로 약물, 비닐아세테이트와 에틸렌단량체로 이루어진 다중합체, 고무 및 접착제를 함유하고 있다.
미국특허 제 4814168호에는 경피적으로 흡수가 어려운 활성성분의 경피투여를 위하여 친수성 활성성분들이 소수성폴리머에 함유되어 있으며 용제로서 물이 함유되어 있어 친수성약물의 경피투여에는 적합하지만 비스테로이드계 소염진통제와 같은 유용성약물의 경피투여에는 적합하지가 않아 대한민국 특허공보 제 9513448에서는 유용성 약물의 경피투여에 적합하고 각층의 함수능이 상이한 다층구조의 점착기제를 포함하고 있는 첩포제를 사용하여 장기간 약효를 유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으나, 식물추출물과 같이 수용성 및 유용성 활성성분이 혼합되어 있을 경우 동시에 경피투여할 수 있는 첩포제로는 부적합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류마토이드관절염에 약효가 강력하고 피부와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지 않은 약효물질을 탐색하고자 생약추출물을 대상으로 광범위하게 연구한 결과, 우슬 및 유백피추출물이 효능이 탁월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이들 생약추출물을 사용하여 수용성 및 유용성 유효성분의 시간경과에 따른 방출성을 임의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첩포제를 개발하기 위하여 약물저장층을 만든 후 지지체측으로의 약물이행을 막고 막여과지를 개입시켜 약제방출량을 조절한 후 다시 얇은 점착제층을 경유한 경피흡수를 설계하는 방법과 고체중에 약물운반 제어기능 및 경피흡수 촉진기능을 겸비한 물질을 첨가하여 약물의 시간경과에 따른 방출성을 가능하게하여 유효혈중농도의 지속성을 조절하는 방법을 개발하여 류마토이드 관절염을 지닌 환자를 대상으로하여 임상실험결과 탁월한 효능을 나타냄을 밝혀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첩포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지지체 2: 점착기제 3: 이형필름
본 발명은 우슬추출물, 유백피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 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우슬 및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한 약제는 류마토이드 관절염치료를 위하여 어떠한 형태의 약제로도 제조할 수가 있다. 예를들어 그러한 형태는 정제, 캡슐, 분말, 연고, 용액, 젤, 페이스트(paste), 첩포제, 과립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에서 유효생약중의 하나인 우슬은 한국의 전지역, 일본, 중국의 황하이남 지역에 분포하는 비름과 식물인 쇠무릅(Achyranthes japonica)의 뿌리를 캐내어 수염뿌리를 제거한 후 햇볕에 말린 것으로, 화황색 혹은 황갈색의 막대기 모양 또는 약간 구부러진 길이 15-90㎝, 지름 3-7㎝의 원주형으로 많은 세로주름 및 여러곳에 곁뿌리의 자국이 있다. 꺽인 면은 회백색 혹은 담갈색으로 편평하고 중심부의 목부는 황백색, 질은 단단해도 부서지기 쉽다. 거의 냄새가 없고 맛은 약간 달고 점액성이다. 횡단명을 현미경으로 보면 피부와 목부는 명확한 형성층으로 구별된다. 목부의 중심에는 작은 원생목부가 있고 이것을 둘러싸고 동심원서의 고리모양 유관속이 바깥쪽으로 배열되어 있고, 유세포중에는 수산칼슘의 사정을 함유하고 전분립은 볼 수 없다. 약리작용으로 이뇨작용, 통경, 관절염 등에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성분으로는 사포닌(saponin), 오레아놀릭 글리코사이드(oleanolic glycoside), 곤충변태호르몬(inokosterone, ecdysterone), 베타인하이드레이트(betain hydrate)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에 사용되는 또 다른 유효생약인 유백피는 한국의 중부이북과 중국 및 일본에 각각 분포하는 느릅나무과 식물인 왕느릅나무(Ulmus macrocarpa), 비술나무(Ulmus pumila), 느릅나무(Ulmus davidiana)의 줄기부분 또는 뿌리부분의 근피를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으로, 약리작용으로 이수, 소종, 통림, 수종, 단독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주요성분으로는 베타시토스테롤(β-sitosterol), 식물스테롤 및 탄닌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 우슬과 유백피의 추출물로는 각각 물, 알콜 추출물을 사용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우슬과 유백피의 알콜 추출물은 건조된 우슬과 유백피를 음건하고, 세절한 후에 분말화시켜 알콜로 추출하고 여과하여 여액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수득되는 것을 사용한다. 우슬과 유백피의 추출에 사용될 수 있는 알콜추출용매로는 에탄올, 메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등과 같은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콜 용매가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에탄올을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에서 우슬과 유백피의 알콜 추출물은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각각 0.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5중량%의 비로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슬과 유백피의 추출물을 혼합하여 배합시키는 경우에도 각각의 추출물은 상기와 같은 배합비로 존재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각의 생약추출물의 함량이 각각 0.0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류마토이드 관절염에 대해 목절하는 효능,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제품의 안정성이 저하될수 있기 때문에 부적합하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은 또한 첩포제의 제조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지지체, 고체, 라이너이 3요소로 구성되며, 지지체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부직포, 면포 등을 사용하고, 라이너로는 실리콘 혹은 플루오르계 이형제가 배합된 이형필름을 사용하며, 고체부는 유효성분, 점착제, 습윤제, 무기충진제, 완충제, 방부제등으로 구성되며,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유효성분으로 우슬과 유백피 추출물, 점착제로 폴리아크릴산나트륨, 카르복실메틸셀룰로스나트륨, 젤라틴등, 습윤제로 글리세린등, 무기충진제로 아연화, 카올린등, 그리고 유화제, 방부제, 착향제를 혼합 및 교반, 전연도포, 각 제품크기로의 절단 및 포장을 거쳐 제조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사용된 점착부에는 천연폴리머로 소디움알기네이트(sodium alginate), 젤라틴(gelatin), 카제인(casein), 반합성폴리머로 메틸셀룰로스(methyl cellulose), 에틸셀룰로스(ethyl cellulose), 하이드록시셀룰로스(hydroxyl cellulose), 카복시메틸셀룰로스(carboxyl cellulose), 덱스트린(dextrine), 카복시메틸스타취(carboxymethyl starch), 합성폴리머로 폴리아크릴산(polyacrylic acid),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메톡시에틸렌(methoxyethylene), 폴리비닐에테르(polyvinyl ether)를 각각 혹은 혼용하여 1 내지 40 중량% 사용하고, 첩포제의 상태유지 및 건조방지를 위하여 습윤제를 사용하는데, 이러한 습윤제로는 글리세린, 소르비톨액,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프로필렌글리콜, 폴로사머(poloxamer 407), 모노글리세라이드(Myverol 18-99),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5 내지 30 중량% 사용한다. 특히 폴리에틸렌 글리콜로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200, 마폴리에틸렌 글리콜 4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폴리에틸렌 글리콜 1000을 사용할 수 있다. 무기충진제로는 카올린(kaolin), 벤토나이트(bentonite), 징크옥사이드(zinc oxide), 티타니움 다이옥사이드(titanium dioxide)를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0.1 내지 5 중량% 사용하고, 가교제로 아세트알데히드(acetaldehyde), 글루타르알데히드(glutaraldehyde), 글리옥살(glyoxal), 다이알데히드스타취(dialdehyde starch), 디메틸케톤(dimethyl ketone)을 단독 또는 2종이상 혼합하여 0.01 내지 5 중량% 사용한다. 첩포제의 pH를 조정하는 완충제로는 정인산의 알카리금속염, 특히 제일 인산나트륨, 제 2 인산나트륨, 제 3 인산나트륨, 구연산 및 구연산나트륨, 인산, 염산, 수산화나트륨 그리고 피로인산나트륨 및 피로인산염 등이 있는데, 본 발명의 고체조성물에 사용되는 완충제는 제 1 인산나트륨, 제 2 인산나트륨, 제 3 인산나트륨의 2종을 적당히 혼합하여 pH는 5 내지 8.0 으로 조정하였다. 첩포제의 제조 및 사용중에 발생할 우려가 있는 미생물의 오염을 방지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식품 및 의약품에 사용이 허가되어 있는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안식향산, 안식향산나트륨, 살리실산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0.01 내지 0.5 중량%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약제조성물을 임상적으로 이용시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비로 제조된 첩포제를 2일에 류마토이드 관절염이 있는 환부에 1회씩 부착하나 병세의 진행정도에 따라 적절히 증감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이들에 의해 어떤 식으로든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건조된 우슬을 분말화 시켜 수득된 분말 100g을 취하여 95% 에탄올 1000㎖를 가하고 3일 동안 침적추출한 후 1번 와트만지(Whatman No. 1)를 이용하여 여과한다음,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건조된 우슬 추출물 30g을 수득하였다.
제조예 2
건조된 유백피를 분말화시켜 수득된 분말 100g을 취하여 95% 에탄올 1000㎖를 가하고 3일동안 침적추출한 후 1번 와트만지(Whatman No. 1)를 이용하여 여과한다음,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건조된 우슬 추출물 40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1 내지 18 및 비교예 1 내지 18
하기 표 1 내지 9에 기재된 성분배합비에 의거하여 통상의 첩포제 제조방법에 따라 혼합 및 교반, 전연도포, 각제품크기로의 절단 및 포장을 거쳐 본 발명에 따르는 첩포제(실시예 1 내지 18)와 비교첩포제(비교예 1 내지 18)을 제조하였다.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폴리머 젤라틴 1 5 1 5
카복시메틸셀룰로스 2 1 2 1
폴리아크릴산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0.1 0.5 0.1 0.5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0.001
유백피추출물 0.001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3 비교예4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2 5 2 5
폴리아크릴산 3 1 3 1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0.1 0.1 0.1 0.1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0.01
유백피추출물 0.01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5 실시예6 비교예5 비교예6
폴리머 젤라틴 1 1
카복시메틸셀룰로스 2 5 2 5
폴리아크릴산 2 2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0.01 0.01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0.1
유백피추출물 0.1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7 비교예8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 5
폴리아크릴산 5 5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1
유백피추출물 1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9 비교예10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 5
폴리아크릴산 5 5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2
유백피추출물 2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11 실시예12 비교예11 비교예12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 5
폴리아크릴산 5 5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5
유백피추출물 5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13 실시예14 비교예13 비교예14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 5
폴리아크릴산 5 5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0.01 0.1
유백피추출물 0.01 0.1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15 실시예16 비교예15 비교예16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 5
폴리아크릴산 5 5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0.5 1
유백피추출물 0.5 1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단위: 중량%)
구 분 성 분 실시예17 실시예18 비교예17 비교예18
폴리머 젤라틴
카복시메틸셀룰로스 5 5
폴리아크릴산 5 5
가교제 아세트알데히드
디메틸케톤
습윤제 글리세린 30 30
솔비톨 20 20
무기충진제 카올린 0.1 0.1
징크옥사이드 0.1 0.1
방부제 파라옥시 안식향산메칠 0.1 0.1 0.1 0.1
파라옥시 안식향산프로필 0.05 0.05 0.05 0.05
완충액 제1인산나트륨 0.1 0.2 0.1 0.2
제3인산나트륨 0.05 0.05 0.05 0.05
약효성분 우슬추출물 2 5
유백피추출물 2 5
정제수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나머지
지지체 면포 부직포 면포 부직포
이형필름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실험예 1. 본 발명첩포제 점착부의 (실시예 1 내지 18)의 슈퍼옥사이드생성에 대한 억제효과
전신질환이 없는 건강한 성인으로부터 구연산을 항응고제로 사용하여 채집된 정맥혈액을 12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에 일차적으로 중층의 백혈구농축액을 회수하여 이차적으로 RPMI 1640 배지와 1 : 1의 비율로 희석한 후에 50㎖의 원심분리관에 Ficoll-Paque 12㎖을 첨가한 후에 희석된 혈액 30㎖을 중층이 되도록 주의 깊게 첨가하여 1600rpm에서 30분 동안 원심분리한 후에 혈청이 포함된 상층을 제거하고 단핵세포가 함유된 중층을 새로운 원심분리관에 멸균된 피펫으로 주의 깊게 뽑아낸 다음에 3배의 RPMI 1640배지를 첨가하고 8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 시킨 다음 상등액을 버리고 RPMI 1640배지를 10㎖ 첨가하고 부드럽게 pipetting한 다음에 8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한 후에 상등액을 버리고 HBSS(Hanks' Blanced Salt Solution)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pipetting한 후에 사람의 단핵벽혈구를 24-웰 프레이트에 106cell/well 되게 0.45㎖ 분주하고 95%공기, 5% CO2, 100%습도 조건하에서 무균적으로 2시간동안 배양한 후에, FMLP(N-Formyl-Met-Leu-Phe)를 10-6M되게 0.05㎖ 처리하고 37℃에서 15분동안 배양하여 세포를 자극한 다음에 80μM되게 0.1㎖ 사이토크롬 C (cytochrome C), 30㎍되게 0.1㎖ 슈퍼옥사이드 디스뮤타제(superoxide dismutase), HBSS로 3배 희석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첩포제의 점착부를 0.1㎖ 첨가하고, 나머지 총반응액이 0.9㎖되게 HBSS(Hanks' Balanced Salt Solution)를 첨가한 후 37℃에서 10분간 보온하고 자극물질인 식균화된 자이모산 A(Zymosan A)를 최종농도 1.3 ㎎/㎖ 되게 0.1㎖을 첨가하고 진탕하면서 37℃에서 90분간 보온한 후에, 4℃의 냉장고에 10분간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다음에 4℃, 1500rpm, 10min 동안 원심분리한 후 상등액을 550nm에서 Optical density(O.P.)를 측정하고 Superoxide anion의 생성량은 다음식에 의하여 계산된다.
△O.D.=(B-D)-(A-C)=(B+C)-(D+A)
A B C D
단핵백혈구 0.5㎖ 0.45㎖ 0.5㎖ 0.45㎖
사이토크롬 C 0.1㎖ 0.1㎖ 0.1㎖ 0.1㎖
SOD - - 0.1㎖ 0.1㎖
FMLP 0.05㎖ 0.05㎖
ZYMOSAN - 0.1㎖ - 0.1㎖
실험군 - 0.1㎖ -
반응액 0.4㎖ 0.2㎖ 0.3㎖ 0.2㎖
총합 1.00㎖ 1.00㎖ 1.00㎖ 1.00㎖
실험군 실시예 비교예
1 3.572 8.476
2 7.520 8.475
3 3.425 8.470
4 7.415 8.512
5 2.414 8.503
6 7.416 8.477
7 0.925 8.452
8 7.428 8.482
9 0.264 8.452
10 7.125 8.383
11 0.243 8.241
12 7.100 8.454
13 3.264 8.384
14 3.245 8.466
15 2.414 8.502
16 0.924 8.475
17 0.245 8.454
18 0.242 8.510
이상의 시험결과에서, 우슬을 0.001%이상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 5, 7, 9 및 11에서 superoxide생성 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유백피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 4, 6, 8, 10 및 12에서는 superoxide생성 억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3, 14, 15, 16, 17 및 18도 superoxide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2. 본 발명첩포제 점착부 (실시예 1 내지 18)의 결함조직 분해효소인 콜라제나제효소의 활성에 대한 억제효과
본 첩포제 점착부를 가지고 결합조직 분해효소인 콜라제나제에 대한 억제효과를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25개의 1.5㎖ 에펜돌프튜브(Eppendorf)에 2%의 적색콜라젠기질인 아조콜(Azocoll)용액 100㎕를 각각 첨가하여 한 개의 에펜돌프튜브는 블랭크(blank)로 사용하고 3개의 튜브에는 시그마로부터 구입한 콜라제나제 타입 I인 표준효소용액(콜라젠 분해활성도: 315 units/㎎)을 10, 100, 200ppm되게 첨가하고 콜라제나제효소 100㎕를 첨가하여 또 한 개의 튜브는 대조군으로 사용하고, 나머지 튜브의 각각에 실험군첩포제 점착부(실시예 1 내지 18)와 비교군첩포제 점착부(비교예 1 내지 18)을 증류수와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완전히 균질화시켜 5000g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킨 상등액 10㎕를 첨가한 후 완충용액(0.05M Tris-Hcl, 1nM CaCl2, 7.8)를 총반응액이 500㎕되게 첨가하여 37℃항온기에서 18시간동안 반응시키고 에펜돌프튜브를 10000g에서 5분동안 원심분리시켜 분해되지 않은 콜라젠은 침전시키고 분해된 콜라젠을 함유하는 상등액을 취하여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활성도 곡선을 작성하고 표준곡선으로부터 효소의 활성농도를 환산하여 실험군과 대조군의 효소활성도를 비교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단위: %=실험군의 효소활성도 x 100 ÷ 대조군의 효소활성도)
실험군 1 2 3 4 5 6 7 8 9 10
비교예 98 94 93 95 96 95 97 94 95 95
실시예 98 97 63 69 54 55 23 19 11 8
(단위: %=실험군의 효소활성도 x 100 ÷ 대조군의 효소활성도)
실험군 11 12 13 14 15 16 17 18
비교예 95 96 97 99 98 96 97 97
실시예 0 0 92 54 38 5 0 0
이상의 시험결과에서, 우슬을 0.01% 이상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 5, 7, 9 및 11에서 collagen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가 증가함에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유백피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 4, 6, 8, 10 및 12에서도 collagenase활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유백피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나,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collagenase 활성에 대한 억제효과가 탁월하였으며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3, 14, 15, 16, 17 및 18에서는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3. 본 발명첩포제 점착부 (실시예 1 내지 16)의 단핵 백혈구의 인터루킨(IL-1β)생성에 대한 억제효과
혈액에서 분리한 혈액 단핵백혈구를 24-well plate에 0.8㎖ 첨가하여 106cell/well 되도록 분주하고 RPMI 1640배지 200㎕를 첨가한 well을 대조군, E. coli LPS(250 ppm) 100㎕첨가한 well 및 LPS(250 ppm) 100㎕와 RPMI 1640배지로 3배 희석한 첩포제 점착부 100㎕를 첨가한 well을 실험군으로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 아라키돈산(arachidonic acid) 50㎕를 첨가하여 30분동안 더 배양한다. 인터루킨(IL-1β)의 항체가 부착된 96-웰 프레이트(96-well plate)의 웰에, IL-1β의 표준용액(0, 10.24, 25.6, 64, 160, 400pg/well)을 50㎕ 첨가한 다음 실험군웰에 상기의 세포배양액 50㎕ 첨가하고, 모든 웰에 50㎕의 Biotinylated Antibody Reagent를 첨가한 다음 25℃에서 3시간 동안 유지시킨후 세척완충용액(Tween 20을 0.05 중량% 포함하는 0.01M 인산완충용액, pH 7.5)으로 3회 세척하고, Streptavidin-HRP Conjugate를 모든 웰에 100㎕ 첨가하여 다시 25℃에서 30분동안 유지시킨 후 다시 세척완충용액으로 3번 세척하고 100㎕의 효소기질을 즉시 첨가하고 25℃, 암실에서 plate의 뚜껑을 열어둔 채로 30분 동안 유지시키고, 0.18M 황산 100㎕를 첨가한 후 마이크로프레이트판독기로 45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용액의 흡광도 값으로 Standard Curve를 작성하여 실험군의 인터루킨 생성량을 산정한다.
실험군 실시예 IL-1β(pg) 비교예 IL-1β(pg)
Blank 621 621
Control 2131 2131
1 1584 2042
2 1741 1941
3 865 1911
4 1724 1941
5 701 1921
6 1711 1945
7 624 1921
8 1725 1924
9 624 1915
10 1710 19243
11 624 1916
12 1715 1906
13 1672 1910
14 863 1924
15 715 1911
16 629 1924
17 624 1931
18 624 1911
E. coli LPS로 자극한 사람 단핵백혈구의 IL-1β의 생성에 대한 효능, 효과를 시험한 결과, 0.01% 농도 이상의 우슬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3, 5, 7, 9 및 11에서 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유백피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 4, 6, 8, 10 및 12에서는 IL-1β의 생성 억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3, 14, 15, 16, 17, 18도 IL-1β의 생성 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4. 본 발명첩포제 점착부 (실시예 1 내지 18)의 단핵 백혈구의 프로스타글란딘 (PGE2)생성에 대한 억제효과
본 첩포제 점착부를 가지고 치은염증 유발물질인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에 대한 억제효과를 실시한 실험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시험방법은 E. coli세포벽구성분인 리포폴리새커라이드 (Lipopolysaccharide)로 사람의 단핵백혈구를 자극하여 유발된 프로스타글란딘(PGE2)의 생성을 항원-항체의 면역진단법으로 실험군 첩포제 점착부(실시예 1 내지 18)와 비교군첩포제 첨착부연고(비교예 1 내지 18)를 배지와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완전히 균질화시켜 5000g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을 처리한후 억제효과를 비교평가하였다. 구체적인 시험방법은 염소의 항-마우스 1gG를 추박시킨 96-웰 프레이트(96-well plate)의 블랭크(blank)웰에 50㎕ 완충용액(0.9% NaCl, 0.1% 소혈청 알부민, 0.5% Kathon을 함유하는 0.1M 인산완충용액)을 첨가하고, 표준(0, 2.5, 5, 10, 20, 40, 80, 160, 320pg)웰에는 50㎕의 적당농도의 PGE2표준용액을 첨가한 다음 위에서와 같이 제조된 실험군 첩포제 점착부(실시예 1 내지 18)와 비교군 첩포제 점착부(비교예 1 내지 18) 50㎕를 실시예군과 비교예군으로 설정된 웰에 첨가하고, 50㎕의 PGE2에 대한 항체를 블랭크웰을 제외한 모든 웰에 첨가한후 50㎕의 PGE2컨쥬게이트(conjugate)퍼옥시다제(peroxidase)를 블랭크웰을 제외한 모든웰에 첨가하고 96 웰-프레이트를 덮고 25℃에서 1시간 동안 유지시킨 후 세척완충용액(0.05% 트윈 20을 함유하는 인산완충용액: pH 7.5)로 4번 세척하고 상온에서 150㎕의 효소기질(20%의 디메틸포르마이드에 용해된 3, 3', 5, 5'-테트라메틸벤지딘/과산화수소)를 즉시 첨가하고 25℃에서 30분동안 유지시키고 1M 황산 100㎕를 첨가한 후 마이크로프레이트판독기로 45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여 표준용액의 흡광도 값으로 Standard Curve를 작성하여 실험군의 프로스타글란딘 생성량을 산정한다.
단위: pg
실험군 1 2 3 4 5 6 7 8 9 10
비교예 243 242 243 238 240 241 246 247 239 248
실시예 184 234 142 223 109 225 76 227 58 226
단위: pg
실험군 11 12 13 14 15 16 17 18
비교예 225 248 238 230 245 248 246 244
실시예 55 225 182 134 108 73 54 52
E. coli LPS로 자극한 사람 단행백혈구의 PGE2생성에 대한 효능, 효과를 시험한 결과, 우슬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3, 5, 7, 9 및 11에서 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가 증가 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유백피를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 4, 6, 8, 10 및 12에서는 PGE2생성 억제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3, 14, 15, 16, 17 및 18도 PGE2생성억제효과가 우슬의 농도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5. 본 발명첩포제 점착부(실시예 1 내지 18)의 사람 섬유아세포의 콜라젠단백질 생성에 대한 효과
Primary Culture한 섬유아세포를 24-well plate에 106cell/well 되도록 10% FBS가 함유된 DMEM배지 1㎖를 각 웰에 분주하여 하루동안 배양한 다음날 기존의 배지를 신선한 배지로 교체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HBSS완충용액으로 바닥에 붙은 세포층을 세척한 다음 혈청과 Proline이 포함되지 않은 MEM배지 0.8㎖를 첨가한 다음 실험군 첩포제 점착부(실시예 1 내지 18)와 비교군 첩포제 점착부(비교예 1 내지 18)를 배지와 1:2의 비율로 혼합하여 완전히 균질화시켜 5000g에서 10분동안 원심분리시켜 상등액 100㎕를 첨가한 다음 바로14C-Proline(10μ Ci) 100㎕를 포함한 배양액으로 세포를 배양하였다. 24시간이 경과한 후에 콜라젠 단백질을 측정하였다. 먼저 세포외 총단백질의 합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각 well의 배양액을 한쪽 끝을 봉인한 투석관에 넣고 다른쪽 끝을 봉인하여 Cold Buffer(Tris-Hcl 0.05mol/L, NaCl 0.2mol/L, CaCl20.05mol/L,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 0.3 mN)로 24시간 투석을 완료한 다음 각각 100㎕를 취하여 counting vial에 담아 10㎖의 scintillation coctail을 넣어 liquid scintillation counter(LSC)로 1분간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세포내 총단백질의 합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세포배양액을 제거한 각 well에 0.1N NaOH 및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 0.3mN를 첨가한 다음 60℃에서 30분 동안 유지하여 세포막을 파괴시킨 후 세포균질액을 한쪽 끝을 봉인한 투석관에 넣고 다른쪽끝을 봉인하여 cold buffer(Tris-Hcl 0.05mol/L, NaCl 0.2mol/L, CaCl20.05mol/L,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 0.3mN)로 24시간 투석을 완료한 다음 각각 100㎕를 취하여 conunting vial에 담아 10㎖의 scintillation coctail을 넣어 LSC로 1분간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세포내·외 총콜라젠 단백질의 합성량을 측정하기 위하여 투석을 완료한 세포배양액 및 세포균질액을 각각 100㎕ 취하여 1.5㎖ microtube에 넣고 collagenase buffer(0.05M Tris-Hcl, 1mM CaCl2, 0.3mM 페닐메틸설포닐플루오라이드), collagenase효소(100 ppm) 100㎕를 첨가한후에 3시간 동안 37℃에서 유지시켜 collagen을 완전히 분해시킨 다음에 분해되지 않은 단백질을 제거하기 위하여 50%의 트리클로로아세트산 및 1% 탄닌산을 함유하는 용액을 500㎕ 첨가한 다음에 4℃에서 30분동안 침전시킨 후에 1000xg에서 5분간 원심분리시킨 다음에 상등액을 100㎕를 취하여 counting vial에 담아 10㎖의 scintillation coctail을 넣어 LSC로 1분간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실험군 실시예(cpm/106cell) 비교예(cpm/106cell)
1 2670 2750
2 3640 2740
3 2340 2540
4 4630 2640
5 2670 2630
6 4840 2620
7 2640 2610
8 5240 2640
9 2320 2570
10 5340 2630
11 2220 2620
12 5260 2630
13 2140 2650
14 5260 2630
15 3540 2590
16 4540 2630
17 4960 2650
18 5240 2640
사람의 섬유아세포의 collagen 합성에 대한 효능·효과를 연구하기 위하여14C-Proline를 포함한 세포배양액에 본 발명 점착부를 이상과 같이 처리한 결과,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2, 4, 6, 8, 10 및 12에서는 collagen합성 촉진효과가 유백피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우슬을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3, 5, 7, 9 및 11에서는 collagen 합성 촉진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13, 14, 15, 16, 17 및 18도 collagen합성 촉진효과가 유백피의 농도에 따라 상승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예 6. 본 발명첩포제(실시예 1 내지 8)의 효능·효과에 대한 동물실험
본 발명첩포제의 임상실험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체중 200 내지 250g의 위스타 웅성 랫트를 실험군과 비교군으로 나눈 후 에테르로 가볍게 마취시킨 후 오른쪽 뒤 발바닥에 캄플리트 프론드 어져번트(Complete Freynd's adijuvant)를 주사하여 실험대상군으로 설정하고 0.1㎖의 유동파라핀만을 주사한 군을 대조군으로 정하였다. 주사 5일후부터 19일재까지 실험대상군쥐의 오른쪽 뒷발바닥에 실험군 첩포제(실시예 1 내지 8)과 비교군첩포제를 이틀 간격으로 같은 시간에 바른 후 초기, 10, 20일째에 측정된 족두께를 대조군과의 %로 나타내어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실험군 초기 10일 20일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실시예 비교예
대조군 1.05 1.47 2.53
1 1.03 1.04 1.21 1.45 1.42 2.52
2 1.06 1.06 1.36 1.37 1.52 2.42
3 1.04 1.06 1.27 1.38 1.38 2.48
4 1.05 1.05 1.34 1.36 1.48 2.49
5 1.06 1.07 1.24 1.41 1.34 2.43
6 1.04 1.06 1.28 1.40 1.32 2.44
7 1.06 1.05 1.22 1.41 1.24 2.45
8 1.06 1.04 1.26 1.39 1.30 2.43
9 1.07 1.06 1.20 1.40 1.18 2.43
10 1.05 1.07 1.25 1.38 1.36 2.42
11 1.06 1.06 1.18 1.43 1.18 2.45
12 1.06 1.08 1.2 1.39 1.32 2.46
13 1.07 1.07 1.18 1.40 1.25 2.43
14 1.06 1.05 1.15 1.38 1.21 2.42
15 1.08 1.06 1.13 1.42 1.17 2.47
16 1.07 1.06 1.09 1.39 1.11 2.48
17 1.08 1.03 1.08 1.38 1.08 2.48
18 1.08 1.06 1.09 1.39 1.09 2.52
이상의 임상시험결과에서 치은염증을 유발시키는 IL-1β와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및 superoxide을 억제시키고 치주조직을 분해시키는 콜라제나제의 효소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우슬과 혹은 collagen 합성을 촉진시키고, 콜라제나제의 효소활성을 억제시킬 수 있는 유백피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첩포제(실시예 1 내지 8)의 족부종발생의 억제효과는 1주일에서 1개월 경시까지 우슬 혹은 유백피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1 내지 8)보다 그 효능이 탁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의 족부종은 5일이후부터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지속적으로 상승되는 반면에, 본 발명에 의하여 개발된 첩포제를 사용할 때 족부종의 발생은 억제되어 족부종이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현저히 감소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우슬과 유백피를 둘다 함유하고 있는 실시예 3, 4, 5, 6, 7, 8에서는 항관절염 작용에 대한 상승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Claims (5)

  1. 우슬추출물, 유백피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우슬추출물 및 유백피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0.001 내지 10 중량%의 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중량을 기준으로하여 우슬추출물 및 유백피추출물을 각각 단독으로 혹은 혼합하여 0.01 내지 5 중량%의 비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제형이 정제, 캡슐, 분말, 연고, 용액, 젤, 페이스트, 첩포제 또는 과립상임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
  5. 제 1항에 있어서, 추출물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추출물임을 특징으로 하는 류마토이드관절염 치료용 약제조성물.
KR1019970059512A 1997-11-12 1997-11-12 우슬또는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류마토이드관절염치료용약제조성물 KR100486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512A KR100486791B1 (ko) 1997-11-12 1997-11-12 우슬또는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류마토이드관절염치료용약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9512A KR100486791B1 (ko) 1997-11-12 1997-11-12 우슬또는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류마토이드관절염치료용약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9416A true KR19990039416A (ko) 1999-06-05
KR100486791B1 KR100486791B1 (ko) 2005-08-29

Family

ID=37304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9512A KR100486791B1 (ko) 1997-11-12 1997-11-12 우슬또는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류마토이드관절염치료용약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867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15B1 (ko) * 2000-05-16 2004-01-31 신준식 우슬, 오공, 두충, 오가피, 방풍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의약 조성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429595B1 (ko) * 2000-07-19 2004-05-04 주식회사 바이오라딕스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92591B2 (en) 2007-05-23 2012-10-23 New Brunswick Scientific Co., Inc. Adjustable sanitary impeller hub
KR101756452B1 (ko) 2015-05-13 2017-07-12 호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자발약쑥 및 유백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골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105462A (ko) 2021-01-20 2022-07-27 농업회사법인 주식회사 루아흐 모과 및 홍화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염증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20011502A (ko) * 1990-12-18 1992-07-24 정의로 인체 신경계의 통증을 치료할 수 있는 부자이중탕(附子理中湯)의 개량된 한방치료제 물질
KR970061221A (ko) * 1996-02-06 1997-09-12 최인자 한약재를 이용한 찜질백의 제조방법
KR101106674B1 (ko) * 2009-07-22 2012-01-18 (주)위디랩 동영상 포털 서비스 제공 방법 및 동영상 포털 서비스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15815B1 (ko) * 2000-05-16 2004-01-31 신준식 우슬, 오공, 두충, 오가피, 방풍을 주성분으로 함유하는의약 조성물 및 이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는 약학적 제제
KR100429595B1 (ko) * 2000-07-19 2004-05-04 주식회사 바이오라딕스 생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관절염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의제조방법 및 그의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486791B1 (ko) 2005-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251741A1 (en) Stable, homogeneous natural product extracts containing polar and apolar fractions
KR101776071B1 (ko) 붉은 작두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노화 및 미백용 조성물
US20040166183A1 (en) Methods and means for preventing or treating inflammation or pruritis
UA65563C2 (uk) Фармацевтична композиція на основі фітохімічних препаратів із echinacea та commiphora і спосіб лікування інфекційних захворювань
Rathore et al. Planterosomes: A potential phyto-phospholipid carriers for the bioavailability enhancement of herbal extracts
RU2315595C2 (ru) Композиция для энтеросолюбильного покрытия природного продукта, содержащего лектин
WO2012035904A1 (ja) 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
Obidike et al. Microencapsulation enhances the anti-ulcerogenic properties of Entada africana leaf extract
WO2003099200A2 (en) Composition and method for the treatment of diaper rash using natural products
KR20160116800A (ko) 피부보습용 조성물
JP2004131431A (ja) 紫外線傷害予防又は改善用組成物
KR100486791B1 (ko) 우슬또는유백피추출물을함유한류마토이드관절염치료용약제조성물
JP2001508777A (ja) 松葉抽出物及びその使用
Ahsan et al. Extraction, phytochemical screening and wound healing activity of herbal formulation of Saussurea lappa: Wound healing and anti-bacterial activity of saussurea lappa
EP0075523B1 (fr) Nouveaux médicaments à base d'extraits d'algues, et formulations correspondantes
EP2845624B1 (en) Mucoadhesive devil's claw extracts (harpagophytum procumbens) and uses thereof
CN101400255B (zh) 用于治疗细菌、病毒、真菌疾病、炎症以及疼痛的组合物
KR20130088665A (ko) 생강 초임계 추출물 및 발효 미나리 박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화장료 조성물 및 약학 조성물
US6309674B1 (en) Therapeutic agents for respiratory diseases
KR20190018108A (ko) 티몰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또는 아토피성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H037234A (ja) 生理活性物質、その製法、該物質を含有する薬剤、化粧品及び機能性食品
AU2015220485B2 (en) Fractions of extracts of Helichrysum having mucohadesive properties
JPH10287582A (ja) 樹皮抽出物からなるヒスタミン遊離抑制剤
JPH09124475A (ja) スルファサラジンを必須成分とする静脈不全および静脈潰瘍の治療用医薬組成物
US7431953B2 (en) Skin preparation for external use containing Purpuricenus temminckii frass as the active ingredi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