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28107U -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8107U
KR19990028107U KR2019970040728U KR19970040728U KR19990028107U KR 19990028107 U KR19990028107 U KR 19990028107U KR 2019970040728 U KR2019970040728 U KR 2019970040728U KR 19970040728 U KR19970040728 U KR 19970040728U KR 19990028107 U KR19990028107 U KR 1999002810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pressure switch
main body
vacuum
collecting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7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건수
Original Assignee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호, 광주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최진호
Priority to KR20199700407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8107U/ko
Publication of KR1999002810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8107U/ko

Links

Landscapes

  • Electric Vacuum Cleaner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으로, 본체(300)의 전면부에는, 접속구(311)가 형성됨은 물론 내면에 리브(315)가 형성된 전면커버(31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310)와 결합되는 먼지봉투설치구(390)의 소정부위에는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360)에 형성된 진공압을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스위치(550)가 설치되도록 된 압력튜브홀(39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310)의 내면에는, 상기 압력튜브홀(395)내에 설치된 압력스위치(550)의 선단과 접촉되도록 된 리브(315)가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압력스위치(550)는, 상기 전면커버(310)의 설치시 상기 압력스위치(550)의 선단이 상기 리브(315)의 끝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압력스위치(550)가 압력튜브홀(395)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압력스위치(550)가 본체(300)의 외부와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므로,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360)의 진공압의 의해 발생된 소음이 효과적으로 제어되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본 고안은 기계적인 수단을 매개로 공기를 순간적으로 흡입함과 더불어 먼지나 쓰레기등을 청소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력스위치가 먼지봉투설치구에 형성된 압력튜브홀에 위치됨과 더불어 전면커버에 형성된 리브의 끝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져, 진공청소시 진공압에 의해 발생되는 소음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진공청소기의 주요 구성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의 흡입력에 의해 먼지나 이물질등을 흡입하도록 된 흡입장치(100)와, 이 흡입장치(100)에 의해 흡입된 먼지를 포집장소를 원활히 이송시키도록 된 연통장치(200) 및, 이 연통장치(200)에 의해 이동된 먼지가 포집되도록 된 본체(300)로 이루어져 있다.
여기서, 상기 흡입장치(100)는,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이송바퀴(110) 및, 상부덮개의 후미 상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상기 연통장치(200)와 연결되도록 된 연결관(120)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상기 연통장치(200)는, 상기 연결관(120)의 중공부와 연통되도록 결합된 플라스틱재질의 제 1 연장관(210) 및 제 2 연장관(220)과, 이 연장관(210)(220)과 결합됨은 물론 전원의 온(ON)/오프(OFF)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스위치 또는 풍속의 강약을 조작하기 위한 풍속조절스위치를 부착된 손잡이조절부(230)와, 이 손잡이조절부(230)와 연통되도록 결합됨은 물론 굴곡이 자연스럽게 이루어지도록 된 호스(240)와, 이 호스(240)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본체(300)와 연결되도록 된 접속관(250)으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상기 본체(300)는, 상기 접속관(250)의 끝단부가 접속되도록 접속구(311)가 형성된 전면커버(310)와, 포집된 먼지의 양이 표시되도록 된 먼지표시기(320)와, 양측부에 설치된 2개의 제 2 이송바퀴(330)와, 작업장소의 이동을 위해 작업자가 용이하게 운반시킬 수 있도록 된 운반용손잡이(340) 및, 전원을 공급하도록 된 전원플러그(350)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본체(300)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접속구(311)와 연통되도록 일측내부에는 소정크기의 집진실(360)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집진실(360)의 일측에는 흡음재(371)가 설치된 제 1 챔버(37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챔버(370)의 일측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모터(381)가 상기 흡음재(375)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제 2 챔버(38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360)에는, 상기 흡입장치(100)와 연통장치(200)를 거쳐 상기 본체(300)로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봉투(400)가 먼지봉투설치구(39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챔버(370)의 상측부에 형성된 압력튜브홀(373)에는 압력튜브(510)의 일측끝단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제 2 챔버(380)의 상측부에 형성된 개구홀(383)에는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360)에 형성된 진공압을 상기 압력튜브(510)를 통해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스위치(550)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먼저, 본체(300)에 형성된 집진실(360)내의 먼지봉투설치구(390)에 먼지봉투(400)를 설치한 다음, 전원플러그(35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30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385)가 고속회전됨과 더불어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조절부(230)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흡입장치(100)내에 설치된 모터가 고속회전되어 회전브러시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장치(100)를 통해 상기 연통장치(200)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본체(300)내에 설치된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통장치(200)를 거쳐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등은, 상기 흡입장치(10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더불어 흡입되어 상기 연통장치(200)를 통해 상기 본체(300)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본체(300)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등은 집진실(360)내에 설치된 먼지봉투(400)로 포집되게 된다.
한편,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360)에 먼지 및 이물질들이 쌓이게 되면, 상기 집진실(360)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진공압은 제 1 챔버(370)를 통해 압력튜브(510)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상기 압력튜브(510)로 유입된 진공압이 소음발생의 원인이 될 정도의 압력으로 상승되게 되면, 상기 압력튜브(510)와 연결된 압력스위치(550)가 개방되어 상기 집진실(360)내의 진공압을 제 2 챔버(380)를 통해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게 된다.
이후, 상기 집진실(360)에 형성된 진공압이 상기 압력스위치(550)의 작동에 의해 본체(300)의 외부로 모두 방출되게 되면, 상기 압력스위치(550)는 상기 모터(385)의 흡입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재밀폐되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종래의 진공청소기에 의하면, 압력튜브(510)의 일측끝단이 제 1 챔버(370)에 형성된 압력튜브홀(373)에 설치됨으로 인해, 상기 압력튜브(510)의 설치가 어려울 뿐만 아니라, 상기 압력튜브(510)가 제대로 설치되지 못하면 집진실(360)의 진공압에 의해 변형이 발생되어 상기 집진실(360)의 진공압을 본체(300)의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시키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먼지봉투설치구의 소정부위에는 집진실과 연결됨은 물론 압력스위치가 설치되도록 된 압력튜브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먼지봉투설치구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된 전면커버의 내면에는 소정길이의 리브가 형성되되, 상기 압력튜브홀내에 설치된 압력스위치가 상기 전면커버의 설치시 상기 리브의 끝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압력스위치가 본체의 외부와 직접 연결되는 부위에 설치됨으로 인해,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에서 발생된 진공압이 상기압력스위치를 통해 직접 본체의 외부로 배출되므로, 소음의 발생을 효과적으로 제어하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진공청소시 집진실내의 진공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집진실내에 발생된 진공압을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과 연결되는 먼지봉투설치구의 소정부위에는 압력스위치가 설치되도록 된 압력튜브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먼지봉투설치구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된 전면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압력튜브홀내에 설치된 압력스위치의 선단과 접촉되도록 된 리브가 소정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커버의 설치시 압력스위치의 선단이 상기 리브의 끝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압력스위치가 압력튜브홀내에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진공청소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종래구조에 따라 압력스위치가 설치된 본체의 종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압력스위치가 설치된 본체의 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0 : 본체310 : 전면커버
311 : 접속구315 : 리브
360 : 집진실370 : 제 1 챔버
375 : 흡음재380 : 제 2 챔버
385 : 모터390 : 먼지봉투설치구
395 : 압력튜브홀400 : 먼지봉투
550 : 압력튜브
이하 본 고안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라 압력스위치가 설치된 본체의 종단면도로서,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위에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이면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즉, 진공청소기의 일반적인 설명은 도 1을 참조로 전술한 종래의 구조와 동일하므로 이의 설명은 생략하고, 이하,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550)가 설치되는 본체(100)에 대해서만 도 3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55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의 먼지봉투설치구(390)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즉, 상기 본체(3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장치(200)의 접속관(250) 끝단부가 접속되도록 접속구(311)가 형성된 전면커버(310)가 전면부에 설치되어 있고, 내부일측에는 상기 접속구(311)와 연통되도록 된 소정크기의 집진실(360)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집진실(360)의 일측에는 흡음재(371)가 설치된 제 1 챔버(370)가 형성되어 있음은 물론, 상기 제 2 챔버(370)의 일측에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되도록 된 모터(381)가 상기 흡음재(375)와 결합되도록 설치된 제 2 챔버(38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집진실(360)에는, 상기 흡입장치(100)와 연통장치(200)를 거쳐 상기 본체(300)로 흡입되는 먼지 및 이물질 등을 포집하기 위한 먼지봉투(400)가 먼지봉투설치구(390)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먼지봉투설치구(390)의 소정부위에는,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360)에 형성된 진공압을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압력스위치(550)가 설치되도록 된 압력튜브홀(39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전면커버(310)의 내면에는, 상기 압력튜브홀(395)내에 설치된 압력스위치(550)의 선단과 접촉되도록 된 리브(315)가 소정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상기 압력스위치(550)는, 상기 전면커버(310)의 설치시 상기 압력스위치(550)의 선단이 상기 리브(315)의 끝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압력스위치(550)가 압력튜브홀(395)내에 설치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먼저, 본체(300)에 형성된 집진실(360)내의 먼지봉투설치구(390)에 먼지봉투(400)를 설치한 다음, 전원플러그(350)를 이용하여 상기 본체(300)에 전원을 인가시킴과 더불어 전원스위치를 온(ON)시키게 되면, 상기 본체(300)의 내부에 설치된 모터(385)가 고속회전됨과 더불어 강한 흡입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손잡이조절부(230)의 전원스위치를 조작하게 되면, 상기 흡입장치(100)내에 설치된 모터가 고속회전되어 회전브러시를 구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장치(100)를 통해 상기 연통장치(200)로 유입된 외부의 공기는 상기 본체(300)내에 설치된 모터의 흡입력에 의해 상기 연통장치(200)를 거쳐 상기 본체(300)의 내부로 유입되게 된다.
이때, 청소부위의 먼지 및 이물질등은, 상기 흡입장치(100)로 유입되는 외부의 공기와 더불어 흡입되어 상기 연통장치(200)를 통해 상기 본체(300)로 유입되게 되며 상기 본체(300)로 유입된 먼지 및 이물질등은 집진실(360)내에 설치된 먼지봉투(400)로 포집되게 된다.
한편, 진공청소기 상기 집진실(360)에 먼지 및 이물질들이 쌓이게 되면, 상기 집진실(360)에는 진공압이 발생하게 되며, 발생된 진공압이 소음발생의 원인이 될 정도의 압력으로 상승되게 되면, 상기 진공압에 의해 먼지봉투설치구(390)에 설치된 압력스위치(550)가 개방되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집진실(360)내의 진공압은 개방된 압력스위치(550)를 통해 본체(300)의 외부로 배출되게 된다.
이후, 상기 집진실(360)에 형성된 진공압이 상기 압력스위치(550)의 작동에 의해 본체(300)의 외부로 모두 방출되게 되면, 상기 압력스위치(550)는 상기 모터(385)의 흡입력을 상승시키기 위해 재밀폐되게 된다.
따라서, 압력스위치(550)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300)의 외부와 직접 연결되는 먼지봉투설치구(390)의 압력튜브홀(395)내에 설치됨은 물론, 전면커버(310)의 설치시 상기 압력스위치(550)의 선단이 리브(315)의 끝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된 본 고안의 압력스위치(550)의 설치구조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챔버(370)의 압력튜브홀(373)에 설치되는 압력튜브(510)에 의해 설치되도록 된 종래의 압력스위치(550)보다,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360)에서 발생된 소음이 효과적으로 제어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의하면, 본체의 외부와 직접 연결되는 먼지봉투설치구의 압력튜브홀내에 압력스위치가 설치됨은 물론, 전면커버의 설치시 상기 압려스위치의 선단이 리브의 끝단에 의해 고정되도록 설치되어져, 상기 압력스위치가 본체의 외부와 직접 연결되도록 설치되므로 진공청소시 상기 집진실의 진공압의 의해 발생된 소음이 효과적으로 제어될 뿐만 아니라, 이로인해 상품성이 증진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진공청소시 집진실내의 진공압력에 의해 작동되어 상기 집진실내에 발생된 진공압을 본체의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된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에 있어서,
    상기 집진실과 연결되는 먼지봉투설치구의 소정부위에는 압력스위치가 설치되도록 된 압력튜브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먼지봉투설치구의 전면에 설치되도록 된 전면커버의 내면에는 상기 압력튜브홀내에 설치된 압력스위치의 선단과 접촉되도록 된 리브가 소정길이로 형성되되, 상기 전면커버의 설치시 압력스위치의 선단이 상기 리브의 끝단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상기 압력스위치가 압력튜브홀내에 설치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KR2019970040728U 1997-12-26 1997-12-26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KR19990028107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728U KR19990028107U (ko) 1997-12-26 1997-12-26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728U KR19990028107U (ko) 1997-12-26 1997-12-26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8107U true KR19990028107U (ko) 1999-07-15

Family

ID=69677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728U KR19990028107U (ko) 1997-12-26 1997-12-26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8107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9990003478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9990028107U (ko) 진공청소기용 압력스위치의 설치구조
KR19990003481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57821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100222922B1 (ko) 진공청소기용 브러쉬의 회전솔
KR100539516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호스 연결장치
KR19990009778U (ko) 진공청소기의 먼지봉투고정수단
KR200163949Y1 (ko) 진공청소기용 모터전원선
KR200161647Y1 (ko) 원격제어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61652Y1 (ko) 진공청소기
KR200160208Y1 (ko) 진공청소기의 연통장치
KR0148951B1 (ko) 진공청소기의 가요성 네크구조
KR200182560Y1 (ko) 업라이트진공청소기의안전장치
KR19990029151U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19990016408U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940007919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장착 흡입구
KR950000524Y1 (ko) 진공청소기의 물걸레 구동장치
KR200172947Y1 (ko) 진공청소기의 본체
KR950003347Y1 (ko) 진공청소기의 바퀴 브레이크장치
KR200163950Y1 (ko) 진공청소기
KR200144822Y1 (ko) 진공청소기의 배출공기를 이용한 바퀴 회전장치
KR960004679Y1 (ko) 진공청소기의 먼지역류 방지장치
KR100237054B1 (ko) 진공청소기의 운전제어장치
KR100222643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KR200151252Y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