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7821Y1 -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7821Y1
KR200157821Y1 KR2019970023088U KR19970023088U KR200157821Y1 KR 200157821 Y1 KR200157821 Y1 KR 200157821Y1 KR 2019970023088 U KR2019970023088 U KR 2019970023088U KR 19970023088 U KR19970023088 U KR 19970023088U KR 200157821 Y1 KR200157821 Y1 KR 200157821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st bag
dust
main body
board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308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09779U (ko
Inventor
김종달
Original Assignee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길성, 삼성광주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길성
Priority to KR201997002308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7821Y1/ko
Publication of KR1999000977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0977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782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7821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10Filters; Dust separators; Dust removal; Automatic exchange of filters
    • A47L9/14Bags or the like; Rigid filtering receptacles; Attachment of, or closures for, bags or receptacles
    • A47L9/1427Means for mounting or attaching bags or filtering receptacles in suction cleaners; Adap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lter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의 먼지봉투고정수단(380)이, 본체(300)에 형성된 접속구(310)와 집진실(360)이 연결되는 상기 본체(300)의 소정부위에 장착된 설치브라켓트(381)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에 먼지봉투(400)의 설치시 먼지봉투보드(410)에 의해 집진실(360)에서 본체(300)방향으로 작동되도록 힌지축(385) 및 스프링(389)을 매개로 상기 본체(300)에 설치되도록 된 고정브라켓트(387)와, 상기 집진실(360)을 개폐하도록 된 더스트커버(370)의 내측면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설치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상단부를 눌러주도록 된 고정돌기(375)로 이루어져, 상기 본체(300)에서 개방된 상기 더스트커버(370)의 밀폐시 먼지봉투보드(410)가 상기 고정돌기(375)에 의해 설치브라켓트(381)의 내부로 자연적으로 설치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본 고안은 기계적인 수단을 매개로 공기를 순간적으로 흡입함과 더불어 먼지나 쓰레기등을 청소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먼지봉투의 설치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주요 구성부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100)와, 이 흡입장치(100)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로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수단(200) 및, 이 연통수단(200)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100)는,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1이송바퀴(110) 및, 상부덮개의 후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통수단(200)과 연결되도록 된 제1연결관(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수단(200)은, 상기 제1연결관(120)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플라스틱재질의 제1연장관(210) 및 제2연장관(220)과, 이 연장관(210)(220)과 결합됨은 물론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스위치 또는 풍속의 강약을 조작하기 위한 풍속조절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조절부(230)와, 이 손잡이조절부(230)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은 물론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호스(240)와, 이 호스(24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300)와 연결되도록 된 제2연결관(2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는, 상기 제2연결관(250)의 끝단부가 접속되도록 된 접속구(310)와, 포집된 먼지의 양이 표시되도록 된 먼지표시기(320)와,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2이송바퀴(330)와, 작업장소의 이동을 위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된 운반용손잡이(340)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플러그(350)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본체(300)의 내부구조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310)와 연통됨은 물론 일측부에 소정의 크기로 공간부가 형성된 집진실(360)과, 상기 본체(3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손잡이(371)에 의해 상기 집진실(360)을 개폐하도록 된 더스트커버(370)와, 상기 접속구(310)와 연결되는 집진실(360)의 일측면에 설치되도록 된 먼지봉투고정수단(38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 및, 이 모터의 동력에 의해 회전되어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도록 된 흡입팬(도시되어있지 않음)이 설치되어 있다.
한편, 상기 집진실(360)에는, 상기 흡입장치(100)와 연통수단(200)을 거쳐 상기 본체(300)로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봉투(400)가 설치되되, 상기 먼지봉투(400)는, 상기 먼지봉투(400)와 일체로 결합된 먼지봉투보드(410)과 제3도에 도시된 먼지봉투고정수단(38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집진실(360)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봉투고정수단(380)은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에 형성된 접속구(310)와 연통되는 집진실(360)의 일면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먼지봉투(400)의 설치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양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횡단면형상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2개의 설치브라켓트(381)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사이의 본체(300)에 힌지축(385) 및 스프링(389)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에 설치된 먼지봉투보드(410)의 중앙상부를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브라켓트(387)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589)의 일측끝단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와 상기 힌지축(385)사이에 위치되어 본체(300)의 소정부위에 장착되고,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의 하단 소정부위에 장착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먼저, 제2도에 도시된 더스트커버(370)를 본체(300)로부터 개방한 다음,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으로 먼지봉투보드(410)의 상부를 잡고,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하부를 설치브라켓트(381)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밀어넣어 상기 먼지봉투보드(410)를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먼지봉투보드(410)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로 점차적으로 삽입되게 되면, 고정브라켓트(387)도 힌지축(385)을 중심으로 본체(300)방향으로 점차 회전되게 된다.
즉,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의 하단부(X)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에 의해 최초 집진실(360)을 향하도록 설치된 위치에서 접속구(310)가 형성된 본체(300)쪽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양끝단이 상기 본체(300)와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에 장차된 스프링(389)도 점차적으로 압축되게 된다.
그리고, 먼지봉투보드(410)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완전히 설치되게 되면,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의 하단부(X)는 상기 본체(300)쪽으로 최대한 이동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스프링(389)도 최대한으로 압축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설치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는, 상기 스프링(389)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이동되는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의 하단부(X)에 의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즉,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설치가 종료됨과 동시에 압축되었던 상기 스프링(389)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의 하단부(X)를 집진실(360)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설치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는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에 의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이후, 작업자가 제1도에 도시된 전원플러그(350)를 이용하여 본체(30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도시되어 있지 않음)가 고속회전됨과 더불어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조절부(230)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흡입장치(100)내에 설치된 모터가 고속회전되어 회전브러시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장치(100)를 통해 상기 연통수단(200)으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본체(300)내에 설치된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통수단(200)을 거쳐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등은, 상기 흡입장치(10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더불어 흡입되어 상기 연통수단(200)을 통해 상기 본체(300)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본체(300)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등은 먼지봉투고정수단(380)에 의해 집진실(360)내에 설치된 먼지봉투(400)로 포집되게 된다.
한편, 상기 먼지봉투(400)내에 이물질이 충만되어 새로운 먼지봉투로 교환하고자 먼지봉투고정수단(380)에서 상기 먼지봉투(400)를 이탈시키게 되면,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스트커버(370)가 고정브라켓트(387)의 상단부(Y)에 걸려 본체(300)로 밀폐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작업자가 상기 먼지봉투(400)가 설치되지 않은 진공청소기로 청소를 수행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먼지봉투고정수단(380)에 의하면, 먼지봉투(400)의 설치시 작업자가 먼지봉투보드(410)를 손으로 잡고 설치브라켓트(381)의 최하단까지 직접 밀어 넣어야 하기 때문에 작업자의 편의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더스트커버의 내측 소정부위에 고정돌기가 일체로 형성되어, 본체로부터 개방된 상기 더스트커버의 밀폐시 먼지봉투보드가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설치브라켓트의 내부로 자동적으로 설치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도록 된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본체에 형성된 접속구와 집진실이 연결되는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장착되어 먼지봉투와 일체로 결합된 먼지봉투보드가 삽입/설치되도록 된 설치브라켓트와, 상기 먼지봉투의 설치시 먼지봉투보드에 의해 집진실에서 본체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스프링 및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봉투보드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브라켓트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도록 된 더스트커버의 내측면 소정부위에는, 상기 설치브라켓트로 먼지봉투의 설치시 상기 먼지봉투보드의 상단부를 눌러주도록 된 고정돌기와 일체로 형성된 구조로 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종래의 먼지봉투고정수단이 설치된 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3도는 제2도의 I-I선 부분단면도.
제4도와 제5도는 종래의 먼지봉투고정수단에 먼지봉투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봉투고정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
제7도와 제8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봉투고정수단에 먼지봉투가 설치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본체 310 : 접속구
370 : 더스트커버 371 : 손잡이
375 : 고정돌기 380 : 먼지봉투고정수단
381 : 설치브라켓트 385 : 힌지축
387 : 고정브라켓트 389 : 스프링
400 : 먼지봉투 410 : 먼지봉투보드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고안에 따른 먼지봉투고정수단의 개략적인 단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진공청소기의 일반적인 설명은 제1도를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고안의 먼지봉투고정수단(380)에 대해서만 제5도를 참조로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먼지봉투고정수단(380)은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진실(360)내에 설치되는 먼지봉투(400)를 고정시키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집진실(360)에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흡입장치(100)와 연통수단(200)을 거쳐 상기 본체(300)로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봉투(400)가 설치되되, 상기 먼지봉투(400)는, 상기 먼지봉투(400)와 일체로 결합된 먼지봉투보드(410)가 제6도에 도시된 먼지봉투고정수단(380)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집진실(360)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먼지봉투고정수단(380)은 제6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310)와 연통되는 집진실(360)의 일면에 설치됨은 물론 상기 먼지봉투(400)의 설치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양측면을 고정시키기 위해 횡단면형상이 ㄷ자 모양으로 형성된 2개의 설치브라켓트(381)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 사이의 본체(300)에 힌지축(385) 및 스프링(389)을 매개로 설치되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에 설치된 먼지봉투보드(410)를 고정시키도록 된 고정브라켓트(387)와, 더스트커버(370)의 내측면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로 먼지봉투(400)의 설치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상단부를 눌러주도록 된 고정돌기(375)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스프링(389)의 일측끝단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와 상기 힌지축(385)사이에 위치되어 본체(300)의 소정부위에 장착되고, 타측끝단은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의 하단 소정부위에 장착된다.
이하, 본 고안 먼지봉투고정수단(380)의 작동과정을 제7도와 제8도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작업자는 제2도에 도시된 더스트커버(370)를 본체(300)로부터 개방한 다음,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손으로 먼지봉투보드(410)의 상부를 잡고,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하부를 설치브라켓트(381)의 내부로 약간만 삽입시킨 상태에서, 개방된 상기 더스트커버(370)를 상기 본체(300)로 밀폐시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를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설치하게 된다.
즉,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하단부를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삽입한 다음, 개방된 상기 더스트커버(370)를 밀폐시키게 되면,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상단면이 상기 더스트커버(37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기(375)의 하단면과 상호 접촉되게 되고, 이와 더불어 상기 더스트커버(370)를 본체(300)에 점차적으로 밀폐시킴에 따라 상기 먼지봉투보드(410)가 상기 고정돌기(375)에 의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의 내부로 완전히 삽입됨으로써, 상기 먼지봉투보드(410)가 상기 설치브라켓트(381)에 용이하게 설치되게 된다.
이때,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설치가 종료되면, 상기 먼지봉투보드(410)의 설치시 압축되었던 스프링(389)은,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고정브라켓트(387)를 집진실(360)쪽으로 밀어주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 설치된 상기 먼지봉투보드(410)는 상기 고정브라켓트(387)에 의해 상기 설치브라켓트(381)내에서 단단히 고정되게 된다.
따라서, 본체(300)에서 개방된 더스트커버(370)의 밀폐시, 상기 더스트커버(370)와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기(375)에 의해 먼지봉투보드(410)가 자연스럽게 설치브라켓트(381)의 내부로 설치되도록 된 본 고안의 먼지봉투고정수단(380)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먼지봉투고정수단(380)를 손으로 잡고 설치브라켓트(381)의 최하단까지 직접 밀어 넣어야 하는 종래의 먼지봉투고정수단(380)보다, 먼지봉투보드(410)의 설치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집진실에 설치된 먼지봉투를 고정시키도록 된 먼지봉투고정수단이, 두 개의 설치브라켓트와 고정브라켓트 및 더스트커버에 일체로 형성된 고정돌기로 이루어져, 본체에서 개방된 상기 더스트커버의 밀폐시 먼지봉투보드가 상기 고정돌기에 의해 설치브라켓트의 내부로 자연적으로 설치되므로, 작업자의 편의성이 증진될 뿐만 아니라 이로 인해 상품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본체에 형성된 접속구와 집진실이 연결되는 상기 본체의 소정부위에 장착되어 먼지봉투와 일체로 결합된 먼지봉투보드가 삽입/설치되도록 된 설치브라켓트와, 상기 먼지봉투의 설치시 먼지봉투보드에 의해 집진실에서 본체방향으로 작동되도록 스프링 및 힌지축을 매개로 상기 본체에 설치되어 상기 먼지봉투보드를 고정하도록 된 고정브라켓트로 이루어진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을 개폐하도록 된 더스트커버의 내측면 소정부위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먼지봉투보드의 설치시 상기 먼지봉투보드의 상단부를 눌러주도록 된 고정돌기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2019970023088U 1997-08-25 1997-08-25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200157821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088U KR200157821Y1 (ko) 1997-08-25 1997-08-25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3088U KR200157821Y1 (ko) 1997-08-25 1997-08-25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79U KR19990009779U (ko) 1999-03-15
KR200157821Y1 true KR200157821Y1 (ko) 1999-10-01

Family

ID=195085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3088U KR200157821Y1 (ko) 1997-08-25 1997-08-25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7821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163998A (zh) * 2018-11-26 2021-07-23 伊莱克斯公司 具有可移除容器的真空吸尘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09779U (ko) 199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813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CN112515532A (zh) 尘盒组件、清洁机器人和清洁系统
CA2254569A1 (en) Vacuum cleaner including ventilation fan for forming air current flowing along the axial direction of rotary brush to suction member
KR10020813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57821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JPH11244206A (ja) 真空掃除機用本体の紫外線ランプ設置構造
US5893195A (en) Safety device for a brush of a vacuum cleaner
KR19990009778U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19990062501A (ko) 업라이트청소기
KR0136310Y1 (ko) 진공청소기용 집진팩보강부재의 고정수단
KR200172947Y1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200182558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개방장치
KR200160208Y1 (ko) 진공청소기의 연통장치
CN212630660U (zh) 尘盒组件、清洁机器人和清洁系统
KR200161651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오설치 확인장치
KR19990024839A (ko) 업라이트청소기
KR19990028107U (ko)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KR100232104B1 (ko) 진공청소기용 바퀴의 설치구조
KR19990073729A (ko) 업라이트청소기의 흡입장치
KR19990069392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358344Y1 (ko) 진공청소기
KR19990029151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63949Y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전원선
KR100213352B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 고정구조
KR200182562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먼지봉투장착용지지부재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629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