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275U -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275U
KR19990037275U KR2019980002913U KR19980002913U KR19990037275U KR 19990037275 U KR19990037275 U KR 19990037275U KR 2019980002913 U KR2019980002913 U KR 2019980002913U KR 19980002913 U KR19980002913 U KR 19980002913U KR 19990037275 U KR19990037275 U KR 1999003727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sensor
circuit board
printed circuit
vacuum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2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2561Y1 (ko
Inventor
박중선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80002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561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27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27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56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56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0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 A47L9/281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 A47L9/2815Parameters or conditions being sensed the amount or condition of incoming dirt or dust using optical detecto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9Means for monitoring filtering op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청소시 흡입구체로부터 집진되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흡입호스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집진실로 포집될 때 이 흡입호스를 통한 이물질의 집진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용이하게 인지시키도록 된 먼지감지센서의 설치를 보다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200)의 미드바디(500)상에 흡입호스(300)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통부(510)의 둘레에 설치되어 집진시 상기 흡입호스(300)를 거쳐 연통부(510)를 통해 내부의 집진실로 유입되는 먼지의 존재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먼지감지센서(400)가 탄력있는 반원형태의 밴드부(610)와, 이 밴드부(610)의 양선단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장착하는 인쇄회로기판(410)을 고정시키는 수용부(620)로 이루어진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를 매개로 연통부(510)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본 고안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흡입구체로부터 집진된 먼지등의 이물질이 흡입호스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집진실로 포집될 때 이 흡입호스를 통한 이물질의 집진여부를 감지하는 먼지감지센서의 설치를 보다 더 용이하게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는 임펠러를 회전축상에 장착한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함에 따라 발생되는 본체의 내부 압력과 외부의 압력차이를 이용한 흡입력으로 외부로부터 공기와 함께 먼지 및 기타 오염물질을 강제로 흡입시킴으로써 오염된 지역을 청소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 바, 이와 같은 진공청소기중에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이른 바 직립형 진공청소기라 지칭함)의 주요 구성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다.
즉, 상기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는 외형적으로 보아 크게 바닥면과 직접 맞닿아 청소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공기의 흡입력으로 바닥면에 존재하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을 내부로 흡입하도록 된 흡입구체(100)와, 이 흡입구체(100)의 일단에 피벗결합되어 회동가능하게 장착되면서 내부에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갖추고서 상기 흡입구체(100)로부터 집진된 먼지등을 포집하도록 된 본체(200) 및, 이 본체(200)로부터 발생된 진공흡입력을 상기 흡입구체(100)로 전달하여 이로부터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집진시키기 위해 흡입구체(100)와 상기 본체(200) 사이를 다소 유연하게 연결시키도록 된 흡입호스(300)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흡입구체(100)는 집진시에 바닥면에 있는 먼지를 효과적으로 흡입시키도록 외주 둘레면상의 전장에 걸쳐 나선형으로 길게 연장된 솔을 일체로 부착하고서 회전되는 에지테이터(도시안됨)와, 이 에지테이터를 고속으로 회전시키도록 상기 본체(200)내에 장착된 모터와는 별개의 구동수단으로 내장된 모터(도시안됨) 및, 이 모터의 구동력을 상기 에지테이터로 전달하도록 모터의 구동축과 에지테이터의 회전축상에 설치된 동력전달수단의 일종인 벨트(도시안됨)등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체(100)의 후미 양측부에는 바닥면과의 구름마찰을 발휘하여 청소시에 흡입구체(100)의 이동을 자유롭게 할 수 있도록 2개의 이송바퀴(110)가 장착되어 있다.
또, 상기 본체(200)는 외형적으로 볼 때 전방측에 내부를 인위적으로 개방시킬 수 있도록 장착된 덮개부(210)와, 청소시 작업자가 용이하게 파지하도록 상단에 잘룩하면서 길게 연장된 손잡이부(220) 및, 이 손잡이부(220)의 하부에 진공청소기의 전원을 선택적으로 온(ON)/오프(OFF) 절환시키면서 아울러 진공흡입력의 크기도 조절할 수 있도록 된 조작스위치부(230)를 갖추고 있으며; 내부에는 집진시 흡입구체(100)로 가하지는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도록 장착된 모터와, 상기 흡입구체(100)로부터 집진된 먼지등의 이물질을 한곳으로 포집하여 저장하는 집진실과 이에 설치된 먼지봉투 및, 그외 모터나 기타 전장기기등의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설비등을 갖추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흡입호스(3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상기 흡입구체(100)의 후방부위로부터 결합되어 연장되면서 타단이 상기 본체(200)의 배면에 결합되어져 흡입구체(100)로부터 집진된 먼지등을 본체(200)의 내부에 마련된 집진실로 안내하도록 되어 있는 바, 이를 위해 상기 흡입호스(300)는 흡입구체(100)에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리지드한 원통관형태로 이루어진 연통관부재(310)와, 이 연통관부재(310)의 상단에 연결된 유연관부재(320) 및, 이 유연관부재(320)의 일단에 연결되어 타단이 상기 본체(200)의 배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삽입관부재(330)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는 집진시 상기 흡입호스(300)를 통한 먼지등의 이물질이 본체(200)의 내부로 마련된 집진실로 유입되는 지의 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을 위해 먼지감지센서(400)가 설치되는 바, 이 먼지감지센서(400)는 통상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0)를 구성하고 있는 미드바디(500)상에 상기 흡입호스(300)의 삽입관부재(330)와 결합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연통부(510)의 둘레에 설치되어 있어 집진시 상기 흡입호스(300)를 거쳐 연통부(510)를 통해 내부의 집진실로 유입되는 먼지의 존재여부를 검출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먼지감지센서(4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410)상에 각기 장착된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류의 광학센서로 이루어지면서 이들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은 각각 대향되게 마주 보도록 설치되는 바, 이를 위해 상기 미드바디(500)에 마련된 연통부(510)의 둘레에는 대향되는 부위로 각각 상기 먼지감지센서(400)의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개별적으로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들을 장착시킬 수 있는 두 개의 수용부(520)가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미드바디(500)의 연통부(510)의 둘레에 대향되게 설치되도록 마련된 수용부(520)에는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각각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이 설치되고, 아울러 상기 미드바디(500)에 형성된 연통부(510)에는 인쇄회로기판(410)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삽입시키는 관통구(511)가 각각 대향되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도 5에 도시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살펴 보면, 상기 연통부(510)의 대향된 위치에 마련된 수용부(520)로 각각 인쇄회로기판(410)상에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장착한 인쇄회로기판(410)이 설치되면서 이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는 각각 연통부(510)에 형성된 관통구(511)내로 삽입되어 서로 마주보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사용시에는, 먼저 상기 본체(200)의 내부에 마련된 집진실에 먼지봉투를 설치하고서 조작스위치부(230)를 온시켜 본체(200)내에 장착된 모터에 전원을 인가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200)내의 모터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강한 진공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본체(200)에서 발생된 진공흡입력은 흡입호스(300)를 통해 상기 흡입구체(100)로 전달되므로, 바닥면의 청소부위에 잔존된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등은 상기 흡입구체(10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더불어 흡입되어 흡입호스(300)를 거쳐 본체(200)의 미드바디(500)상에 마련된 연통부(510)로 유입되게 되며, 이 연통부(510)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등은 집진실내에 설치된 먼지봉투내에 포집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통부(510)내로 흡입호스(300)를 통해 집진되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이 있을 경우에는 연통부(510)상에서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먼지감지센서(400)의 발광다이오드(420)로부터 수광다이오드(430)에 전달되는 빛이 집진되는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인해 청소기의 소정부위에 설치되는 먼지잔류표시등이 점등되어 사용자는 현재 청소하고 있는 지역에 잔류된 이물질이 있음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어 계속해서 청소하면 되고, 이후 집진되는 이물질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20)로부터 수광다이오드(430)에 빛이 원활하게 전달되므로 먼지잔류표시등은 소등되어 사용자는 다른 위치로 청소지역을 옮기면 되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서는, 상기 연통부(510)의 둘레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먼지감지센서(400)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각기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수용부(520)를 연통부(510)의 둘레에 구비해야 함은 물론, 이 수용부(520)에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각기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을 일일이 조립한 다음 스크류체결과 같은 고정작업을 실시해야 하므로 인해 먼지감지센서(400)의 설치에 드는 부품 및 공정이 과다해지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단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청소시 흡입구체로부터 집진되는 먼지등의 이물질이 흡입호스를 통해 본체의 내부에 마련된 집진실로 포집될 때 이 흡입호스를 통한 이물질의 집진여부를 감지하여 이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용이하게 인지시키도록 된 먼지감지센서의 설치를 보다 더 용이하게 함으로써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미드바디의
배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되는 상태를 부분확대하여 도시한 분해사시 도,
도 5는 도 4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부위
만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6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
도 8은 도 6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에 먼지감지
센서를 부착시킨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흡입구체 200-본체
300-흡입호스 400-먼지감지센서
410-인쇄회로기판 420-발광다이오드
430-수광다이오드 500-미드바디
510-연통부 600-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
610-밴드부 620-수용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의 미드바디상에 흡입호스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통부의 둘레에 설치되어 집진시 상기 흡입호스를 거쳐 연통부를 통해 내부의 집진실로 유입되는 먼지의 존재여부를 검출하기 위한 먼지감지센서가 탄력있는 반원형태의 밴드부와, 이 밴드부의 양선단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를 장착하는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키는 수용부로 이루어진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를 매개로 연통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수용부는 대향된 양측부에 인쇄회로기판의 양선단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리브를 갖추면서 상기 연통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내로 삽입되면서 내부에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돌기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6은 본 고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되는 부위만을 부분적으로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서 먼지감지센서가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며, 도 8은 도 6 내지 도 7에 각각 도시된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에 먼지감지센서를 부착시킨 회로기판이 설치되는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인 바, 도 1 내지 도 5에 각각 도시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종래 참조부위와 동일한 참조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병기하면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고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소시 본체(200)내로 흡입호스(300)를 통해 먼지등의 이물질이 집진되는 지의 여부를 사용자에게 가시적으로 인지시키도록 된 먼지감지센서(400)가 본체(200)를 구성하고 있는 미드바디(500)상에 상기 흡입호스(300)의 삽입관부재(330)와 결합되도록 관통되게 형성된 연통부(510)상의 외주면에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를 매개로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먼지감지센서(400)는 인쇄회로기판(410)상에 각기 장착된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류의 광학센서로 이루어지면서 이들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은 각각 상기 연통부(510)의 외주면상에서 대향되게 마주 보도록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를 매개로 설치된다.
또한, 상기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는 탄성력이 있는 반원형태의 밴드부(610)와, 이 밴드부(610)의 양선단에 일체로 접합되어 상기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을 고정시킬 수 있는 수용부(62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의 밴드부(610)는 연통부(510)의 외주면을 탄력적으로 감싸도록 다소 만곡지게 절곡되어 연장된 형상이고, 이 밴드부(610)의 양선단에 일체로 접합된 수용부(62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10)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이면서 대향된 양측부에 각기 탄력적으로 벌어져 인쇄회로기판(410)의 양선단부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리브(621)를 갖추고 있다.
또한, 상기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의 수용부(620)는 연통부(510)의 대향된 위치로 형성된 관통구(511)내로 삽입되면서 내부에 상기 먼지감지센서(400)의 인쇄회로기판(410)상에 장착된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돌기부(622)를 갖추고 있는 바, 이와 같이 고정리브(621)와 돌기부(622)를 갖춘 수용부(620)는 빛을 투과시킬 수 있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다이오드(420)로부터 방출되는 빛이 수광다이오드(430)에 원활하게 전달될 수 있게 해 준다.
따라서,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사용시 상기 본체(200)내에 장착된 모터의 구동에 따라 발생되는 진공흡입력은 흡입호스(300)를 통해 상기 흡입구체(100)로 전달되고, 전달된 흡입력에 의해 바닥면의 청소부위에 잔존된 먼지 및 기타 이물질들이 상기 흡입구체(10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더불어 흡입호스(300)를 거쳐 본체(200)의 미드바디(500)상에 마련된 연통부(510)로 흡입되며, 이 연통부(510)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등은 집진실내에 설치된 먼지봉투내에 포집되게 된다.
이때 상기 연통부(510)상의 외주면에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를 매개로 장착된 먼지감지센서(400)는 연통부(510)를 통해 집진실내로 유입되는 먼지나 기타 이물질들이 존재할 경우에는 연통부(510)상의 관통구(511)내로 돌기부(622)가 삽입된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의 수용부(620)에 서로 대향되게 설치된 발광다이오드(420)로부터 반대편 수광다이오드(430)에 전달되는 빛이 집진되는 이물질에 의해 차단되므로 인해 청소기의 먼지잔류표시등이 점등되어 사용자는 현재 청소하고 있는 지역에 잔류된 이물질이 있음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반해 집진되는 이물질이 없을 경우에는 상기 발광다이오드(420)로부터 수광다이오드(430)에 빛이 원활하게 전달되므로 먼지잔류표시등은 소등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청소하고 있는 지역에 잔류된 이물질이 없음을 육안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되므로 청소지역을 옮기면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연통부(510)의 둘레에 대향되게 배치되는 먼지감지센서(400)가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를 매개로 설치되면,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각기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을 고정시키기 위한 별도의 부재를 연통부(510)의 둘레에 마련할 필요가 없게 됨은 물론, 상기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각기 장착하고 있는 인쇄회로기판(410)을 일일이 고정시키는 작업도 필요없게 되므로 먼지감지센서(400)의 설치에 드는 부품 및 공정이 축소되어 조립성이 향상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의하면, 청소시 먼지등의 이물질들의 존재여부를 가시적으로 이지시켜 주는 먼지감지센서(400)가 탄력있는 반원형태의 밴드부(610)와, 이 밴드부(610)의 양선단에 일체로 접합되어 발광다이오드(420)와 수광다이오드(430)를 장착하는 인쇄회로기판(410)을 고정시키는 수용부(620)로 이루어진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600)를 매개로 연통부(510)의 외주면에 간편하게 장착시킬 수 있게 됨으로써, 먼지감지센서(400)의 설치작업이 용이해지는 등 조립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3)

  1. 본체의 미드바디상에 흡입호스와 결합되도록 형성된 연통부의 둘레에 대향되게 마련된 수용부내에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를 각기 장착한 인쇄회로기판이 끼워져 집진시 연통부를 통해 유입되는 먼지의 존재여부를 검출하도록 된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탄력있는 반원형태의 밴드부와, 이 밴드부의 양선단에 일체로 접합된 수용부로 이루어진 먼지감지센서장착용 설치부재를 매개로 연통부의 외주면에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부는 대향된 양측부에 인쇄회로기판의 양선단부를 탄력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리브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부의 대향된 위치에 형성된 관통구내로 삽입되면서 내부에 발광다이오드와 수광다이오드를 각각 수용할 수 있는 돌기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용 먼지감지센서의 설치구조.
KR2019980002913U 1998-03-02 1998-03-02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KR20018256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13U KR200182561Y1 (ko) 1998-03-02 1998-03-02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2913U KR200182561Y1 (ko) 1998-03-02 1998-03-02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275U true KR19990037275U (ko) 1999-10-05
KR200182561Y1 KR200182561Y1 (ko) 2000-12-01

Family

ID=19532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2913U KR200182561Y1 (ko) 1998-03-02 1998-03-02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561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5953A1 (en) * 2020-02-04 2021-08-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29583A (ko) 2019-09-06 2021-03-16 삼성전자주식회사 청소기 및 청소기의 제어 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235953A1 (en) * 2020-02-04 2021-08-05 Lg Electronics Inc. Cleaner
CN113208502A (zh) * 2020-02-04 2021-08-06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
EP3861913A1 (en) * 2020-02-04 2021-08-11 LG Electronics Inc. Cleaner
EP4137030A1 (en) * 2020-02-04 2023-02-22 LG Electronics Inc. Cleaner with a dust sensor
CN113208502B (zh) * 2020-02-04 2023-08-04 Lg电子株式会社 清洁器
US11963656B2 (en) 2020-02-04 2024-04-23 Lg Electronics Inc. Clea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561Y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373828C2 (ru) Устройство обнаружения пыли для использования в пылесосе (варианты)
US8172932B2 (en) Connecting tube having dust sensing function for use in vacuum cleaner
KR200182561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용먼지감지센서의설치구조
KR200172945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용 지지부재의 구조
KR100539754B1 (ko) 직립형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구조
KR930007481Y1 (ko) 진공 청소기 오물 흡입량 감지장치
KR200182562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먼지봉투장착용지지부재의구조
KR19990073728A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장착용 지지부재의 설치구조
KR200192862Y1 (ko) 업라이트 진공청소기의 배기부구조
KR102312759B1 (ko) 청소기 헤드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청소기
KR19990073733A (ko) 미드타입 업라이트청소기
KR100216724B1 (ko) 전기 청소기
KR200165573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용 조명조립체의 램프설치구조
KR0136313Y1 (ko) 청소기
KR200182560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안전장치
KR200143204Y1 (ko) 램프 부재를 갖는 휴대형 청소기
JPH04343829A (ja) 電気掃除機
KR200161653Y1 (ko) 업라이트청소기용 회전브러시
KR0164470B1 (ko) 진공청소기
KR20040047368A (ko) 진공청소기용 흡입노즐
KR200157821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200151837Y1 (ko) 진공청소기용 본체바퀴의 결합구조
KR200148061Y1 (ko) 청소기
KR200149185Y1 (ko) 진공청소기의소음방지구조
KR960007461B1 (ko) 진공청소기의 집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2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