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5093A -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 Google Patents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5093A
KR19990035093A KR1019970056830A KR19970056830A KR19990035093A KR 19990035093 A KR19990035093 A KR 19990035093A KR 1019970056830 A KR1019970056830 A KR 1019970056830A KR 19970056830 A KR19970056830 A KR 19970056830A KR 19990035093 A KR19990035093 A KR 19990035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ulley
crankshaft
coupled
corrugated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83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규석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6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5093A/en
Publication of KR19990035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5093A/en

Links

Landscapes

  • Pulleys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크랭크 샤프트의 풀리 및 벨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양측면 원주상에 외측 파형치면을 형성하고, 풀리의 원주 홈 대향측면에 원추상으로 상기 벨트의 파형곡면에 결합되는 내측 파형치면을 형성한 구조를 갖도록하여 벨트가 풀리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코자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갖는 크랭크 샤프트의 풀리 및 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 and a belt structure of a crankshaft having an anti-slip function, and in particular, an outer corrugated surface is formed on both side circumferences of the belt, and con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surface of the belt in a conical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pulle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 and a belt structure of a crankshaft having a non-slip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corrugated surface is formed so as to prevent the belt from slipping on a loose surface.

Description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크랭크 샤프트의 풀리 및 벨트 구조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본 발명은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크랭크 샤프트의 풀리 및 벨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의 양측면 원주상에 외측 파형치면을 형성하고, 풀리의 원주 홈 대향측면에 원추상으로 상기 벨트의 파형곡면에 결합되는 내측 파형치면을 형성한 구조를 갖도록하여 벨트가 풀리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코자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구조를 갖는 크랭크 샤프트의 풀리 및 벨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 and a belt structure of a crankshaft having an anti-slip function, and in particular, an outer corrugated surface is formed on both side circumferences of the belt, and con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surface of the belt in a conical shape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pulle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ulley and a belt structure of a crankshaft having a non-slip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n inner corrugated surface is formed so as to prevent the belt from slipping on a loose surface.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에는 각종 벨트가 구비되어 있다.Generally, various belts are provided in the engine of a vehicle.

이는 엔진의 출력을 이용하여 차량의 부수장비를 운용하고, 아울러 차량의 각종 전장품에 전원을 인가하는 동력을 만들거나 또는 냉각장치를 운용하기 위해서 이다.This is to operate the auxiliary equipment of the vehicle by using the output of the engine, and to create a power for applying power to various electrical appliances of the vehicle or to operate a cooling device.

이를 위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동력전달 수단으로써 브이 벨트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브이 벨트는 그 수명을 오래 보장하기 위해 특수하게 설계되어 지는 것이 일반적이다.To this end, V-belts are widely used as a power transmission means for transmitting power, and these V-belts are generally specially designed to ensure long life.

도 1은 일반적인 브이 벨트의 단면도로써, 최상단에는 3개층의 상범포(1)가 위치하고, 그 다음단에는 항장체를 내장하는 접착고무(2)가 위치하며, 상기 접착고무 내부에는 벨트의 강성을 높이기 위한 항장체(3)가 포함되고, 그 하단에는 풀리와 경계가 되는 심선(4)이 위치하고, 그 하단에는 단섬유로 이루어진 심고무(5)가 위치하며, 최하단에는 면범포(6)로 이루어진 하범포가 위치한다.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V-belt, and three layers of upper cover fabrics (1) are positioned at the top end, and an adhesive rubber (2) incorporating an extension body is located at the next stage, and the rigidity of the belt is inside the adhesive rubber. An increase body (3) is included, and at the bottom thereof, a core wire (4) which is bounded by a pulley is positioned, and at the bottom thereof, a core rubber (5) made of short fibers is placed, and at the bottom thereof, a cotton cloth (6) is provided. It is located in the lower bomb.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일반적인 브이 벨트는 항장체(3)가 풀리 접촉면 바로 하단에 위치한 상태에서 동력전달을 위해 엔진의 동력을 기타 장비로 연결한다.The general V-belt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connects the power of the engine to other equipment for power transmission in the state where the article 3 is located just below the pulley contact surface.

이때 상기 항장체(3)는 브이 벨트에 강성을 주어 브이 벨트가 쉽게 소손되는 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At this time, the article 3 serves to suppress the V-belt is easily burned by giving the V-belt rigidity.

따라서 브이 벨트는 항장체에 풀리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연속적인 회전운동으로 엔진의 동력을 변화시켜 다른 기타 장비들에 동력을 제공하거나 알터네이터의 모터를 회전시켜 전기를 일으킴으로써 차량에 필요한 에너지원을 제공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되고 있다.Therefore, the V-belt changes the power of the engine in a continuous rotational motion in contact with the pulley to provide power to other equipment or to generate electricity by rotating the alternator's motor to provide the necessary energy source for the vehicle. It becomes the driving force to do it.

도 2a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에 각종 벨트가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2b는 결합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개략도로써, 도시한 바와같이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에는 발전기 벨트(11)와 에어콘 콤프레셔 벨트(12) 및 파워 스티어링 펌프 벨트(13) 등이 결합되고(이하 벨트는 11로 표기함), 여기서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은 브이(V)홈(10a)이 일정개수 형성된 상태이며, 상기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벨트(11)의 내주면에는 상기 브이(V)홈(10a)에 결합될 수 있도록 브이자형 돌출부(11a)가 일정개수 형성되어 있다.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at the various belts are coupled to the crankshaft pulley, 2b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coupling state, as shown in the crankshaft pulley 10, the generator belt 11 and the air conditioner compressor belt ( 12) and the power steering pump belt 13 and the like (hereinafter referred to as 11 belt), wherei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is a state where a certain number of V (V) groove (10a) is formed, On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11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a number of v-shaped protrusions 11a are formed to be coupled to the V-groove 10a.

상기와 같은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은 브이자형 홈 구조(10a)로 제작되고 상기 발전기 벨트(11)와 에어콘 콤프레셔 벨트(12) 및 펌프 벨트(13) 등의 벨트 내주면에는 상기 크랭크 샤프트 풀리의 브이자형 홈 구조에 삽입 가능토록 볼록 돌출구조(11a)가 형성되기 때문에 벨트(11)가 풀리(10)의 외부로 벗어남이 없이 적절히 결합되어 유동된다.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as described above is made of a V-shaped groove structure 10a, and the crankshaft pulley is formed on the belt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s of the generator belt 11, the air conditioner compressor belt 12, the pump belt 13, and the like. Since the convex protruding structure 11a is formed to be inserted into the V-shaped groove structure of the belt 11, the belt 11 is appropriately coupled and flows without leaving the outside of the pulley 10.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그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 및 이에 결합되는 벨트(11)의 외주면은 일직선상으로 그 형상이 단순히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측면은 밋밋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 순간토크 발생시 미끄럼 현상이 나타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grank shaft pulley 10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11 coupled thereto are simply extended in a straight line so that the side surface is flat and slippage occurs when momentary torque occurs. There is a problem appearing.

즉,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은 브이자 홈(10a)이 원주에 감겨있고 벨트(11)의 내주면은 돌출구조(11a)로 원주에 감겨있기 때문에 순간 가속도에 의해서 벨트(11)의 회전속도가 풀리(11)의 회전속도를 따라가지 못할 시에는 풀리(11)가 헛돌게 되어 미끄러짐이 발생되는 것이다.That is, sinc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of the V-shaped groove 10a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11 is wound around the circumference with the protrusion structure 11a, the belt 11 is rotated by the momentary acceleration. When the speed does not follow the rotational speed of the pulley 11, the pulley 11 is in vain and slippage occurs.

이는 관성의 제 1 법칙으로도 설명할 수 있는바, 풀리는 계속 회전하려는 성질을 가지고 있고 벨트는 정지하려는 힘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측면에서 벨트를 고정시키는 힘이 없는한, 풀리를 순간적으로 가속하여 회전 시키고 이때 벨트의 정지하려는 힘이 더 높아지면 벨트는 계속 정지하려 하기 때문에 풀리에서 미끄러 진다.This can be explained by the first law of inertia, because the pulley has the property to keep rotating and the belt has the force to stop, so as long as there is no force to fix the belt on the side, At this time, if the belt tries to stop higher, the belt slides on the pulley because it tries to stop.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를 해결코자 창안된 것으로, 크랭크 샤프트 풀리의 측면구조를 변형하고, 상기 크랭크 샤프트 풀리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벨트의 측면구조를 변형하여 벨트의 측면을 고정시키는 힘을 갖도록하여 엔진의 순간토크 발생시에도 크랭크 샤프트 풀리 외주면에서 미끄럼 현상이 발생하는 것을 막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ised to solve this problem, and the side structure of the crankshaft pulley is modified, and the side structure of the belt coupled to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is modified to have a force to fix the side of the engin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event slippage from occurring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even when momentary torque is generated.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As a mean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본 발명은 벨트의 양측면 원주상에 외측 파형치면을 형성하고, 풀리의 원주 홈 대향측면에 원추상으로 상기 벨트의 파형곡면에 결합되는 내측 파형치면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uter corrugated surface is formed on both side circumferences of the belt, and the inner corrugated surface is concentr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surface of the belt on the circumferential groove facing side of the pulley.

도 1은 일반적인 벨트 단면도.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general belt.

도 2a는 일반적인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벨트의 분해 사시도.Figure 2a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typical crankshaft pulley and belt.

2b는 일반적인 크랭크 샤프트 풀리와 벨트의 결합도.2b is the coupling of the belt with a conventional crankshaft pulley.

도 3은 본 발명의 풀리 일부 평면도 및 벨트 개략도.3 is a partial plan view and belt schematic view of the pulley of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s>

1: 상범포 2: 접착고무1: upper cover 2: adhesive rubber

3: 항장체 4: 심선3: antibody 4: core wire

5: 심고무 6: 면범포5: deep rubber 6: cotton cloth

10: 크랭크 샤프트 풀리 11: 벨트10: crankshaft pulley 11: belt

이하 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종래와 같은 기술부분은 동일번호로써 기재한다.Hereinafter, a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give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and the same technical parts as in the prior art will be described with the same numbers.

도 3은 본 발명의 크랭크 샤프트 풀리 벨트 개략도로써,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와 결합되는 발전기 벨트(11)와 에어콘 콤프레셔 벨트(12) 및 파워 스티어링 벨트(13)에 있어서, 상기 벨트(11)의 양측면 원주상에 외측 파형치면(11b)을 형성하고, 풀리(10)의 원주 홈 대향측면에 원추상으로 상기 벨트의 파형곡면에 결합되는 내측 파형치면(10b)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다.3 is a schematic view of the crankshaft pulley bel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generator belt 11, the air conditioner compressor belt 12 and the power steering belt 13 coupled with the crankshaft pulley 10, The outer corrugated tooth surface 11b is formed on both side circumferences, and the inner corrugated tooth surface 10b which is con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curved surface of the said belt is formed on the opposing side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pulley 10.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은,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브이자 홈 구조(10a)는 그대로 유지한체 측면의 형상을 변형시킨 것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내측 파형치면(10b)을 형성한 것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he V-groove structure (10a)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10a) is modified to maintain the shape of the side surface of the body as it is. It is formed.

이와 더불어 상기 풀리(10)의 내측 파형치면(10b)에 결합할 수 있도록 벨트(11)의 측면 구조를 외측 파형치면(11b) 형태로 제작한다. 이때에도 역시 벨트(11) 내주면의 돌출구조(11a)는 그대로 유지하며 다만 벨트(11)의 양 측면의 구조를 외측 파형치면 형태로 제작한 것이다.In addition, the side structure of the belt 11 is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outer corrugated surface 11b so as to be coupled to the inner corrugated surface 10b of the pulley 10. In this case, too, the projecting structure 11a of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11 is maintained as it is, but the structures of both sides of the belt 11 ar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n outer corrugated surface.

상기와 같은 제작 구조를 갖게되면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외주면과 벨트(11)의 외주면은 좀더 견고하게 부착되어 크랭크 샤프트(10)의 순간적인 유동에도 불구하고 벨트(11)의 유동은 발생하지 않게 된다.When the manufacturing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has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and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belt 11 are more firmly attached, the flow of the belt 11 does not occur despite the instantaneous flow of the crankshaft 10. Will not.

즉, 종래에는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측면과 이에 결합되는 벨트(11)의 측면이 밋밋한 구조이기 때문에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회전속도와 벨트(11)의 회전속도가 맞지 않으면 벨트(11)의 미끄러짐이 발생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의 측면이 밋밋한 형태가 아니고 치형 구조를 이루고 있으며, 아울러 상기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와 결합되는 벨트(11)의 측면도 치형 구조를 이루고 있기 때문에, 만약 이들이 결합후 크랭크 샤프트가 순간속도가 증가하더라고 벨트가 미끄러지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That is, since the sid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and the side of the belt 11 coupled to the conventional structure is flat, if the rotational speed of the crankshaft pulley 10 does not match the rotational speed of the belt 11, the belt 11 Slip may occur,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a dull side of the crankshaft pulley (10) has a tooth structure, and also the side of the belt 11 coupled to the crankshaft pulley (10) is a tooth structure. Because of this, the belt does not slip if the crankshaft increases the instantaneous speed after joining.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은 벨트의 양측면 원주상에 외측 파형치면을 형성하고, 풀리의 원주 홈 대향측면에 원추상으로 상기 벨트의 파형곡면에 결합되는 내측 파형치면을 형성한 구조를 갖도록하여 벨트가 풀리면에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outer corrugated surface is formed on both side circumferences of the belt, and the inner corrugated surface is concentr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curved surface of the belt on the opposite side of the circumferential groove of the pulley. It provides the effect of preventing slipping on the pulley surface.

Claims (1)

크랭크 샤프트 풀리(10)와 결합되는 발전기 벨트(11)와 에어콘 콤프레셔 벨트(12) 및 파워 스티어링 벨트(13)에 있어서,In the generator belt 11, the air conditioner compressor belt 12, and the power steering belt 13 coupled with the crankshaft pulley 10, 상기 벨트(11)의 양측면 원주상에 외측 파형치면(11b)을 형성하고, 풀리(10)의 원주 홈 대향측면에 원추상으로 상기 벨트의 파형곡면에 결합되는 내측 파형치면(10b)을 형성한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끄럼 방지 기능을 갖는 크랭크 샤프트의 풀리 및 벨트 구조.The outer corrugated surface 11b is formed on both side circumferences of the belt 11, and the inner corrugated surface 10b is conically coupled to the corrugated curved surface of the belt on the circumferential groove facing side of the pulley 10.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a crankshaft having an anti-slip function, having a structure.
KR1019970056830A 1997-10-31 1997-10-31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KR19990035093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830A KR19990035093A (en) 1997-10-31 1997-10-31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830A KR19990035093A (en) 1997-10-31 1997-10-31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5093A true KR19990035093A (en) 1999-05-15

Family

ID=66048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830A KR19990035093A (en) 1997-10-31 1997-10-31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5093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37230B1 (en) Serpentine drive with coil spring alternator connection
EP2668412B1 (en) Isolating decoupler
JP6490479B2 (en) Alternator damper pulley for vehicles
DE60210003D1 (en) Driving belt and this using continuously variable transmission
CA2465338A1 (en) Damped accessory drive system including a motor/generator
GB2382552A (en) Electric machine with integrated wet clutches
KR19990035093A (en) Pulley and belt structure of crankshaft with anti-slip function
JPS5922255Y2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power transmission device
KR910004963A (en) Belt transmission for compact shovel cars
KR940018515A (en) Driving device of combined washing machine
JP3771166B2 (en) Belt transmission and pulley
KR19980023993U (en) Belt burnout prevention belt shape
JP4139962B2 (en) Resin pulley
KR19980044681U (en) Car timing belt
JP2002039291A (en) V-ribbed belt driver
JP2003056677A (en) One-way clutch pulley
KR100581424B1 (en) Pully structure of alternator which is effective on improvement of belt slip
KR970001996Y1 (en) Engine pully structure
JP4693154B2 (en) Transmission flat belt
JP2023042079A (en) Auxiliary machine belt, pulley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05249107A (en) V-ribbed belt
JPH0125797Y2 (en)
KR950008270A (en) Oil pump pulley in power steering
KR830009956A (en) Power train
KR100229901B1 (en) Engine drive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