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706A - 내기 외기 전환장치 - Google Patents

내기 외기 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706A
KR19990035706A KR1019970057539A KR19970057539A KR19990035706A KR 19990035706 A KR19990035706 A KR 19990035706A KR 1019970057539 A KR1019970057539 A KR 1019970057539A KR 19970057539 A KR19970057539 A KR 19970057539A KR 19990035706 A KR19990035706 A KR 199900357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pollution degree
pollution
control unit
gat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75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창규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75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706A/ko
Publication of KR199900357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706A/ko

Links

Landscapes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외기 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공조 덕트(1)의 공기 흡입 덕트(4)의 외기 흡입 통로(4a)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도(A)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10a)를 포함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A)를 수신하며,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흡입 덕트(4)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5)의 작동을 결정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밸브(5)를 작동시키는 작동 유닛; 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장치를 사용하면, 운전자가 외기 흡입 상태로 자동차를 주행하더라도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내기 또는 외기 상태로 전환 될 수 있어 자동차의 실내공기의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이 같은 내기·외기 전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운전을 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기 외기 전환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용 내·외기 전환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가 외기 흡기 모드로 설정된 상태로 오염 지역 또는 공해가 심한 지역을 통과할 때 자동으로 내기로 변환시키며 또한 상기 지역을 벗어났을 때 자동으로 외기 상태로 변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내외기 변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주위의 각종 변환에 따른 온도 및 습도와 공기의 환경을 적당하게 유지함으로써 승차한 사람에게 괘적한 느낌을 줄 수 있도록 하기 위한 냉방장치와 난방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며, 또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동차 실내의 공기 중에 포함된 먼지나 담배 연기 등의 미립자를 제거하여 공기의 오염을 줄이기 위한 공기 정화장치를 구입하여, 자동차 실내의 리어 시트 후방의 백 셀프 패널에 설치하여 사용한다.
또한, 자동차에는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하거나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조 덕트가 제공되어 있다.
이 같은 공조 덕트에는 물론 에어콘 또는 히터가 연결되어 있어 운전자 또는 탑승자가 필요에 따라 이 같은 공조 수단을 작동시켜 실내의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또한 흡기 스위치를 조작하여 실내공기만을 순환시키거나 또는 외기를 실내로 유입시킬 수도 있다. 이 같은 일반적인 공조 덕트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 1에 도시되어 있으며, 도 2에는 상기 공조 덕트 시스템에 연결되어 모드 스위치 및 흡기 스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따르면, 일반적인 자동차의 공조 덕트 시스템(1)은 다수의 덕트, 파이프 또는 호스가 연결되어 구성되며 송풍기(2) 및 다수의 필터(3)를 포함한다. 상기 송풍기(2)는 공기 흡입 덕트(4) 직후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덕트(4)는 내기, 또는 외기를 선택적으로 흡입할 수 있도록 회동식으로 작동되는 게이트 밸브(5)를 포함하며, 상기 게이트 밸브(5)를 내기 흡입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부(6)를 포함한다.
물론 공조 덕트 시스템에는 다수의 게이트 밸브(7)설치되어 있다. 이 같은 게이트 밸브는 흡기 스위치(8) 및 모드 스위치(9) 에 설치된 선택 버튼에 의해 회동식으로 작동되어 공기를 자동차 실내의 필요우치로 공급할 수 있다. 즉, 흡기 스위치의(8)의 내기 버튼(8a)을 누르면 게이트 밸브(5)가 외기 유입 통로를 폐쇄하여 내기가 덕트내로 순환되며, 외기 버튼(8b)을 누르면 내기 유입 통로를 폐쇄하여 내가가 흡입된다. 물론 송풍기(2)가 작동되는 상태에서 상기 모드 스위치(9)에 설치된 각종 선택 버튼을 누르면 각각의 선택 버튼의 기능에 따라 다양한 게이트 밸브(7)가 작동되어 공기를 원하는 위치로 공급한다.
그러나 외기 선택 버튼(8b)이 설정된 상태로 오염된 지역이나 공해가 심한 지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오염공기가 공조 덕트 시스템을 통해 실내로 유입되므로써 자동차의 실내공기를 오염시킬 수 있다.
물론 필터(3)에 의해 공기가 정화될 수는 있지만 완전하게 정화될 수 없어 실내 공기를 오염 시큼으로써 운전자 또는 탑승객이 쾌적하지 못한 상태로 운전 또는 여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따라 운전자는 이 같은 지역을 통과시에는 신속히 내기로 전환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로 육안으로 외기의 오염도를 측정하기는 매우 곤란하므로 이미 실내공기가 오염된 상태에서 내기로 변환되므로써 완벽한 오염 공기의 차단을 기대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은 이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외기 흡입 상태로 자동차나 오염 지역 또는 공해 지역을 주행할 때 자동적으로 내기 흡입 상태로 전환 시켜 쾌적한 실내 공기를 유지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외기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해 지역 통과 후 자동적으로 내기 흡입상태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자동차용 내·외기 전환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공조 턱트 시스템의 구조를 보여주는 구성도.
도 2는 일반적인 모드 스위치 및 흡기 스위치를 보여주는 정면도
도 3은 오염 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공조덕트 시스템의 구성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조턱트시스템 2 : 송풍기
3 : 필터 5 : 흡입 공기 덕트
5,7 : 게이트 밸브 6 : 고정부
8 : 흡기 스위치 8a : 내기 버튼
이 같은 목적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에 의해 달성되는 바,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르면, 자동차의 공조 덕트의 공기 흡입 덕트의 외기 흡입 통로에 설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도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를 포함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 유닛에 연결되어 흡입 공기 오염도를 수신하며,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흡입 덕트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의 작동을 결정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밸브를 작동 시키는 작동 유닛;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외기 자동 전환 장치가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면에 따르면, 상기 제어유닛은 흡기 스위치에 연결되어 각각의 선택 버튼에 전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외기 자동 전환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오염 공기 감지 센서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는 공조 덕트 시스템의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외기 전환장치는 검출유닛, 제어유닛 및 작동 유닛으로 구성된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검출유닛은 오염도 측정 센서(10a)를 포함하는 바, 이 같은 오염도 측정 센서(10a)는 공조 덕트 시스템의 흡입 덕트(4)에, 보다 상세하게는 흡입 덕트(4)의 외기 공기 흡입 통로(4a)의 내측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외기의 오염도를 측정한다.
이 같은 오염도 측정 센서(10a)는 예컨대, 산소 용존량 측정센서와 같은 다양한 측정센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같은 오염도 측정센서(10a)에 의해 측정된 오염도(A)는 검출유닛에 의해 제어유닛으로 송신된다.
상기 제어유닛은 검출유닛에 연결되어 오염도(A)를 수신한 후 이미 저장된 기준치와 비교한 후 내·외기 전환 여부를 결정한다.
상기 제어유닛에는 작동 유닛이 연결되는 바, 상기 작동 유닛은 상기 케이트밸브(5)를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 같은 작동유닛은 흡기 스위치(8)에 연결될 수 있어 각각의 조작 버튼(8a, 8b)의 조작 없이도 자동으로 케이트 밸브(5)를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유닛에는 송풍기(2)가 연결될 수 있어 내기 상태를 유지하는 중이라도 오염지역을 통과하는 경우에는 송풍기(2)의 회전수를 감소시켜 적은량의 오염 공기라도 유입되지 못하게 한다.
이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내·외기 자동 전환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운전자가 흡기 스우치 모드를 흡입 상태로 설정한 후 주행할 때 오염지역 또는 공해가 심한 지역을 통과하는 경우, 공조 덕트 시스템(1)의 흡입 덕트(4)로 흡입되는 외기의 오염도(A)가 오염도 측정센서(10a)에 의해 측정되어 검출유닛에 의해 제어 유닛으로 송신된다. 이후 이 같은 오염도를 수신한 제어유닛은 게이트 밸브(4)폐쇄 신호를 작동 유닛에 송신하거나, 또는 흡기 스위치의 내기 버튼(8a)에 전원을 공급하여 게이트 밸브(4)로 하여금 외기 흡입 통로(4a)를 차단하도록 한다. 이에따라 외기 흡입 통로(4a)는,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게이트 밸브(5)에 의해 완전 폐쇄되며, 내기 흡입 통로(4b)가 개방되어 내기가 자동차 실내를 순환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내·외기 전환 장치를 자동차 채용하면, 운전자가 외기 흡입 상태로 자동차를 주행하더라도 오염도에 따라 자동으로 내기 또는 외기 상태로 전환 될 수 있어 자동차의 실내공기의오염을 방지할 수 있어 실내 공기를 항상 쾌적한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가 이 같은 내기·외기 전환에 주의를 기울이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운전을 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에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Claims (2)

  1. 자동차의 공조 덕트(1)의 공기 흡입 덕트(4)의 외기 흡입 통로(4a)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의 오염도(A)를 측정하는 오염도 측정센서(10a)를 포함하는 검출유닛; 상기 검출 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오염도(A)를 수신하며, 상기 오염도에 따라 상기 흡입 덕트(4)에 설치된 게이트 밸브(5)의 작동을 결정하는 제어유닛; 상기 제어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게이트 밸브(5)를 작동 시키는 작동 유닛; 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내·외기 전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흡기 스위치(8)에 연결되어 각각의 선택 버튼(8a, 8b)에 전기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자동차용 내·외기 전환 장치.
KR1019970057539A 1997-10-31 1997-10-31 내기 외기 전환장치 KR1999003570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39A KR19990035706A (ko) 1997-10-31 1997-10-31 내기 외기 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7539A KR19990035706A (ko) 1997-10-31 1997-10-31 내기 외기 전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706A true KR19990035706A (ko) 1999-05-15

Family

ID=660865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7539A KR19990035706A (ko) 1997-10-31 1997-10-31 내기 외기 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70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46322B2 (ko)
KR19990035706A (ko) 내기 외기 전환장치
JP2003335121A (ja) 車両用空調装置のオート内外気制御装置
JPS5923721A (ja) カ−エアコン制御装置
JPS632805B2 (ko)
JPS6029319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9980011312U (ko) 자동차용 자동 내,외기 전환장치
KR100211376B1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9980011310U (ko) 자동차용 자동 내기 전환장치
KR200221965Y1 (ko) 공기정화 기능을 갖는 자동차의 공기특성 제어 시스템
JP2535938Y2 (ja) 換気兼用車内冷房装置
KR100453639B1 (ko) 자동차의 환기장치
JPH082594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00822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040053985A (ko) 차량 실내환기 시스템
KR100613713B1 (ko) 차량 내부의 자동 환기 제어 방법
JPH0538929A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200358426Y1 (ko) 자동차용 공조장치
KR20000000525A (ko) 자동차의 실내공기 자동환기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71723B1 (ko) 자동차용 차실공기 배출장치
JP2596838Y2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0401742B1 (ko) 차량의 가변형 댐퍼구조
KR100231565B1 (ko) 자동차용 냉난방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0153146B1 (ko) 자동차의 실내온도 자동조절방법
KR20050061087A (ko) 차량의 가변형 에어필터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