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4057A -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 Google Patents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4057A
KR19990034057A KR1019970055538A KR19970055538A KR19990034057A KR 19990034057 A KR19990034057 A KR 19990034057A KR 1019970055538 A KR1019970055538 A KR 1019970055538A KR 19970055538 A KR19970055538 A KR 19970055538A KR 19990034057 A KR19990034057 A KR 19990034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figuration data
base station
received
communication system
satellite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5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봉규
Original Assignee
강상훈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상훈, 유기범,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상훈
Priority to KR10199700555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4057A/ko
Publication of KR19990034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4057A/ko

Links

Landscapes

  • Radio Relay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중앙국의 망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각각 다수의 가입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인공위성을 통해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하여 가입자에게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을 입력하는 운용자단말기와, 상기 운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구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구성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ACK신호 송신부, 및 운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출명령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후 수신되는 기지국의 구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본 발명은 인공위성을 이용한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지국 시스템의 구성데이터가 변경되었을 때, 이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중앙국의 망관리장치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해 주는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원격지에 위치하는 가입자가 인공위성을 통하여 통화를 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성통신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는 바, 이와같은 위성통신은 통화를 위해 별도의 신호선이 필요로 되지 않기 때문에 주로 국가간의 장거리 통신이나, 또는 우리나라와 같이 산악이 많은 나라의 통신방법으로서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한 위성통신에 있어서는 그 채널할당방식에 따라 가입자별로 각각의 통신채널을 예약 할당하는 PAMA(Pre Assignment Multiple Access) 방식과 가입자의 요구에 따라 통신채널을 할당하는 DAMA(Demand Assignment Multiple Access) 방식의 두가지 방식을 들 수가 있는데, 일반적으로 가입자간의 통화를 위한 위성통신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채널의 가격과 그 효용성을 고려하여 DAMA 방식을 많이 채용하고 있다.
도1은 DAMA방식에 따른 일반적인 위성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에서 참조번호 1은 다수의 통신용 채널을 구비한 인공위성이고, 2는 전체 위성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국, 3(3A, 3B)은 교환기(11A, 11B)나 전화기(12A, 12B), 컴퓨터 등의 데이터 단말기(13A, 13B) 및 팩시밀리(14A, 14B) 등의 단말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중앙제어국(2)과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한 각종 단말기간의 통화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이다.
또한, 도1에서 참조부호 S는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을 나타내고, T는 데이터나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나타낸다. 서비스채널(S)은 중앙제어국(2)으로부터 기지국(3)으로 제어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TDM(Time Division Multiple) 채널과 기지국(3)으로부터 중앙제어국(2)으로 제어데이터를 송신하기 위한 S/ALOHA(Slotted ALOHA)채널을 지칭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중앙제어국(2)은 정상적인 상태에서는 서비스 채널을 통해서 제어 메시지를 송출한 후 해당 기지국(3)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각 기지국(3)의 상태 예컨대, 통신모뎀의 현재상태나 통신채널의 이용상태를 점검하는 폴링(Polling)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특정한 기지국 예컨대 어느 기지국(3A)으로부터 다른 기지국(3B) 관할의 단말기에 대해 통화요구(Calling)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폴링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근거로 해당 기지국(3B)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고, 통신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이용가능한 트래픽 채널(T)을 양 기지국(3A, 3B)에 할당함으로써 양 기지국(3A, 3B)이 직접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이어, 중앙제어국(2)은 상기한 양 기지국(3A, 3B)간에 통신이 종료되어 통신요구가 있었던 기지국(3A)으로부터 서비스 채널(S)을 통해 통신종료 신호가 인가되게 되면 양 기지국에 대해 통신종료처리를 실행함으로써 양 기지국(3A, 3B)에 대해 제공되었던 트래픽 채널(T)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중앙제어국(2)은 소정의 운용자 단말기를 통해 시스템 관리자와 직접 결합되게 되는 바, 중앙제어국(2)은 이 운용자 단말기로 네트워크 시스템의 기지국(3)과 관련된 각종 상태제이터를 출력하게 되고, 시스템 관리자는 이 상태데이터를 근거로 네트워크 시스템의 직접적인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한편, 일반적으로 위성통신 네트워크에서는 중앙제어국(2)과 기지국(3)의 거리가 상당히 멀리 떨어져 있다. 더욱이 본 DAMA-SCPC(Single Channel Per Carrier)시스템에서 기지국(3)은 무인 운용의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중앙제어국(2)에서 감시 및 운용 시스템을 이용하여 인공위성(1)을 통한 위성링크를 통해 원격적으로 전체 네트워크를 관리하게 된다.
한편, 위성통신 시스템이 운용되고 있는 중에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지국(3)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다운로드 기법을 이용하게 되는데, 이는 중앙제어국(2)에서 변경할 프로그램을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지국(3)으로 동일하게 전송하게 된다.
또한, 기지국(3)에 프로그램 로딩시 중앙제어국(2)의 망관리장치에서는 로딩할 프로그램과 함께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기지국(3)의 구성데이터를 조합하여 각 기지국(3)에 프로그램을 로딩시키게 된다. 여기서, 기지국(3)의 구성데이터는 기지국마다 각각 다르게 구성되며, 구성데이터는 기지국의 보드형성, 가입자데이터(예컨대 전화번호 등), 해당등급등 기지국 구성에 관한 데이터이다.
따라서, 운용자가 기지국의 구성데이터를 변경할 때마다 중앙제어국(2)의 망관리장치에 있는 데이터저장부에도 해당 데이터를 변경해야 하는데, 이는 프로그램 다운로딩시 기지국(3)의 구성데이터와 망관리장치에 저장되어 있는 구성데이터가 일치하지 않으면 프로그램 다운로딩시 오류가 발생하게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운용되는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운용자가 기지국(3)의 구성데이터를 변경할 경우, 기지국(3)의 데이터변경과 더불어 그 변경된 데이터의 결과를 망관리장치로 전송하게 되고, 망관리장치에서는 전송된 데이터를 근거로 메모리에 저장된 기지국(3) 구성데이터를 변경,저장하게 되는 바, 기지국(3)에서 망관리장치로 데이터전송시에 데이터를 분실하게 되면 망관리장치의 데이터는 변경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이후 중앙제어국(2)에서 기지국(3)으로의 프로그램 다운로딩시 오류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기지국의 구성데이터 변경시, 운용자가 소정의 조작으로(예, 명령어 입력등) 기지국의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망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운로딩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위성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시스템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인공위성, 2 : 중앙제어국,
3A, 3B : 기지국, 11A, 11B : 교환기,
12A, 12B : 전화기, 13A, 13B : 데이터터미날,
14A, 14B : 팩시밀리, 20 : 중심국,
30 : 망관리장치, 31 : ACK신호송신부,
32 : 구성데이터수신부, 33 : 데이터베이스,
34 : 타이머, 35 : 프로세서,
36 : 운용자 단말기.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은 각각 다수의 가입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인공위성을 통해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하여 가입자에게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을 입력하는 운용자단말기와, 상기 운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구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구성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ACK신호 송신부, 및 운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출명령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후 수신되는 기지국의 구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상기한 바에 의하면, 운용자가 소정의 조작을 수행하여 변경된 기지국의 구성데이터를 망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 다운로드시 구성데이터의 불일치로 인한 오류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구성도로서, 도2에서 도1과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에서 참조번호 20은 네트워크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하기 위한 중심국으로서, 이는 통신모뎀(도시되지 않음)을 통해서 각 기지국(3)으로 제어메시지를 송출한 후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메시지를 근거로 각 기지국(3)의 상태를 점검하는 폴링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특정한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요구(Calling)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폴링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근거로 상대방 기지국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지를 판단하여 통신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인공위성의 이용가능한 트래픽 채널(T)과 모뎀을 양 기지국에 할당함으로써 양 기지국이 직접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시스템제어를 수행하고, 양 기지국(3A, 3B)에 대해 제공되었던 트래픽 채널(T)을 해제하게 된다.
또한, 상기 중심국(20)은 상기 기지국(3)으로부터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이후에 설명할 망관리장치(30)의 구성데이터수신부(32)로 전송하고, 망관리장치(30)의 ACK신호송신부(31)로부터 수신되는 소정의 응답신호를 상기 기지국(3)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어, 참조번호 30은 시스템 관리자와 운용자 단말기(36)를 통해 직접 결합시키는 망관리장치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는 이후에 설명할 구성데이터수신부(32)로부터 구성데이터의 수신이 종료되면 소정의 ACK신호를 송출하는 ACK신호송신부(31)와, 이후에 설명할 운용자 단말기(36)로부터 입력되는 소정의 명령조작에 따라 수신되는 기지국(3)의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수신하는 구성데이터수신부(32), 모든 단말국의 구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33), 소정의 시간을 계수하기 위한 타이머(3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이 망관리장치(30)는 이후에 설명할 운용자 단말기(36)의 명령조작을 근거로 기지국(3)으로부터 수신되는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함과 더불어 구성데이터 수신에 대해 ACK신호를 송출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35)와, 시스템 관리자가 시스템을 직접 제어할 수 있도록 해 주는 운용자 단말기(3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어,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의 동작을 도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우선, 프로세서(35)는 운용자 단말기(36)를 통해 임의의 기지국(3)에 대한 단말국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이 입력되면(ST1), 중심국(20)의 안테나를 통해 TDM 패킷으로 기지국에 구성데이터 추출명령패킷을 송신하게 되는 바(ST2), 추출명령패킷은 명령어_ID, 데이터 크기, 기지국_ID데이터가 열거된 순서대로 전송되게 된다. 여기서, 데이터크기는 데이터 크기데이터 이후에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추출명령패킷의 데이터 크기는 2Bytes가 된다.
이어, 상기 기지국(3)에 중심국(20)으로부터 전송된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이 수신되게 되면, 기지국(3)에서는 변경, 저장된 구성데이터 25Bytes를 메모리에서 읽은 다음, 중심국(20)으로 S/ALOHA 패킷을 통해 전송하게 되는 바, 구성데이터패킷 형태는 메시지_ID, 데이터 크기, 수신번호, 기지국_ID, 데이터로 열거된 순서로 전송되게 된다.
여기서, 한 번에 기지국(3)에서 망관리장치(30)로 전송되는 데이터의 크기는 25Bytes이므로 데이터 크기는 25를 넘지 않아야 하며, 이것은 기지국(3)에서 S/ALOHA 패킷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최대크기가 28Bytes이기 때문에 25Bytes로 규정한 것이다. 또한, 수신번호는 전송되는 패킷수에 대응되도록 증가하는 파라미터로서, 구성데이터의 전송 데이터량이 많은 데 비해 전송할 수 있는 최대 데이터 크기가 25Bytes로 한정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파라미터이다.
한편, 망관리장치(30)의 프로세서(35)는 상기 기지국(3)으로부터 전송된 구성데이터가 구성데이터수신부(32)를 통해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ST3), 기지국(3)으로부터 전송된 구성데이터가 수신되었다고 판단되면, 프로세서(35)는 수신된 구성데이터에 대한 소정의 ACK신호를 기지국(3)으로 송출하게 된다(ST4). 여기서, ACK신호는 기지국(3)으로부터 수신된 구성데이터의 수신결과로서, 전송패킷형태는 메시지_ID, 데이터 크기, 기지국_ID, 결과코드, 수신번호로 열거한 순서대로 전송하게 되고, 결과코드는 수신된 구성데이터패킷의 수신번호가 맞을 경우에는 ACK신호 예컨대 '0'이, 수신된 구성데이터패킷의 수신번호가 맞지 않을 경우에는 NACK신호 예컨대 '1'이 되게 된다.
이어, 망관리장치(30)의 프로세서(35)는 기지국(3)으로부터 전송데이터가 마지막 데이터패킷인지를 판단하게 되는 바(ST5), 마지막 데이터패킷이 아니라고 판단되면 상기 ST3∼ST5단계를 반복하여, 이후 구성데이터의 마지막 패킷의 전송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게 되면, 프로세서(35)는 전송된 구성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33)에 저장하게 된다.
한편,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ST3단계에서, 기지국(3)에서 전송된 구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았다고 판단되면, 망관리장치(30)의 프로세서(35)는 타이머(34)를 구동시켜 일정시간을 계수하도록 제어하는 바, 일정시간이 경과되어도 구성데이터가 수신되지 않으면(ST7), 운용자단말기(36)를 통해 에러메시지를 표시하게 된다(ST8).
상기한 바와같이 기지국(3)의 구성데이터 변경시, 운용자가 추출명령을 입력전송하여 단말국의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망관리장치로 전송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운로딩시 망관리장치에 저장된 구성데이터와 기지국(3)의 구성데이터의 불일치로 인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다.
이상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지국의 구성데이터 변경시, 운용자가 소정의 조작으로(예컨대, 명령어 입력등) 기지국의 변경된 구성데이터를 망관리장치로 전송하도록 함으로써 프로그램의 다운로딩시 오류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1)

  1. 각각 다수의 가입자와 결합되는 다수의 기지국을 인공위성을 통해 제어하는 중앙제어국을 구비하여 가입자에게 통신기능을 제공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운용자단말기와,
    상기 운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된 구성데이터 추출명령에 따라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된 구성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구성데이터 수신부,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
    상기 구성데이터 수신부를 통해 수신된 구성데이터에 대한 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하는 ACK신호 송신부, 및
    운용자 단말기를 통해 입력된 추출명령을 기지국으로 전송하고, 이후 수신되는 기지국의 구성데이터를 수신하여 수신결과를 기지국으로 전송함과 더불어 수신된 구성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KR1019970055538A 1997-10-28 1997-10-28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KR1999003405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538A KR19990034057A (ko) 1997-10-28 1997-10-28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5538A KR19990034057A (ko) 1997-10-28 1997-10-28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4057A true KR19990034057A (ko) 1999-05-15

Family

ID=66048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5538A KR19990034057A (ko) 1997-10-28 1997-10-28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405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89B1 (ko) * 2003-12-24 2006-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변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97589B1 (ko) * 2003-12-24 2006-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데이터 변환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저장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839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economical utilization of communication networks
KR19990034057A (ko) 기지국 구성데이터 추출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KR19980044343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원격 다운로드방법
KR19980044344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프로그램 원격 다운로드방법
KR100284320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알투신호방식의제어데이터처리방법및장치
KR0183277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사용가능채널 검생방법 및 그 장치
KR100240057B1 (ko) 복수의 운용자단말을 구비한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명령어 처리장치
KR100231879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00264044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일반전화망 호설정방법
KR0183270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유효 모뎀 검색방법 및 그 장치
KR100248516B1 (ko) 쌍방향 catv 컨버터의 폴링 제어방법
KR0183269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유효 모뎀 검색방법 및 그 장치
KR100226877B1 (ko) 위성통신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00262152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지역번호에 따른 해당 기지국 자동설정방법및 그 장치
KR100271876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통신자원할당장치및그방법
KR100221840B1 (ko) 복수의 운용자단말을 구비한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명령어 처리장치
KR100231881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00225363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scu의 uph버스 접속장치
KR100205661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시스템 재기동시 데이터콜(dㅁㅅㅁ c미ㅣ) 해제방법 및 그 장치
KR0183268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사용가능 모뎀 검색방법 및 그 장치
JPH04255136A (ja) パケット交換装置
KR20000047234A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비정상 프로세서의 자동 복구방법
KR100264048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보드채용상태에 따른 가입자라인 자동설정방법 및 장치
JP2981352B2 (ja) ディジタルコードレス電話機
KR100225360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