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368U -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구조 - Google Patents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368U
KR19990034368U KR2019980000682U KR19980000682U KR19990034368U KR 19990034368 U KR19990034368 U KR 19990034368U KR 2019980000682 U KR2019980000682 U KR 2019980000682U KR 19980000682 U KR19980000682 U KR 19980000682U KR 19990034368 U KR19990034368 U KR 1999003436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nk
sump
needle
sedimentation tank
se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0068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80003Y1 (ko
Inventor
권혁중
Original Assignee
권혁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혁중 filed Critical 권혁중
Priority to KR201998000068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0003Y1/ko
Publication of KR19990034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000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0003Y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1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 E03F5/0404Gullies for use in roads or pavements with a permanent or temporary filtering device; Filte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2Manhole shafts or other inspection chambers; Snow-filling openings; accessori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6Gully grat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집수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물을 걸러내는 침사조를 집수통의 크기에 관계없이 모든 집수통에 사용할 수 있는 침사조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집수통의 다양한 규격에 따라 침사조 또한 다양한 규격을 갖는다. 이 때문에 침사조 제조금형을 규격별로 구비해야 하기 때문에 금형제작비가 높아지고 그로 인한 제품의 단가 또한 상승하게 된다. 그리고 침사조가 일체로 되어 있기 때문에 걸러진 오물이 퇴적되면 잘 떨어지지 않아 이를 제거하기가 어려운 폐단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집수통의 턱 보다 큰 면적을 갖는 판의 내부에 단일 규격의 침사조를 안착시키는 침사조 삽입구멍을 갖고 그 상단에 플랜지가 안착되는 단턱을 갖는 침사조받침을 집수통의 규격별로 구비하여 설치하고자 하는 집수통의 턱에 안착시키고, 침사조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시키고 그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이에 바닥판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단부에 침사조받침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침사조받침에 안착 설치함으로써 크기가 일정한 침사조를 침사조받침을 통해 다양한 규격을 갖는 모든 집수통에 사용할 수 있다. 또 침사조의 바닥이 분리되거나 또는 망 및 침사조 자체가 유연탄력성이 좋은 자루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침사조에 오물이 심하게 퇴적되어 있더라도 신속 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본 고안은 배수로와 연결되어 빗물 및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로로 배수시키면서 토사, 낙엽 등 오물을 걸러 내는 집수통의 침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집수통의 내부에 설치되어 오물을 걸러내는 단일 규격의 침사조를 집수통의 규격에 관계없이 범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침사조의 설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가장자리에는 빗물 및 오수를 받는 집수통이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어 있다. 이 집수통은 우수 및 오수를 집수하여 하수로로 배수시킴과 동시에 하수로로 유입되는 오물을 걸러내어 하수로가 막히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종래의 집수통(10)은 도 1에서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일정한 깊이를 갖는 사각통으로 되어 있고 상부에는 다수의 빗물 및 오수 유입구멍(11a)을 갖는 뚜껑(11)이 안착된다. 집수통(10)의 상부에는 턱(14)이 형성되어 있고, 하부 일측벽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배수시키는 배수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통(10)의 내부에는 오물을 걸러내는 침사조(17)가 내장되어 있다. 침사조(17)은 상단부에 외향된 플랜지(18)가 형성되어 집수통(10) 상단의 턱(14)에 안착되며, 측벽부에는 바닥부와 일정한 높이로 빗물 및 오수가 통과되는 배수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집수통(10)은 빗물이나 오수가 뚜겅(11)의 유입구멍(11a)으로 유입되면 침사조(17)로 떨어지면서 빗물이나 오수는 배수구멍(12)을 통과하게 되고 오물은 침사조(17)에 걸리게 된다. 또 침사조(17)를 통과한 빗물이나 오수는 집수통(10)의 하부에 1차로 집수된 후 배수구멍(12)으로 오우버플로우(overflow) 되어 배수된다. 이때 모래와 같은 미세입자들은 집수통(10)의 하부에 침전되어 걸러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의 집수통은 용량에 따라 그리고 시공자나 제조회사에 따라 그 규격이 다양하다. 그러므로 집수통의 내부의 침사조 또한 집수통의 규격에 맞게 다양한 규격으로 제작될 뿐만 아니라 집수통과 침사조를 한 셋트로 제작되기 때문에 규격이 다른 집수통에는 서로 호환이 되지 않으며, 침사조가 설치되지 않은 이미설치된 집수통에는 별도의 시공없이는 사용할 수 없었다.
또한 각 집수통에 맞는 침사조를 한 셋트로 제작해야 하기 때문에 각 집수통에 맞는 침사조를 제조해야하므로 제조비용이 많이 소요된다. 특히 금형도 침사조의 규격별로 각각 구비해야 하므로 금형 제조비용이 많이 들고, 각 집수통에 맞는 침사조를 각각 별도로 관리해야하기 때문에 관리 또한 어려움이 있는 폐단이 있다.
또한, 침사조에 오물이 걸러지면 퇴적되는데, 이 퇴적물은 침사조로부터 잘 떨어지지 않아 오물수거작업이 어렵고 침사조가 잘 파손되는 등의 단점이 있었다. 특히 배수통의 하부에 침전된 침전물은 더욱더 제거하기가 힘든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의 폐단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단일 규격의 침사조와 침사조 받침을 한 셋트로 하여 침사조받침의 규격 변화만으로 어떠한 규격의 집수통에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는 침사조의 설치 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침사조에 걸러진 오물은 시간이 흘러 퇴적되어 잘떨어지지 않게 되는데, 이와 같이 퇴적된 오물을 신속간편하게 제거할 수 있는 침사조 설치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집수통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3a,3b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결합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사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도 5a,5b는 제1실시예의 침사조와 걸름망의 결합상태도,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사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집수통 11 - 뚜껑
12 - 배수구멍 14 - 턱
16 - 침사조받침 18 - 단턱
19 - 경사면 20 - 침사조
21 - 플랜지 22 - 절결구멍
24 - 손잡이 25 - 걸림턱
26 - 바닥판 27 - 보강리브
(도 4)
30 - 침사조 31 - 플랜지
36 - 걸름망
(도 6)
40 - 침사조 41 - 플랜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상단부에는 턱과 일측 측벽 하부에는 배수구멍을 갖고, 상부에는 다수개의 유입구멍이 형성된 뚜껑이 안착되는 집수통의 내부에 빗물이나 오수는 통과시키고 오물은 걸러내는 침사조를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사조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침사조구멍이 형성된 판형상의 침사조받침을 구비하여 집수통의 턱에 안착시키고, 상기 침사조는 바닥을 상하로 관통시키고 침사조 내측바닥 둘레에 걸림턱을 형성하여 걸림턱상에 바닥판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단부외측에 상기 침사조받침의 구멍의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를 형성하여 침사조받침 내의 침사조구멍에 안착함으로써 규격이 다른 여러종류의 집수통에 단일 규격의 침사조를 범용되게 사용할 수 있게한 것이다. 특히 내부규격이 일정치 않은 이미 시설된 어느 종류의 집수통이나 관계 없이 별도의 시공없이 간단히 설치사용 할 수 있다.
이하,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침사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집수통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집수통은 상단에 턱(14)이 형성되어 있고, 측벽의 하부에는 배수구멍(12)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집수통(10)의 상부에는 빗물이나 오수를 유입시키는 다수개의 유입구멍(11a)이 형성된 뚜껑(11)이 안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집수통(10) 내부에 침사조(20)가 침사조받침(16)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침사조(20)는 상하로 3등분하여 상부 2/3의 부위에는 빗물이나 오수는 통과시키고 오물은 걸러내는 다수개의 절결구멍(22)이 형성되어 있고, 그 이하에는 막혀 있다. 그리고 외측면과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보강리브(27)가 세로로 돌출형성되어 있다. 또 침사조(20)의 상부 내측에는 손잡이(24)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침사조(2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21)가 있고, 바닥에는 분리된 바닥판(26)이 착탈 가능하게 분리되어 있다. 즉, 침사조(20)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시키고, 그 관통부 둘레에 걸림턱(25)을 내향되게 돌출시켜, 이 걸림턱(25)의 상단에 바닥판(26)을 안착시킨 것이다.
또한 침사조(20)를 집수통(10)에 착탈가능하게 안착시키는 침사조받침(16)은 내부에 침사조(20)가 삽입되는 침사조구멍(16a)이 형성되어 있고, 침사조구멍(16a)의 상단은 침사조(20)의 플랜지(21)가 안착되는 단턱(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턱(18)의 상단에는 빗물 및 오수를 유도하는 경사면(19)가 형성되어 있다. 침사조받침(16)은 집수통(10)의 규격별로 각각 크기와 모양이 다르게 형성되어 있다. 특히, 침사조구멍(16a)은 단일 규격의 침사조(20)를 안착시킬 수 있는 간격을 가지며 필요에 따라 둘 이상의 침사조(2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즉 집수통(10)의 규격이 클 경우에는 도 3b에서와 같이 침사조받침(16)의 규격을 집수통(10)의 규격에 맞게 크게하고 침사조구멍(16a)을 길게 형성하거나 여러개 형성하여 이에 단일 규격의 침사조(20)를 여러개 안착시키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의 침사조(20)를 집수통(10)에 장착할 때는 먼저 침사조(20)의 하부에 바닥판(26)을 안착시키고 침사조받침(16)을 집수통(10)의 턱(14)에 안착시킨 후 침사조받침(16)의 침사조구멍(16a)에 침사조(20)를 삽입 안착시킨 다음 뚜껑(11)을 닫는다.
이와 같이 침사조(20)가 설치된 집수통(10)에 빗물이나 오수가 뚜껑(11)의 유입구멍(11a)을 통해 유입되면 빗물이나 오수는 침사조(20)에 떨어진다. 침사조(20)에 떨어진 빗물, 오수는 절결구멍(22)이 형성되는 부위까지 만수된 후 절결구멍(22)을 넘치게 된다. 이때 모래나 흙 또는 작은 입자들이 침전되게 되고, 입자가 큰 오물들은 절결구멍(22)에 걸러지게 된다. 이와 같이 오물들이 침전 및 걸러진 빗물 및 오수는 절결구멍(22) 및 바닥판(26)과 걸림턱(25)사이의 미세한 틈을 통해 집수통(10)의 하부로 배수된다. 집수통(10)의 바닥으로 떨어진 빗물이나 오수는 바닥부에 머물렀다가 만수되어 다시 배수구멍(12)을 넘쳐 배수되는데 이때에도 입자가 미세한 모래나 흙 및 돌과 같은 것들이 침전된다. 그렇지만 침사조(20)에서 모래나 흙 및 돌과 같은 미세한 침전물들을 효율적으로 걸러내게 됨으로 사실상 침전물을 침전시키기 위해 바닥으로부터 일정한 높이에 형성시켰던 배수구멍(12)을 집수통(10)의 바닥판(38)과 가까운 곳에 형성하여도 무방하다.
이와 같이 빗물이나 오수에 섞인 오물들이 걸러지게 되면 시간이 흐를 수록 침사조(20)의 하부에 퇴적되게 된다. 따라서 정기적으로 침사조(20)에 퇴적된 오물을 청소해 주게 되는데, 이때에는 집수통(10)의 뚜껑(11)을 열고 침사조(20)의 상단에 형성된 손잡이(24)를 이용하여 침사조받침(16)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외부에서 침사조(20)를 꺼꾸로 엎어 바닥판(26)을 하방향으로 밀어내린다. 이 조작에 의해 바닥판(26)은 하부로 떨어지게 되는데, 이때 퇴적되어 있던 오물이 침사조(20)로 부터 쉽게 분리된다. 오물이 완전히 떨어지게 되면 바닥판(26)을 다시 침사조(20)의 걸림턱(25)에 안착시킨 후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다시 집수통(10)에 장착시키면된다.
한편,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침사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침사조(30)의 하부에 플랙시블한 다공체의 걸름망(36)을 연결 설치한 것이다.
침사조(30)에 걸름망(36)이 연결된 상태를 보면 도 5a와 같이 걸림턱(25)의 상면 양측에 일정간격 이격된 복수개의 돌출부(38a)가 형성되어 있고, 걸름망(36)의 상에 침사조(30)의 하부와 동일한 크기의 테(37) 양측 하단부에는 돌출부(38a) 사이로 억지끼움되는 삽입돌기(38b)가 형성되어 있다. 또는 도 5b에서와 같이 걸림턱침사조(30)의 하부를 관통시키고 그 하단부 양측에 안내홈(39b)이 형성된 가이드(39a)를 구비하고, 걸름망(36)의 테(37) 양측은 가이드(39a)의 안내홈(39b)에 삽입되어 착탈 가능하게 슬라이딩 결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해 침사조(30)로 유입된 빗물이나 오수는 걸름망(36)이나 측벽에 형성된 절결구멍(22)을 통해 배수되고 오물만 걸름망(36)에 걸러지게 된다.
걸러진 오물을 청소할 때에는 침사조(30)를 집수통(10)으로부터 분리시킨 후 꺼꾸로 엎고 걸름망(36)을 뒤집어 털면 퇴적된 오물이 쉽게 분리 제거된다. 만약 걸름망(36)이 파손되어 이를 교체해야 할 경우에는 침사조(30)를 엎고 걸름망(36)을 하부로 가압하게 되면 복수개의 돌출부(38a) 사이에 억지되어 있던 삽입돌기(38b)가 분리되면서 침사조(30)와 걸름망을 분리하거나 또는 가이드(39a)로부터 테(37)를 가이드방향으로 밀거나 당기게 되면 안내홈(39b)에서 슬라이딩되면서 쉽게 분리됨으로 신속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
또한,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침사조의 설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로서, 침사조를 유연탄력성이 높은 금속, 스테인레스 또는 합성수지 등의 재질에 다수의 물빠짐 구멍이 형성된 일체형의 판 또는 망을 자루형으로 형성하여 침사조(36)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걸러진 오물을 청소할 때는 자루형 침사조(36)를 집수통(10)으로부터분리한 후 뒤집어 쏟으면서 힘을 가하면 유연탄력성이 좋아 자체탄성력에 의해 뒤집어진다. 이때 바닥에 퇴적되어 있던 오물이 쉽게 분리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크기가 일정한 침사조를 침사조받침(16)을 통해 크기가 다양한 모든 집수통(10)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집수통(10)을 제작할 때 종래와 같이 다양한 크기의 침사조 금형을 제작할 필요가 없으므로 제조단가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다.
또한, 침사조의 바닥이 분리되는 바닥판(26) 또는 망으로 되어 있거나 침사조 자체가 유연탄력성이 좋은 일체의 자루형으로 되어 있으므로 침사조에 걸러진 오물이 심하게 퇴적되어 있더라도 오물을 신속하고 간편하고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상단부에는 턱(14)과 일측 측벽 하부에는 배수구멍(12)을 갖고, 상부에는 다수개의 유입구멍(11a)이 형성된 뚜껑(11)이 안착되는 집수통(10)의 내부에 빗물이나 오수는 통과시키고 오물은 걸러내는 침사조를 설치하는 구조에 있어서,
    내부에 단일 규격으로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침사조(2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침사조구멍(16a)을 갖고 이 침사조구멍의 상단둘레에 단턱(18)을 갖는 판형상의 침사조받침(16)을 집수통(10)의 규격별로 구비하여 집수통(10)의 턱(14)에 안착시키고,
    상기 침사조(20)의 바닥을 상하로 관통시키고 그 둘레에 걸림턱(25)을 형성하여 이에 바닥판(26)을 안착시킴과 동시에 상단부에 상기 침사조받침(16)의 침사조구멍(16a) 상단에 안착되는 플랜지(21)를 형성하여 침사조받침(16)의 침사조구멍(16a)에 안착하여 크기가 일정한 침사조(20)를 상기 침사조받침(16)을 통해 다양한 규격을 갖는 모든 집수통에 범용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30)의 하부를 상하로 관통시키고, 그 관통부에 플랙시블한 다공체의 걸름망(36)을 착탈가능하게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침사조(40)를 다수의 구멍이 형성된 유연탄력성이 높은 일체의 자루형으로 형성하여 상하로 뒤집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KR2019980000682U 1998-01-21 1998-01-21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KR20018000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682U KR200180003Y1 (ko) 1998-01-21 1998-01-21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00682U KR200180003Y1 (ko) 1998-01-21 1998-01-21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368U true KR19990034368U (ko) 1999-08-25
KR200180003Y1 KR200180003Y1 (ko) 2000-05-01

Family

ID=195313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00682U KR200180003Y1 (ko) 1998-01-21 1998-01-21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0003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2834B1 (ko) 2008-10-09 2009-04-10 권혁중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침사조 시스템 장치
KR100953473B1 (ko) 2008-10-09 2010-04-16 권혁중 다양한 입자별 거름기능과 수량조절, 정화 및 투수작용의 착탈식 우수받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0003Y1 (ko) 2000-05-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0663B1 (en) Storm drain filter system
US6797162B2 (en) Catch basin filter for stormwater runoff
US6217757B1 (en) Storm drain filter with vertical screens
KR102075557B1 (ko) 필터를 이용한 빗물 여과 장치
KR20110010631U (ko) 하수구용 이물질 거름 장치
JPH10338908A (ja) 路面排水装置
KR100941146B1 (ko) 덮개 이탈 방지기능을 갖는 필터 장착구조의 교량용 집수장치
KR101355342B1 (ko) 우수 재사용을 위한 집수장치
KR100855693B1 (ko) 협잡물 제거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180003Y1 (ko) 집수통의 침사조 설치 구조
KR101212948B1 (ko) 그리스 트랩
KR200428992Y1 (ko) 우수받이용 이물질 걸름장치
KR200431109Y1 (ko) 이물질 거름 기능을 갖는 우수받이
KR200168160Y1 (ko) 오버플로우구멍을 갖는 우수받이의 토사받이 받침
KR101158632B1 (ko) 비점 오염원 저감 맨홀
KR200460809Y1 (ko) 교량용 집수구
KR200333359Y1 (ko) 퇴적물 수거를 위한 도로변 배수용 집수조
JP2010275717A (ja) 排水目皿
KR200440804Y1 (ko) 개량 우수받이
KR200208312Y1 (ko) 여과조가 구비된 도로용 빗물 집수구
JP2005273354A (ja) 排水溝や排水桝のごみ受け籠
KR200248509Y1 (ko) 우수받이용 필터링 바스켓
KR100883616B1 (ko) 협잡물 거름용 스크린을 구비한 초기우수 처리장치
KR101217390B1 (ko) 맨홀용 정화장치
JPS6214224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207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