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106A - Car airbag structure - Google Patents

Car airbag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106A
KR19990035106A KR1019970056843A KR19970056843A KR19990035106A KR 19990035106 A KR19990035106 A KR 19990035106A KR 1019970056843 A KR1019970056843 A KR 1019970056843A KR 19970056843 A KR19970056843 A KR 19970056843A KR 19990035106 A KR19990035106 A KR 199900351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airbag
face
air bag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84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철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106A/en
Publication of KR199900351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106A/en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백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 백(7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에어 백(70)의 내부에 동일 재질의 칸막이(80)를 형성하여 쿠션부(90)와 팽창부(100)로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칸막이(80)에 다수의 통공(80a)을 형성하여 팽창부(100)에 소량의 가스가 쿠션부(90)로 배출되게 한 구성으로, 운전자의 안면이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 백에 부딪칠 때, 상기 쿠션부가 운전자의 안면과 에어 백간에 2차 충동을 완충 작용할 수 있는 특출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bag structure, in particular in forming an airbag 70 that is inflated by the explosion gas, by forming a partition 80 of the same material in the interior of the airbag 70 cushion portion ( 90) and the expansion part 100, and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80a are formed in the partition 80 so that a small amount of gas is discharged to the cushion part 90. When the driver's face hits an airbag that inflates momentarily, the cushion part is an exceptional invention that can cushion the secondary impulse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airbag.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백 구조Car airbag structur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백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방에 쿠션부를 둔 2중 구조의 에어 백을 형성하여 운전자의 안면이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 백에 부딪칠 때, 상기 쿠션부가 운전자의 안면과 에어 백간에 2차 충동을 완충작용으로 예방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백 구조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bag. In particular, the cushion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airbag when the driver's face hits an airbag that is momentarily inflated by forming a double-sided airbag having a cushion portion at the fro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hicle airbag structure which can prevent secondary impulses by buffering action.

일반적으로 에어 백 시스템은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와 스티어링 휠 사이 또는 조수석의 승객과 인스트러먼트 패널 사이에 순간적으로 에어 백을 부풀게 하여 운전자와 승객의 부상을 최소한도로 줄이기 위한 장치로서, 에어 백을 부풀게 하는 방식은 충돌시 센서가 전기적으로 감지하여 인플레이터에 통전, 착화하는 전기식과 감지 장치가 충돌을 검지하고 격침이 점화제를 발화시키는 기계식이 있다.In general, an air bag system is a device for minimizing inflation of the driver and passengers by inflating the air bag momentarily between the driver and the steering wheel or between the passenger seat and the instrument panel in the event of a vehicle crash. The inflation method is an electrical system in which a sensor is electrically sensed during a collision, and an electrical device that energizes and ignites the inflator and a mechanical device in which a detection unit detects a collision and a sinking fires an ignition agent.

그리고 에어 백의 설치 구조를 살펴보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센서(10)의 배선(20)과 연결된 인플레이터(30)를 갖는 에어 백 모듈(40)이 운전자의 안면과 대응되는 스티어링 휠(50) 및 인스트루먼트 패널(60)에 고정된 것으로, 그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installation structure of the airbag, as shown in FIG. 1, the airbag module 40 having the inflator 30 connected to the wiring 20 of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10 that detects the collision of the vehicle is located on the face of the driver. It is fixed to the steering wheel 50 and the instrument panel 60 corresponding to, and the operation thereof will be described as follows.

차량에 충돌이 발생될 때, 운전자는 관성력에 의해 전방으로 돌진한다. 이때, 충돌 감지 센서(10)가 충동을 감지하여 배선(20)을 통해 전기적인 신호를 에어 백 모듈(40)내에 매설된 인플레이터(30)로 전달하고,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전기적인 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방출하고, 상기 가스는 에어 백(70)을 부풀게 하여 운전자의 안면 쪽으로 펼쳐지게 한다. 그러므로 운전자의 안면은 팽창한 에어 백(70)의 중앙으로 부딪히게 되고, 이때 에어 백(70)은 운전자의 관성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소멸시켜 운전자의 안면과 차체간에 충돌을 차단한다.When a collision occurs in the vehicle, the driver rushes forward by the inertia force. At this time,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10 detects the impulse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inflator 30 embedded in the airbag module 40 through the wiring 20, the inflator 30 to the electrical signal By exploding and releasing gas, which inflates the air bag 70 and spreads it toward the driver's face. Therefore, the driver's face hits the center of the inflated air bag 70, and at this time, the air bag 70 absorbs the driver's inertial force and extinguishes it, thereby blocking a collision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vehicle body.

그러나 종래 에어 백(7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충돌시 밀폐된 공간내로 폭발가스를 순간적으로 유입시켜 팽창하기 때문에, 그에 따른 큰 내압을 갖고 있어 운전자의 안면이 팽창하는 에어 백(70)에 직접 부딪칠 경우에는 운전자의 안면과 차체간에 2차 충격이 발생하여 운전자의 부상을 더욱 가중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air bag 70 instantaneously introduces and explodes the explosive gas into the enclosed space during vehicle collision as shown in FIG. 2, the air bag 70 has a large internal pressure, thereby expanding the driver's face. In the case of directly hitting), a second impact occurs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vehicle body, thereby further increasing the driver's injury.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전방에 쿠션부를 둔 2중 구조의 에어 백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안면이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 백에 부딪칠 때, 상기 쿠션부가 운전자의 안면과 에어 백간에 완충작용으로 2차 충돌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above-mentioned conventional problems, by forming a double-structured airbag with a cushion portion in front, when the driver's face bumps the airbag to inflate momentarily, the cushion portion of the driver The aim is to prevent secondary collisions by cushioning the face and the air bag.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 백을 형성함에 있어서,In forming the air bag inflated by the explosion gas,

상기 에어 백의 내부에 동일 재질의 칸막이를 형성하여 쿠션부와 팽창부로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칸막이에 다수의 통공을 형성하여 팽창부에 소량의 가스가 쿠션부로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artition of the same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air bag to divide the space into a cushion portion and an inflation portion,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are formed in the partition so that a small amount of gas is discharged to the cushion portion.

도 1은 에어 백의 설치 상태를 보인 정면도.1 is a front view showing the installation state of the air bag.

도 2는 종래 에어 백의 측단면도.Figure 2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air bag.

도 3은 본 발명의 측단면도.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the drawings>

70 : 에어 백 80 : 칸막이70: air bag 80: partition

80a : 통공 90 : 쿠션부80a: through hole 90: cushion portion

100 : 팽창부100: expansion portion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설명에서 종래와 동일 또는 동등한 부분은 같은 도면의 부호로 표기하여 설명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ame or equivalent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하도록 밀폐된 에어 백(70)을 형성한 구성하되, 상기 에어 백(70)의 내부에 동일 재질의 칸막이(80)를 형성하여 운전자의 안면에 직접 접촉하는 쿠션부(90)와 상기 쿠션부(90)를 지지하기 위해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팽창부(100)로 공간을 구획한 구성이다.As shown in FIG. 3, the air bag 70 is formed to be sealed by the explosion gas, and a partition 80 of the same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air bag 70 to directly face the driver's face. In order to support the cushion unit 90 and the cushion unit 90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space is partitioned into an expansion unit 100 that expands with the explosive gas.

그리고 칸막이(80)에 다수의 통공(80a)을 형성하여 폭발가스에 의해 부피가 팽창한 팽창부(100)에 소량의 가스가 쿠션부(90)로 배출되게 한 구성이다.In additio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0a are formed in the partition 80 so that a small amount of gas is discharged to the cushion unit 90 in the expansion part 100 expanded in volume by the explosion gas.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1,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에 충돌이 발생될 때, 운전자는 관성에 의해 전방으로 돌진한다.When a collision occurs in the vehicle as shown in Figs. 1 and 3, the driver rushes forward by inertia.

이때, 충돌 감지 센서(10)는 충동을 감지하여 배선(20)을 통해 전기적 신호를 에어 백 모듈(40)내에 매설된 인플레이터(30)로 전달하고, 상기 인플레이터(30)는 전기 신호에 의해 폭발하여 가스를 방출한다.At this time, the collision detection sensor 10 detects an impulse and transmits an electrical signal to the inflator 30 embedded in the airbag module 40 through the wiring 20, and the inflator 30 is exploded by the electrical signal. To release the gas.

그리고 상기 가스는 에어 백(70)의 팽창부(100)로 유입됨에 따라 팽창부(100)는 부풀면서 운전자의 안면 쪽으로 펼쳐진다.As the gas flows into the inflating part 100 of the air bag 70, the inflating part 100 swells and expands toward the driver's face.

그리고 팽창부(100)내에 소량의 가스는 칸막이(80)에 형성된 다수의 통공(80a)을 통해 쿠션부(90)로 배출된다.And a small amount of gas in the expansion unit 100 is discharged to the cushion unit 90 throug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0a) formed in the partition (80).

이때, 칸막(80)이의 통공(80a)을 통해 쿠션부(90)로 배출되는 폭발가스는 인플레이터(30)에서 팽창부(100)로 유입되는 폭발가스량보다 적기 때문에 쿠션부(90)의 팽창 속도 및 내압은 팽창부(100)의 팽창 속도와 내압보다 느리고 적다.At this time, the explosion gas discharged into the cushion unit 90 through the through hole 80a of the partition 80 is less than the amount of explosion gas flowing into the expansion unit 100 from the inflator 30, and thus the expansion speed of the cushion unit 90 is increased. And the internal pressure is slower and smaller than the expansion speed and the internal pressure of the expansion part 100.

그러므로 운전자의 안면이 쿠션부(90)에 충동할 때, 상기 쿠션부(90)은 운전자의 관성력을 흡수함과 동시에 운전자의 안면과 에어 백(70)간에 2차 충돌에 대한 완충작용을 한다.Therefore, when the driver's face impinges on the cushion unit 90, the cushion unit 90 absorbs the driver's inertial force and at the same time cushions the secondary collision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airbag 70.

또한, 팽창부(100)는 운전자의 안면과 차체간에 충돌을 차단하여 운전자의 부상을 최소한으로 줄인다.In addition, the expansion unit 100 blocks collision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vehicle body to reduce the injury of the driver to a minimum.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전방에 쿠션부를 둔 2중 구조의 에어 백을 형성함으로써, 운전자의 안면이 순간적으로 팽창하는 에어 백에 부딪칠 때, 상기 쿠션부가 운전자의 안면과 에어 백간에 2차 충동을 완충작용으로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double airbag having a cushioning portion at the front, so that when the driver's face hits the airbag that is momentarily inflated, the cushioning portion generates a secondary impulse between the driver's face and the airbag. There is an effect that can be prevented by buffering.

Claims (1)

폭발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 백(70)을 형성함에 있어서,In forming the air bag 70 inflated by the explosion gas, 상기 에어 백(70)의 내부에 동일 재질의 칸막이(80)를 형성하여 쿠션부(90)와 팽창부(100)로 공간을 구획하고, 상기 칸막이(80)에 다수의 통공(80a)을 형성하여 팽창부(100)에 소량의 가스가 쿠션부(90)로 배출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백 구조.A partition 80 of the same material is formed inside the air bag 70 to partition the space into the cushion unit 90 and the expansion unit 100, and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80a are formed in the partition 80. The airbag structur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a small amount of gas to the expansion unit 100 is discharged to the cushion unit (90).
KR1019970056843A 1997-10-31 1997-10-31 Car airbag structure KR1999003510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843A KR19990035106A (en) 1997-10-31 1997-10-31 Car airbag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843A KR19990035106A (en) 1997-10-31 1997-10-31 Car airbag structur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106A true KR19990035106A (en) 1999-05-15

Family

ID=66048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843A KR19990035106A (en) 1997-10-31 1997-10-31 Car airbag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106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50092B2 (en)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US20100171295A1 (en) Driver&#39;s air bag
KR19990035106A (en) Car airbag structure
JPH02200548A (en) Air bag structure for automobile
KR100512427B1 (en) Airbag in vehicle
JPH01314646A (en) Air bag device for vehicle
KR100380401B1 (en) Decompression type air bag for automobiles
KR100228103B1 (en) Duplicate air bag
KR100383954B1 (en) an air bag of vehicles
JP3558866B2 (en) Airbag device
KR100305927B1 (en) Side air bag for automobiles
JPH09109825A (en) Air bag system
KR20030026468A (en) Tether and vent-hole connection type airbag-cusion for automobile
KR100391610B1 (en) An air-bag system of explosion reducing type
KR100622119B1 (en) Passenger air bag module for car
KR0114406Y1 (en) Air bag for a vehicle
KR19980048845U (en) Instrument-mounted driver&#39;s seat airbag
KR100285808B1 (en) Car airbag cushion device
KR100643585B1 (en) Cushion of an air-bag for vehicles
KR19980064968U (en) Double airbag cushion for car
KR19980038817A (en) Front glass deployment airbag device with opening
KR20030075768A (en) The gas exhausting structure of air-bag
KR19980049064A (en) Gas emission control device for automotive airbag module
KR19990051052A (en) Side airbag
KR19980048826U (en) Simultaneous airbag protection for driver and passeng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SUBM Surrender of laid-open application reques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