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8456A -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8456A
KR19990038456A KR1019970058183A KR19970058183A KR19990038456A KR 19990038456 A KR19990038456 A KR 19990038456A KR 1019970058183 A KR1019970058183 A KR 1019970058183A KR 19970058183 A KR19970058183 A KR 19970058183A KR 19990038456 A KR19990038456 A KR 19990038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ed
signal
registration
ids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81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47053B1 (ko
Inventor
박주승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581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47053B1/ko
Publication of KR19990038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84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470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4705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5Cordless telephones
    • H04M1/72502Cordless telephones with one base station connected to a single line
    • H04M1/72505Radio link set-up procedures
    • H04M1/72511Searching for available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82Line monitoring circuits for call progress or status discrimin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하나의 휴대장치에 복수개의 본체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하나의 휴대장치에서 비사용중인 본체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휴대장치의 아이디 등록방법이, 키입력부로부터 본체등록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 본체 등록모드로 진행하여 등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를 무선신호로 출력하고, 무선 수신부로부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와 동일한 등록번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동일한 등록번호가 수신될 경우 무선신호로부터 본체의 아이디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본체 아이디를 메모리부의 본체 아이디 테이블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무선전화기.

Description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본 발명은 무선전화기의 아이디 등록 및 사용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선전화기는 하나의 본체에 여러개의 휴대장치를 등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본체를 여러명의 사용자가 하나의 전화를 각각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본체가 다른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고 있을 경우 다른 전화기로 이동하여 통화를 수행하거나 또는 다른 무선전화기로 통화를 수행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휴대장치에 둘이상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중이지 않은 무선전화기의 본체를 통해 통화를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휴대장치의 아이디 등록방법이, 키입력부로부터 본체등록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 본체 등록모드로 진행하여 등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출력하고, 무선 수신부로부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와 동일한 등록번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동일한 등록번호가 수신될 경우 무선신호로부터 본체의 아이디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본체 아이디를 메모리부의 본체 아이디 테이블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아이디 등록시 제어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로 통화시 아이디 검색의 제어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신호 수신시 아이디 검색의 제어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무선 전화기 휴대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 도 1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어부 111은 상기 휴대장치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본체 아이디를 등록하고 상기 등록된 아이디를 검색하여 통화시 제어를 수행한다. 듀플렉서 112는 안테나 ANT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무선 수신부 113으로 출력하고 무선 송신부 113으로부터 수신되는 신호를 상기 안테아 ANT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수신부 113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휴대장치 모뎀 119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주파수 합성부 114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주파수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로 출력한다. 주파수 합성부 114는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제거하기 위한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수신부 113으로 출력하고, 무선 본체로 출력하기 위한 캐리어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무선 송신부 115로 출력한다. 상기 무선 송신부 115는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로부터 수신되는 데이터와 상기 주파수 합성부 114로부터 수신되는 캐리어 신호를 합성하여 상기 듀플렉서 112로 출력한다.
표시부 116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상기 휴대장치의 상태를 표시하거나 또는 동작과정등을 표시하고, 키입력부 117은 키매트릭스 구조(도시하지 않음)를 가지며 사용자가 입력하는 키에 대응하는 신호를 발생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한다. 메모리부 118은 상기 휴대장치의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프로그램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와 상기 제어시 발생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메모리(도시하지 않음)로 구성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라 복수개의 무선전화기 본체와 통화하기 위한 아이디 등록 테이블을 구비한다.
휴대장치 모뎀 119는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송신되는 데이터를 변조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복조하여 상기 제어부 111로 출력하거나, 링거음 출력시 링거음 발생에 따른 주파수를 발생하여 스피커 SPK_1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는 음성신호의 송수신시는 통화를 형성하기 위한 패스로 동작한다. 음성처리부 120은 상기 제어부 111의 제어에 의해 마이크 MIC로부터 수신되는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송신이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로 출력하고,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로부터 수신되는 음성 데이터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스피커 SPK_2로 출력한다. 여기서 상RL 제1 및 제2 스피커 SPK_1, SPK_2는 하나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의 아이디 등록시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2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2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본체 등록요구에 따른 키가 입력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본체 등록요구에 따른 키가 입력될 경우 204단계로 진행하고 본체 등록요구에 따른 키가 입력되지 않을 경우 2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202단계에서 2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등록번호를 수신하고 206단계로 진행한다. 여기서 등록번호는 상기 휴대장치와 상기 본체와의 오류 입력을 막기위한 패스워드에 해당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206단계에서 상기 무선 수신부 112, 상기 주파수 합성부 114, 무선 송신부 115 및 휴대장치 모뎀 119를 제어하여 상기 휴대장치가 등록될 고정장치와 등록번호를 교환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등록번호 교환후 2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교환한 등록번호가 동일한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등록번호가 동일할 경우 210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등록번호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214단계로 진행하여 등록 에러메시지를 상기 표시부 116에 표시하고 종료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208단계에서 21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등록될 고정장치와 호출시 필요한 아이디(ID:Identification)를 교환하고 2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휴대장치의 본체에 존재하는 상기 메모리부 118의 본체 아이디 테이블에 저장한다. 이때 상기 저장되는 아이디는 본체 아이디 테이블의 등록번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등록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등록되는 본체 아이디 테이블을 예로 도시하면 하기 표 1과 같다.
ID 번호 등록 아이디
1 61AF213
2 13423AB
3 6543512
··· ···
여기서 상기 표 1의 등록 아이디는 본체에서 상기 휴대장치 호출시 링신호와 함께 전송되는 아이디를 말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등록 아이디를 7자리의 16진수로하여 도시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장치로 통화시 아이디 검색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3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3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상기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가 수신될 경우 304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3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02단계에서 30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메모리부 118로부터 상기 본체 아이디 테이블의 본체 아이디 번호 1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독출하고 3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306단계에서 상기 표 1에 도시한 바와같은 61AF213의 본체 아이디를 독출하고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를 제어하여 상기 아이디신호를 발생하며 상기 주파수 합성부 114 및 상기 무선 수신부 113을 제어하여 셋업신호와 함께 아이디를 송출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06단계에서 3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아이디를 송출한 본체로부터 통화가능에 따른 오케이(OK)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이하 상기 오케이신호를 통화 가능신호라 칭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통화 가능신호가 수신될 경우 316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결과 통화 불가능신호가 수신될 경우 3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08단계에서 310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독출된 아이디의 번호를 증가하고 3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10단계에서 증가된 아이디번호에 대응하는 등록된 아이디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등록된 아이디가 존재할 경우 314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결과 등록된 아이디가 존재하기 않을 경우 종료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12단계에서 31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증가된 아이디 번호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독출하고 306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308단계에서 316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통화 가능신호를 송출한 본체와 통화로를 연결하고 3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318단계에서 사용자가 입력하는 숫자키에 대응하여 다이얼링 및 통화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링신호 수신시 아이디 검색의 제어 흐름도이다.
이하 도 1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400단계에서 대기상태를 유지하며 40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듀플렉서 112로부터 무선 수신부 113을 통해 링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링신호가 수신될 경우 404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결과 링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40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404단계에서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를 통해 아이디를 추출하고 406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406단계에서 상기 메모리부 118로부터 상기 본체 아이디 테이블을 독출하고 408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독출된 아이디 테이블의 아이디 번호 1에 대응하는 아이디와 상기 수신된 아이디를 비교하고 4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410단계에서 상기 비교결과 아이디가 동알할 경우 412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비교결과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418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410단계에서 418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독출된 아이디번호를 증가하고 42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증가된 아이디 번호에 대응하는 아이디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아이디가 존재할 경우 422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결과 아이디가 존재하기 않을 경우 종료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420단계에서 42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수신된 아이디와 상기 독출된 아이디를 비교하고 410단계로 진행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410단계에서 412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휴대장치 모뎀 119를 제어하여 제1스피커 SPK_1을 통해 링거음을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412단계에서 41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키입력부 117로부터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키입력 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 416단계로 진행하고 상기 검사결과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되지 않을 경우 42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414단계에서 424단계로 진행하면 상기 무선 신부 113으로부터 수신되는 링신호의 수신이 종료되는가를 검사한다.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검사결과 링신호의 수신이 종료될 경우 종료하고 상기 검사결과 링신호의 수신이 종료되지 않을 경우 412단계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 111은 상기 414단계에서 416단계로 진행하면 통화모드를 수행하고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하나의 휴대장치에 적어도 둘 이상의 본체에 등록하여 상기 등록된 본체의 아이디를 독출하여 통화중이지 않은 본체를 검색하여 통화를 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링신호 수신시 하나의 휴대장치만으로 다수개의 본체를 통해 통화를 할 수 있으므로 회사와 같이 여러사람이 회의를 할 경우 개인마다 휴대장치를 구비하고 회의에 참석하지 않고도 하나의 휴대장치로 다수의 본체로 수신되는 착신호를 연결할 수 있는 잇점이 있다.

Claims (5)

  1. 휴대장치의 아이디 등록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로부터 본체등록 요구신호가 수신될 경우 본체 등록모드로 진행하여 등록번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를 상기 무선신호로 출력하고, 무선 수신부로부터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와 동일한 등록번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동일한 등록번호가 수신될 경우 무선신호로부터 본체의 아이디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수신된 본체 아이디를 메모리부의 본체 아이디 테이블에 순차적으로 저장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등록번호와 상기 키입력부로부터 수신된 드록번호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표시부에 등록 에러 메시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3. 적어도 두 개의 본체 아이디를 등록한 휴대장치의 통화방법에 있어서,
    키입력부로부터 후크오프에 대응하는 신호가 수신될 경우 메모리부의 본체 아이디 테이블을 독출하여 제1아이디 번호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아이디를 데이터로 변환하여 셋업신호와 함께 송출하는 단계와,
    상기 셋업신호 송출후 무선 수신부로부터 통화 가능신호가 수신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통화 가능신호가 수신될 경우 통화로를 연결하여 다이얼링 및 통화를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수신부로부터 통화 불가능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독출된 아이디의 번호를 증가시키는 단계와,
    상기 증가된 아디이 번호에 대응하여 등록된 아이디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등록된 아이디가 있을 경우 상기 증가된 아이디 번호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독출하여 셋업신호 송출단계로 진행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5. 적어도 두 개의 본체 아이디를 등록한 휴대장치의 통화방법에 있어서,
    무선 수신부로부터 링신호가 수신될 경우 상기 무선 수신부 및 모뎀을 통해 아이디를 추출하는 단계와,
    메모리부로부터 아이디 테이블을 독출하여 제1아이디 번호에 대응하는 아이디를 독출하는 단계와,
    상기 독출된 아이디와 상기 수신된 아이디를 비교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아이디가 동일할 경우 상기 모뎀을 제어하여 링거음을 출력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아이디가 동일하지 않을 경우 아이디 번호를 증가하는 단계와,
    상기 증가된 아이디번호에 등록된 아이가 존재하는가를 검사하는 단계와,
    상기 검사결과 등록된 아이디가 존재할 경우 아이디 비교단계로 진행하는 단계고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19970058183A 1997-11-05 1997-11-05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KR1002470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183A KR100247053B1 (ko) 1997-11-05 1997-11-05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8183A KR100247053B1 (ko) 1997-11-05 1997-11-05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8456A true KR19990038456A (ko) 1999-06-05
KR100247053B1 KR100247053B1 (ko) 2000-03-15

Family

ID=1952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8183A KR100247053B1 (ko) 1997-11-05 1997-11-05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4705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47053B1 (ko) 2000-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WO2002052878A1 (ja) 無線通信装置、親通信装置、親子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EP0609422A1 (en) Portable to portable communications in a cordless telephone system
EP0921668B1 (en) TDMA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KR0162828B1 (ko) 디지탈 무선전화기에서 선택적 이동국 호출방법 및 그 장치
JPH0813063B2 (ja) コードレスホームテレホン方式
KR19990018680A (ko) 무선전화기에서 베이스 절환방법
KR19990038456A (ko) 무선전화기에서 복수의 아이디를 등록하여 사용하는 방법
JP2003092785A (ja) 携帯電話機
KR920009152B1 (ko) 구내 무선전화 시스템
KR100393603B1 (ko) 무선 헤드셋의 재다이얼 번호 안내 방법
KR200212970Y1 (ko) 무선전화기에서 콜러아이디 수신기능을 이용한 단말기전용호출장치
KR100233167B1 (ko) 하나의 전화번호에 둘 이상의 핸드폰을 등록하여 사용하는방법
KR100576022B1 (ko) 사설 교환기에서 이동성을 갖는 복합단말 장치
JP3482726B2 (ja) 簡易型携帯電話機
KR0178810B1 (ko) 주파수 공용 시스템의 단말기 호출방법
JP2586722Y2 (ja) 電話機
JP3331959B2 (ja) 通信装置
JP3244455B2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子機
JP2000295368A (ja) 通信装置および通信システム
JPH0292121A (ja) コードレステレホン
JPS6223663A (ja) 無線を利用した構内電子交換機の内線呼出装置
KR19980074472A (ko) 무선단말기의 착신 링 거부방법
JPH11313378A (ja) 無線固定端末装置及び発呼側ダイアル番号判別方法
JP2002101469A (ja) コードレス電話システムの親機
JPH05183502A (ja) 無線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1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