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816U - 접는 캔 - Google Patents

접는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816U
KR19990037816U KR2019980003667U KR19980003667U KR19990037816U KR 19990037816 U KR19990037816 U KR 19990037816U KR 2019980003667 U KR2019980003667 U KR 2019980003667U KR 19980003667 U KR19980003667 U KR 19980003667U KR 19990037816 U KR19990037816 U KR 1999003781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lding
cans
line
folding line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36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설재범
Original Assignee
설재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설재범 filed Critical 설재범
Priority to KR20199800036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816U/ko
Publication of KR1999003781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816U/ko

Links

Landscapes

  • Rigid Containers With Two Or More Constituent Eleme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원통형이나 사각형으로된 캔(1,10)의 외주면에 캔을 접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절첩선들을 구성하므로서, 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된 각종 음료용 캔, 주류용 캔, 식료품 캔 등 액상 또는 분말상의 저장용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캔들의 사용후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가 있으며, 부피축소로 인한 쓰레기 감량으로 캔 수거의 용이성과, 운반비 절감 및 자원의 재활용이 아주 용이하며, 국민들의 재활용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원통형 접는 캔(1)의 외주연을 따라서 가로절첩선(7)을 형성하고, 상기한 가로절첩선(7)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세로절첩선(8)을 형성하며, 상기한 상,하부 테두리(5)와 인접하여서 2개의 테두리절첩선(9)을 형성하고, 상기한 테두리절첩선(9)의 양단과 상기한 세로절첩선(8)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경사절첩선(9a)을 형성함과 아울러;
사각형 접는 캔(10)의 좌,우측면을 따라 경사절첩선(12)을 형성하고, 상기한 경사절첩선(12)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세로절첩선(13)을 형성하며, 상기한 캔의 정,배면에는 상부면(3)과 하부면(4)이 절첩될 수 있도록 가로절첩선(1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접는 캔
본 고안은 각종 액상 물질을 저장하는 캔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된 캔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 사용자가 직접 빈캔을 눌러 절첩시켜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하여 버릴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형태의 접는 캔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음료용 쥬스나 콜라, 사이다와 같은 청량음료, 맥주등의 주류캔 및 식료품캔 등 다양한 형태의 액상 물질을 밀봉·저장시키는 캔은 그 용량에 따라서 하나의 단위 개체로 만들어져 있다.
종래의 음료용 캔이나 맥주캔 또는 식료품캔 등 각종 액상 물질을 저장하는 금속 또는 비철금속으로된 캔들은 캔의 사용 후 캔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는 별도의 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캔의 내부에 충전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 원통형이나 사각형의 빈캔을 원형 그대로 버리므로 빈캔의 회수와, 처리에 상당한 애로를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이들 빈캔은 사용후 중량은 가벼우나 원래의 부피를 그대로 지니고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보다 효과적으로 찌그러트리지 못하여서 빈캔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감소시킬 수 없는 단점을 지니고 있었고, 알루미늄 재질의 맥주캔과 같은 빈캔은 사용자가 손으로 외력을 가하여 찌그러트리면 되지만 제대로 실행되지 않고 있으며, 빈캔을 찌그러트리더라도 빈캔의 상,하부면을 완전히 찌그러트리지 못할뿐만 아니라, 약간의 강성을 지닌 청량음료캔, 식료품캔과 같은 종류는 쉽게 찌그러지지 않아서 자원의 재활용을 위하여 이들 빈캔을 수거하는데 많은 불편을 겪고 있는 실정이었다.
또한, 이들 빈캔들은 사용 후 재활용 경로를 통하여 수거되어서 별도의 압착기계에 넣어 일정한 형태로 압착시켜서 재활용하고 있으나 모여진 빈캔들의 부피가 지나치게 커서 빈캔의 수거과정에서 쓰레기의 감량효과를 얻을 수가 없었고, 한꺼번에 많은 량을 운반시킬 수 없기 때문에 물류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개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접는 캔은 캔의 외주면을 따라서 가로 및 세로절첩선 및 경사절첩선을 구비하여서 접는 캔에 수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고 난 다음, 사용자가 상기한 가로 및 세로절첩선 및 경사절첩선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본 고안의 접는 캔이 상기한 접첩선을 따라서 일정한 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부피가 획기적으로 축소되어서 금속이나 알루미늄등의 재질로된 접는 캔의 운반 및 재활용이 아주 용이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접는 캔은 원통형이나 사각형으로된 접는 캔의 외주면에 캔을 접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절첩선들을 구성하므로써, 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된 각종 음료용 캔, 주류용 캔, 식료품 캔 등 액상 또는 분말상의 저장용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캔들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한 후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원통형상의 접는 캔의 사시도
도 2 는 본 고안의 접는 캔이 사용후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 은 도 2 의 접는 캔이 완전히 접혀진 상태를 도시한 절첩상태의 정면도
도 4 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각형상의 접는 캔의 사시도
도 5 는 도 4 의 접는 캔이 사용후 접혀지는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10 : 접는 캔 2 : 절취편
3 : 상부면 4 : 하부면
5 : 테두리 6 : 절개선
7, 14 : 가로절첩선 8. 13 : 세로절첩선
9 : 테두리절첩선 11 : 뚜껑
9a, 12 : 경사절첩선
도 1, 2,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호 1 은 본 고안의 양호한 실시예를 보인 접는 캔을 표시하며; 부호 2 는 상기한 접는 캔(1)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절취편을 표시한다.
상기한 접는 캔(1)은 상부면(3)과 하부면(4)이 강성을 지닌 테두리(5)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접는 캔(1)의 내용물을 개봉할 때 상기한 절취편(2)을 잡아 당기면 이 절취편(2)은 절개선(6)을 따라서 개봉이 된다.
상기한 기술은 캔 업계에 널리 알려진 일반적인 기술내용들로서, 본 고안의 특징적인 요부 구성은 상기한 접는 캔(1)의 외주연을 따라 상,하부에 가로절첩선(7)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가로접는선이 되도록 하고, 상기한 가로절첩선(7)을 연결하는 세로절첩선(8)을 앞뒤로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세로접는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한 상,하부 테두리(5)와 인접하여 2개의 테두리절첩선(9)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상,하부면(3,4)과 상,하부 테두리(5) 부위가 보다 효과적으로 찌그러질 수 있도록 하며, 상기한 테두리절첩선(9)의 양단과 상기한 세로절첩선(8)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경사절첩선(9a)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이들 부위가 삼각형으로 절첩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테두리절첩선(9)과 세로절첩선(8)과 경사절첩선(9a)들이 서로 만나는 부분은 캔이 찌그러진 상태에서 대체적으로 삼각형상이 되도록 하여서 사용자가 캔의 절첩시 이들 부분을 보다 쉽게 찌그러트릴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접는 캔(10)은 상기한 도 1의 원통형으로된 접는 캔(1)에 비해서 단지 외형을 사각형상으로 한 여러종류의 캔들 예컨데, 각종 통조림 캔이나 페인트, 식용유 캔 등에 적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한 사각형상의 접는 캔(10)은 상부면(3)과 하부면(4)이 상,하부 테두리(5)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사용자가 접는 캔(1)의 내용물을 개봉할 때 뚜껑(11)을 열어서 잡아 당기면 개봉이 된다.
상기한 사각형상의 접는 캔(10)은 캔의 좌,우측면에 경사절첩선(12)을 형성하여서 사각형 캔의 절첩시 상, 하부 측면의 경사접는선이 되도록 하고, 이들 경사절첩선(12)을 연결하는 세로절첩선(13)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좌,우측면의 세로접는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한 접는 캔(10)의 정,배면에는 상부면(3)과 하부면(4)이 일정한 방향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가로절첩선(1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다.
상기한 본 고안의 절첩선(7,8,9,9a;12,13,14)들은 접는 캔(1,10)의 외주면에 미세하게 홈을 형성하거나, 칼날에 의하여 형성된 아주 미세한 절취홈을 형성하여서 사용자가 일정한 외력을 가하면 쉽게 접혀져 절곡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상기한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들로서, 접는 캔의 상,하부면(3,4)에 보강용의 상,하부 테두리(5)가 없는 경우에는 상기한 절첩선들을 상,하부면(3,4)과 상,하부 테두리(5)까지 이르도록 연장,설치하여서 캔의 절첩시 상,하부면(3,4)과 상,하부 테두리(5) 부위가 함께 접혀지도록 할 수가 있다.
상기한 본 고안의 절첩선(7,8,9,9a;12,13,14)들은 접는 캔(1,10)의 외주면에 형성되어서 접는 캔(1,10)의 운반이나 사용중에는 절첩선이 접혀지지 않도록 하고, 상기한 본 고안의 접는 캔(1,10)은 사용후 사용자가 손으로 접는 캔(1,10)의 외주면에 일정한 힘을 가하여야만 상기한 절첩선의 방향으로 접혀질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갖도록 설계하면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접는 캔(1,10)은 원통형 접는 캔(1)의 외주연을 따라서 가로절첩선(7)을 형성하고, 상기한 가로절첩선(7)을 연결하는 적어도 2개의 세로절첩선(8)을 형성하며, 상기한 상,하부 테두리(5)와 인접하여서 2개의 테두리절첩선(9)을 형성하고, 상기한 테두리절첩선(9)의 양단과 상기한 세로절첩선(8)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경사절첩선(9a)을 형성하거나;
사각형상의 접는 캔(10)의 좌,우측면을 따라 경사절첩선(12)을 형성하고, 상기한 경사절첩선(12)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세로절첩선(13)을 형성하며, 상기한 캔의 정,배면에는 상부면(3)과 하부면(4)이 절첩될 수 있도록 가로절첩선(14)을 구성하므로써,
사용자가 접는 캔(1,10)에 수납된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고 난 다음, 원통형 접는 캔(1)의 경우 상기한 가로 및 세로절첩선(7,8)의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도 2 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는 캔(1)이 상기한 가로 및 세로절첩선(7,8)의 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1차적으로 부피가 축소되고, 도 3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절첩선(9)과 상기한 경사절첩선(9a)에 의하여 캔의 상,하부 테두리(5) 부위가 절첩되어 삼각형상이 되면서 상부면(3)과 하부면(4)이 가로절첩선(7)을 기준으로 어느 한방향으로 완전히 꺾여져서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이나 알루미늄등의 재질로된 접는 캔의 운반 및 재활용이 아주 용이하다.
또한, 사각형 접는 캔(10)의 경우 도 4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한 캔의 좌,우측면에 형성된 경사절첩선(12)과, 이를 연결하는 세로절첩선(13)의 방향으로 일정한 힘을 가하면 본 고안의 접는 캔(10)은 도 5 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한 경사절첩선(12)과, 이를 연결하는 세로절첩선(13)의 방향으로 찌그러지면서 캔의 양쪽 측면의 부피가 축소되고, 이어서 상부면(3)과 하부면(4)이 정면의 가로절첩선(14)을 기준으로 어느 한방향으로 꺾어져서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 있으므로 금속이나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된 접는 캔의 운반 및 재활용이 아주 용이하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접는 캔(1,10)은 원통형이나 사각형 캔의 외주면에 캔을 접을 수 있도록 다수의 절첩선들을 구성하므로써, 금속이나 비철금속으로된 각종 음료용 캔, 주류용 캔, 식료품 캔 등 액상 또는 분말상의 저장용품을 포장하는데 사용되는 캔의 부피를 획기적으로 축소시킬 수가 있으며, 부피축소로 인한 쓰레기 감량으로 빈캔 수거의 용이성과, 운반비 절감 및 자원의 재활용이 아주 용이하며, 국민들의 재활용 의식을 고취시킬 수 있는 등의 제반 특, 장점이 있다.

Claims (2)

  1. 캔의 상부면(3)과 하부면(4)이 테두리(5)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캔의 내용물을 개봉할 때 상부면(3)의 절취편(2)을 잡아 당겨서 절취편(2)이 절개선(6)을 따라 개봉되도록 한 공지의 캔에 있어서,
    원통형 접는 캔(1)의 외주연을 따라 가로절첩선(7)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가로접는선이 되도록 하고, 상기한 가로절첩선(7)을 연결하는 세로절첩선(8)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세로접는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한 상,하부 테두리(5)와 인접하여서 2개의 테두리절첩선(9)을 형성하며, 상기한 테두리절첩선(9)의 양단과 상기한 세로절첩선(8)의 상,하단을 연결하는 경사절첩선(9a)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상,하부면(3,4)과 상,하부 테두리(5) 부위가 찌그러져서 캔의 부피를 축소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 특징인 접는 캔.
  2. 캔의 상부면(3)과 하부면(4)이 테두리(5)에 의하여 구분되어 있으며, 캔의 내용물을 개봉할 때 상부면(3)의 절취편(2)을 잡아 당겨서 절취편(2)이 절개선(6)을 따라 개봉되도록 한 공지의 캔에 있어서,
    사각형상의 접는 캔(10)의 좌,우측면을 따라 경사절첩선(12)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측면의 상,하부 모서리접는선이 되도록 하고, 상기한 경사절첩선(12)의 상,하부를 연결하는 세로절첩선(13)을 형성하여서 캔의 절첩시 측면의 세로접는선이 되도록 하며, 상기한 캔의 정,배면에는 상,하부면(3,4)이 절첩될 수 있도록 가로절첩선(14)을 형성하여서 된 것이 특징인 접는 캔.
KR2019980003667U 1998-03-13 1998-03-13 접는 캔 KR1999003781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67U KR19990037816U (ko) 1998-03-13 1998-03-13 접는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3667U KR19990037816U (ko) 1998-03-13 1998-03-13 접는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816U true KR19990037816U (ko) 1999-10-15

Family

ID=697133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3667U KR19990037816U (ko) 1998-03-13 1998-03-13 접는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81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191A (ko) * 2002-10-02 2002-10-26 김상일 접이식 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1191A (ko) * 2002-10-02 2002-10-26 김상일 접이식 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48691A (en) Container with an inner pouch
CA2168542C (en) Snap lock package for granular detergents having a reduced liner to prevent bulging
US3696990A (en) Paperboard container
US5373965A (en) Collapsible container for pasty products
WO1992004252A1 (fr) Emballage inviolable ayant une enveloppe interieure et une enveloppe exterieure et son procede de fabrication
EP0822145A1 (en) Paperboard carton having a pour spout and blank for forming the same
US3977596A (en) Newspaper recycling apparatus
KR19990037816U (ko) 접는 캔
US5765711A (en) Composite package
US5526958A (en) Tube box
RU2028259C1 (ru) Упаковка для жидких или сыпучих продуктов
US4322013A (en) Breakdown container
JPH04102544A (ja) 可圧潰缶
CN209796095U (zh) 一种对开式硬纸板折叠包装盒
JP3743205B2 (ja) 液体包装容器
EP3956235A1 (en) Embossed can construction
JPH0551036A (ja) 折畳可能容器
CN213678184U (zh) 一种带有进出料阀门的集装箱液袋
JPH0516937A (ja) 折り畳み可能な缶構造
KR200163527Y1 (ko) 음료수 페트(pet)병
JPH0612345U (ja) 包装用容器
CN217533604U (zh) 一种防盗环保型可再利用包装纸箱
CN103068687B (zh) 节省空间的可折叠容器
CN211686536U (zh) 一种水果专用包装纸箱
KR20010001184U (ko) 절첩라인이 형성된 종이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