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79304Y1 -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 Google Patents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79304Y1
KR200179304Y1 KR2019990023973U KR19990023973U KR200179304Y1 KR 200179304 Y1 KR200179304 Y1 KR 200179304Y1 KR 2019990023973 U KR2019990023973 U KR 2019990023973U KR 19990023973 U KR19990023973 U KR 19990023973U KR 200179304 Y1 KR200179304 Y1 KR 200179304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computer
control board
electronic key
securit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39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동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세중컴퓨터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세중컴퓨터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세중컴퓨터시스템즈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79304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79304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70Protecting specific internal or peripheral components, in which the protection of a component leads to protection of the entire computer
    • G06F21/88Detecting or preventing theft or los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8Packaging or power distribution
    • G06F1/181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Burglar Alarm System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컴퓨터케이스가 한쪽방향으로만 열리도록 하여 케이스외부에서는 케이스를 열 수 없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구동하여야만 케이스가 열리도록 제작되어 있고, 케이스 내부에는 걸어서 잠글수 있도록 걸쇠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걸쇠를 솔레노이드 잠금장치등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한 컴퓨터케이스틀과; 상기 케이스틀 내부에 장치하거나, 저면에 구비된 컴퓨터 메인보드의 PCI 슬롯에 장착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케이스를 열거나 잠글 수 있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와 접촉하여 통신을 통해 비밀번호를 주고받고, 비밀번호를 보관하기 위한 로직회로가 내장된 전자키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오픈 권한을 가진 전자키가 없으면, 컴퓨터케이스를 임의로 오픈할 수가 없기 때문에, 컴퓨터의 보안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사용자와 관리자가 구분되는 전자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보안관리도 용이한 장점을 가진다. 또한, 전자키가 비밀번호를 자동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Description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COMPUTER SECURITY APPARATUS}
본 고안은 보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컴퓨터 케이스를 타인이 임의로 열지 못하도록 하여 컴퓨터 내부에 장착된 하드디스크의 주요 데이터 및 컴퓨터부품의 도난을 방지하고, 컴퓨터를 무단으로 이동할 경우 이를 감지하여 경보음을 송출함으로써, 컴퓨터 본체의 도난을 예방하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컴퓨터 및 전자산업의 비약적인 발전으로 대부분의 사무실에는 컴퓨터가 설치되어 있고, 제조 및 판매현장에서도 제어용 또는 데이터베이스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업무형태의 변화 못지않게 데이터가 외부로 유출되거나, 컴퓨터 및 컴퓨터부품의 도난율이 급증하고 있다.
이에따라, 컴퓨터의 데이터를 보호하거나, 컴퓨터케이스를 타인이 임의로 오픈하지 못하도록 하는 보안장치가 개발되어 출시되고 있는데,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대략적으로, 컴퓨터 보안장치는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것과, 컴퓨터 부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나누어 진다.
컴퓨터의 하드디스크 등에 저장된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장치는 소프트웨어로만 된 것과,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로 이루어진 것이 있으며, 이 경우 컴퓨터에 저장하거나 통신할 데이터를 암호화하여 보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데이터를 보호하기 위한 보안장치는 제조비용과, 관리하기에 편리한 소프트웨어로만 된 것이 다수 사용되고 있으나, 보안레벨이 높아야 하는 곳에서는 보안성을 높이기 위하여 IC카드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형태를 많이 사용한다.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부품이 무게에 비해서 고가이기 때문에, 금, 은 등과 같은 귀금속 못지 않게 도난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는데, 하드디스크의 경우에는 대용량의 주요한 정보를 일시에 절취할 수 있다. 이러한 컴퓨터부품의 도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장치는 열쇠와, 자물쇠로 이루어진 기계적인 구조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열쇠와 자물쇠로 이루어진 기계적 구조이기 때문에 만능키 등으로 잠금해제가 가능하다.
둘째, 컴퓨터를 분실하거나 도난당할 경우, 본인이 아니더라도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퓨터케이스를 열고 컴퓨터 부품을 무단으로 처분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본 고안은 전자키를 접촉해야만 컴퓨터에 전원이 공급되고, 컴퓨터케이스를 열도록 하여, 상기 전자키를 가진 본인이 아니면, 컴퓨터를 켤 수가 없어 컴퓨터를 사용할 수도 없을뿐더러, 컴퓨터케이스를 열 수 없기 때문에 컴퓨터 케이스 내부의 부품을 무단으로 꺼내지 못하는 것을 1단계로 하고, 필요시 컴퓨터의 도난이나 파괴행위를 감지하는 진동감지센서를 통한 경보기능을 부가하는 2단계를 부가한다면, 상술한 제반문제점들을 극복할 수 있다는데 그 착안의 토대를 두고 있다.
상술한 문제점을 극복하고, 상기 착안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목적은 전자키의 접촉에 따라, 전원이 공급되고, 컴퓨터케이스를 개폐시킬 수 있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보안장치가 적용된 일 실시예인 데스크탑 컴퓨터의 외관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고안에 따른 보안장치의 연결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잠금방식을 나타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8 : 걸쇠 26 : 접촉스위치
30 : 솔레노이드 32 : 제어보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특징은 컴퓨터케이스가 한쪽방향으로만 열리도록 하여 케이스외부에서는 케이스를 열 수 없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구동하여야만 케이스가 열리도록 제작되어 있고, 케이스 내부에는 걸어서 잠글수 있도록 걸쇠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걸쇠를 솔레노이드 잠금장치등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한 컴퓨터케이스틀과; 상기 케이스틀 내부에 장치하거나, 저면에 구비된 컴퓨터 메인보드의 PCI 슬롯에 장착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케이스를 열거나 잠글 수 있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와 접촉하여 통신을 통해 비밀번호를 주고받고, 비밀번호를 보관하기 위한 로직회로가 내장된 전자키를 포함하는 컴퓨터 케이스 보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로서, 데스크탑컴퓨터케이스는 개략적으로 케이스덮개(10)와, 케이스틀(12)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케이스덮개(10)의 전면의 우측에는 씨디롬 드라이브의 전면부분이 끼워지는 사각형 홀이 구비되고, 중앙부분에는 3.5 인치 플로피 디스켓 드라이브의 전면부분이 끼워지는 일자형 홀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덮개(10)의 전면 좌측 상단에는 전원의 턴온 여부와, 하드디스크의 동작여부를 지시하는 상태표시 LED가 끼워지는 홀이 구비되고, 그 하단에는 전자키가 접촉되는 키접촉부(26)가 끼워지는 키접촉부용 홀(16)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덮개(10)의 양 측면에는 눌러서 상기 케이스틀(12)로부터 케이스덮개(10)를 착탈시키는 누름스위치(14)가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덮개(10)의 내부 측벽에는 전체적으로 직사각 형상의 걸쇠(18)가 고정설치되어 있다. 이때, 상기 걸이부(18)의 가운데 부분에는 걸이용 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케이스덮개(10)의 내부 측벽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고정된 부분은 90°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고, 끝단 부분은 약 45°의 각도로 구부러져 있다.
한편, 상기 케이스틀(12)의 전면 우측에는 씨디롬드라이브(20)가 장착되어 있고, 전면중앙에는 3.5 인치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22)가 장착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틀(12)의 전면 좌측에는 원형 소자를 끼울 수 있는 가이드(24)가 장착되어 있고, 이 가이드(24)에는 키접촉부(26)가 설치되어 있다. 그 위에는 상태표시램프 어셈블리(28)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틀(12)의 내부측벽에는 제어신호에 따라 수평축방향으로 턴온/턴오프되는 솔레노이드 잠금장치(30)가 고정 설치되어 있다.
한편, 컴퓨터 메인보드(38)의 슬롯(34)에는 상기 키접촉부(26)로부터 전달된 신호에 따른 제어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보드(32)가 꽃혀 있다. 다시말해서,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키접촉부(26)로부터 전달된 신호의 지속시간을 측정하여, 이에 따른 컴퓨터리셋신호, 키보드락신호, 파워온/오프신호, 케이스오픈신호 등을 출력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보드(32)는 상기 슬롯(3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컴퓨터의 전원장치(36)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데, 이는 상기 제어보드도 마이크로프로세서로 구성되어 있어, 소량의 전원을 공급받아야 동작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구성을 가진 본 고안의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의 각 구성부품간 연결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컴퓨터케이스보안장치에서 주요부분의 연결관계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제어보드(32)는 제 1 내지 제 7 커넥터(32a-32g)를 가지는데, 상기 제 2 커넥터(32b)를 통해 솔레노이드(30)와 연결되어 있고, 제 3 커넥터(32c)를 통해 키접촉부(26)와 연결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어보드(32)는 제 1 커넥터(32a) 또는 제 5 커넥터(32e)를 통해 전원을 공급받고, 제 4 커넥터(32d) 또는 제 5 커넥터(32e)를 통해 전원 온/오프, 컴퓨터리셋, 키보드락 등과 같은 제 1 내지 제 3 명령신호를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 1 내지 제 3 명령신호의 순서는 제조업체의 설계룰에 따라 변동가능할 뿐만 아니라, 명령신호의 개수 및 종류도 변경이나 확대가 가능하다.
이러한 보안장치는 전자키(40)을 상기 키접촉부(26)에 접촉시킴으로써, 컴퓨터케이스를 잠그거나, 해제되는데, 전자키(40)는 외관상 자동차키와 유사하고, 내부에는 플래쉬메모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와, 소정의 로직회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그 외부는 충격이나 진동에 견디도록 금속성 물질로 둘러싸여 있다.
상술한 연결관계를 가진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의 동작흐름을 설명하되,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서, 상기 제 1 명령을 파워온/오프, 제 2 명령을 리셋, 제 3 명령을 키보드락, 제 4 명령을 케이스오픈으로 가정하도록 한다.
우선, 제조단계에서 상기 전자키(40) 및 제어보드(32) 내부의 비휘발성메모리에 비밀번호가 저장되어 있고, 상기 제어보드(32)는 매 컴퓨터 턴온시마다 비밀번호를 상기 전자키(40) 및 제어보드(32) 내부의 메모리에 변경저장하여, 본 보안장치의 제조업체 또는 사용자 마저도 비밀번호가 모르기 때문에 보안이 철저하게 유지된다. 이 비밀번호의 형태와 길이는 제조업체의 설계룰에 따라 변동가능하지만, 64비트에서 256비트 까지의 크기이면 충분하고, 만약 기밀레벨이 매우 높다면 비트수를 더 늘리면 된다.
전자키(40)를 상기 키접촉부(26)에 접촉시키면 상기 제어보드(32)는 상기 전자키(40) 내부의 비휘발성메모리에 저장된 비밀번호를 읽어서, 상기 제어보드(32) 내부에 저장된 비밀번호와 비교한다.
상기 비밀번호가 동일하다면, 제어보드(32)는 상기 제 4 커넥터(32d)를 통해서 메인보드상의 입력핀으로 파워온 명령신호를 전달하여 컴퓨터가 턴온되도록 한다.
컴퓨터가 턴온된 후에는, 상기 제어보드(32)는 제 1 내지 제 3 명령신호를 시간차이로써 구분하는데, 시간차이를 1초로 설정하였다면, 상기 전자키(40)와 상기 키접촉부(26)의 접촉이 유지되는 시간이 1초 전까지 제 1 명령을 수행하고, 1초후부터 2초전까지는 제 2 명령을 수행하며, 2초후부터 3초전까지는 제 3 명령을 수행한다.
다시말해서, 상기 전자키(40)를 접촉시키면 첫번째 명령이므로, 지연없이 제 1 명령으로 인식하여 제 1 명령인 파워온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이후에도 접촉이 유지된 채로 1초를 초과하면 제 2 명령으로 인식하여, 제 2 명령인 리셋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접촉이 계속 유지된 채로 2초를 초과하면 제 3 명령으로 인식하여, 제 3 명령인 키보드락 명령신호를 출력하고, 접촉이 유지된 채로 3초를 초과하면 제 4 명령으로 인식하여 제 4 명령인 컴퓨터케이스 오픈신호를 상기 솔레노이드(30)로 전달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컴퓨터케이스 오픈신호를 전달받은 솔레노이드(30)는 상기 걸개(18)에 끼워져 있던 구동축(30a)이 턴온시 수평축방향으로 후진하여, 컴퓨터케이스의 잠금상태가 해제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케이스덮개(10)의 양측면에 설치된 누름버튼(14)을 눌러서, 컴퓨터케이스를 오픈할 수 있다.
이와는 반대로, 컴퓨터케이스를 잠그기 위해서는 상기 케이스덮개(10)를 상기 케이스틀(12)에 슬라이딩 결합시키면, 상기 걸개(18) 끝단의 구부러진 부분이 상기 구동축(30a)을 밀면서 전진하다가, 상기 구동축(30a)은 걸개(18) 중앙의 홀에 끼워지면서 잠궈진다. 이때, 미설명된 스프링(30b)은 상기 구동축(30a)에 탄성을 제공하기 위해 구비된 것으로서, 상기 솔레노이드 잠금장치는 걸쇠의 구조에 따라 모터구동형 잠금장치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실행할 수 있는 명령신호의 종류에 따라 전자키를 2종류로 구분하여, 컴퓨터사용자를 관리자와 사용자로 나누어서, 상기 관리자에게는 관리자용전자키를 제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4 명령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에게는 사용자용전자키를 제공하여 상기 제 1 내지 제 3 명령 만을 실행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관리자에게 지급되는 전자키에는 권한코드가 기록되어 있고, 상기 제어보드는 상기 권한코드에 따라 명령을 수행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데, 사용자용 전자키로는 컴퓨터케이스를 오픈할 수 없는데 반하여, 관리자용 전자키로는 모든 기능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이와같이 분류된 전자키는 수많은 회원이나 고객이 사용하는 컴퓨터인 경우에 사용자용 전자키만을 지급하여, 사용상 무리가 없도록 하되, 불필요하게 케이스를 오픈하거나, 내부에 설치된 부품의 도난을 예방할 수 있다.
한편, 케이스를 열 수 없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컴퓨터 케이스를 강제로 해체할 목적으로 케이스에 충격을 주거나, 컴퓨터본체를 무단 이동할 경우를 대비하여, 제어보드에 진동감지센서를 부착할 수 있다. 외부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감지할 경우, 상기 제어보드(32)는 제 6 커넥터(32f)를 통해 유선으로 연결된 스피커를 통해 경보음을 출력하거나, 제 7 커넥터(32g)를 통해 무선으로 인근에 설치된 도난경보기를 구동하여, 강력한 경보음을 발생시켜 도난이나 파괴행위를 예방 및 단절할 수 있다. 상기 도난 경보기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무선으로 소정의 신호를 수신하면 경보음을 출력하는 장치로써, 보호하고자 하는 컴퓨터 근처의 벽면 등에 설치하면 되고, 무선방식 및 경보음출력방식은 일반적인 것을 사용하면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바람직한 양태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케이스오픈 권한을 가진 전자키가 없으면, 컴퓨터케이스를 임의로 오픈할 수가 없기 때문에, 컴퓨터의 보안레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둘째, 사용자와 관리자가 구분되는 전자키를 사용할 수 있으므로, 여러사람이 사용하는 컴퓨터의 보안관리도 용이하다.
셋째, 전자키가 비밀번호를 자동으로 기록하기 때문에, 비밀번호를 기억하지 않아도 되므로, 사용하기에 편리하다.
넷째, 컴퓨터의 메인보드에 제어보드를 내장하여 OEM으로 구입할 경우에는 컴퓨터 제조회사의 고객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섯째, 제어보드에 진동감지센서를 선택기능으로 부착시 컴퓨터본체의 무단이동을 통한 도난이나, 컴퓨터케이스를 파괴하여 내부의 부품도난 행위에 대해 유무선을 통한 대음량스피커를 이용하여 강력한 경보음을 출력함으로써, 도난행위를 예방할 수 있다.
여섯째, 제어보드에서 컴퓨터의 파워온/오프 기능을 대신수행하기 때문에 전자키가 없으면 컴퓨터를 켤 수가 없어, 컴퓨터의 무단사용 및 주요정보의 무단복사, 인쇄, 유출 등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8)

  1. 컴퓨터케이스가 한쪽방향으로만 열리도록 하여 케이스외부에서는 케이스를 열 수 없고, 케이스 내부에 설치된 잠금장치를 구동하여야만 케이스가 열리도록 제작되어 있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로서,
    케이스 내부에는 걸어서 잠글수 있도록 걸쇠가 장착되어 있고, 내부걸쇠를 솔레노이드 잠금장치등을 사용하여 잠그거나, 열 수 있도록 한 컴퓨터케이스틀과,
    상기 케이스틀 내부에 장치하거나, 저면에 구비된 컴퓨터 메인보드의 PCI 슬롯에 장착하여, 상기 잠금장치를 제어하여 케이스를 열거나 잠글 수 있는 제어보드와, 상기 제어보드와 접촉하여 통신을 통해 비밀번호를 주고받고, 비밀번호를 보관하기 위한 로직회로가 내장된 전자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보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로부터 전달되는 제어신호는 컴퓨터 메인보드상의 파워 온/오프와, 리셋과, 키보드락 입력신호, 케이스 오픈신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컴퓨터본체의 무단이동이나 컴퓨터 파괴시의 충격을 감지하는 진동감지회로와, 상기 제어보드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제어보드의 신호에 따라 경보음을 출력하는 경보장치를 더욱 더 포함하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로부터 출력된 제어신호는 전자키가 키접촉부에 접촉된 시간을 감지하여 발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경보음 발생시 상기 전자키에 의해서만 경보음출력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케이스 보안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키는 내부에 다수개의 로직회로소자와, 소정 용량의 메모리를 포함하고, 그 표면은 외부로부터 충격이나 진동에 강하도록 금속성 물질로 둘려싸여 있으며, 내부의 메모리에 기록되어 있는 비밀번호를 제어보드의 통제에 의해 새로운 비밀번호로 변경기록할 수 있는 것을 더욱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보안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보드는 설치될 컴퓨터의 전원공급장치를 이용하여 컴퓨터 메인보드의 PCI슬롯을 통하거나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직접 전원을 공급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보안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보드로 전달되는 제어신호는 파워 온/오프, 리셋, 키보드락, 케이스오픈 등중 하나인 것으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 케이스 보안장치.
KR2019990023973U 1999-11-04 1999-11-04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KR200179304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8485A KR20010045258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5A Division KR20010045258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79304Y1 true KR200179304Y1 (ko) 2000-04-15

Family

ID=1961842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5A KR20010045258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KR2019990023973U KR200179304Y1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8485A KR20010045258A (ko) 1999-11-04 1999-11-04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01004525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9388B1 (ko) * 2013-02-18 2014-09-04 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공공장소 설치용 컴퓨터 케이스
US11937389B2 (en) 2019-11-05 2024-03-19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Latch assemblies for electronic devices
KR102275580B1 (ko) 2019-11-27 2021-07-09 주식회사 에이텍 컴퓨터 본체 보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45258A (ko) 2001-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847180A (zh) 触摸屏电子密码锁
US20080110217A1 (en) Security System and Related Devices and Methods
KR200179304Y1 (ko) 컴퓨터케이스 보안 장치
KR100742263B1 (ko) 무선 id를 갖는 열쇠를 이용한 전자 시건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1429755B2 (en) Intrusion switch
US20070177346A1 (en) Externally connected hard disk drive controlled by mechanic lock having information security function
US6564998B1 (en) Card enabled latch for a portable computer
CN108222670A (zh) 具有滑动结构的电子防盗门锁
KR200243448Y1 (ko) 손가락 접촉 자동 감지 기능을 갖는 지문인식장치
JP4126319B2 (ja) 保管庫
NL1039122C2 (en) Electronic cylinder lock assembly.
KR200176452Y1 (ko) 전자보안장치
KR200322183Y1 (ko) 핀패드모듈의 3중보호장치
JP4144853B2 (ja) 開錠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防犯システム
KR20040091172A (ko) 무선 도어키와 알에프 근접 센서를 이용한 출입문 잠금장치
CN109798026B (zh) 一种具有防撬报警功能的智能锁
KR200310225Y1 (ko) 자물쇠의 잠김 상태 확인 기능이 추가된 열쇠
KR20140028841A (ko) 보안 기능이 구비된 모바일 단말기
JP3832407B2 (ja) 車載端末
KR200373352Y1 (ko) 자동 및 수동 겸용 전자식 도어록장치
TWI771234B (zh) 電子裝置
GB2182975A (en) A card-type combination lock
CN212897984U (zh) 一种门锁防撬防钻报警机构
KR100236407B1 (ko) 자물쇠 잠금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기록장치
JP5120138B2 (ja) セキュリティ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O032 Opposition [utility model]: request fo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411

Year of fee payment: 3

O131 Decision on opposition [utility model]
O062 Revocation of registration by opposition [utility model]: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