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279U -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79U
KR19990037279U KR2019980002917U KR19980002917U KR19990037279U KR 19990037279 U KR19990037279 U KR 19990037279U KR 2019980002917 U KR2019980002917 U KR 2019980002917U KR 19980002917 U KR19980002917 U KR 19980002917U KR 19990037279 U KR19990037279 U KR 1999003727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ust
filter housing
vacuum cleaner
dust col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9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규창
송정곤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800029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7279U/ko
Publication of KR199900372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79U/ko

Links

Landscapes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받아 청소시 집진실내에 설치된 먼지봉투를 통과한 진드기류의 벌레를 포집하였다가 이를 살충시키는 집진필터가 자외선램프에서 투사되는 자외선을 내부로 효과적으로 흡수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필터에 집진된 벌레의 살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진실(340)내에 전면이 격자형태로 개구된 필터하우징(410)과, 이 필터하우징(410)내에 수용되어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팩키지수용실(360)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걸러주는 다수개의 필터(420)를 일체로 갖춘 진공청소기의 집진필터에 서,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면(411)이 덮개부재(320)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500)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투과할 수 있는 개구부(412)를 갖춤으로써, 필터(420)에 포집된 진드기류의 벌레를 효과적으로 살충시킬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집진필터상에 걸러지는 진드기류의 벌레를 살충시키는 자외선램프가 집진필터의 내부로 효과적으로 투사될 수 있게 함으로써, 살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임펠러를 회전축상에 장착한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본체의 내부의 압력과 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한 흡입력으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을 강제로 흡입시킴으로써 오염된 지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의 주요 구성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진공청소기는 모터의 구동에 따른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100)와, 이 흡입장치(100)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하는 연통수단(200)및, 이 연통수단(200)에 연결되어 이로부터 이송된 먼지를 내부에 포집시키면서 상기 모터등의 와 주요 구성부품들을 내장하도록 된 본체(3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100)는 양측부에 이동시 바닥면과의 구름마찰을 발휘하여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장착된 2개의 이송바퀴(110)와, 상기 연통수단(200)과 연결되도록 상부덮개의 후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된 제 1연결관(120)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수단(200)은 중공형상으로 이루어지면서 상호 끼움방식으로 결합되도록 된 다수개의 연통관부재(210)와, 이 연통관부재(210)의 일단에 연결되면서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온(ON)/오프(OFF) 절환시키기 위한 조작부와 진공흡입력의 강/약정도를 임의대로 조작하기 위한 풍속조절부를 구비하고 있는 손잡이부재(220) 및, 이 손잡이부재(220)와 상기 본체(300) 사이를 플렉시블하게 연결시키도록 상기 손잡이부재(220)의 일단에 결합되는 다소 유연한 재질의 주름관형태로 이루어진 유연관부재(230), 그리고 이 유연관부재(230)의 일단에 결합되면서 타단이 상기 본체(300)내에 끼워져 결합되는 연결관부재(240)를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는 연통수단(200)의 연결관부재(240)의 선단부를 수용하여 이와 접속되도록 된 흡입구(310)와, 본체(300)의 상부에 개폐가능하게 장착되어 내부를 선택적으로 개방시키도록 된 덮개부재(320) 및, 본체(300)의 양측부에 설치되어 이동시 공회전되는 2개의 이송바퀴(330) 등을 갖춘 구조로 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입장치(100)와 연통수단(200)을 거쳐 흡입되어 이송된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봉투가 설치되는 집진실(340)과, 이 집진실(340)과 격벽(350)을 사이에 두고 후방에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와 그외 기타 부수적인 부품류(예컨대 전원선을 탄력적으로 감아 수용하는 코드릴장치)들이 팩키지형태로 수용되는 팩키지수용실(360)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격벽(350)상에는 집진실(340)과 팩키지수용실(360) 사이를 연통시키는 그릴부(370)가 형성되어 있는 바, 이 그릴부(370)의 전방측 집진실(340)에는 먼지봉투를 지나 모터의 주위로 유입되는 흡입공기중 포함된 미세한 먼지나 진드기류를 걸러주도록 집진실(340)의 내벽(341)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된 가이드부재(342)를 매개로 지지되는 집진필터(40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집진필터(400)는 전면이 격자형태로 개구된 필터하우징(410)과, 이 필터하우징(410)내에 수용되어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팩키지수용실(360)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걸러주는 다수개의 필터(420)을 갖추고 있다.
따라서 진공청소기의 집진시 상기 흡입장치(100)와 연통수단(200)을 거쳐 본체(300)의 흡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는 집진실(340)내에 설치된 먼지봉투내에 포집되고, 상기 흡입구(310)를 거쳐 먼지봉투내로 집진되는 먼지중 미세한 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는 먼지봉투를 통과한 다음 격벽(350)의 전면으로 설치되는 집진필터(400)에 의해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덮개부재(320)의 배면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필터(400)의 상부측을 향해 자외선램프(500)이 설치되어 있는 바, 이 자외선램프(500)는 청소시 집진필터(400)의 필터(420)에 걸러진 진드기류의 벌레에 자외선을 투사시켜 살충시키게 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팩키지수용실(360)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집진실(340)측에서 걸러주도록 된 집진필터(400)는 덮개부재(320)의 배면에서 집진필터(400)의 상측을 향해 설치된 자외선램프(500)에 의해 필터(420)에 걸러진 진드기류의 벌레를 살충시킬 수 있는데, 이 집진필터(400)의 필터하우징(410)이 전면으로만 개방된 격자형태이면서 상부면(411)이 폐쇄된 형태이므로 자외선램프(500)를 통해 상측에서 투사되는 자외선이 필터(420)에 완전하게 도달하지 못하게 되고 일부는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면(411)에서 난반사되므로 인해 살충효과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받아 청소시 집진실내에 설치된 먼지봉투를 통과한 진드기류의 벌레를 포집하였다가 이를 살충시키는 집진필터가 자외선램프에서 투사되는 자외선을 내부로 효과적으로 흡수받을 수 있게 됨으로써, 필터에 집진된 벌레의 살충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형태의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필터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종래 진공청소기의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자외선을
투과받는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필터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자외선을 투과받는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흡입장치 200 - 연통수단
300 - 본체 310-흡입구
320-덮개부재 340-집진실
360-팩키지수용실 400-집진필터
410-필터하우징 411-상부면
412-개구부 420-필터
500-자외선램프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집진실내에 전면이 격자형태로 개구된 필터하우징과, 이 필터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팩키지수용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걸러주는 다수개의 필터를 일체로 갖춘 진공청소기의 집진필터에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면이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내부로 투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를 갖춤으로써, 필터에 포집된 진드기류의 벌레를 효과적으로 살충시킬 수 있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본체에 필터가 장착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의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자외선을 투과받는 필터를 도시한 사시도인 바, 도 1 내지 도 3에 각각 도시된 진공청소기의 종래 참조부위와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해 도 4와 도 5에 각각 도시된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면서 진공청소기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공청소기의 작동시 흡입장치(100)와 연통수단(200)을 거쳐 본체(300)의 집진실(340)내에 설치된 먼지봉투에 포집되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중 이 먼지봉투를 통과하는 미세한 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걸러주는 집진필터(400)가 본체(300)의 덮개부재(320)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500)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흡수하여 포집된 진드기류의 벌레를 완전히 살충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집진필터(400)는 전면이 격자형태로 개구된 필터하우징(410)과, 이 필터하우징(410)내에 수용되어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팩키지수용실(360)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걸러주는 다수개의 필터(420)를 일체로 갖춤은 물론, 상기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면(411)이 일부 절개된 형태의 개구부(412)를 갖추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에 따라 집진시 상기 흡입장치(100)와 연통수단(200)을 거쳐 본체(300)의 흡입구(310)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중 집진실(340)내에 설치된 먼지봉투를 통과하고서 격벽(350)의 전면으로 설치된 집진필터(400)의 필터(420)에 걸러진 진드기류의 벌레는 본체(300)의 덮개부재(320)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500)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이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면(411)에 마련된 개구부(412)를 통해 내부의 필터(420)에까지 도달하게 되므로 인해 효과적으로 살충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부재(320)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500)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이 집진필터(400)의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면(411)에서 난반사되지 않고 상부면(411)에 형성된 개구부(412)를 통해 필터(420)에까지 효율적으로 도달하게 되면, 이 필터(420)에 포집된 진드기류의 벌레는 자외선램프(500)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매개로 용이하게 살충되므로 청소기의 내부, 특히 집진필터(400)의 필터(420)상에 기생하는 진드기류의 벌레는 생존할 수 없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에 의하면, 집진시 먼지봉투를 통과한 미세한 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팩키지수용실(360)로 통과하지 못하도록 격벽(350)의 전면인 집진실(340)내에 설치되는 집진필터(400)가 필터하우징(410)의 상부면에 덮개부재(320)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500)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효과적으로 투과시킬 수 있는 개구부(412)를 갖춤으로써, 필터(420)에 포집되는 진드기류의 벌레를 완전히 살충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집진실내에 전면이 격자형태로 개구된 필터하우징과, 이 필터하우징내에 수용되어 집진시 먼지봉투를 지나 팩키지수용실내로 유입되는 공기중 포함된 미세먼지나 진드기류의 벌레를 걸러주는 다수개의 필터를 일체로 갖춘 진공청소기의 집진필터에 있어서,
    상기 필터하우징의 상부면에는 일부분이 절개된 형태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이 개구부를 매개로 덮개부재의 배면에 장착된 자외선램프로부터 투사되는 자외선을 내부로 투과시키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KR2019980002917U 1998-03-02 1998-03-02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KR1999003727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17U KR19990037279U (ko) 1998-03-02 1998-03-02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17U KR19990037279U (ko) 1998-03-02 1998-03-02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79U true KR19990037279U (ko) 1999-10-05

Family

ID=69712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917U KR19990037279U (ko) 1998-03-02 1998-03-02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7279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327B1 (ko) * 2002-01-30 2004-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필터 지지구조
KR100818225B1 (ko) * 2006-12-22 2008-04-0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327B1 (ko) * 2002-01-30 2004-08-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의 필터 지지구조
KR100818225B1 (ko) * 2006-12-22 2008-04-01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118609B2 (en) Motorized tool with suction and dust collection capacity
RU2121288C1 (ru) Пылесос
KR101074541B1 (ko) 진공 청소기
CN210990037U (zh) 尘盒、尘盒组件和清洁装置
US5215560A (en) Air filtering system
JPH01155980A (ja) 蒸気洗浄用家庭電化製品
KR20050054551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20050013696A (ko) 진공 청소기의 집진 유니트
KR19990037279U (ko) 진공청소기용 필터하우징의 구조
KR19990061568A (ko) 진공청소기용 본체의 자외선램프설치구조
US11559180B2 (en) Filter system and a vacuum cleaner incorporating a filter system
KR20030044119A (ko) 자동 먼지비움 장치를 갖는 진공청소기
CN212630672U (zh) 清洁机器人
JP2007029216A (ja) 電気掃除機
RU2141241C1 (ru) Пылесос с ароматическим элементом
EP2789282A1 (en) Electric vacuum cleaner
CN214434001U (zh) 一种清洁系统及其基站
CN214501376U (zh) 进烟机构及设有其的吸油烟机
KR100508871B1 (ko) 청소기
KR20230039589A (ko) 청소기 스테이션
EP2451331B1 (en) Water basin illumination
KR100487311B1 (ko) 싸이클론 진공 청소기
KR200148060Y1 (ko) 청소기
TW202310788A (zh) 吸塵器停靠站
CN117529264A (zh) 吸尘器基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