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7110U - 매달아내려치고되올려치는콘크리트구조물구축장치 - Google Patents

매달아내려치고되올려치는콘크리트구조물구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7110U
KR19990037110U KR2019990011432U KR19990011432U KR19990037110U KR 19990037110 U KR19990037110 U KR 19990037110U KR 2019990011432 U KR2019990011432 U KR 2019990011432U KR 19990011432 U KR19990011432 U KR 19990011432U KR 19990037110 U KR19990037110 U KR 1999003711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struction
site
steel pipe
concrete
sla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143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63526Y1 (ko
Inventor
박정진
박정호
Original Assignee
박정진
박정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정진, 박정호 filed Critical 박정진
Priority to KR201999001143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63526Y1/ko
Publication of KR1999003711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711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635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63526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4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 E02D29/0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 E02D29/055Underground structures, e.g. tunnels or galleries, built in the open air or by methods involving disturbance of the ground surface all along the location line; Methods of making them at least part of the cross-section being constructed in an open excavation or from the ground surface, e.g. assembled in a trench further excavation of the cross-section proceeding underneath an already installed part of the structure, e.g. the roof of a tunne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24Prefabricated piles
    • E02D5/28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 E02D5/285Prefabricated piles made of steel or other metals tubular, e.g. prefabricated from sheet pile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78Shapes triangul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300/00Materials
    • E02D2300/0026Metals
    • E02D2300/0029Steel; Iron

Abstract

본 고안은 다층 지하구조물을 무지보 역타설공법으로 구축함에 있어서 공기단축과 공사편의 및 경제적 건설이 가능한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흙막이 지중연속벽(23) 지지에 국한하여 대응력을 갖추게되는 최소한의 범주의 지지 구조로 부분 역타설 빔/슬래브(31) 시공부위는 지상 층의 하중은 역타설 시공 범주에서 제외하여 단순히 지하 역타설 빔/슬래브(31) 관련 하중만을 지중 콘크리트충진 철관기둥(28)에 제하하여 부분 역타설 시공후 기초 층부터 콘크리트 충진 철관 기둥(28)을 원설계에 준하여 기초부터 순차적인 기둥콘크리트 치기로 기둥을 형성하는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철판과 빔/슬래브(22) 콘크리트의 합성 접합 단면 부족 분을 대체 시공하는 현장 타설 강관 말뚝 위의 매달기판(12)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매달기판을 관통하는 주철근(8)을 철근이음 케플러로 정착한 주철근(8)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 기둥의 매달기 철근(8)으로 빔/슬래브 콘크리트를 받쳐 매다는 받침판(9)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매달기 철근(8)에 빔/슬래브 콘크리트를 받쳐 매다는 받침판(9)을 소정의 위치에 정착하며 철근이음기능을 병행하는 철근이음 케플러(10)로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HANGING SEMI DOWN UP SYSTEM}
본 고안은 다층 지하 콘크리트 구조물을 무지보 역타설구축공법으로 구축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도심지 대규모 면적 건축공사에서 근접 시공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주변 구조물 침하에 따른 공사관련 민원을 배제하기 위하여 지하층 굴토공사용 흙막이 옹벽을 지지는 영구 구조물인 빔/슬래브를 지보공으로 이용하므로 수평 토압에 대응하는 충분한 지지 응력과 지표면에 가까운 흙막이용 옹벽의 선단 부를 고정하고 지하 각층의 빔/슬래브 구조물로 굴착 단계별 지지하므로 주변 구조물이나 도로 등의 침하공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공기 단축과 원가절감을 꾀하기 위한, 역타설 시공 범위는 단순히 흙막이 토류벽의 지보 역할을 수용 할 수 있는 최소의 면적을 국한하여 시공하는 부분 역타설 공사에 필요한 효과적인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의 부분 역타설 공법은 상부 빔/슬래브 구조물 수직 받침지지용 지중 철골 기둥과 기초를 소구경으로 축소 시공하는 대안으로 계획된 본체 기둥의 대각선 주변에 대칭으로 2개 또는 4개의 가설용 지중 받침 지주(기둥)를 설치하여 본체 기둥 대용으로 상부 빔/슬래브 구조물을 받침 지지하여 역타설 시공 한 후에 본체 기둥은 기초 층부터 순차 적층 시공하므로 대구경 천공을 소구경 천공으로 대체하여 가설용 소형 철골을 사용하므로 지중 대구경 천공 원가절감을 추구하였다.
가설용 소구경의 천공 받침지주를 직접 역타설 기둥으로 활용할 때 그 단면적이 적어서 역타설 구조물의 과중한 하중 적재가 불가하였으며 특히 철강 기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성 부착면적이 적어 전단저항 보강제(SHEAR CONNECTOR)의 현장용접 부착작업은 시공 신뢰도가 낮아 현장 타설 강관 말뚝을 활용한 역타설 구조물 축조가 자제되었다.
지상층과 지하층 구조물 하중을 각각 독립된 F1, B1층의 철골 보를 가설용 가새철골(BRACING)로 큰 단면 트러스(TRUSS)의 철골콘크리트 합성보 구조가 형성 되도록 조립하여서 철골 기둥을 메달아 시공하면서 지중 철골 기둥 설치를 위한 대구경 천공수량을 감소하므로 비용의 절감과 지하층 굴착 작업은 장애물인 기둥이 적어서 용이하나 중량체인 철골 기둥을 슬래브 구조물 밑에서 매달아 설치하는 작업의 난이도로 안전성이 극도로 취약하였다.
본 고안은 도심 대규모 면적 근접 건축물 공사에서 흙막이 옹벽을 지지는 영구 구조물인 빔/슬래브를 지보공으로 이용하므로 수평 압력에 대응하는 안전한 지지 응력과 지표면에서 토류벽의 상부 고정과 굴착 단계별로 영구 구조물로 지지하므로 주변 구조물이나 도로 등의 침하 공해를 최소화 할 수 있고 공기 단축과 원가절감을 꾀하는 흙막이 토류벽의 지보 역할을 수용하는 빔/슬래브를 단기간에 경제적으로 안전하게 축조하는 부분 역타설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은 부분 역타설 구조물공사와 개착식 굴토공사를 동시에 병행하므로 흙막이 토류벽 지지 응력을 갖는 최소 부분의 역타설 시공 빔/슬래브의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 하중경감을 위하여 지상 층의 하중은 제외하고 가설용 소구경의 천공 받침지주를 역타설 기둥으로 활용할 때 그 단면적이 적어서 단순히 지하층의 흙막이 토류벽 지지 역타설 빔/슬래브 관련 하중만을 지탱하는 소요 지중 철골 기둥 설치용 대구경 천공을 축소 시공하는 올케이신 현장 타설 강관 말뚝(철강 기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성 부착면적 부족을 해소하는 고안으로써 철강 기둥 위에 매달기 철근 정착용 매달기판을 용접 부착하여 기둥의 주철근으로 역타설 빔/슬래브를 매달아 받침 시공함으로 역타설 시공 한 후에 기초 층부터 기둥 콘크리트 치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므로 역타설 중량의 최소화로 안정을 유지 신뢰감 있는 시공성을 확보할 수 있는 구축장치를 제공한다.
본 고안은 또한 F1층의 철골 보를 고장력 연강선(WIRE STRAND)으로 인장 압축 응력을 가하여 역삼각 트러스 구조의 보강 상승 포물선 철골 보를 제작 역타설 빔/슬래브 매달기용 철근 설치 고강성의 철골 보로 활용하므로 종래의 중량 물인 매달기 철골을 철근으로 대체하여 흙막이 토류벽의 영구적 수평지지 물인 역타설 빔/슬래브 구조물을 기둥용 철근과 본 출원인등이 선 출원한(10-1999- 0020314)가변형 매달기 빔/슬래브 거푸집 틀을 이용하여 매달아 시공 한 후에 기초 층부터 기둥 콘크리트 치기를 순차적으로 진행하는데 필요한 구축장치를 제공한다.
기둥의 주 철근을 역타설용 매달기 철근으로 먼저 활용하여 빔/슬래브 생콘크리트를 받침 판과 기둥철근 이음 케플러로 매달아 받쳐 역타설 시공한 후에 기둥 콘크리트 치기를 후속 공정으로 추진하기 위한 역타설용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 보와 매달기 철근, 받침판 철근 이음 케플러 등을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부분 역타설 시공에 소요되는 장치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부분역타설 시공용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의 정면도
도 2는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 단부의 횡단면도
도 3은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 단부의 종단면도
도 4는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의 중간 부위 역삼각형 트러스형성용 간격빔의 횡단면도
도 5는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의 중간 부위 역삼각 트러스 형성용 간격빔의 종단면도
도 6은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의 간격빔 띠판에 매달기용 철근 용접 정착부위와 그 하단 빔/슬래브 받침용 매달기판의 횡단면도
도 7은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의 간격빔 띠판에 매달기용 철근 용접 정착부위와 그 하단 빔/슬래브 받침용 매달기판의 종단면도
도 8 내지 도 16은 부분 역타설 시공용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와 매달기용 철근을 활용하여 부분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는 매달아 내려치고 기둥은 되올려치는 작업공정의 단계별 구조물 축조도
도 17 내지 도 2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부분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과 매달기용 철근, 매달기식 가변 거푸집틀을 활용하여 부분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는 매달아 내려치고 기둥은 되올려치며 개착 작업구간에서 가변 테이블 폼을 활용하여 순차적으 로 구조물을 구축하는 작업공정단계별 축조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
1' : 철골빔 2 : 연강선
3 : 웨지 4 : 정착구대
5 : 보강판 6 : 간격빔
7 : 연강선 받침 8 : 매달기용 철근
9 : 받침판 10 : 케플러
11 : 둘레 띠판 12 : 매달기판
13 : (천공 지반 보강) 그라우팅 20 : 대구경 천공
21 : (지중) 철골 기둥 22 : 빔/슬래브
23 : 지중 연속벽 24 : (적층 조립) 철골 기둥
25 : 엄지 말뚝 26 : 어스 앵커
27 : 굴착 소단 28 : 현장 타설 강관 말뚝
29 : 강관 30 : 가변 거푸집 틀
31 : 부분 역타설 구조물 32 : 적층 구조물
33 : 가변 테이불 폼
도 1은,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 보(1) 제작 관련 정면도이다. H형/I형강제 철골빔(1')의 처짐 현상을 역상승 포물선을 형성하도록 간격 유지용 간격빔(6)에 고장력 연강선(2)을 걸쳐서 인장압축응력을 가여 역삼각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여 철골콘크리트로 합성하는 구조물로 차후 역타설 시공하는 빔/슬래브 구조물을 매달아 시공 할 때에 처짐 발생을 억제하는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 보(1)구조이다.
도 2 내지 도 5에서, 상기 철골빔(1')을 보강하기 위한 고장력 연강선(2)을 인장하여 웨지(3)로 정착하기 위한 정착구대(4)에 H형/I형 철골에다 고장력 연강선(2)을 인장 압축 응력이 가해질 때 철골빔(1')의 변형을 억제하기 위하여 보강 철판(5)을 철골빔(1')의 변형 예상 부위에 용접 부착한다.
상기 철골빔(1')을 역상승 포물선을 이루도록 고장력 연강선(2)에 인장 압축응력을 가하여 역삼각형 트러스 구조를 형성하는 간격 유지용 간격빔(6)은 짧은 철골빔(1')의 일단을 막는 철판 위에 철판으로 T형의 돌출 원형 철강봉 받침(7)이 안정되도록 삼각형 보강판(5)을 부착 용접하여서 고장력 연강선(2)에 인장 압축 응력을 가하여 역삼각의 트러스의 고장력 연강선 보강 상승 포물선 철골 보(1)를 제작 양측 지중, 지상의 두 개 철골 기둥(21/24)위에 설치하여 차후 역타설 빔/슬래브 철근 콘크리트 구조물(31)을 매달아 시공 할 때에 처짐 발생을 억제하는 철골빔(1')의 구조로서, 필요에 따라 간격 유지용 간격빔(6)을 부착할 때 보강판(5)을 사용 변형을 억제한다.
도 6과 도 7에서,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1)의 간격빔(6)용 둘레 띠판(11)에 매달기용 철근(8)을 용접할 정착부위와 그 하단의 역타설 빔/슬래브(31) 받침용 매달기판(12)의 구조를 엿볼 수 있고, 또한 상기 철골보(1)의 간격빔(6)용 둘레 띠판(11)에 매달기용 철근(8)의 용접부위와 그 하단의 역타설빔/슬래브(31) 받침용 매달기판(12)의 구조도 확인할 수가 있다.
이들 그림에서, 상기 철골보(1)에 차후 역타설 시공하는 빔/슬래브(31) 생 콘크리트를 받침판(9)과 철근(8) 그리고 철근 이음 케플러(10)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구조로서, 간격빔(6)의 외부의 둘레 띠판(11)에 설계에 따른 길이의 철근(8)을 배근 정착할 수 있도록 가공 철근(8)을 용접 부착한다.
간격빔(6)의 외부의 둘레 띠판(11)에 기둥의 주철근(8)을 용접 부착하여 기둥의 주철근(8)을 먼저 매달기용 철근(8)으로 활용하여 빔/슬래브(22)를 역타설 시공한 후에 기둥 콘크리트 피복 작업은 기초 층부터 순차 적층 타설로 구조물을 구축하는 매달기 철근(8)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받침판(9)을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는 철근 이음 케플러(10)와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 보(1)에 부착된 간격빔(6)의 외부의 둘래 띠판(11)등의 장치를 활용하여 대구경 천공(20) 지중 철골 기둥(21) 없이 부분 역타설 공사를 시행한다.
다음으로 도 8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부분 역타설 시공용 상기 철골보(1)와 매달기용 철근(8)을 활용하여 부분역타설 빔/슬래브(31)는 매달아 내려치고 기둥은 되올려치는 작업공정단계별 구조물의 축조방법에 대하여 상술한다.
대구경 지중 천공(20) 작업이 불가능한 계획 변경 확장 구간에서 선 시공한 개착식 구간은 기초 콘크리트 위에 지하층 부분은 적층 철골 기둥(24)을 확장구간 지중연속벽(23)측은 대구경 지중 천공(20) 지중 철골 기둥(21)위에 고장력 연 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 보(1)를 설치하여 빔/슬래브(22)를 역타설 시공한 후에 기초 층부터 순차적으로 기둥 콘크리트 치기로 구조물을 구축하는 작업공정도이다.
역타설 시공을 위한 선행 필수 공정으로 흙막이 지중연속벽(23) 내측에 대구경 천공(20)하여 지중 철골 기둥(21)을 설치하고 반대쪽은 선행 굴착 부위 굴착 종료 지반에 순차적으로 시공하는 기초 구조물 (32)위에 적층 조립 철골 기둥(24)과 각기 다른 지중, 지상 두개의 철골 기둥(21/24)을 이용하여 가설 흙막이 토류벽용 엄지말뚝(25)에 설치한 토류벽 지지용 어스 앵커(26)로 인하여 중간 철골 기둥(21/24)을 설치하기 위한 대구경 천공(20)을 하지 않고 빔/슬래브(22)를 기둥용 매달기 철근(8)으로 매달아 역타설 구조물(31)을 시공한다.
그리고 두 개의 지중, 지상 철골 기둥(21/24) 위에 고장력 연 강선 보강 상승 포물선 철골 보(1)를 설치하기 위하여 철골 보(1) 설치 부분을 터파기하여 양측 철골 기둥(21/24) 위에 설치한다.
이어서, 지중설치, 지상설치, 두 개의 철골 기둥(21/24)위에 고장력 연강선 보강 상승 포물선 철골 보(1)를 설치 한 후에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조립하여 F1층 부분 역타설 빔/슬래브 구조물(31)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한다.
다음으로, B1/B2층 토류벽 지지용 부분 역타설 빔/슬래브 구조물(31) 콘크리트 치기후, 양생 설계 기준강도 발현에 따라서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 아래는 굴착소단(27)을 설치하는 굴착 작업과 가설토류벽 엄지 말뚝(25) 및 어스 앵커(26)를 철거작업을 병행한다.
또한 단계별 굴착에 따라서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하강 B1층 위치로 하강 F1층에 고정한 다음 철골보(1)에 부착된 간격빔(6) 외부의 둘레 띠판(11)에 철근(8)을 배근 정착할 수 있도록 용접 부착하여 기둥의 주철근(8)을 먼저 매달기용 철근(8)을 이용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을 떠받치는 받침판(9)은 철근 이음 케플러(10)로 소정의 위치에 고정하여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31)를 양생 작업을 병행한 지속적인 가설 토류벽 엄지말뚝(25)의 철거 작업과 토류벽 지지용 굴착소단(27)을 설치하여 B2/B3층 굴토작업을 진행하며, 선행 개착식 굴착부위의 적층 조립 철골 기둥(24)과 B3층의 적층 구조물(32)을 축조한다.
그 후, 역타설 빔/슬래브(31)를 축조 단계별 굴착과 함께 가설 토류벽 엄지말뚝(25)의 철거작업을 진행하며, 매달기식 가변 거푸집틀(30)을 B3층 위치로 하강하여 B2층에 고정 정착한 후 매달기 철근(8)과 콘크리트의 받침판(9) 철근 이음 케플러(10)를 소정의 B3층 위치에 설치 빔/슬래브 콘크리트(22)치기 작업을 교차 시공하는 공정으로 역타설 빔/슬래브 구조물(31)을 구축하면서 동시에 선행 개착식 굴착부위의 B4, B3, B2층 구조물을 순차적으로 적층 구조물(32)을 축조 역타설 구조물과 일체화를 꾀한다.
그런 다음에 최저층 굴토작업 종료에 따라 굴착 면정리하며 역타설 빔/슬래브 구조물(31)의 설계 기준강도가 발현된 후 매달기 가변 거푸집틀(30)을 해체하여 반출한다.
도 15와 도 16과 같이, 기둥 매달기용 철근(8)의 후속 작업으로 기둥 콘크리트 피복 작업은 기초 층부터 순차 적층 타설(32)로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 보(1)를 활용하여 역타설 구조물을 구축을 완성한다.
도 17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관한 부분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과 매달기용 철근(8), 매달기 가변 거푸집틀(30)을 활용하여 부분 역타설 빔/슬래브(31)는 매달아 내려치고 기둥은 되올려치며 개착 작업구간에서 가변 테이불 폼(33)을 활용하여 순차 적층 구조물의 구축작업을 공정단계별로 축조하는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서, F1층 굴착 면 정리 후 버림 콘크리트를 타설 먹 선긋기 작업에 따라서 흙막이 지중연속벽(23)의 설치작업과 내측 기둥위치에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 지중 타입 정착한다.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 지중 타입 정착은 충격식 해머 비트 천공에 의한 강관 말뚝 동시타입 장비를 활용 소정의 계획 심도와 정착 지반을 확보 한 후에 강관 말뚝(28)의 내부 천공 잔 유물은 압축공기와 강관(29)에 충진한 물의 일정한 수압을 동시에 이용하여 청소 제거한다.
천공 잔유물이 제거된 강관(29)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하여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을 형성하며, 지반여건에 따라 말뚝의 선단 부 지반 보강 작업이 필요할 경우에는 그라우팅(13)용 케이싱 파이프를 강관(29) 내부에 콘크리트를 충진 작업 이전에 설치하여 천공 지반 보강 그라우팅(13) 작업이 용이하도록 준비한다.
매달기 가변 거푸집틀(30)을 조립하여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31) 치기작업을 하고 양생한다. 이때, 매달기 가변 거푸집틀(30)을 역타설 작업에 활용한 후에 기초 층부터 순차적으로 구축하는 중앙 개착식 구조물(32) 축조 부위용 가변 테이불 폼(33)으로 인양 재활용하려면 최저층 사용 후에 차기 층으로 가변 테이블 폼(33)을 조립된 상태로 인양 재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매달기 가변 거푸집틀(30)을 조립 할 때 상부 층으로 인양이 용이한 가변 규격을 고려하여 조립한다.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 위에 매달기용 주철근(8) 정착용 매달기판(12)을 설치하여 주철근(8)으로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매달아 받침 시공으로 역타설 시공하며 중앙부위 개착식 구조물(32) 시공부위의 굴토작업을 동시에 추진한다.
도 18에서,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 철강 기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성 부착면적 부족을 해소하기 위하여 강관 말뚝(28)위에 주철근(8) 정착용 매달기판(12)을 설치하여 주철근(8)으로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매달아 받침 시공함으로 역타설 시공 한 후에 기초 층부터 기둥 콘크리트 치기작업은 기초 층부터 순차 적층 타설(32)하여 부분 역타설 구조물을 축조한다.
도 19에서,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상부에 주철근(8) 정착용 원형 매달기판(12)을 용접 부착하여 매달기판(12)을 관통하여 상부에서 주철근(8)으로 철근이음 케플러(10)를 이용해 정착 고정하여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매달아서 받침 시공하는 원형 매달기판(12)과 주철근(8) 고정용 철근 이음 케플러(10)이다.
도 20에서, 주철근(8) 정착용 각형 매달기판(12)을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상부에 설치하여 주철근(8)을 철근 이음 케플러(10)로 정착 고정하여 철강기둥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성 부착면적 부족을 해소한다.
도 21에서, 기둥용 주철근(8)으로 매달아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받침 시공하여 철강 기둥(28)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성 부착면적이 적음으로 전단저항 보강재의 현장용접 부착작업의 신뢰도 부족을 해소하는 원형 받침판(9)을 관통하는 기둥의 주철근(8)을 철근 이음 케플러(10)로 정착 고정하여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매달아서 받침 시공하는 장치이다.
도 22에서, 기둥용 주철근(8)으로 매달아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받침 시공하여 철강 기둥(28)과 콘크리트 구조물의 합성 부착면적이 작으므로 전단저항 보강재의 현장용접 부착작업의 신뢰도 부족을 해소하는 각형 기둥용 각형 받침판(9)을 관통하는 기둥의 주철근(8)을 철근 이음 케플러(10)로 정착 고정하여 역타설 빔/슬래브(31)를 매달아서 받침 시공하는 장치를 적용한다.
도 23에서, F1층 빔/슬래브(22)용 콘크리트를 타설 양생 작업이 종료됨에 따라 B1층 역타설 부위의 굴토 작업은 흙막이 지중연속벽(23)측에 굴착소단(27)을 설치하여 토류벽 지지 역타설 빔/슬래브(31) 콘크리트 타설 구조물로 지지하기 이전에 지중연속벽(23) 강성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굴토작업으로 부분 역타설 구조물(31)의 시공부위와 중앙 개착식 부위 구조물(32) 시공을 위한 굴토작업을 동시에 추진한다.
도 24에서, B1층 위치로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하강하여 F1층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에 거치 정착하여 B1층의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을 축조하면서 흙막이 지중연속벽(23)측에 굴착소단(27)을 설치하여 부분 역타설 구조물(31) 시공부위와 중앙 개착식 부위 구조물(32)을 시공하기 위한 굴토작업을 동시에 추진한다.
도 25에서, B2층 위치로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하강하여 B1층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에 거치 정착하여 B2층의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을 축조하면서 B3층 굴착소단(27)을 설치,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와 중앙 개착식 시공부위의 굴토공사를 동시에 추진한다.
도 26에서, B4층 위치의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로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을 축조하면서 굴착소단(27)을 설치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와 중앙 개착식 시공부위의 굴토를 동시에 추진한다.
도 27에서, B4층 위치의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로 역타설 빔/슬래브 콘크리트 구조물(31)을 축조하면서 굴착소단(27)을 설치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와 중앙 개착식 시공부위의 굴토작업을 동시에 추진한 다음에 기초층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해체하여 중앙 개착식 적층 구조물(32) 축조용 가변 테이불 폼(33)으로 재활용, 중앙 개착식 굴토 적층 구조물(32)을 축조하면서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의 강관 기둥을 기초 층부터 기둥 콘크리트를 순차 적층 치기(32)로 부분 역타설 구조물과 합성이음하여 축조한다.
도 28과 도 29에서, 가변 테이불 폼(33)으로 재활용하여 중앙 개착식 굴토 적층 구조물(32)을 축조하면서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의 강관 기둥을 콘크리트 피복 순차 적층 타설(32)로 부분 역타설 구조물을 합성 축조한다.
이때, 가변 테이불 폼(33)으로 재활용하는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역타설 작업에서 먼저 활용한 후에 중앙 개착식 구조물(32)의 축조 부위용 가변 테이불 폼(33)으로 인양하여 재활용하려면 최저층에 사용한 후 차기 층으로 가변 테이블 폼(33)을 조립상태로 인양하여 재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이므로 매달기 가변 거푸집 틀(30)을 조립할 때 상부 층으로 인양이 용이한 가변 규격을 필히 고려하여 조립하므로서 가변기능을 이용하여 테이블 폼(33)의 조립된 상태로 크기를 줄여 해체하지 않고도 개구부로 옮겨 인양, 조립상태로 재활용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고안은 역타설 공법과 개착식 공법에서 장점은 선택하고 단점은 배제하여 효과적인 기능을 갖는 복합화 시공으로 원가 상승요인과 소요공기를 최소화하는 개착식 공사와 부분 역타설 공사를 동시에 병행하므로 흙막이 토류벽 지지에 최적의 지지 응력을 갖추는 최소한의 범주를 부분 역타설 빔/슬래브 (지지 구조물)로서 시공하고 잔여 중앙 부위는 개착식 굴토 공사로 추진하여 기초 층부터 콘크리트 치기로 순차적으로 구조물을 축조하며 지상층 구조물은 역타설 시공부위와 동시에 구조물 축조 공정을 함께 추진하기 위하여 부분 역타설 시공부위는 지상층의 하중은 역타설 시공 범주에서 제외하여 단순히 지하 역타설 빔/슬래브 관련 하중만을 지탱하는 소요 지중 철골기둥 설치용 대구경 천공 면적을 축소할 수 있는 현장 타설 강관 말뚝으로 대체 시공하고 중앙부위 개착식 굴토 작업후 구조물 축조 공정에는 현장 타설 강관 말뚝은 지상층 하중을 고려한 설계 단면적으로 기초 층부터 순차적으로 현장 타설 강관 말뚝외부를 콘크리트 보강 기둥을 축조하고, 또한 대구경 천공 지중 철골 기둥 설치를 최소화 방안으로 지중 철골기둥을 하나 건너뛰어서 시공하는 고안으로 건너뛰는 기둥은 매달기 시공을 위하여 F1중 철골 보 하부를 고장력 연강선으로 역삼각 트러스 구조로 조립하여 인장 압축 응력을 가하여 상승 포물선 철골 콘크리트 합성 빔/슬래브를 구축하여서 차기 B1층 B2층 B3층···철근 콘크리트 빔/슬래브를 기둥용 주 철근으로 메달아 선 시공한 후에 저 층부터 콘크리트를 순차적으로 타설하여 기둥을 구축하므로 역타설 시공하는 지하층에서 가설 브레싱용 철골과 기둥용 철골등을 운반 매달기 조립을 하지 않으므로 보다 더 안전한 작업 조건에서 부분 역타설 시공하는 고장력 연강선 보강 역삼각형 트러스 상승 포물선 철골보로서, 지하층의 층간 중간기둥 구축용 지중천공작업이 생략되고 또한 지하층 구조물의 중간 기둥 규격의 축소 구축이 가능하므로 공기가 대폭 단축되고 경제적으로 구축할 수가 있다.

Claims (1)

  1. 흙막이 지중연속벽(23) 지지에 국한하여 대응력을 갖추게되는 최소한의 범주의 지지 구조로 부분 역타설 빔/슬래브(31) 시공부위는 지상 층의 하중은 역타설 시공 범주에서 제외하여 단순히 지하 역타설 빔/슬래브(31) 관련 하중만을 지중 콘크리트충진 철관기둥(28)에 제하하여 부분 역타설 시공후 기초 층부터 콘크리트 충진 철관 기둥(28)을 원설계에 준하여 기초부터 순차적인 기둥콘크리트 치기로 기둥을 형성하는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철판과 빔/슬래브(22)콘크리트의 합성 접합 단면 부족 분을 대체 시공하는 현장 타설 강관 말뚝 위의 매달기판(12)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매달기판을 관통하는 주철근(8)을 철근이음 케플러로 정착한 주철근(8)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 기둥의 매달기 철근(8)으로 빔/슬래브 콘크리트를 받쳐 매다는 받침판(9)과;
    상기 부분 역타설 시공용 현장 타설 강관 말뚝(28)의 매달기 철근(8)에 빔/슬래브 콘크리트를 받쳐 매다는 받침판(9)을 소정의 위치에 정착하며 철근이음기능을 병행하는 철근이음 케플러(10)로 구성된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
KR2019990011432U 1999-06-24 1999-06-24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KR2002635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432U KR200263526Y1 (ko) 1999-06-24 1999-06-24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1432U KR200263526Y1 (ko) 1999-06-24 1999-06-24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7110U true KR19990037110U (ko) 1999-10-05
KR200263526Y1 KR200263526Y1 (ko) 2002-02-06

Family

ID=547576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1432U KR200263526Y1 (ko) 1999-06-24 1999-06-24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6352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96B1 (ko) *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KR100967497B1 (ko) *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CN108425374A (zh) * 2018-05-30 2018-08-21 中交公局厦门工程有限公司 复杂海况下带系梁哑铃型承台钢吊箱围堰整体施工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9453B1 (ko) * 2005-10-19 2007-05-18 (주) 콘스텍 역타 공법 및 이에 사용되는 거푸집, 거푸집 지지기구
KR101293682B1 (ko) 2012-05-02 2013-08-06 쌍용건설 주식회사 지장물 매달기 공법
KR101293683B1 (ko) 2012-05-02 2013-08-06 쌍용건설 주식회사 날개부재를 이용한 지장물 매달기 공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67496B1 (ko) *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장치
KR100967497B1 (ko) * 2010-02-19 2010-07-07 (주)바로건설기술 지하 구조물 구축공법
CN108425374A (zh) * 2018-05-30 2018-08-21 中交公局厦门工程有限公司 复杂海况下带系梁哑铃型承台钢吊箱围堰整体施工方法
CN108425374B (zh) * 2018-05-30 2024-02-13 中交一公局厦门工程有限公司 复杂海况下带系梁哑铃型承台钢吊箱围堰整体施工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63526Y1 (ko)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14796B1 (ko) 기성 콘크리트 기둥부재를 이용한 탑다운 시공방법
CN106968256A (zh) 基坑装配式钢栈桥施工方法
CN102162258B (zh) 一种塔吊钢管混凝土高桩塔基结构及构建方法
JP2012107479A (ja) 地下・地上構造物の施工方法
CN108277996A (zh) 一种保护建筑群下扩建多层地下室的施工方法
CN107806101B (zh) 条形基坑现浇混凝土对撑预制连系梁的施工方法
KR102286225B1 (ko) 무지주 탑다운 지하구조물 pc복합화 시공공법
CN114737573A (zh) 一种深基坑工程主楼区域后拆支撑结构及施工方法
KR20070052109A (ko) 슬림형 합성 바닥 구조를 이용한 슬라브와 외벽의 동시 타설 및 지하 역타설 동시구축방법
KR200263526Y1 (ko)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KR20100062395A (ko) 피씨부재를 이용한 지하층 구조물 시공방법
KR100642326B1 (ko) 탑다운 공법에 의한 띠장 시공용 가시설
KR101165451B1 (ko) 가로시설물용 지주 기초구조물 및 이의 시공방법
CN111236295A (zh) 一种基于桩筏基础设置塔吊基础的连接结构及施工方法
JP2006299660A (ja) 仮受け工法及び仮受け構造体
CN216075208U (zh) 一种超高大截面钢管混凝土柱
CN108755701A (zh) 深基坑的支撑结构的施工方法
KR200263525Y1 (ko) 매달아 내려치고 되올려치는 콘크리트 구조물 구축장치
CN211547686U (zh) 基于预制钢管混凝土连接的预应力钢管混凝土管幕结构
KR100615149B1 (ko) 콘크리트 지상구조물의 역타설공법
KR200451731Y1 (ko)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960016755B1 (ko) 가설흙막이 벽체를 영구벽체용(건축지하옹벽)으로 시공하는 장치 및 그 시공방법
KR101028695B1 (ko) 지하 역타 공법에서 철골 또는 강관 기둥과 결합되는피씨보 연결구조
CN115198787B (zh) 一种钢管柱式塔吊基础及其施工方法、盖挖逆作施工方法
CN108589930A (zh) 装配式钢管混凝土柱-独立基础-混凝土圈梁t形连接节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