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963U -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963U
KR19990038963U KR2019980004999U KR19980004999U KR19990038963U KR 19990038963 U KR19990038963 U KR 19990038963U KR 2019980004999 U KR2019980004999 U KR 2019980004999U KR 19980004999 U KR19980004999 U KR 19980004999U KR 19990038963 U KR19990038963 U KR 19990038963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static precipitator
main body
dust collector
air conditioner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499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94579Y1 (ko
Inventor
이중희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201998000499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94579Y1/ko
Publication of KR1999003896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96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9457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94579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집진기키트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본체의 측면에서 착탈가능하도록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집진기키트를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본체의 측부에서 장착가능토록 함에 따라 흡입그릴부재의 분리작업 없이도 집진기키트를 용이하게 분리시킴에 따라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본 고안은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기집진기를 고정시키는 집진기키트를 본체의 측면에서 슬라이딩시켜 착탈시키도록 하여 상기 전기집진기의 결합 또는 분리작업을 간단하게 행하도록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있고, 상기 본체(10)의 전면측에는 실내공기를 통과시키도록 다수의 공기흡입구(21)가 형성된 흡입그릴부재(20)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상측에는 상기 본체(10)내의 공기가 토출되도록 토출구(30)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30)에는 토출되는 공기의 풍향을 상하 좌우로 조절하도록 상하풍향조절수단(40) 및 좌우풍향조절수단(5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측 중앙측에는 실내의 공기를 강제흡입시켜 상기 토출구(30)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송풍수단(70)이 배설되어 있고, 상기 흡입그릴부재(20)의 내측에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시켜 포집하도록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가 착탈가능케 배설되어 있다.
상기 송풍수단(70)은 전원을 인가 받아 구동되는 모터(71)와, 상기 모터(71)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는 모터축(72)에 연결되어 상기 모터축(72)의 회전운동에 연동되어 회전되는 블로워팬(73)과, 상기 블로워팬(73)의 회전력에 의해 강제 흡입된 실내공기를 상기 본체(10)의 상측으로 안내하는 덕트(74)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복수개의 전기집진기(80)는 상기 본체(10)내의 하측 양측벽에 고정된 복수개의 고정레일(11)의 상면에 얹혀지게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청소 등 을 목적으로 전기집진기(80)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흡입그릴부재(20)를 분리시킨 후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화살표 방향을 따라 집진기키트(80)를 본체(10)의 전면으로 잡아 빼내는 형식으로 되어 있어 그 작업성이 나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전기집진기의 착탈작업을 간단하게 행하도록 그 고정구조를 개선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착탈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의 외관을 도시한 전체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장치가 결합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장치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일부 측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본체 11 : 개구부
12 : 도어부재 120 : 집진기키트
130 : 전기집진기 200 : 슬라이딩수단
210 : 미끄럼부재 220 : 안내부재
230 : 롤러부재 240 : 레일부재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본 고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는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 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와, 상기 전기집진기를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본체의 내측에 집진기키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키트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본체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 도 4에 따라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가 있고,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 입자를 전기적으로 이온화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130)가 있고, 상기 본체(10)의 내측에는 상기 전기집진기(130)를 내측에 내삽 시켜 상기 본체(10)의 내측에 상하 소정간격을 이루며 고정되도록 내측에 복수의 가이드홈(121)이 형성된 집진기키트(120)가 서로 쌍을 이루며 배설되도록 있고, 상기 집진기키트(120)는 본체(10)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슬라이딩수단(200)에 의해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슬라이딩수단(200)은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하단측에 배설된 미끄럼부재(210)와, 상기 미끄럼부재(210)에 형성된 슬라이딩돌기부(211)를 내삽시켜 슬라이딩동작을 안내하도록 본체(10)의 내측에 가로질러 배설됨과 동시에 내측에 안내홈(221)이 형성된 안내부재(220)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측부에는 상기 집진기키트(120)를 용이하게 밀고 잡아당기도록 손잡이(125)가 배설되어 있고, 상기 본체(10)의 측부에는 상기 집진기키트(120)를 인·출입시키도록 개구부(11)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11)측에는 집진기키트(120)를 내장시킨 후에 외관을 커버하도록 도어부재(12)가 개폐가능케 배설되어 있다.
다음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에 의한 전기집진기 착탈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내부청소나 전기집진기(120)의 청소등을 목적으로 집진기키트(120)를 분리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본체(10)의 개구부(11)측에 배설된 도어부재(12)를 개문시키고,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측부에 배설된 손잡이(125)를 잡고 본체(10)의 측방향으로 잡아당기면, 상기 집진기키트(120)의 하단측에 배설된 미끄럼부재(210)의 슬라이딩돌기부(211)가 본체(10)에 배설된 안내부재(220)의 안내홈(221)을 따라 직선 이동하여 상기 집진기키트(120)가 본체(10)로부터 원활하게 분리된다.
한편, 전기집진기(130)의 장착 시에는 먼저, 전기집진기(130)를 집진기키트(120)의 가이드홈(121)을 따라 내장시킨 후 상술한 동작의 역순에 의해 집진기키트(120)를 밀게 되면, 상기 집진기키트(121)는 슬라이딩수단(200)에 의해 미끄러지게 되어 간단하게 본체(10)의 내측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슬라이딩동작을 하는 미끄럼부재(210)는 상기 집진기키트(121)를 이동 가능케 지지함과 동시에 서로 쌍을 이루며 배설되는 상기 집진기키트(121)의 등간격을 유지시켜 전기집진기(130)를 이탈시키지 않고 고정한다.
상기에 있어서, 슬라이딩수단(200)이 미끄럼부재(210)와 안내부재(220)로 이루어진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롤러부재(230)와 레일부재(240)를 이용하여 슬라이딩가능토록 구성할 수 도 있다.(도 5에 있어 도 4에 도시한 부분과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부호 및 설명을 생략함.)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에 의하면, 집진기키트를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본체의 측부에서 장착가능토록 함에 따라 흡입그릴부재의 분리작업 없이도 집진기키트를 용이하게 분리시킴으로써 그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4)

  1. 실내공기에 포함된 미세 먼지를 전기적으로 이온화 시켜 포집하는 전기집진기와, 상기 전기집진기를 내삽하여 고정하도록 본체의 내측에 집진기키트를 구비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집진기키트는 슬라이딩수단에 의해 본체의 측면에서 착탈 가능하도록 배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집진기키트의 하단측에 배설된 미끄럼부재와,
    상기 미끄럼부재의 직선운동 동작을 안내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설된 안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수단은 상기 집진기트의 하단측에 배설된 롤러부재와,
    상기 롤러부재가 내삽되어 이동하도록 상기 본체의 일측에 배설된 레일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집진기키트를 인출·입시키는 개구부와,
    상기 개구부를 커버하도록 상기 개구부측에 회전가능케 배설된 도어부재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KR2019980004999U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기고정장치 KR20019457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99U KR200194579Y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기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4999U KR200194579Y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기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963U true KR19990038963U (ko) 1999-11-05
KR200194579Y1 KR200194579Y1 (ko) 2000-09-01

Family

ID=19533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4999U KR200194579Y1 (ko) 1998-04-01 1998-04-01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기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9457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01B1 (ko) * 1999-12-24 2003-08-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집진기 고정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5120B1 (ko) 2017-03-13 2017-12-05 주식회사 부-스타 냉난방기의 관리가 용이한 슬라이드 이동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3601B1 (ko) * 1999-12-24 2003-08-06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공기 조화기의 집진기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94579Y1 (ko) 2000-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168442A (ja) 空気調和機
WO2016143010A1 (ja) 空気調和機
EP1980801A1 (en) 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KR200194579Y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기고정장치
KR100291640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KR100266289B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CN100359251C (zh) 空气净化器
JP2006214710A (ja) エアフィルタの自動清掃機能付き室内ユニットを備えた空気調和機
JP488703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220730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JP2006214721A (ja) 空気調和機
KR100261703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기 고정장치
KR100269461B1 (ko) 공기조화기의전기집진장치
KR100231044B1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고정장치
CN214078232U (zh) 一种通信设备维护装置
KR100500982B1 (ko) 공기조화기
KR100259380B1 (ko) 공기조화기용 전기집진기의 착탈장치
JP4602866B2 (ja)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100496730B1 (ko) 공기조화기
KR10059131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246898B1 (ko) 공기조화기
KR100261702B1 (ko) 공기조화기의 전기집진장치
JP2549676Y2 (ja) 空気清浄機
KR200286658Y1 (ko) 공기정화기
KR19980021329U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의 후면판 커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5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