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90746B1 -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90746B1
KR100390746B1 KR10-1999-0042514A KR19990042514A KR100390746B1 KR 100390746 B1 KR100390746 B1 KR 100390746B1 KR 19990042514 A KR19990042514 A KR 19990042514A KR 100390746 B1 KR100390746 B1 KR 1003907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portable computer
electronic
password
electronic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35783A (ko
Inventor
한동오
Original Assignee
(주) 세중정보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세중정보기술 filed Critical (주) 세중정보기술
Priority to KR201999002116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76452Y1/ko
Priority to KR10-1999-0042514A priority patent/KR100390746B1/ko
Publication of KR200100357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357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0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074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1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by operating on the power supply, e.g. enabling or disabling power-on, sleep or resume oper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06F21/34User authentication involving the use of external additional devices, e.g. dongles or smart c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torage Device Securit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는,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16b)가 내장된 초소형의 휴대용 전자키(16)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키감지부(15)와,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 및 자체 메모리를 포함하면서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제어부(10)를 구비하여, 상기 키감지부(15)는 키감지부(15)에 상기 전자키(16)가 접촉되는 경우 전자키(16)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및 전자키(16)의 접촉시간을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감지부(15)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자체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과 복수회에 걸쳐 비교하고 서로 일치되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는 전자키(15)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갱신함과 더불어 자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값을 이 갱신된 비밀번호로 대체하며, 그리고 상기 키감지부(15)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키(16)의 접촉시간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 중 어느 하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ELECTRONIC SECURITY DEVICE FOR PORTABLE COMPUTER}
본 발명은 노트북 컴퓨터나 랩탑 컴퓨터 또는 팜 PC 등의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자키의 접촉시간에 따라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며 컴퓨터 사용자나 관리자가 알 수 없는 상태에서 매번 비밀번호를 변경하여 전자키의 복제가 불가능하도록 되어 있는 초소형 경량의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나 정보통신 산업의 급격한 발전에 힘입어 개인이나 단체의 활동에 있어서, 정보량 또는 정보의 질이 차지하는 비중이 늘고 있고, 사회구조도 정보화사회로 빠르게 이양하고 있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정보화사회로의 빠른 발전은 사회구성원에게 정보의 중요성을 깊이 인식하는 중요한 계기가 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구축된 데이터를 보호하려는 연구활동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단체 또는 개인에 의해 구축된 데이터를 보호하는 수단은 다양한 형태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보안시스템은 크게 두가지로 나눌 수가 있는데, 소프트웨어에 의한 방법과 하드웨어에 의한 방법이 그것이다.
대표적인 예로서, 컴퓨터의 오퍼레이팅 시스템에 로그인하는 비밀번호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적인 방법과, 컴퓨터의 본체 내부에 별도의 하드웨어를 설치하여 관계자 외에는 데이터 저장수단인 하드디스크에 정보를 기록하지 못하도록 한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컴퓨터외에도 전자수첩, 핸드폰 등과 같은 전자제품에도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의한 보안장치가 내장되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보안장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소프트웨어에 의한 경우 보안 수준이 매우 낮다. 예컨대, 컴퓨터 운영체제인 윈도우즈 95 또는 98의 경우 제공되는 로그인 비밀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취소 버튼을 눌러도 로그인이 되고 있다. 또한,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 옆사람이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약점이 있고, 비밀번호를 사용자가 기억해야 하는 등의 사용상의 불편함이 있으며, 컴퓨터 전문가라면 비밀번호를 쉽게 해독할 수도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문 업체에서 판매 혹은 제공되는 비밀번호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플로피 디스크 또는 CDROM으로 부팅할 경우에는 로그인하는 것을 보호하지 못함은 물론, 전원이 공급된 이후 소프트웨어의 보안에만 치중하는 약점을 갖고 있다.
둘째, 종래의 보안장치에 있어서는, 외부인이 임의로 컴퓨터 등과 같은 장치를 사용할 수 없다 하더라도, 케이스를 열어서 내부에 설치된 부품을 가져가는 것을 막을 수가 없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예컨대, 컴퓨터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CPU, 메모리, 하드디스크 등은 귀금속에 버금가는 고가의 부품이지만, 이들 부품에 대한 별도의 도난방지수단이 구비되어 있지 않아서, 케이스를 열고 이 부품들만을 절취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별도의 하드웨어를 이용한 보안장치의 경우에도 대부분이 기계적인 장치이거나 또는 카드키를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복제가 가능하며, 특히 보안장치 제조회사의 경우 판매된 카드키의 비밀번호를 알고 있기 때문에 비밀번호가 누출될 염려가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전자적인 보안장치라 하더라도 노트북 컴퓨터와 같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하기에는 그 크기가 너무 크기 때문에, 실제로 휴대용 컴퓨터에 사용되고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휴대용 컴퓨터, 특히 손바닥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팜 PC에 장착될 수 있을 정도로 초소형 경량이면서, 그 컴퓨터를 사용하는 사용자나 관리자 또는 보안장치의 제조회사도 비밀번호를 알 수 없어서 복제가 불가능하여 전자키를 소유한 사용자 이외의 외부인이 고가의 휴대용 컴퓨터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시분할 다기능제어방식에 의해 여러가지 다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는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2에 도시된 제어부의 기본적인 동작흐름을 나타낸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가 적용된 노트북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의 전자키가 키감지부에 접촉되어 있는 시간에 따른 제어부의 명령수행 단계를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가 노트북컴퓨터에 적용된 경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어부 11 : 휴대용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
12 : 데이타 인터페이스부 13a-13j : 제어스위치
14 : 충격감지부 15 : 키감지부16 : 전자키 16a ; 입출력부16b : 비휘발성 메모리 17 : 피제어장치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는,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가 내장된 초소형의 휴대용 전자키와,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키감지부와,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제어스위치, 및 자체 메모리를 포함하면서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제어부를 구비하여, 상기 키감지부는 키감지부에 상기 전자키가 접촉되는 경우 전자키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및 전자키의 접촉시간을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키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자체 메모리에 미리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과 복수회에 걸쳐 비교하고 서로 일치되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는 전자키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갱신함과 더불어 자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값을 이 갱신된 비밀번호로 대체하며, 그리고 상기 키감지부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키의 접촉시간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수개의 제어스위치 중 어느 하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어스위치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는, 전자키(16)와, 키감지부(15), 제어부(10) 및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를 포함하는데, 키감지부(15), 자체 메모리를 가지는 제어부(10) 및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는 휴대용 컴퓨터에 설치되며, 전자키(16)는 소형으로 사용자가 휴대하도록 되어 있다.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제어부(10)에는 휴대용 컴퓨터의 중앙처리 장치(11)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데이타 인터페이스부(12)와,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어 진동이나 충격여부를 감지하는 충격감지부(14)가 각각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데이타 인터페이스부(12)와 충격감지부(14)는 용도에 따라 제외될 수도 있다. 한편, 전원(Vcc)은 제어부(10)를 통해 각각의 장치로 인가되도록 연결구성된다.
제어부(10)에는 키감지부(15)가 연결되어 있는데, 이 키감지부(15)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부로 노출된 도전성 접촉부를 구비하며, 이 도전성 접촉부에 전자키(16)가 접촉되면, 도전성 접촉부를 통해 전자키(16)에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전자키(16)는 비밀번호가 저장된 예컨대,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16b)를 구비하며, 메모리(16b)에 저장된 비밀번호 등의 데이타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또는 외부에서 입력되는 비밀번호 등의 데이타를 메모리(16b)에 저장시키는 입출력부(16a)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전자키는 사용자가 휴대하기에 간편한 무게와 형태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예컨대 미국의 Dallas사에서 제조한 EEPROM을 사용하면 감지키의 크기를 대략 엄지 손톱 정도의 크기로 할 수 있다. 물론, 메모리(16b)의 용량은 256byte에서 16kbyte까지 용도에 따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고, 그 용도에 따라 더 큰 또는 더 작은 용량의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제어부(10)에는 피제어장치에 연결된 복수개의 제어스위치 또는 릴레이(13a~13j)가 연결되어 있는데, 제어스위치의 개수는 보안장치의 기능에 따라 다르게 할 수 있다.
여기서, 피제어장치(17)는 보호하고자 하는 장비의 구성요소중 하나로서, 잠금/해제 기능만이 있다면, 잠그거나 해제하는 신호가 전달되어, 이 신호를 수신한 해당장치는 보호하고자 하는 시스템을 잠그거나, 해제시킨다. 잠그거나 해제시키는 방법은 솔레노이드 혹은 모터등 전기에 의해 동작되는 일반적인 방법을 사용하면 되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예를 들어서, 컴퓨터와 같은 시스템에 전자보안장치가 설치되어 있다면, 파워를 온/오프시키는 스위치 기능에서부터 리세트, 키보드잠금 등과 같은 부가적인 각종 기능을 위한 제어신호가 공급되는 경로가 된다.
이러한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전자보안장치의 세부적인 기능 및 동작을 흐름도와 함께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의 제어부의 동작흐름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제 1 단계(S100)에서, 제어부(10)는 키감지부(15)의 도전성 접촉부에 전자키(16)가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키감지부(15)의 도전성 접촉부에 전자키(16)가 접촉되면, 도전성 접촉부로부터 전자키(16)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되면서 전류값이 변하는데, 제어부(10)는 이 전류변화를 읽어서 전자키의 접촉여부를 감지한다.
제 2 단계(S110)에서, 제어부(10)는 키감지부(15)로부터 전달되는 전자키(16)의 메모리(16b)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판독한다. 이때, 비밀번호의 길이는 제조업체의 설계규칙에 따라 변동가능하지만, 64바이트(byte) 이상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초기의 비밀번호는 제조시에 메모리(16b)에 기록되어 있다.
제 3 단계(S120)에서, 제어부(10)는 전자키(16)의 메모리(16b)로부터 판독된 비밀번호가 제어부(10)의 자체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값과 동일한지 아닌지를 비교한다. 한편, 제어부(10)의 자체 메모리에도 전자키(16)의 메모리(16b)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동일한 비밀번호가 입력되어 제조된다.
제 4 단계(S130)에서, 제어부(10)는 비밀번호의 검증을 위해 제2 및 제3 단계의 동작을 반복하여 실행한다.
제 5 단계(S140)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6b)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변경하고 이 변경된 비밀번호를 전자키(16)의 메모리(16b)와 제어부(10)의 자체 메모리에 기록하여 비밀번호를 갱신(Update)한다. 이와 달리 필요에 따라서는 비밀번호의 변경작업을 하지 않고 종료할 수도 있다.
제 6 단계(S150)에서, 제어부(10)는 메모리(16b)의 변경된 비밀번호를 읽어서 제어부의 자체 메모리에 기억된 변경값과 비교하여, 비밀번호의 갱신이 제대로 실행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비밀번호의 갱신이 제대로 실행되었다면 종료하고, 비밀번호의 갱신이 제대로 실행되지 않았다면 제5단계(S140)와 제6단계(S150)를 다시 실행한다.
이상과 같은 흐름을 가진 본 발명의 전자보안장치의 세부적인 구성 및 적용된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실시예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가 설치된 노트북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노트북컴퓨터(30)는 소정 프로그램의 실행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액정표시부(32)와, 소정의 데이터를 사용자가 입력하도록 배열된 키보드(34)와, 손가락 등을 사용해서 소정 데이터를 선택하도록 한 마우스부(36)와,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에 따라 사전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처리하는 본체(38)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가 설치된 노트북 컴퓨터에 있어서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던 메인전원스위치와 리셋스위치를 없애는 대신에, 전자키를 접촉시킬 수 있는 키감지부(15)의 도전성 접촉부만을 노트북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제어부 및 복수의 제어스위치 등은 노트북 본체 내부에 설치하거나, 노트북 본체 회로의 여유공간을 사용하여 구성한다.이러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의 자보안장치가 작동되는 것을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전자키(16)를 키감지부(15)의 도전성 접촉부에 접촉시키면, 키감지부(15)의 도전성 접촉부를 통해 전자키(16)로 소정의 전압이 인가된다. 이 때, 노트북 컴퓨터에 내장된 제어부(10)는 키감지부를 통해 전자키(16) 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판독하여, 상기 제어부의 내부 메모리에 설정된 비밀번호와 비교하고, 그 결과값이 트루일 경우에만 제어스위치(13)를 스위치온시켜서 노트북 컴퓨터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따라서, 전자키(16)와 키감지부(15), 제어부(10) 및 제어스위치(13)가 일종의 전원스위치로 동작하게 되므로,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가 설치된 노트북 컴퓨터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에 설치되어 있던 메인 전원스위치가 필요없다. 한편, 본 발명의 경우, 전자키(16)의 메모리(16b)로는 EE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판독하여 비교하는 동작시간이 0.5초 미만이 되어, 사용자는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에 설치된 메인 전원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에 비하여 별다른 시간지연상의 불편함을 느낄 수 없다.
이와 같은 메인 전원의 제어 이외에도,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는 다음과 같은 여러가지 보안기능을 제공하고 있는데, 이는 전자키(16)가 키감지부(15)에 접촉되어 있는 시간에 따라 제어부(10)가 다른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러한 시분할 다기능제어에 대하여 도4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시간간격을 1초로 하고, 하나의 명령주기마다 "삐"라는 스피커음을 출력하도록 하고, 파워 온/오프를 제 1 명령으로 하고, 키보드락을 제 2 명령으로 하고, 본체의 리셋을 제 3 명령으로 하고, 컴퓨터케이스를 오픈하는 것을 제 4 명령으로 가정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제 1 단계(S200)에서, 제어부(10)는 전자키가 키감지부에 접촉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제 2 단계(S210)에서, 제어부(10)는 전자키(16)가 키감지부(15)에 0.5초 이상 접촉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실수로 접촉한 것인지 실제 명령수행을 원하는 것인지를 판단한다.
제 3 단계(S220)에서, 제어부(10)는 전자키(16)의 메모리(16b)에 기록된 비밀번호를 판독하고 제어부(10)의 자체 메모리에 기록된 비밀번호와 동일한지를 확인하여 명령수행 권한여부를 판단한다.
제 4 단계(S230)에서, 제어부(10)는, 전자키(16)가 1초이상 키감지부(15)에 접촉되면, 제1 명령수행가능 부저음으로 "삐" 소리를 내보내고, 전자키(15)가 2초이상 키감지부에 접촉되면, 제2명령수행가능 부저음으로 "삐삐" 소리를 내보내고, 전자키(16)가 3초이상 키감지부(15)에 접촉되면, 제3명령수행가능 부저음으로 "삐삐삐" 소리를 내보낸다. 또한, 전자키(16)가 4초이상 키감지부(15)에 접촉되면, 제어부(10)는 제4명령수행가능 부저음으로 "삐삐삐삐" 소리를 내보낸다.
제 5 단계(S240)에서, 제어부(10)는 전자키의 접촉시간을 검출하여 1초 이상 2초 미만이면 제 1 명령 제어스위치를 스위치 온시켜 노트북 컴퓨터에 메인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고, 2초 이상 3초 미만이면 제 2 명령 제어스위치를 스위치 온시켜 키보드 잠금신호를 메인보드로 전송한다. 또한, 3초 이상 4초 미만이면 제 3 명령제어스위치를 스위치 온시켜 컴퓨터 리셋 신호를 메인보드로 전송하고, 4초 이상이면 제 4 명령제어스위치를 스위치 온시켜 기타 다른 명령이 수행되도록 한다. 이 때, 상기 제1 내지 제4 명령의 수행은 일련하게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택일적으로 수행된다.
한편, 상술한 부저음은 연결될 스피커나 부저에 따라 음의 종류를 선택할 수 있고 필요시 LED나 LCD를 이용한 숫자나 글자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전자키(16)의 접촉시간에 따른 명령수행순서와 시간간격은 제조업체의 설계규칙 등에 따라서 임의로 변동가능함을 당업자라면 충분히 이해할 것이다.
제 6 단계(S250)에서, 모든 작업을 종료하고 새로운 명령을 위한 키감지부(15) 접촉감시상태로 되돌아간다.
상술한 시간간격에 의한, 즉 시분할에 의한 명령수행은 상기 4개의 명령수행으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명령수행개수를 달리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가 노트북컴퓨터에 내장될 경우의 세부적인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로서, 도 1에서 설명된 내용과 중복되는 것은 생략하고 진동 및 파괴감지 기능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어스위치(13d)에 연결된 경보수단인 스피커(17d)는 컴퓨터 본체에 내장된 것을 사용하고,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하는 진동 및 파괴 감지부(14)가 제어부(10)에 연결 구성된다. 이 진동 및 파괴 감지부(14)는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에 따라 출력되는 저항이나 전압이 변하는 일반적인 소자를 사용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진동 및 충격감지 기능을 설명하면, 진동 및 파괴감지부(14)가 외부로부터의 충격 등을 감지하여 경보신호를 제어부(10)에 전달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제어스위치(13ㅇ)를 스위치 온시켜서 스피커(17d)에 전달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0)는 제어스위치(13d)를 스위치온시켜 스피커(17d)에서 경보음이 울리도록 한다. 이와 같이, 스피커(17d)에서 경보음이 울리게 되면, 사용자가 잠시 자리를 비우더라도 노트북 컴퓨터에 충격 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기 때문에 전자키를 소유한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노트북컴퓨터에 접근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에는 노트북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11)와의 통신을 위하여 데이타 인터페이스부(12)를 더 구비할 수 있는데, 종래의 노트북 컴퓨터가 사용중인 ISA, PCI, USB중 1개를 선택하여 구성함으로써 부가적인 소프트웨어 보안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인증이나 데이터 암호화/복호화 명령을 상기 데이터 인터페이스부를 통하여 제어, 명령할 수 있고, 상기 경보부의 경보음을 노트북컴퓨터에 내장된 오디오카드를 통하여 사람 음성 등과 같이 다양한 경보음으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어부(10)는 예컨대 "PIC16C84"와 같은 프로그래머블한 소정의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사용할 수 있고, 복수의 제어스위치(13a-13d)는 필요한 명령의 개수에 대응하여 구성하면 된다.
전자키(16)는 사용자가 열쇠꾸러미에 넣어서 보관할 수 있는 크기로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메모리(16b)를 Dallas사에서 제조한 EEPROM을 사용하게 되면 전자키의 크기를 엄지손톱 정도로 할 수 있다.
키감지부(15)는 노트북 컴퓨터의 외측에 노출된 도전성 접촉부와, 노트북 컴퓨터 내측에 설치된 트랜지스터 등과 같은 반도체 스위칭소자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알루미늄합금, 텅스텐, 티타늄 등과 같이 가벼우면서도 충격에 강한 금속으로 밀폐시켜 감싸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는 전기로 구동되는 장비라면 어디라도 적용 가능하기 때문에, 상술한 실시예의 범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단체 또는 개인이 보관하고자 하는 데이터가 저장된 어떠한 장치 예를 들어, 디지탈카메라, 핸드폰, 캠코더, 팜탑 컴퓨터 등에 적용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는 데이터보호에만 그치지 않고, 지능형 키 시스템으로도 응용이 가능하다.
다시 말해서, 자동차 키와 자물쇠는 기계적인 구조이어서, 사용상 불편하고, 복제하거나, 만능열쇠와 같은 도난보조용품으로 열기가 용이한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사용하기가 편하고, 비밀번호 유출에 따른 불안감을 가지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복제하기도 힘들어서, 더욱 더 향상된 보안품질을 제공한다.
더욱이, 전자보안장치를 사용할 때마다 비밀번호를 매번 랜덤하게 변동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제조업체로서도, 고객의 비밀번호를 알 수 없을 만큼 완벽한 보안 품질을 제공하고, 기밀레벨이 높은 시스템을 보호하는 경우를 대비해서 잘못된 신호가 상기 전자키로 입력될 경우에는 스스로 데이터를 파기하도록 하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하여도 된다.
그리고, 상기 전자키를 전압이 공급됨과 동시에 상기 비밀번호가 읽히도록 구성하여도 되는데, 이 경우에는 저전압으로 구동되는 소자를 사용하고, 상기 메모리로부터 전달된 신호를 증폭하는 소자를 포함하여 구성하면 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실시예는 예를 들어서,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은 특정 장치에 한정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 금고 등과 같이 지능형 키시스템으로도 확장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로부터 변형된 실시예가 많을 것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본 발명으로부터 유추가능할 정도로 변형된 실시예는 다음에 기술된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보안장치는, 노트북 컴퓨터는 물론 손바닥 정도의 크기를 갖는 팜 PC에 장착될 수 있을 만큼 초소형 경량으로서, 사용자가 비밀번호를 외울 필요가 없고, 전자키가 키감지부에 접촉될 때마다 비밀번호가 자동으로 갱신되기 때문에 사용자나 관리자 또는 제조회사도 비밀번호를 알 수 없어서 비밀번호가 누출될 염려가 없고, 이에 따라 전자키의 복제가 불가능하며, 더욱이 시분할 다기능 제어방식에 의해 여러가지 다른 명령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단순히 전자키의 접촉시간을 달리하면 된다는 장점이 있고, 또한 전자키를 소유한 사용자 이외의 타인이 휴대용 컴퓨터에 접근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휴대용 컴퓨터를 분실하더라도 전자키가 없다면 본 전자보안장치가 내장된 휴대용 컴퓨터는 전혀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습득한 휴대용 컴퓨터를 주인에게 돌려줄수 밖에 없는 부가적인 장점을 갖고 있다.

Claims (10)

  1. 휴대용 컴퓨터에 있어서,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16b)가 내장된 초소형의 휴대용 전자키(16)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장착되는 키감지부(15)와, 상기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 및 자체 메모리를 포함하면서 휴대용 컴퓨터에 내장되는 제어부(10)를 구비하여,
    상기 키감지부(15)는 키감지부(15)에 상기 전자키(16)가 접촉되는 경우 전자키(16)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 및 전자키(16)의 접촉시간을 제어부로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0)는 상기 키감지부(15)로부터 입력되는 비밀번호를 미리 자체 메모리에 기억되어 있는 설정값과 복수회에 걸쳐 비교하고 서로 일치되는 것으로 판명되는 경우에는 전자키(15)의 비휘발성 메모리 반도체에 저장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무작위로 갱신함과 더불어 자체 메모리에 기억된 설정값을 이 갱신된 비밀번호로 대체하며, 그리고 상기 키감지부(15)로부터 입력되는 전자키(16)의 접촉시간에 따라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 중 어느 하나에 스위칭 신호를 인가하고,
    상기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는 상기 제어부의 스위칭 신호에 따라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어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키감지부(15)는 휴대용 컴퓨터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전자키(16)가 접촉됨과 동시에 전자키(16)에 소정 전압을 공급하는 도전성 접촉부와, 상기 도전성 접촉부의 전류변화를 검지하여 전자키(16)의 접촉여부와 접촉시간을 상기 제어부로 출력하는 반도체 스위칭 소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전달된 진동 또는 충격을 감지하여 상기 제어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충격감지수단(14)을 더 구비하고, 상기 충격감지수단(14)으로부터 경보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0)는 복수개의 제어스위치(13a-13j)중 어느 하나를 스위치 온시켜 경보장치(17d)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감지수단(14)은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따라 저항이나 전압이 변하는 전자소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0)와 휴대용 컴퓨터의 중앙처리장치가 서로 데이타 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타 인터페이스부(12)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1999-0042514A 1999-10-02 1999-10-02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KR100390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1169U KR200176452Y1 (ko) 1999-10-02 1999-10-02 전자보안장치
KR10-1999-0042514A KR100390746B1 (ko) 1999-10-02 1999-10-02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2514A KR100390746B1 (ko) 1999-10-02 1999-10-02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169U Division KR200176452Y1 (ko) 1999-10-02 1999-10-02 전자보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783A KR20010035783A (ko) 2001-05-07
KR100390746B1 true KR100390746B1 (ko) 2003-07-16

Family

ID=1961378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169U KR200176452Y1 (ko) 1999-10-02 1999-10-02 전자보안장치
KR10-1999-0042514A KR100390746B1 (ko) 1999-10-02 1999-10-02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1169U KR200176452Y1 (ko) 1999-10-02 1999-10-02 전자보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76452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01294A (ko) * 2000-06-27 2002-01-09 김형남 사용자 인식 도난방지/정보보안장치
KR100697945B1 (ko) * 2001-06-27 2007-03-20 주식회사 케이티 보안 유지가 가능한 휴대 정보단말기 및 그 보안 유지 방법
KR20140051012A (ko) 2012-10-22 2014-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디바이스 및 그 전자 키 전송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35783A (ko) 2001-05-07
KR200176452Y1 (ko) 2000-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45792B2 (en) Tamper reactive memory device to secure data from tamper attacks
US5434562A (en) Method for limiting computer access to peripheral devices
US4484067A (en) Card identification system
US5760690A (en) Portable computer with integrated alarm system
US8181031B2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and system
EP2183874B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5836010A (en) Personal computer using chip-in card to prevent unauthorized use
US20070030257A1 (en) Locking digital pen
US5841868A (en) Trusted computer system
US20070136593A1 (en) Secure information storage apparatus
US20090037742A1 (en) Biometric authentication device, system and method of biometric authentication
US5872515A (en) Laptop computer with an anti-theft alarm function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4005004A1 (en) Proximity aware security system for portable electronics with multi-factor user authentication and secure device identity verification
US7076268B2 (en) Preventing inadvertent striking of keys and like buttons in handheld palm-type devices when such devices are not in handheld usage
KR100390746B1 (ko) 휴대용 컴퓨터를 위한 전자보안장치
US7451478B2 (en) Time managing system and method
US20060085864A1 (en) Electronic security machine start method for notebook computers
JP2000011268A (ja) セキュリティ装置
US20050055566A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US20040233627A1 (en) Computing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same
EP3444736A1 (en) Device and method for storing and accessing secret user-authentication data
JP4053245B2 (ja) 不正利用を防止できる半導体記憶装置
KR200179304Y1 (ko)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JP2004171246A (ja) 認証装置
RU2269816C1 (ru) Способ постановки помещения на охрану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62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