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409U - 환풍기 - Google Patents

환풍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409U
KR19990034409U KR2019980000735U KR19980000735U KR19990034409U KR 19990034409 U KR19990034409 U KR 19990034409U KR 2019980000735 U KR2019980000735 U KR 2019980000735U KR 19980000735 U KR19980000735 U KR 19980000735U KR 19990034409 U KR19990034409 U KR 199900344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weights
body unit
rotating plat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73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52398Y1 (ko
Inventor
김경덕
Original Assignee
김경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경덕 filed Critical 김경덕
Priority to KR201998000073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52398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4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409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5239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52398Y1/ko

Links

Landscapes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이러한 환풍기 수리시에 원심 작용의 복수 추(웨이트)가 이탈되는 일이 없어 수리를 용이하게 하는 한편 원심력 작용의 추 동작이 약회전시 불완전한점을 제거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목적을 구현할수 있도록 일측에 복수의 추(2)를 지지고정 하기위한 내덮개(3)와 함께 복수의 추(2) 및 복수의 날개(4)들을 수용하고 있고 타측에 회동판(5)과 외덮개(6)등이 구비 되어져 있는 본체 유니트(1)와, 이 본체 유니트(1)의 내덮개(3)가 덮어지는 공간에 설치되어져 있으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원호 동작 및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추(2)와, 이들 복수의 추(2)들을 외부에서 덮어주는 내덮개(3)와, 상기 본체 유니트(1)의 타측에 설치되어져서 날개(4)들의 원호회전 동작을 추(2)와 함께 유도하고 복귀 시키는 회동판(5)과, 이 회동판(5)등을 외부에서 덮어주는 외덮개(6) 등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은 원심력 동작으로 원호 동작하는 추가 본체 유니트의 내측에 배치 되면서 내덮개로 덮여지기 때문에 환풍기 수리시에 복수의 추들이 자유로 이탈됨이 없이 수리를 원활하게 할수 있고 회전력이 저하 되더라도 정확한 복원력을 갖을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환풍기
본 고안은 회전시 추의 원심력에 의하여 날개가 열려지고 모터 정지시는 추가 복원되어 날개가 닫혀지는 가변 날개을 갖는 환풍기에 관한 것으로서, 이는 특히 이러한 환풍기를 수리할 때 추가 내덮개에 의하여 자유로 놀지않아 수리가 용이하고 미관이 좋으며, 한편으로는 회전력 약화시에 추가 복원되지 않게되는 문제점 등을 해결할수 있도록 한 것이다.
가변 날개를 갖는 종래 환풍기의 전형적 형태는 다음과 같이 이뤄져 있다.
외측에 판스프링으로 자재 되면서 본체 유니트 타측에 노출된 상태로 설치 되어져 있는 다수의 추와, 중앙에 축수가 형성되고 축수를 중심으로 양측에 추돌기 관통 장공이 형성되어 있고 주연에 복수개의 날개 유착 보스들이 형성 되어져 있는 본체 유니트와, 중앙에 축수 관통공이 있고 주연에 복수개의 날개돌기 걸림홈들이 형성 되어져 있는 회동판과, 다수의 날개들을 포함한 형태로 되어있다.
그리고, 이러한 선행 기술에서는 상기 본체 유니트가 모터의 회전력으로 돌게되면 추가 원심력에 의하여 날개들을 원호 회전하게되고, 이들 날개들이 원호회전하면 추 및 상기 회동판의 동작으로 환기구가 열리게 되며, 이후 환풍 동작이 종료되었을때는 추 및 회동판이 복귀 스프링 등의 작용으로 복원되어 환기구를 닫히게 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에서는 사용자가 날개등이 더러워져서 환풍기를 벽면등으로 부터 뜯어내어 수리 및 청소할때는 상기 추가 본체 유니트의 일측에 그데로 노출된 상태로 판 스프링과 함께 1 점을 지점으로 자유로 놀게 되어져 있어 이러한 환풍기의 수리 및 청소시에 복수의 추가 쉽게 본체 유니트로 부터 판 스프링과 함께 이탈되기 때문에 수리 및 재조립의 어려움을 피하기 어려운 것이었다.
또, 상기 추는 판 스프링으로 지지되고 있어 원심력에 의한 추의 유동성을 원할히 하기 어렵고 한편으로는 회전력이 약할 경우에는 날개의 개방이 정상적으로 이뤄지지 않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는 것이었다.
또, 상기 종래 기술은 추가 외부에 그데로 노출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그 미관을 헤치는 원인도 되엇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할수 있도록 상기 추들이 본체 유니트내에 내덮개와 함께 수용될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환풍기의 수리 및 청소시에 추들의 자유로운 분리로 인한 문제점을 없앨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의 또다른 목적은 상기 내덮개에 의하여 지지 고정되는 추들의 원심력 동작과 관련하여 다수의 날개를 개방/폐쇄 시키는 회동판이 코일 스프링으로 원심력에 의한 인장력과 복원력 등을 충실히 제공할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러한 기기에서 추의 유동을 원할히 하며 회전력 저하에 따른 날개 개방 기능을 저하 시키지 않도록 한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예의 목적을 구현할수 있도록 일측에 복수의 추를 지지고정 하기위한 내덮개와 함께 복수의 추 및 복수의 날개들을 수용하고 있고 타측에 회동판과 외덮개등이 구비 되어져 있는 본체 유니트와, 이 본체 유니트의 내덮개가 덮어지는 공간에 설치되어져 있으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원호 동작 및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추와, 이들 복수의 추들을 외부에서 덮어주는 내덮개와, 상기 본체 유니트의 타측에 설치되어져서 날개들의 원호회전 동작을 추와 함께 유도하고 복귀 시키는 회동판과, 이 회동판등을 외부에서 덮어주는 외덮개 등을 포함한 구성의 환풍기에 특징이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 이를 첨부된 도면과 함께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여 봄으로서 본 고안의 보다 상세한 특징들이 이해될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에 의한 환풍기의 참고도
도 2는 도 1에서 본체 유니트 등을 발췌하여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가 결합된 상태에서 요부를 단면으로 나타낸 참고도
도 4는 본 고안의 사용상태를 나타낸 참고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
1: 본체 유니트 2: 추
3: 내덮개 4: 날개
5: 회동판 6: 외덮개
도 1은 본 고안의 환풍기에서 내덮개(3)가 벗겨진 상태의 본체 유니트() 등을 평면으로 나타 내었다.
여기서는 통상의 환풍기와 같이 중앙에 다수의 날개(4)들 및 모터 등을 지지하는 본체 유니트(1) 등을 수용하고있는 환풍공이 환풍기 하우징(7)에 형성 되어져 있다.
상기 하우징(7)의 환풍공에는 하우징(7)의 뒷부에서 형성된 브라케트등으로 지지되는 본체 유니트(1)가 내설 되어져 있고, 이 본체 유니트(1)의 일측에는 내덮개(3), 추(2), 날개(4)들이 결합되며, 이 본체 유니트(1)의 타측에는 회동판(5) 및 외덮개(6) 등이 결합 되어져 있다.
상기 본체 유니트(1)는 도 2 및 도 3과 같이 일측에 복수의 추(2)와함께 복수의 날개(4)들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부(16)가 형성 되어져 있고, 이 공간부(16)에는 날개(4)들의 개폐동작시 날개(4)들의 회동돌기(42)를 안내하는 날개안내장공(12)들이 형성 되어져 있다.
또, 상기 공간부(16)에는 날개(4)들의 회전 동작시 이들을 지지하고 안내하는 복수의 날개보스(13)가 각 날개(4)들의 회동부(41)를 겨냥하여 이들을 수용할수 있도록 형성 되어져 있고 날개(4)들의 회동부(41)가 관삽되는 날개홈(15)들이 형성 되어져 있으며, 중앙에는 모터축을 고정 하면서 축수를 이루고 있는 축돌봉(11)이 구비 되어져 있다.
또, 상기 본체 유니트(1)의 타측에는 상기 축돌봉(11)측에 설치 되어져 있는 추(2)들의 움직임과 연동되어 원호회전하는 회동판(5)을 수용 하기 위한 회동판 수용홈(17)이 형성 되어져 있고, 이 회동판 수용홈(17)에는 날개(4)들의 회동돌기(42)가 관통되는 본체장공(12)과, 회동판장홈(51)들을 안내하는 회동판 돌기(14)와, 본체 유니트(1)의 타측부 테두리면에 돌설 시킨 다수의 스프링돌기(18)들이 구비 되어져 있다.
또, 상기 본체 유니트(1)의 축돌봉(11)을 중심으로 대칭되게 배치되는 추(2)는 일점에 이동 지점을 형성하기위한 나사공(21)이 형성 되어져 있고, 그 형상은 공지와 같이 본체장공(12)을 관통하는 회동돌기(42)들과 면접되는 수평날개부(22)와, 이것과 함께 나사공(21)측 반대편에서 형성 되어져 있고 웨이트를 고려한 형태의 직각날개(23) 등을 포함한 "ㅗ"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상기 내덮개(3)는 스크류 등의 지지고정 수단과 날개보스(13)들을 제외한 모든 부분을 감싸도록 보스홈(32)과 덮개날개(31)등이 지그재그로 형성 되어져 있다.
또, 상기 날개(4)들은 추(2) 및 회동판(5) 동작과 함께 일정한 각도로 움직일수 있도록 한 회동부(41)와, 이 회동부(41)에 일체로 돌설되어져 있으면서 회동판(5)의 회동판장공(51)에 걸려지는 회동돌기(42)들이 구비 되어져 있다.
또, 상기 회동판(5)은 본체 유니트(5)의 회동판 요홈(17)에 적합히 수용될수 있도록한 직경으로 이뤄져 있고, 상기 날개(4)들이 본체 유니트(1)의 공간부(16)에서 추(2) 및 내덮개(3)와 함께 결합된 상태에서 제각기 돌출되는 회동돌기(42)들을 잡아주기 위한 돌기홀(52)과 본체돌기(14)에 의해 안내되는 장공(51)들이 제각기 형성 되어져 있다.
또, 상기 회동판(5)에는 본체 유니트(1)의 스프링돌기(18)에 고정되는 코일 스프링(54)의 타측을 잡아주기 위한 회동판 스프링돌기(53)가 적당한 위치에 돌설 되어져 있다.
또, 상기 외덮개(6)는 회동판(5) 및 코일 스프링(54) 등을 전체적으로 감싸면서 스크류 등의 결합 수단으로 결합될수 있도록 형성 되어져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고안은 모터가 돌지않는 정상상태에서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추(2)가 원심력을 받지않고 지점인 나사공(21)과 함께 고정 되어져 있어 지점을 중심으로 자연 하중에 의하여 도 1과 같은 상태로 위치되고 추(2)의 수평날개(22)는 본체 유니트(1)의 본체장공(12)으로 돌출 되어져 있는 날개(4)의 회동돌기(42)들과 이격된 상태로 있게 된다.
또, 이러한 상태는 본체 유니트(1)의 타측에 형성된 본체돌기(14)가 회동판(5)의 회동판장공(51)에서 움직임 없는 정상 위치로 있게되며, 이때는 통상의 형태데로 날개(4)들은 제각기 뉘어져서 환풍기 하우징(7)의 환기공을 막은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환풍기의 모터가 회전될 때는 추(2)는 원심력이 생겨 추(2)의 수평날개(22)는 본체 유니트(1)의 본체장공(12)에 돌출되어져 있는 날개(4)의 회동돌기(42)들을 제각기 최대한 도로 밀게되어 도 4와 같은 상태로 있게 되고, 이와 동시에 본체 유니트(1)의 타측에 형성된 본체돌기(14)가 회동판(5)의 회동판장공(51)에서 회동판장공(51)에 안내되면서 최대점까지 움직여서 회동판(5)을 회동판장공(51) 길이 만큼 날개(4)들을 원호동작 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 코일 스프링(54)은 본체 유니트(1)의 본체 스프링돌기(18)와 회동판 스프링돌기(53)에 양단이 제각기 고정 되어져 있어 이러한 회동판(5)의 원호 동작과 함께 인장된 상태로 있게 되며, 이러한 상태는 날개(4)들이 수평 상태에서 경사각을 이룬 상태가 되어 환풍구를 개방한 상태로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은 모터 회전에 의한 날개(4)들의 개방 상태는 모터의 정지와 함께 추(2)가 원위치로 복귀됨과 동시에 회동판(5)이 코일스프링(54)의 복원력으로 제자리로 오게 되면 회동판(5)의 돌기홀(52)들에 걸려있는 날개(4)의 회동돌기(42)들이 제자리를 찾아가도록 임의각도 회전 함으로 날개(4)들은 경사각으로 개방 되다가 수평 상태로 복귀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환풍기의 본체 유니트에 설치되는 추들이 내덮개로 덮여져 있어 환풍기를 수리하거나 청소할 때 추들이 자유로 놀지않아 이러한 환풍기의 수리 및 청소 작업을 원활히 할수 있다.
또, 본 고안은 회동판이 별도의 코일스프링에 의하여 모터 동작시 인장되면서 한편으로는 추의 수평날개가 날개들의 회동돌기를 원심력에 의하여 제각기 밀어주고 있기 때문에 회전력이 약하더라도 충분한 날개들의 개방 동작을 원만히 이룰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일측에 복수의 추(2)를 지지고정 하기위한 내덮개(3)와 함께 복수의 추(2) 및 복수의 날개(4)들을 수용하고 있고 타측에 회동판(5)과 외덮개(6)등이 구비 되어져 있는 본체 유니트(1)와, 이 본체 유니트(1)의 내덮개(3)가 덮어지는 공간에 설치되어져 있으면서 원심력에 의하여 원호 동작 및 복귀 동작을 수행하는 복수의 추(2)와, 이들 복수의 추(2)들을 외부에서 덮어주는 내덮개(3)와, 상기 본체 유니트(1)의 타측에 설치되어져서 날개(4)들의 원호회전 동작을 추(2)와 함께 유도하고 복귀 시키는 회동판(5)과, 이 회동판(5)등을 외부에서 덮어주는 외덮개(6) 등을 포함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환풍기
KR2019980000735U 1998-01-22 1998-01-22 환풍기 KR20025239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35U KR200252398Y1 (ko) 1998-01-22 1998-01-22 환풍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735U KR200252398Y1 (ko) 1998-01-22 1998-01-22 환풍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409U true KR19990034409U (ko) 1999-08-25
KR200252398Y1 KR200252398Y1 (ko) 2002-02-28

Family

ID=697118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735U KR200252398Y1 (ko) 1998-01-22 1998-01-22 환풍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5239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1053A1 (en) * 2006-10-27 2008-05-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51053A1 (en) * 2006-10-27 2008-05-02 Lg Electronics Inc. Cook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52398Y1 (ko) 2002-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66497A (ko) 공기조화기
KR940001494A (ko) 손잡이 작동식 무삽입력 소켓
US4523434A (en) Air ventilator
US5915441A (en) Dual pivot hinge assembly
EP1169537A1 (en) Crescent hinge
KR970001271Y1 (ko) 냉장고의 온도조절부 회전식 개폐장치
US4333206A (en) Nested hinge members with spring arm catch
KR19990034409U (ko) 환풍기
JP2616612B2 (ja) パイプ用換気扇
US20050198905A1 (en) Casement window opening and closing assembly
KR200405565Y1 (ko) 미닫이 창문용 개폐 제어장치
US4841601A (en) Hinge device with transverse slots
US4527671A (en) Rotary direction regulator for synchronous electric motor
KR200165382Y1 (ko) 공조기기
KR102613470B1 (ko) 공기조화기의 측면토출구 개폐도어장치
US5449059A (en) Coin switch for a coin handling device
KR880001785Y1 (ko) 환풍기
CN219243874U (zh) 一种摆叶结构
JPH1054648A (ja) 冷蔵庫の扉装置
JPH04227421A (ja) 電子レンジのドア開閉装置
KR200336476Y1 (ko) 환풍기
JPH0642234Y2 (ja) 開閉蓋
KR100275317B1 (ko) 회전날개의 각도변위가 용이한 환풍기
KR100265879B1 (ko) 도어용 경첩
KR860003073Y1 (ko) 환 풍 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