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675A -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675A
KR19990034675A KR1019970056335A KR19970056335A KR19990034675A KR 19990034675 A KR19990034675 A KR 19990034675A KR 1019970056335 A KR1019970056335 A KR 1019970056335A KR 19970056335 A KR19970056335 A KR 19970056335A KR 19990034675 A KR19990034675 A KR 19990034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ssword
portable electronic
time
ke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6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욱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56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675A/ko
Publication of KR19990034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675A/ko

Links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정갯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짜나 시간 또는 튜닝 주파수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사용자 제한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원 온동작시 기 설정 저장된 패스워드를 억세스하여 사용자 제한 해제를 위한 기본 설정값과 비교하여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패스워드와 기본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전원 온동작 시점에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의 카운팅 기간동안에 구비되어 있는 키버튼중을 약속된 특정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패스워드 입력모드로 진행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을 통해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기 설정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하면 패스워드를 모르는 습득자가 해당 분실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분실물 보관센터등에 회귀하는 경우가 높아지기 때문에 원 소유주의 물질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본 발명은 무선 호출기 또는 소형 카세트등의 휴대용 전자제품의 사용자 제한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패스워드를 사용하여 사용허가를 인준받아야만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자기술의 발전에 더불어 전자제품의 소형화가 이루어지면서 휴대용 전자기기들이 다양화 되어졌다. 그예로, 핸드폰이라 칭하는 셀룰라 폰과 무선 호출기 휴대용 카세트 라디오 TV등등의 기기들은 점차 더욱 소형화되어지면서 고급화되어질 전망이다.
그런데, 이러한 기기들은 휴대용이기 때문에 분실 또는 도난의 우려가 있고, 그 때문에 키패드를 구비하고 있는 전자 제품의 경우 예를들어, 셀룰라 폰이나 노트북등의 전자 장치는 사용자 패스워드를 이용한 사용자 제한 기능을 갖는 것이 보편화되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같은 제품들이외의 제품 즉, 무선 호출기나 휴대용 카세트 또는 전자 제어기능을 갖는 소형 카메라등의 경우에는 아라비아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셀룰라 폰이나 노트북 등의 전자 장치등에 사용되는 패스워드 방식을 사용하기가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성이 내재되어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같이 패스워드의 지정을 통해 사용자 제약을 줄수 없는 제품들의 도난 또는 분실이 빈번하며 그에 따른 원 사용자의 손실이 상당하며 분실의 경우 패스워드를 지정할 수 있다면 습득자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분실물 보관센터등에 회귀하는 경우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나, 전술한 바와같이 패스워드의 지정이 키패드에 의하여 운영되기 때문에 적용상의 상당한 애로사항이 발생된다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자 제품의 사용자 제한이 가능한 운영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습득자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분실물 보관센터등에 회귀하는 경우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에 따른 동작 순서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소정갯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짜나 시간 또는 튜닝 주파수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사용자 제한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동작시 기 설정 저장된 패스워드를 억세스하여 사용자 제한 해제를 위한 기본 설정값과 비교하여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패스워드와 기본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전원 온동작 시점에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의 카운팅 기간동안에 구비되어 있는 키버튼중을 약속된 특정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패스워드 입력모드로 진행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을 통해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기 설정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데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로서, 휴대용 전자기기 내부의 제어용 마이크로 프로세서에서의 동작 순서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서 적용되는 기술적 개념은 아라비안 숫자의 입력이 가능한 키패드를 구비하지 않은 전자 제품에 적용되며, 스텝 S101에서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조작자에 의하여 전원이 온동작하였는 가를 판단한다. 상기 스텝 S101에서 전원이 온동작하여 구동전원이 각 디바이스들에게 제공되었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2로 진행하여 사용자가 종전에 설정한 패스 워드를 검색한다.
이때, 패스워드의 설정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통상의 휴대용 전자장치에서 타임(time)과 날짜(date)의 설정 방법과 동일하게 설정하는데, 전원의 온동작이후 기설정된 임계시간 이내에 해당 제품에 구비되어 있는 키버튼중 특정 버튼을 소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누르면 패스워드 설정 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해당 전자기기에서의 타임(time) 또는 날짜(date) 설정 방식에 따라 특정 시간 도는 특정 날짜의 입력을 통해 입력시킨 데이터가 바로 패스워드의 기능을 수행하도록하는 것이다.
따라서, 스텝 S102에서는 이러한 방식에 의하여 메모리에 저장된 패스워드를 검색하게 된다. 상기 스텝 S102에서 검색된 패스워드를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스텝 S103의 과정을 통하여 기본 설정값과 비교하는데, 이때 기본 설정값이란 사용자가 패스워드의 입력없이 무조건적으로 동작하기를 희망할 때 설정하는 패스워드의 기본값을 칭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1111' 또는 '0000'등을 들수 있다.
스텝 S103에서는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패스워드가 기본 설정값과 동일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스텝 S110으로 진행하여 통상적인 정상동작 모드로 진행하여 조작자의 요청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103에서 기본 설정값과 저장되어 있던 패스워드가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면, 스텝 S104로 진행하여 특정키 입력에 대비하여 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이때, 스텝 S105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약속된 특정 키신호가 입력되는 가를 판단하고 해당키 입력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스텝 S106으로 진행하여 기설정된 임계시간이 파워 온동작 시점으로부터 경과하였는가를 판단하여 경과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상기 스텝 S104로 진행한다.
또한, 상기 스텝 S106에서 기설정된 임계시간이 경과하였다고 판단되면 스텝 S111로 진행하여 해당 전자제품에 구비되어 있는 기능키들의 무반응 모드로 진행한다. 상기 스텝 S111의 키동작 무반응모드는 스텝 S111에서 전원오프 상태로 판단할 때 까지 지속된다.
반면에, 상기 스텝 S105에서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가 특정 키신호가 입력되었다고 판단하면 스텝 S107로 진행하여 현재 조작자가 입력시키는 패스워드를 입력받기 위한 대기모드로 진행한다.
이후, 상기 스텝 S107의 과정을 통해 입력되는 패스워드와 상기 스텝 S102에서 억세스되어진 패스워드를 스텝 s108에서 비교하고 그 비교의 정도를 즉, 동일성을 스텝 s109에서 판단하여 동일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스텝 S110으로 진행하고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 상기 스텝 S111의 키동작 무반응모드로 진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동작하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을 제공하면, 종래 무선 호출기나 휴대용 카세트 또는 전자 제어기능을 갖는 소형 카메라등의 경우 아라비아 숫자를 선택할 수 있는 키패드를 구비하는 것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셀룰라 폰이나 노트북 등의 전자 장치등에 사용되는 패스워드 방식을 사용한 사용자 제한방식을 적용하기 어렵다는 기술적 한계성을 극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패스워드를 모르는 습득자가 해당 분실물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분실물 보관센터등에 회귀하는 경우가 높아지기 때문에 원 소유주의 물질적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소정갯수의 키버튼을 구비하고 있으며 날짜나 시간 또는 튜닝 주파수등을 설정할 수 있는 설정기능을 갖는 휴대용 전자제품에서 사용자 제한을 위한 방법에 있어서,
    전원 온동작시 기 설정 저장된 패스워드를 억세스하여 사용자 제한 해제를 위한 기본 설정값과 비교하여 동일한가를 판단하는 제 1 과정과;
    상기 제 1 과정에서 패스워드와 기본 설정값이 동일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한하여 전원 온동작 시점에서부터 기 설정된 임계시간을 카운팅하는 제 2 과정과;
    상기 제 2 과정의 카운팅 기간동안에 구비되어 있는 키버튼중을 약속된 특정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 한하여 패스워드 입력모드로 진행하는 제 3 과정과;
    상기 제 3 과정을 통해 입력받은 패스워드와 기 설정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하여 동일한 경우에 한하여 정상적인 동작을 수행하는 제 4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KR1019970056335A 1997-10-30 1997-10-30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KR199900346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335A KR19990034675A (ko) 1997-10-30 1997-10-30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6335A KR19990034675A (ko) 1997-10-30 1997-10-30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675A true KR19990034675A (ko) 1999-05-15

Family

ID=66048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6335A KR19990034675A (ko) 1997-10-30 1997-10-30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67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957A (ko) * 1999-11-16 2001-06-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잠금기능 해제방법
KR101332963B1 (ko) * 2012-12-13 2013-11-25 박동원 휴대폰의 외부입력 버튼(소리조절 버튼, 홈버튼, 전원켜기버튼 등)을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6957A (ko) * 1999-11-16 2001-06-15 윤종용 이동 무선 단말기의 잠금기능 해제방법
KR101332963B1 (ko) * 2012-12-13 2013-11-25 박동원 휴대폰의 외부입력 버튼(소리조절 버튼, 홈버튼, 전원켜기버튼 등)을 이용해서 비밀번호를 만들고 사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6369B1 (ko) 휴대 전화
US809952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lock mode by squeezing or pinching the sides of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towards one another
US6128511A (en) Card-equipped portable telephone with a security feature
EP1291748A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wirelessly transmitting a password that can be used to unlock/lock a password protected electronic device
US7738857B2 (en) Wireless mobile phone with authenticated mode of operation including photo based authentication
EP1609043B1 (en) Apparatus for authorising access to an electronic device
JPH05502770A (ja) 選択呼出受信機の盗難防止装置
WO2002042890A1 (fr) Systeme de securite pour processeur d'informations
US6125273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a cellular or portable telephone
KR101132319B1 (ko) 기기 기능의 사용자 지정을 용이하게 하는 장치 및 방법
US7076268B2 (en) Preventing inadvertent striking of keys and like buttons in handheld palm-type devices when such devices are not in handheld usage
JPH0964967A (ja) 携帯電話機のダイヤルロックシステム
GB2314739A (en) Disabling key scanning operation in a mobile phone
KR100310191B1 (ko) 휴대용단말기의분실/도난상태제어방법
EP208621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abling and disabling a lock mode on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9990034675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KR101144450B1 (ko) 휴대용 단말의 사용자 어플리케이션 접근 제한 방법
JP2000049933A (ja) キ―ボ―ドを有する無線電話装置
JP2007329570A (ja) 近距離無線通信システム、携帯端末装置及び無線通信装置
KR19990034674A (ko) 휴대용 전자기기의 사용 제한 방법
KR100238131B1 (ko) 타인 사용 방지기능을 구비한 휴대형 단말장치
US20080178280A1 (en) Method for Preventing Electronic Devices from Unauthorized Switching On
WO2002017353A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multiple configuration profiles within an electronic device
WO2004070598A1 (ja) 階層的なメニュー項目を有する情報端末、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0390746B1 (ko)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