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724U - 엘리베이터용푸시버튼의구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푸시버튼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724U
KR19990034724U KR2019990004093U KR19990004093U KR19990034724U KR 19990034724 U KR19990034724 U KR 19990034724U KR 2019990004093 U KR2019990004093 U KR 2019990004093U KR 19990004093 U KR19990004093 U KR 19990004093U KR 19990034724 U KR19990034724 U KR 1999003472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utton
elevator
case
knob
panel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040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34990Y1 (ko
Inventor
배임한
이주명
Original Assignee
배종진
주식회사 태원기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종진, 주식회사 태원기전 filed Critical 배종진
Priority to KR20199900040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34990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72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724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3499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34990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461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 B66B1/46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or profile facilitating maintenance, installation, removal, replacement or rep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46Adaptations of switches or switchgear
    • B66B1/52Floor sele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운전반 표판의 정면에서 푸시-버튼을 조립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것이다. 이러한 푸시 버튼의 구조는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택트 스위치 및 LED가 탑재된 PCB와, 상기 PCB가 조립되고 내측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리브들이 상향 돌출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양측단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 버튼을 상기 운전반 표판의 정면에서 조립하기 위한 고정용 후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누름용 돌기가 저면에 형성된 노브와, 상기 케이스의 각 리브에 끼워지며 상기 노브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들과, 상기 노브의 상면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표시하는문자판으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STRUCTURE OF PUSH BUTTON FOR ELEVATOR}
본 고안은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구조의 단순화 및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엘리베이터 푸시 버튼은 전원의 온/오프 동작이 이루어지는 택트 스위치 및 LED가 장착됨과 동시에 복수개의 나사구멍을 가지는 인쇄회로기판(이하 "PCB"라 함)과, 상기 택트 스위치 상부에 위치된 판스프링을 누름 가압하는 다수개의 누름핀이 직립 형성된 슬라이더를 내장한 프레임과, 상기 슬라이더의 상부에 위치되어 층수를 표시하는 문자판과, 상기 문자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프레임에결합되는 가이드체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기술로서는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98-34160호(명칭: 엘리베이터 스위치) 및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98-54211호(명칭: 엘리베이터 스위치)가 있다.
이러한 선출원 공개 실용신안들은 푸시 버튼 구조의 박형화를 구현하지 못하였던 종래의 엘리베이터 푸시 버튼에 비해서는 나름대로 유용한 것임에는 분명하다.
하지만, 상기의 공개 실용신안들은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을 판스프링과 저면에 4개의 돌기체들이 형성된 별도의 쉐이드를 사용함으로써 스위치구조의 슬림화(박형화)를 제대로 구현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시 판스프링의 변형으로 인해 접점 상태가 불량한 단점이 예상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공개 실용신안들은 엘리베이터 스위치를 운전반의 표판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우선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반 표판 의 배면(200b)에 건용접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볼트(210)를 용접한 다음, 운전반표판의 배면(200b) 쪽에서 푸시-버튼(300)의 전방부를 표판의 구멍(202)에 끼운다.이후 상기 푸시-버튼(300)의 양측단에 형성된 구멍(300a)을 통해 돌출된 볼트(210)에 너트(302)로 체결시켜 푸시-버튼(300)을 운전반 표판의 배면(200b)에 설치하였다. 부가적으로 이러한 설치작업은 국내 공개 실용공보 제96-22482(엘리베이터용 푸시버튼 스위치) 및 공개번호 제98-17982호(엘리베이터 버튼구조)에 상세히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 설치작업은, 용접작업 및체결작업 등의 별도의 공정이 요구되어 작업시간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품의 원가 상승 및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운전반 표판의 배면에 볼트를 용접시키기 위하여 부수적인 작업이 요구되며, 또한 용접시 조금이라도오차가 발생하게 되면 푸시-버튼을 설치할 수 없게 되는 단점이 발생하게 된다.
한편, 국내 공개 실용신안공보 제95-18623호(이하 "선행기술")에는 운전반의표판에 나사작업으로 푸시-버튼을 조립하지 않고 프레임과 케이스로 구성하여 표판의 전/후에서 조립시키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이 공개된 바가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은 푸시 버튼의 구조가 복잡할 뿐만 아니라 외형 사이즈(size)가 커서 엘리베이터 문(door) 열림과 닫힘에 제약이 따르는 단점이 예상된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은 운전반 표판의 전/후방에서 푸시-버튼을 조립시킴으로써 조립 시간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2명의 작업자가 조립 및 분해를 해야하기 때문에 생산성의 감소 및 작업의 번거로움을 야기시켰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운전반표판의 정면에서 푸시-버튼을 조립시킬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를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구조의 단순화 및 슬림화를 구현할 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반 표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조립할수 있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운전반 표판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한 엘리베이터용푸시 버튼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제1견제에 따른 본 고안은,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택트 스위치 및 LED가 탑재된 PCB와, 상기 PCB가 조립되고 내측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리브들이 상향 돌출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양측단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 버튼을 상기 운전반 표판의 정면에서 조립하기 위한고정용 후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고 상기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누름용 돌기가 저면에 형성된 노브와, 상기 케이스의 각 리브에 끼워지며 상기 노브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들과, 상기 노브의 상면에 결합되어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표시하는 문자판으로 구성된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을 구현하였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정면 삽입방식을 가지는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2는 상기 도 1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을 운전반 표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후크의 구조를 도시한 부분 사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에서 판스프링 구조를 일측단에 가지는 고정용 후크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에서 판스프링 구조를 양측단에 가지는 고정용 후크의 형상을 나타낸 부분 사시도.
도 7a는 본 고안의 푸시-버튼을 운전반 표판의 정면에서 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 7b는 상기 도 7a의 배면도.
도 8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을 운전반 표판의 배면에서조립하는 과정을 나타낸 개략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노브 16: 후크
20: 누름용 돌기 22: 케이스
30: 스프링 50,60,70: 고정용 후크
52,62,72: 걸림턱 64: 제1텐션부
74: 제2텐션부 76: 제3텐션부
100; 푸시-버튼 200a: 표판 정면
200b: 표판 배면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동일한 부호가 사용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고안의 요지를 흐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초박형 정면 삽입방식을 가지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도면에서, 본 고안의 푸시-버튼(100)은 크게 2부분으로 구성되며, 이는 운전반 표판의 정면(200a)에서 푸시-버튼(100)을 조립할 수 있도록 고정용 후크(50)들이 일체로 형성된 케이스(22) 및 상기 케이스(22)의 내부에 결합되어 택트 스위치(40)를 스위칭하는 노브(12)로 구성된다.
즉, 도 1과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PCB(38)의 저면에는 각종 소자(도시하지 않음)들이 실장되어 있으며 상단 중앙 부분에는 접점부(40a)를 가지는 택트 스위치(40)가 실장된다. 상기 택트 스위치(40)의 상측으로는 중앙부에 구멍(36)을 가지는 플레이트(32)가 설치되며, 상기 플레이트(32)의 상단 각 모서리 부분에는 소형 LED(34)가 부착된다. 여기서 상기 택트 스위치(40)의 접점부(40a)는 상기 플레이트(32)의 구멍(36)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어진다.
그리고, 이러한 PCB(38)는 케이스(22)의 저면에 나사로 조립되며, 중앙부에는 플레이트(32) 및 택트 스위치(40)의 접점부(40a)가 돌출되기 위한 개구부(24)가형성된다. 상기 개구부(24)의 둘레면에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2)의 내측면각 모서리 부분에는 리브(26)들이 위로 신장 형성되며, 상기 각 리브(26)에는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는 스프링(30)이 끼워지게 된다. 이러한 리브(26)는 스프링(30)의유동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노브(12)의 끼임 현상을 없애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한다.
또한 상기 케이스(22)의 양측면(도 1에서는 길이가 긴 가로방향의 면을 말함)에는 사각형 모양의 구멍(28)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28)에는 후술하는 노브(12)의 후크(16)가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구멍(28) 및 후크(16)는 적어도 2개 이상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2)의 한쪽면에 각각 2개씩 총 4개의 구멍(28)이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22)의 전/후 양측단 모서리에는 본 고안의 주요 구성요소인 고정용 후크(50)가 형성되며, 이는 푸시-버튼(100)을 운전반 표판의 정면(200a)에서조립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며 또한 상기 푸시-버튼(100)이 표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고정용 후크(50)의 형상 및 구조는도 4 내지 도 6에 의해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을 운전반 표판에고정시키기 위한 고정용 후크의 형상을 도시한 부분 사시도로서, 상기 고정용 후크(50)는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도록 "〈"모양으로 절곡져 형성되고 그 양측단은 상기 케이스(22)의 상/하단에 연결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2)와 일체로 사출 성형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2)와 고정용 후크(5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50a)가 형성되며, 이는 푸시-버튼(100)이 운전반 표판의 정면(200a)에서 조립될 때 파손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후크(50)의 상측 표면에는 다수개의 걸림턱(52)들이 위/아래로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걸림턱(52)들은 운전반 표판(2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 타입으로 형성된다. 즉, 상기 걸림턱(52)들을 다단계식으로 형성하게 되면 운전반 표판(200)의 두께, 예를 들어 1.5mm, 2mm, 3mm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결합 및 분해될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에서 일측단이 판스프링 구조로형성된 고정용 후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정용 후크(60)는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도록 절곡져 있으며 그 양측단은 케이스(22)의 상/하단에 연결 형성된다. 이때 상기 케이스(22)와 고정용 후크(6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60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후크(60)의 일측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2)의 하단면과 연결 형성된 부분에는 판스프링 타입의 제1텐션부(64)가 "∠"형상으로 절곡져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도 4에 도시한 고정용 후크(50)의 텐션력보다 높은 텐션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푸시-버튼(100)을 여러번 착탈시켜도 고정용 후크(60)의 걸림턱(62)들이 파손되지 않고 항상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후크(60)의 상측 표면에는 운전반 표판(2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식으로 걸림턱(62)들이 형성되며, 이는 상기 운전반 표판(200)의 두께에 관계없이 용이하게 푸시-버튼(100)을 착탈시키기 위함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푸시 버튼에서 양측단이 판스프링 구조로형성된 고정용 후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고정용 후크(70)는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도록 절곡져 있으며 그 양측단은 케이스(22)의 상/하단에 연결 형성된다. 이때상기 케이스(22)와 고정용 후크(70)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부(70a)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고정용 후크(70)의 양측단, 바람직하게는 상기 케이스(22)의 상단면과 하단면과 연결 형성된 부분에는 판스프링 타입의 제2텐션부(74)와 제3텐션부(76)가"∠"형상으로 절곡져 형성되어 있으며, 이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고정용 후크(50,60)의 텐션력보다 높은 텐션력을 가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상기 푸시-버튼(100)을 여러번 착탈시켜도 고정용 후크(70)의 걸림턱(72)들이 파손되지 않고 항상 최초의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용 후크(70)의 상측 표면에는 운전반 표판(200)의 두께에 대응할 수 있도록 다단계식으로 걸림턱(72)들이 형성된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케이스(22)의 내부에는 반투명 재질의 노브(12)가 조립되며, 그 양측단으로는 케이스(22)의 구멍(28)에 결합되는 후크(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즉, 상기 노브(12)에는 상기 케이스(22)의 구멍(28)과 마찬가지로 한쪽면에 2개씩 총 4개의 후크(16)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노브(12)의 상단부에는 소정 깊이의 안착홈(14)이 형성되고, 상기 안착홈(14)에는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표시하는 문자판(10)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노브(12)의 저면 각 모서리 부분에는 고정돌기(18)들이 형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돌기(18)는 케이스(22)에 형성된 노브(26)와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는 상기 노브(26)에 끼워진 스프링(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상기 노브(12)의 저면 중앙부에는 반구(半球) 모양으로 형성된 누름용 돌기(20)가 돌출 형성되며, 상기 누름용 돌기(20)는 택트 스위치(40)의 접점부(40a)를 가압하여 택트 스위치(40)를 스위칭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을 누르게 되면, 바람직하게는 노브(12)를 푸싱하게 되면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노브(12)는 아래로이동하게 되며, 그로 인해 4개의 스프링(30)은 압축되어진다. 이어서 노브(12)의 누름용 돌기(20)는 택트 스위치(40)의 접점부(40a)를 누르게 되며, 이에 따라 택트스위치(40)는 스위칭 "온"되며 이와 동시에 LED(34)는 점등된다. 이때 발광된 LED(34)의 빛은 노브(20)의 테두리 및 문자판(10)을 통해 외부로 발광되며, 그로 인해 사용자는 이를 외부에서 식별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노브(12)에 가해진 힘을 제거하게 되면, 상기 노브(12)는 스프링(30)의 탄성력에 의해 최초의 위치로 복귀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기능 및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설치작업 과정을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우선, 도 7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운전반 표판의 정면(200a)에는 다수개의 구멍(202)들이 규칙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멍(202)에는 층수 및 도어의 닫힘 및 열림상태를 알리는 푸시-버튼(100)이 조립된다.
이후, 상기 푸시-버튼(100)을 표판(200)에 설치하고자 할 때는 먼저, 푸시-버튼(100)의 저면, 바람직하게는 PCB(38)가 설치된 케이스(22)를 운전반 표판의 정면(200a)에서 그대로 삽입시킨다. 그러면 상기 푸시-버튼(100)은 단순히 운전반 표판(200)에 설치된다. 즉, 상기 푸시-버튼(100)을 밀어 넣게되면 고정용 후크(50)는소정의 텐션력으로 압축되면서 표판의 배면(200b) 쪽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어서 상기 고정용 후크(50)는 복원력에 의해 원상태로 복귀됨과 동시에 걸림턱(52)에 의해 운전반 표판(200)에 고정 실치되어진다.
이와 반대로, 푸시-버튼(100)을 운전반 표판(200)으로부터 분리시키고자 할때는, 단순히 드라이브 혹은 송곳 등으로 고정용 후크(50)를 누른 다음에 푸시-버튼(100)을 전방으로 빼내면 된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구조의 단순화 및 초슬림화를 구현함으로써 재료비 및 조립비를 절감할 수 있으며, 또한 푸시 버튼 전체를 엘리베이터의 운전반에 별도의 추가공정 없이 직접 정면에서 조립할 수 있기 때문에 노무비의절감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푸시 버튼의 전체 두께를 최소화시킴으로써 상기 푸시 버튼과 엘리베이터 도어와의 간섭 현상을방지할 수 있다.
특히, 본 고안은 간단한 지렛대 방식을 취함으로써 운전반 표판으로부터 착탈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유지 보수가 간편하며, 또한 운전반 표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푸시 버튼을 견고히 조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노브를 4개의 리브와 스프링으로 지지함으로써 노브의 끼임 현상을 없애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상승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엘리베이터의 운전반 표판에 조립되는 푸시 버튼의 구조에 있어서,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택트 스위치 및 LED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과;
    상기 인쇄회로기판이 조립되며, 내측면 둘레면을 따라 적어도 2개 이상의 리브들이 상향 돌출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양측단의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푸시 버튼을 상기 운전반 표판의 정면에서 조립하기 위한 고정용 후크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조립되며, 상기 택트 스위치를 스위칭하는 누름용 돌기가 저면에 형성된 노브와;
    상기 케이스의 각 리브에 끼워지며, 상기 노브를 항상 최초의 위치로 복귀시키는 스프링들과;
    상기 노브의 상면에 결합되며, 엘리베이터의 층수를 표시하는 문자판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는 상기 노브의 끼임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 각 모서리 부분에 형성되며, 상기 노브의 저면에는 상기 리브에 끼워진 스프링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 돌기들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후크는 소정의 텐션력을 가지도록 절곡져 형성되고, 상기 고정용 후크의 양측단은 상기 케이스의 상/하단에 일체로 연결 형성된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후크는 상기 푸시 버튼이 상기 운전반 표판으로부터 용이하게 착탈되도록 적어도 일측단이 소정의 탄성변형을 가지는 판스프링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용 후크의 표면에는 상기 푸시 버튼이상기 운전반 표판의 두께에 관계없이 착탈되도록 다수개의 걸림턱들이 단계적으로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용 돌기는 상기 택트 스위치의 접점부를 가압하도록 반구 모양으로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KR2019990004093U 1999-03-10 1999-03-10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KR20023499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93U KR200234990Y1 (ko) 1999-03-10 1999-03-10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04093U KR200234990Y1 (ko) 1999-03-10 1999-03-10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724U true KR19990034724U (ko) 1999-09-06
KR200234990Y1 KR200234990Y1 (ko) 2001-09-13

Family

ID=54756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04093U KR200234990Y1 (ko) 1999-03-10 1999-03-10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3499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2578A (zh) * 2022-12-27 2023-05-05 南通卡瑞尼机电科技有限公司 便于拆装的电梯按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7350B1 (ko) 2023-03-17 2023-11-02 김종범 원터치 조립형 엘리베이터 버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062578A (zh) * 2022-12-27 2023-05-05 南通卡瑞尼机电科技有限公司 便于拆装的电梯按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34990Y1 (ko) 200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210191A (ja) 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3092731A (ja) 操作部ユニットの取付構造及び画像形成装置
KR200234990Y1 (ko) 엘리베이터용 푸시 버튼의 구조.
CN118098857A (zh) 一种墙壁智能开关、无线智能开关及开关安装架
EP2157844B1 (en) Attachment structure for control key unit
KR100863311B1 (ko) 컨트롤 패널 어셈블리
JP2522782Y2 (ja) 制御機器の前部の構造
JP4208159B2 (ja) 配線器具
CN213845095U (zh) 边框结构及电子设备
CN215377264U (zh) 一种新型按键开关面板
US20230354531A1 (en) Electronic control apparatus
CN219677109U (zh) 按键防联动结构及智能开关
JP4533131B2 (ja) 操作盤
JP2005191029A (ja) 操作ボタン及び操作ボタンを備えた電気機器
KR950009505Y1 (ko) 엘리베이터 조작용 버튼
KR100593634B1 (ko) 가전기기의 콘트롤패널조립체
KR970004504Y1 (ko) 전자제품의 프론트캐비넷 결합장치
JPH0443928Y2 (ko)
KR0115330Y1 (ko) 모니터의 조작놉 일체형 로킹장치
KR100484841B1 (ko) 세탁기의 컨트롤 장치
JP3093293U (ja) 多連スイッチノブ取付構造
KR20030079363A (ko) 전자레인지의 컨트롤러 조립체
JP5246937B2 (ja) スイッチ装置
JP2000276963A (ja) 操作ボタンの保持機構
KR20040000747A (ko) 전자제품의 조작패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DEFENSIVE REQUESTED 20030127

Effective date: 2004080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