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86658Y1 - 공기정화기 - Google Patents

공기정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86658Y1
KR200286658Y1 KR2020020013673U KR20020013673U KR200286658Y1 KR 200286658 Y1 KR200286658 Y1 KR 200286658Y1 KR 2020020013673 U KR2020020013673 U KR 2020020013673U KR 20020013673 U KR20020013673 U KR 20020013673U KR 200286658 Y1 KR200286658 Y1 KR 2002866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lecting plate
dust collecting
grill
negative electrode
du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136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경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셀메디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셀메디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셀메디칼
Priority to KR20200200136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866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866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86658Y1/ko

Link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분진이 포집되는 집진판의 청소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 공기 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공기 정화기는 하나의 몸체로 결합된 집진판(3)과 음극핀 브라켓(2)을 배출부(10)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음극핀 브라켓(2)으로부터 집진판(3)을 분리시켜 청소하여야 되어 집진판(3)의 청소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집진판(3) 및 음극핀 브라켓(2)의 분리와 결합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바, 본 고안은 케이스(1)의 배출부(10) 내측에 다수의 음극핀(20)이 형성된 브라켓(2)이 결합볼트(25)에 의해 결합 설치되고, 음극핀(20)의 전방에 다수의 통공(30)을 가지는 집진판(3)이 설치되며, 상기 집진판(3)의 전방에 케이스(1)에 탈 부착되는 그릴(4)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0)의 일측 상하에 힌지축(11)을 각각 형성시키고, 그릴(4)의 일측 상하에 상기 힌지축(11)이 결합되는 축수부(40)를 형성시켜 그릴(4)을 배출부(10)의 전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시키며, 그릴(4)의 내측면에 집진판(3)의 양측단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45)을 형성시켜 구성함으로써, 집진판의 청소작업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집진판을 분리시키고 결합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임.

Description

공기정화기{Air cleaner}
본 고안은 음이온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공기 중에 포함된 분진을 포집하여 신선한 공기를 방출시키는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분진이 포집되는 집진판의 청소작업을 편리하고 신속하게 할 수 있게 한 공기정화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이온을 방출시켜며 공기를 정화시키는 공기정화기는 고전압의 마이너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음극판의 전면에 플러스 전압을 발생시키는 집진판을 근접 설치시켜 공기중의 분진이 음극판을 통과하면서 마이너스 전압을 가지게 하여 마이너스극성의 분진이 플러스 극성을 가지는 집진판에 부착되어 공기를 정화시키는 것이다.
종래 공기정화기의 포집장치는 첨부된 도면 도 1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케이스(1)의 배출부(10) 내측에 다수의 음극핀(20)이 형성된 브라켓(2)이 결합볼트(25)에 의해 결합설치되고, 음극핀(20)의 전면에 다수의 통공(30)을 가지는 집진판(3)이 연결부재(35)에 의해 상기 브라켓(2)에 결합설치되며, 상기 집진판(3)의 전방에는 케이스(1)에 탈부착되는 그릴(4)이 설치되어 구성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공기정화기는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5)이 외부의 공기를 정화기내부로 흡입하고, 흡입된 공기는 음극핀(20)을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이 음극의 전압을 띠게 된다.
음극의 전압을 가지는 분진은 양극의 전압을 가지는 집진판(3)의 통공(30)을 통과하면서 집진판(3)에 포집되고 분진이 제거된 신선한 공기만 그릴(4)을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집진판(4)에 포집되는 분진은 음극핀(20)과 마주보는 면에 집중적으로 집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종래 공기정화기의 집진판(3)을 청소하기 위하여는 케이스(1)로부터 그릴(4)을 분리시키고, 배출부(10)의 내면에 체결된 결합볼트(25)를 해체시킨 후 음극핀 브라켓트(2)와 이에 결합된 집진판(3)을 배출부(10)내로부터 인출시켜 집진판(3)에 포집된 분진을 청소하게 된다.
그러나 배출부(10)로부터 음극핀 브라켓트(2)와 집진판(3)을 분리시키는 것만으로는 집진(3)판에 포집된 분진을 깔끔하게 청소할 수 없다.
즉, 집진판(3)에 포집되는 분진이 음극핀(20)과 마주보는 면에만 집중적으로 포집되어 집진판(3)과 음극핀(20) 사이의 좁은 공간내로 청소도구를 삽입시키기가 용이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무리하게 청소도구를 삽입시켜 청소하는 경우 음극핀(20)을 변형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하여 하나의 몸체로 결합된 집진판(3)과 음극핀 브라켓(2)을 배출부(10)로부터 분리시킨 후 다시 음극핀 브라켓(2)으로부터 집진판(3)을 분리시켜 청소하여야 되어 집진판(3)의 청소작업이 매우 까다롭고 집진판(3) 및 음극핀 브라켓(2)의 분리와 결합에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고안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집진판과 음극핀 브라켓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집진판과 음극핀이 형성된 브라켓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집진판의 청소작업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할 수 있게 한 공기정화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즉, 본 고안은 케이스의 배출부 내측에 다수의 음극핀이 형성된 브라켓이 결합볼트에 의해 결합 설치되고, 음극핀의 전방에 다수의 통공을 가지는 집진판이 설치되며, 상기 집진판의 전방에 케이스에 탈 부착되는 그릴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의 일측 상하에 힌지축을 각각 형성시키고, 그릴의 일측 상하에 상기 힌지축이 결합되는 축수부를 형성시켜 그릴을 배출부의 전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시키며, 그릴의 내측면에 집진판의 양측단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도 1 은 종래에 있어서의 공기정화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본 고안의 그릴과 케이스와의 결합수단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케이스 2. 브라켓
3. 집진판 4. 그릴
10. 배출부 11. 힌지축
20. 음극핀 30. 통공
41. 축공 42. 개방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 도 2 는 본 고안에 따른 공기정화기를 분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 은 본 고안의 그릴과 케이스와의 결합수단을 발췌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케이스(1)의 배출부(10) 내측에 다수의 음극핀(20)이 형성된 브라켓(2)이 결합볼트(25)에 의해 결합 설치되고, 음극핀(20)의 전방에 다수의 통공(30)을 가지는 집진판(3)이 설치되며, 상기 집진판(3)의 전방에 케이스(1)에 탈 부착되는 그릴(4)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0)의 일측 상하에 힌지축(11)을 각각 형성시키고, 그릴(4)의 일측 상하에 상기 힌지축(11)이 결합되는 축수부(40)를 형성시켜 그릴(4)을 배출부(10)의 전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시키며, 그릴(4)의 내측면에 집진판(3)의 양측단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45)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축수부(40)의 축공(41) 일측에 힌지축(11)이 축공(41)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탈될 수 있게 하는 개방부(42)를 형성시켜 그릴(4)을 배출부(10)의 전방으로 여닫을 수 있게 함은 물론 필요에 따라 그릴(4)을 배출부(10)로부터 완전 분리시킬 수 있게 구성하였다.
미설명부호 5는 외부의 공기를 정화기의 내부로 흡입하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시키는 송풍팬이고, 12는 레일의 내부에 삽입되는 집진판을 탄력적으로 지지하는 탄성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공기정화기를 동작시키게 되면 음극핀은 마이너스의 고전압을 발생시키고, 집진판의 플러스의 전압을 발생시키는 동시에 케이스(1)의 내부에 설치된 송풍팬(5)이 외부의 공기를 정화기내부로 흡입한다.
정화기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음극핀(20)을 통과하면서 공기에 포함된 분진이 음극의 전압을 띠게 되고, 음극의 전압을 가지는 분진은 양극의 전압을 가지는 집진판(3)에 포집되며 분진이 걸러진 신선한 공기만이 통공(30)과 그릴(4)을 거쳐 외부로 배출된다.
집진판(4)에 포집되는 분진은 음극핀(20)과 마주보는 면에 집중적으로 집진된다.
집진판에 포집된 분진을 청소하기 위하여 배출부에 설치된 그릴의 일측을 잡아당기게 되면 그릴의 일 측 상하에 형성된 축수부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그릴을 열 수 있게 된다.
힌진축을 중심으로 하여 그릴이 열리면 그릴의 내측에 설치된 집진판이 음극핀으로부터 이격된다.
이와 같이 그릴이 열려진 상태에서 집진판의 상부에 형성된 손잡이를 잡고 이를 당기게 되면 집진판이 레일에 안내되면서 인출되어 그릴로부터 집진판을 분리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고안의 기술사상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집진판과 음극핀이 형성된 브라켓과의 분리를 용이하게 하여 집진판의 청소작업을 신속하게 편리하게 할 수 있으며, 집진판을 분리시키고 결합시키는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케이스(1)의 배출부(10) 내측에 다수의 음극핀(20)이 형성된 브라켓(2)이 결합볼트(25)에 의해 결합 설치되고, 음극핀(20)의 전방에 다수의 통공(30)을 가지는 집진판(3)이 설치되며, 상기 집진판(3)의 전방에 케이스(1)에 탈 부착되는 그릴(4)이 설치되어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상기 배출부(10)의 일측 상하에 힌지축(11)을 각각 형성시키고, 그릴(4)의 일측 상하에 상기 힌지축(11)이 결합되는 축수부(40)를 형성시켜 그릴(4)을 배출부(10)의 전면에서 여닫을 수 있도록 형성시키며, 그릴(4)의 내측면에 집진판(3)의 양측단이 슬라이드 삽입되어 고정되는 레일(45)을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수부(40)의 축공(41) 일측에 힌지축(11)이 축공(41)의 내부로 삽입되고 이탈될 수 있게 하는 개방부(42)를 형성시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정화기.
KR2020020013673U 2002-05-04 2002-05-04 공기정화기 KR2002866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673U KR200286658Y1 (ko) 2002-05-04 2002-05-04 공기정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13673U KR200286658Y1 (ko) 2002-05-04 2002-05-04 공기정화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24426A Division KR20030086064A (ko) 2002-05-03 2002-05-03 공기정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86658Y1 true KR200286658Y1 (ko) 2002-08-21

Family

ID=73075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13673U KR200286658Y1 (ko) 2002-05-04 2002-05-04 공기정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86658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212650785U (zh) 一种手持吸尘器的集尘装置
JP2006006453A (ja) 電気掃除機
KR101185250B1 (ko) 공기청정기
KR20030086064A (ko) 공기정화기
KR200286658Y1 (ko) 공기정화기
KR100751764B1 (ko) 진공 청소기용 배기 필터
KR200326111Y1 (ko) 흡입그릴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필터의 착탈장치
KR101295162B1 (ko) 가습 공기 청정기
JP2007021397A (ja) 空気清浄機
CN211069363U (zh) 一种高效布袋除尘器
CN207753304U (zh) 便于除尘的配电柜
JP3222876U (ja) 付着物除去装置
JP2002085292A (ja) 花粉クリーナ
CN217662140U (zh) 一种滤芯便捷更换的空气环保用净化设备
JP2007167777A (ja) 空気清浄機
KR100529905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JP2013111333A (ja) サイクロン式集塵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た電気掃除機
CN219656270U (zh) 一种室内空气净化装置
KR20000016837U (ko) 슬림형 공기조화기
CN213668328U (zh) 一种土建施工粉尘收集装置
CN219128694U (zh) 一种便于清灰的干式除尘器
CN219306605U (zh) 一种吸尘器的双杯结构
CN219211026U (zh) 一种煤化工电气仪表安装维修的除尘装置
CN219804360U (zh) 一种烟气除尘设备
KR100225635B1 (ko) 벽걸이형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G701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7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