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5360B1 -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 Google Patents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5360B1
KR100225360B1 KR1019960078516A KR19960078516A KR100225360B1 KR 100225360 B1 KR100225360 B1 KR 100225360B1 KR 1019960078516 A KR1019960078516 A KR 1019960078516A KR 19960078516 A KR19960078516 A KR 19960078516A KR 100225360 B1 KR100225360 B1 KR 100225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ice
central control
base station
data
control st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8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9179A (ko
Inventor
이재학
Original Assignee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기범, 대우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기범
Priority to KR10199600785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25360B1/ko
Publication of KR19980059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9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5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5360B1/ko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인공위성을 통해 형성되는 음성링크의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중앙제어국과 다수의 기지국이 인공위성을 통해서 상호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키보드와 모니터를 구비함과 더불어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중앙제어국을 통제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국에 결합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제어국은 통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텔레폰 데이터 카드와 전화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를 통해 소정의 기지국에 대해 데이터링크 검사명령을 입력하는 검사명령 입력단계와, 중앙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중앙제어국과 기지국간의 데이터링크를 형성하는 데이터링크 형성단계, 중앙제어국이 상기 전화기를 통해 입력된 임의의 음성신호를 음성링크 검사대상의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음성송출단계, 기지국이 수신된 음성신호를 다시 중앙제어국에 대해 송출하는 수신음성신호 재송출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기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본 발명은 위성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공위성을 통해 형성되는 음성링크의 이상유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통신기술이 급속도로 발전되면서 원격지에 위치하는 가입자가 인공위성을 통하여 상호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는 위성통신이 점차 일반화되고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위성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시스템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서 참조번호 1은 다수의 통신용 채널을 구비한 인공위성이고, 2는 전체 위성통신 시스템을 제어하는 중앙제어국, 3(3A, 3B)은 교환기(11A, 11B)나 전화기(12A, 12B), 컴퓨터등의 데이터 단말기(13A, 13B) 및 팩시밀리(14A, 14B) 등의 단말기에 대한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춤과 더불어, 상기 중앙제어국(2)과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상기한 각종 단말기간의 통화기능을 제공하는 기지국이다.
또한, 도 1에서 참조부호 S는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서비스 채널(Service Channel)을 나타내고, T는 데이터나 음성을 송수신하기 위한 트래픽 채널(Traffic Channel)을 나타낸다.
즉, 상기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우선 중앙제어국(2)은 각 기지국(3)의 상태를 문의하기 위한 패킷데이터(Packet Data)를 생성하여 서비스 채널(S)을 통해 각 기지국(3)에 대해 송출하고, 또한 상기 패킷데이터에 대해 각 기지국(3)으로부터 송출되어 오는 상태데이터를 근거로 각 기지국(3)의 상태를 파악하는 폴링(Polling)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폴링동작 중에 소정의 기지국(3)으로부터 다른 기지국(3)에 결합되어 있는 가입자에 대해 통화요구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폴링동작에서 얻어진 상태정보를 근거로 통화요구된 기지국의 상태를 파악하여 통화가 가능한 경우에는 양 기지국(3)에 대해 트래픽채널을 할당함으로써 양 기지국(3)에 접속된 가입자가 상호 통신을 실행할 수 있도록 해주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가입자가 인공위성을 통해 상호 통신을 실행할 수 있게 되므로, 별도의 전송선로가 없이도 원격지에 위치하는 통신가입자에 대해 통신기능을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상기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통신가입자간의 통신이 공중파전송망을 통해 실행되기 때문에 기상상태 등에 의해 그 통신상태가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되고, 또한 통신중계국으로서 기능하는 인공위성의 위치변동 등에 의해서도 통신상태가 영향을 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관리자가 위성통신 시스템의 통신상태를 확인함으로써 통화이상상태에 적절하게 대응할 필요가 있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사정을 감안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위성통신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관리자가 위성통신 시스템의 통신상태, 특히 음성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음성링크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위성통신 시스템의 개요를 나타낸 시스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앙제어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3은 도 2에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기지국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
도 5는 본 발명예에 따른 채널모뎀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음성링크 검사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플로우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간단한 설명
1 : 인공위성, 2 : 중앙제어국,
3 : 기지국, 21, 41 : 안테나,
22, 42 : 직교모드 변환기, 23, 43 : 저잡음 증폭기,
24, 44 : 주파수하향 변환기, 25, 45 : 주파수 조합/분배부,
26, 46 : 텔레폰 데이터카드, 27, 47 : 트렁크 인터페이스포트,
28, 48 : 채널모뎀, 29 : 전화기,
30, 50 : 주파수상향 변환기, 31, 51 : 고출력증폭기,
32, 52 : 네트워크 제어부, 35 : 네트워크 관리시스템,
63, 68 : 음성/데이터 프로세서, 70 : 채널유니트 프로세서.
상기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 방법은 중앙제어국과 다수의 기지국이 인공위성을 통해서 상호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키보드와 모니터를 구비함과 더불어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중앙제어국을 통제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국에 결합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제어국은 통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텔레폰 데이터 카드와 전화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를 통해 소정의 기지국에 대해 데이터링크 검사명령을 입력하는 검사명령 입력단계와, 중앙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중앙제어국과 기지국간의 데이터링크를 형성하는 데이터링크 형성단계, 중앙제어국이 상기 전화기를 통해 입력된 임의의 음성신호를 음성링크 검사대상의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음성송출단계, 기지국이 수신된 음성신호를 다시 중앙제어국에 대해 송출하는 수신음성신호 재송출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기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에 의하면, 시스템관리자가 텔레폰데이터 카드에 결합되어 있는 전화기를 통해 소정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다시 이 전화기를 출력되는 자신의 음성신호를 청취함으로써 현재 현재 해당 기지국의 음성링크가 정상상태인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기지국에 대한 음성링크 검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중앙제어국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참조번호 21은 인공위성(1 : 도 1)에 대해 상향링크신호와 하향링크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안테나이고, 22는 주파수의 편파 성질을 이용하여 상기 안테나(21)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를 분리하여 입출력하는 직교모드변환기, 23은 이 직교모드변환기(22)를 통해 입력된 예컨대 12.25∼12.75 G㎐의 하향링크 주파수신호를 저잡음증폭하는 저잡음증폭기, 24는 이 저잡음증폭기(23)를 통해 인가된 주파수신호를 예컨대 70 M㎐의 중간주파수신호(IF)로 변환하는 주파수하향변환기, 25는 이 주파수하향변환기(24)로부터 인가되는 중간주파수신호(IF)를 다수의 중간주파수신호로 분리하여 출력함과 더불어, 이후에 설명할 채널모뎀(28 : 281∼28n)으로부터 인가되는 중간주파수신호를 조합하여 출력하는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26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화기(12)나 데이터 단말기(13), 팩시밀리(14) 등의 단말기를 접속하기 위한 텔레폰 데이터 카드(Telephone Data Card)이고, 27은 본 장치와 다른 교환기 등을 접속하기 위한 트렁크 인터페이스 포트(Trunk Interface Port)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28(281∼28n)은 상술한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25)를 통해 입력되는 기지국으로부터의 주파수신호를 복조 및 디코딩함과 더불어, 상기 트렁크 인터페이스 포트(27)를 통해 입력되는 교환기로부터의 송출신호나 상기 텔레폰 데이터 카드(26)로부터 입력되는 단말기로부터의 송출신호 및 이후에 설명할 네트워크 제어부(32)로부터 출력되는 다른 기지국에 대한 제어데이터를 인코딩 및 변조하여 출력하는 채널모뎀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29는 상기 텔레폰 데이터 카드(26)에 결합되어 있는 전화기로서, 이는 시스템관리자가 위성통신 시스템의 소정의 기지국에 대한 음성링크 검사를 위해 사용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면에서 참조번호 30은 상기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25)로부터 출력되는 70 M㎐의 중간주파수신호를 예컨대 14.0∼14.5 G㎐의 주파수로 변환하여 상향링크 주파수신호를 생성하는 주파수상향변환기이고, 31은 이 주파수상향변환기(30)로부터 출력되는 상향링크 주파수신호를 증폭하는 고출력증폭기이다.
한편, 도면에서 참조번호 31은 특정한 채널모뎀(28)을 통해서 각 기지국(3)으로 제어 메시지를 송출한 후 해당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어 오는 응답 메시지를 근거로 각 기지국(3)의 상태를 점검하는 폴링기능을 수행하고, 특정한 기지국으로부터 통화요구(Calling)가 있는 경우에는 상기 폴링과정에서 얻어진 정보를 근거로 상대방 기지국이 통신이 가능한 상태인 지를 판단하여 통신가능 상태인 경우에는 인공위성의 이용가능한 트래픽 채널(T)을 양 기지국에 할당함으로써 양 기지국이 직접적으로 상호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등의 시스템제어를 수행하는 네트워크제어부이다.
그리고, 여기서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32)와 상기 채널모뎀(28), 트렁크 인터페이스 포트(27) 및 텔레폰 데이터 카드(26)는 음성데이터 등의 처리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MPH 버스(Main PCM Highway BUS : 33)와 소정의 제어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UPH 버스(Utility PCM Highway BUS: 34)를 통해 결합되게 된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35은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네트워크제어부(32)를 관리하여 위성통신 시스템의 전반적인 네트워크를 관리하기 위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이다.
도 3은 상기 네트워크 관리시스템(35)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로서, 도면에서 참조번호 351은 상기 네트워크 제어부(40)로부터 인가되는 데이터, 즉 기지국(3)으로부터 수신된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데이터 저장부이고, 352는 시스템 관리자가 위성통신 시스템에 대한 제어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키보드, 353은 중앙제어국(2)이나 기지국(3)의 각종 동작상황을 표시해 주기 위한 모니터, 354는 위성통신 시스템과 관련된 각종 처리데이터를 인쇄하여 출력하기 위한 프린터이다.
그리고, 참조번호 355는 상기 키보드(352)를 통해 입력되는 조작데이터에 따라 위성통신 시스템 전반의 제어처리를 수행하는 프로세서이다.
한편, 도 4는 기지국(3)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구성도로서, 이는 실질적으로 상술한 중앙제어국(2)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다만, 도 4에 있어서는 중앙제어국(2)과는 달리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이 설치되지 않게 되고, 또한 네트워크 제어부(52)는 중앙제어국(2)으로부터 송출되어 온 제어데이터에 따라 소정의 가입자에 대한 채널모뎀(48)의 할당제어를 실행함과 더불어 특히 중앙제어국(2)으로부터 음성링크 검사신호가 인가되면 소정의 채널모뎀(48)을 제어하여 중앙제어국(2)과 해당 기지국(3)간에 검사링크를 형성하게 된다.
도 5는 도 2 및 도 4에 구비된 채널모뎀(28, 48)의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에서 참조번호 61은 본 채널모뎀과 MPH 및 UPH 버스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버스인터페이스회로이고, 62는 이후에 설명할 채널유니트 프로세서(70 : 이하 CUP라 칭함)로부터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버스인터페이스회로(61)와 제2 스위칭회로(69)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1 스위칭회로이고, 63은 CUP(70)로부터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제1 스위칭회로(62)로부터 인가되는 음성 및 데이터신호, 즉 공중파전송망으로 송출될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제1 음성/데이터 프로세서(이하 SDP라 칭함), 64는 상기 제1 SDP(63)로부터 출력되는 I, Q 채널데이터를 예컨대 BPSK 또는 QPSK 변조하여 512㎑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변조부, 65는 이 변조부(64)에서 출력되는 512㎑의 변조신호와 이후에 설명할 송신주파수 합성기(72)에서 인가되는 112.512㎒±20㎒의 주파수 및 42㎒의 기준주파수를 근거로 70㎒±20㎒의 중간주파수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중간주파수신호 생성부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66은 수신된 70㎒±20㎒의 중간주파수신호와 이후에 설명할 수신주파수 합성기(73)에서 인가되는 112.384㎒±20㎒의 주파수 및 42㎒의 기준주파수를 근거로 384㎑의 변조신호를 출력하는 중간주파수신호 수신부이고, 67은 이 중간주파수신호 수신부(66)에서 인가되는 384㎑의 변조신호로부터 I, Q 채널데이터를 복조하여 출력하는 복조부, 68은 상기 CUP(70)의 제어에 따라 소정의 동작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복조부(67)에서 인가되는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처리하는 제2 SDP, 69는 CUP(70)로부터의 스위칭신호에 따라 상기 제2 SDP(68)로부터 출력되는 음성 및 데이터신호를 버스인터페이스회로(61)와 상기 제1 스위칭회로(62)로 선택적으로 출력하는 제2 스위칭회로이다.
또한, 도면에서 참조번호 70은 채널모뎀 전체를 제어하는 채널유니트 프로세서(CUP)이고, 71은 각각의 주파수 ID(Identification Data)에 대응하는 주파수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룩업 테이블(Look-up Table), 72는 상기 CUP(70)로부터 인가되는 채널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 예컨대 112.512㎒±20㎒의 주파수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송신주파수합성기, 73은 상기 CUP(70)로부터 인가되는 채널데이터를 근거로 해당 채널데이터에 대응하는 주파수신호, 예컨대 112.384㎒±20㎒의 주파수신호를 합성하여 출력하는 수신주파수합성기, 74는 채널모뎀의 동작과 관련된 각종 제어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는 파라메터 저장부이다.
상기한 구성에서 CUP(70)는 네트워크 제어부(32 또는 52)로부터 인가되는 모드제어데이터를 근거로 제1 및 제2 SDP(63, 68)을 제어함으로써 해당 채널모뎀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채널모뎀의 동작모드로서는 해당 채널모뎀을 통해 음성이나 데이터의 송수신을 실행하기 위한 트래픽채널모드(VOX,CTCR)와, 기지국이나 중심국과의 제어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서비스채널 모드(STTR, TTSR), 단지 TDM 스트림의 메시지를 수신하기 위한 NTTR(No Transmission TDM Receive)모드, 단지 S-ALOH 패킷데이터를 수신하기 위한 NTSR(No Transmission S-ALOH Receive)모드 및, 아이들(Idle)모드의 7가지 모드가 있게 되는데, 상기 CUP(70)는 네트워크 제어부(32 또는 52)로부터 소정의 모드제어데이터가 입력되면 제1 및 제2 SDP(63, 68)를 제어하여 채널모뎀을 해당 동작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상기 동작모드에서 트래픽채널모드를 제외한 다른 동작모드의 경우에는 그 중간주파수값이 미리 설정되어 있게 되고, 해당 주파수값은 파라메터 저장부(74)에 그 주파수 ID값으로 저장되어 있게 되는 바, 상기 CUP(70)는 해당 채널모뎀이 소정의 동작모드로 설정되게 되면, 해당 동작모드에 대응하는 채널 ID를 파라메터 저장부(74)로부터 독출한 후, 해당 채널 ID를 근거로 룩업 테이블(71)을 검색하여 소정의 주파수데이터를 구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주파수데이터를 송신주파수 합성기(72)와 수신주파수 합성기(73)로 송출함으로써 송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설정하게 된다.
또한, 해당 채널모뎀이 트래픽채널모드로 설정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제어부(32 또는 52)로부터 인가되는 주파수 ID를 근거로 룩업 테이블(71)을 검색함으로써 소정의 주파수데이터를 구하게 되고, 이 주파수데이터를 송신주파수 합성기(72)와 수신주파수 합성기(73)로 송출함으로써 송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설정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제어부(52)로부터 음성링크 검사명령이 입력되면 CUP(70)는 제1 및 제2 스위칭회로(52, 59)를 제어하여 제2 SDP(68)의 출력을 제1 SDP(63)의 입력측으로 결합시킴과 더불어, 제1 및 제2 SDP(63, 68)을 제어하여 VOX모드, 즉 음성송수신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제어부(52)로부터 입력되는 주파수ID를 근거로 룩업 테이블(71)을 검색하여 주파수데이터를 독출한 후, 이를 송신주파수 합성기(72)와 수신주파수 합성기(73)로 인가함으로써 해당 채널모뎀을 통해 송수신되는 주파수신호를 소정의 값으로 설정하게 된다.
이어, 도 6에 나타낸 동작플로우챠트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음성링크 검사동작을 설명한다.
도 3에서 시스템관리자가 네트워크 관리시스템(35)의 키보드(352)를 조작하여 소정의 기지국에 대한 음성링크 검사명령을 입력하게 되면, 프로세서(355)는 해당 명령데이터를 네트워크 제어부(32)로 송출하게 된다(ST1 단계).
이어, 네트워크 제어부(32)는 우선 폴링동작에서 얻어진 해당 기지국의 상태정보를 독출하여 현재 사용가능한 채널모뎀이 존재하는지를 검색하게 된다(ST2 단계).
그리고, 이때 사용가능한 채널모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제어부(32)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35)으로 현재 링크검사를 실행할 수 없음을 나타내는 FAIL 데이터를 송출하게 되고, 네트워크 관리시스템(35)의 프로세서(355)는 이를 모니터(353)상에 표시한 후 음성링크검사를 종료하게 된다(ST3, ST4 단계).
한편, 상기 ST3 단계에서 현재 사용가능한 채널모뎀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해당 기지국에 대해 음성링크 검사명령을 송출함으로써 중앙제어국과 기지국간의 음성링크 형성을 제어하게 된다(ST5 단계).
이때, 중앙제어국으로부터 기지국으로 출력되는 메시지에는 음성링크검사에 사용되는 채널모뎀의 번호와 송신 및 수신 주파수ID 등이 해당 명령데이터와 함께 포함되어 있게 되고, 또한 중앙제어국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제어부(32)가 소정의 채널모뎀(28)에 대해 기지국으로 송출한 송수신 주파수ID에 대응하는 주파수ID를 송출함으로써 해당 채널모뎀(28)을 음성링크 검사용으로 할당하게 된다.
그리고, 네트워크 제어부(32)는 텔레폰 데이터 카드(26)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링크검사용으로 할당된 채널모뎀(28)과 텔레폰 데이터 카드(26)의 소정의 통화채널을 연결함으로써 검사용 전화기(29)를 오프훅상태, 즉 통화가능상태로 설정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에 있어서는 상기 중앙제어국으로부터 송출된 음성링크 검사명령이 수신되게 되면, 네트워크 제어부(52 : 도 4)는 해당 메시지에 포함되어 있는 모뎀번호에 대응하는 채널모뎀(48)에 대해 음성링크 검사명령과 송수신 주파수ID를 송출하게 된다.
그리고, 도 5에 나타낸 채널모뎀(48)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제어부(52)로부터 음성링크 검사명령이 입력되면, 제1 및 제2 스위칭회로(52, 59)를 제어하여 제2 SDP(68)의 출력을 제1 SDP(63)의 입력으로 결합함과 더불어 그 제1 및 제2 SDP(63, 68)를 상술한 VOX모드(음성송수신모드)로 설정하게 된다. 또한, 입력되는 주파수ID를 근거로 룩업 테이블(71)을 독출하여 소정의 채널주파수를 독출한 후 해당 주파수데이터를 송신주파수 합성기(72)와 수신주파수 합성기(73)로 인가함으로써 해당 채널모뎀(48)의 송수신주파수를 설정하게 된다.
한편, 기지국의 네트워크 제어부(52)는 상술한 채널모뎀(48)의 설정동작이 종료되면 중앙제어국에 대해 확인신호(Acknowledge)를 송출하게 된다.
또한, 이때 중앙제어국의 네트워크 제어부(32)는 상기한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한 음성링크 검사명령을 소정횟수 반복하여 전송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전송에 의해서도 확인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관리시스템(35)으로 FAIL 데이터를 출력함으로써 모니터(353)상에 음성링크 검사가 불가능상태임을 표시해 주게 된다.
이어, 상기와 같이 음성링크가 형성된 상태에서 시스템관리자가 텔레폰 데이터 카드(26)에 결합되어 있는 검사용 전화기(29)를 통해서 임의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게 되면, 해당 음성신호는 텔레폰 데이터 카드(26) 및 MPH 버스(33)를 통해서 현 검사모드에 할당된 채널모뎀(28)으로 인가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상기한 검사용 음성신호는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25)와 주파수상향 변환기(30), 고출력증폭기(31), 직교모드 변환기(32) 및, 안테나(21)를 통해 공중파전송망으로 출력되게 된다(ST6 단계).
한편, 기지국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송출된 주파수신호가 안테나(41)를 통해 수신되면, 해당 주파수신호는 직교모드 변환기(42)와 저잡음 증폭기(43), 주파수하향 변환기(44) 및,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45)를 통해 현 검사모드로 설정된 채널모뎀(48 : 도 5)으로 입력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채널모뎀(48)으로 입력된 주파수신호(중간주파수신호)는 중간주파수신호 수신부(66)와 복조부(67)를 통해서 복조된 후, 제2 SDP(68)와 제2 스위칭회로(69), 제1 스위칭회로(62), 제1 SDP(63)를 통해 다시 변조부(64)로 인가되게 되고, 이어 변조부(64)에서 다시 변조된 후 중간주파수신호 생성부(65)를 통해 출력되게 된다.
또한, 상기 채널모뎀(48)을 통해 출력된 중간주파수신호는 도 4에서의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45)와, 주파수상향 변환기(50), 고출력증폭기(51), 직교모드 변환기(42) 및 안테나(41)를 통해 다시 공중파전송망으로 출력되게 된다.
이어, 중앙제어국에 있어서는 상술한 기지국으로부터 재전송된 데이터가 안테나(21 : 도 2참조)와, 직교모드 변한기(22), 저잡음 증폭기(23), 주파수하향 변환기(24), 중간주파수 조합/분배부(25) 및 소정의 채널모뎀(28)을 통해 입력되어 음성신호에 대한 복조처리가 실행되고, 이때 복조된 음성신호가 다시 텔레폰 데이터 카드(26)를 통해서 검사용 전화기(29)로 출력되게 된다.
따라서, 이때 시스템관리자는 자신이 검사용 전화기(29)를 통해 입력하였던 음성신호에 대하여 다시 수신된 음성신호를 청취함으로써 음성링크가 현재 정상상태인지의 여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한 검사동작이 종료하여 시스템관리자가 키보드(352)를 조작하여 검사종료명령을 입력하게 되면(ST8 단계), 프로세서(355)는 해당 명령데이터를 네트워크 제어부(32)로 송출하게 되고, 네트워크 제어부(32)는 현재 데이터링크 검사를 실행하고 있는 기지국에 대해 현재 검사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채널모뎀을 아이들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제어명령을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기지국에 있어서는 네트워크 제어부(52)가 상기 중앙제어국으로부터의 제어명령에 따라 해당 채널모뎀(48)을 아이들상태로 설정제어하여 현재의 음성링크를 해제함으로써 음성링크 검사동작이 종료되게 된다(ST9 단계).
즉,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시스템관리자가 중앙제어국의 텔레폰 데이터 카드(26)에 결합되어 있는 검사용 전화기(29)를 통해서 임의의 음성신호를 입력하고, 이때 기지국으로부터 재수신되어 검사용 전화기(29)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청취함으로써 현재 해당 기지국의 음성링크가 정상상태인지를 판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각 기지국에 대한 음성링크 검사를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시켜 실시할 수 있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위성통신 시스템을 관리하는 시스템관리자가 위성통신 시스템의 통신상태, 특히 음성송수신을 위한 음성 링크상태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된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을 실현할 수 있게 된다.

Claims (9)

  1. 중앙제어국과 다수의 기지국이 인공위성을 통해서 상호 통신을 실행하도록 구성되고, 적어도 키보드와 모니터를 구비함과 더불어 시스템관리자가 상기 중앙제어국을 통제할 수 있도록 중앙제어국에 결합된 네트워크 관리시스템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제어국은 통화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텔레폰 데이터 카드와 전화기를 구비하여 구성된 위성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를 통해 소정의 기지국에 대해 데이터링크 검사명령을 입력하는 검사명령 입력단계와, 중앙제어국의 제어에 의해 중앙제어국과 기지국간의 데이터링크를 형성하는 데이터링크 형성단계, 중앙제어국이 상기 전화기를 통해 입력된 임의의 음성신호를 음성링크 검사대상의 기지국으로 송출하는 음성송출단계, 기지국이 수신된 음성신호를 다시 중앙제어국에 대해 송출하는 수신음성신호 재송출단계 및 기지국으로부터 수신된 음성신호를 상기 전화기로 출력하는 음성신호 출력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음성신호 재송출단계는 수신된 변조신호를 복조하는 복조단계와, 이 복조단계에서 얻어진 음성신호를 다시 변조하여 출력하는 변조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링크 형성단계는 지정된 기지국의 사용가능한 채널모뎀이 존재하는 지를 판정하는 채널모뎀 검색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모뎀 검색단계는 폴링동작에서 얻어진 데이터를 근거로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모뎀 검색단계에서 사용가능한 채널모뎀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상에 검사실패를 표시하는 검사실패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링크 형성단계에서 중앙제어국은 기지국에 대해 음성링크 검사에 사용되는 송수신주파수 데이터를 송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7. 제1항 또는 제6에 있어서, 상기 음성링크 형성단계에서 기지국은 중앙제어국으로부터 송출되는 데이터에 대해 수신확인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제어국은 수신확인신호가 입력되지 않는 경우에는 음성링크 형성단계를 재실행하는 음성링크 형성 재실행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링크 형성 재실행단계가 소정 횟수 반복된 경우에는 상기 모니터상에 검사실패를 표시하는 검사실패 표시단계를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 검사방법.
KR1019960078516A 1996-12-31 1996-12-31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Expired - Fee Related KR100225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516A KR100225360B1 (ko) 1996-12-31 1996-12-31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8516A KR100225360B1 (ko) 1996-12-31 1996-12-31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79A KR19980059179A (ko) 1998-10-07
KR100225360B1 true KR100225360B1 (ko) 1999-10-15

Family

ID=194928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8516A Expired - Fee Related KR100225360B1 (ko) 1996-12-31 1996-12-31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2536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9179A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0744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데이터링크 검사 방법과, 이를 위한 위성통신 시스템용 채널모뎀
KR100225360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음성링크검사 방법
KR100221845B1 (ko) 위성통신 시스템용 채널모뎀의 파라메터 업데이트장치
KR100231879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00320276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채널모뎀 테스트방법
KR100226877B1 (ko) 위성통신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00231881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00300101B1 (ko) 불량 채널모뎀 알림기능을 갖는 위성통신시스템
JPH07250371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17454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송출전력레벨 자동조절방법
KR100221844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주파수변이 보상방법 및 그 장치
KR100271876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통신자원할당장치및그방법
KR100240057B1 (ko) 복수의 운용자단말을 구비한 위성통신시스템에서의 명령어 처리장치
KR100264044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일반전화망 호설정방법
KR100258685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트랜지트 호 설정방법 및 장치
KR100262152B1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지역번호에 따른 해당 기지국 자동설정방법및 그 장치
KR0179203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가입자회로를 이용한 타합반장치
KR100221833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가입자정보 부호화장치
KR100259271B1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송신주파수 출력레벨 자동제어방법
KR100221837B1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채널모뎀 이용상태 표시장치
KR20000047234A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비정상 프로세서의 자동 복구방법
KR19980059144A (ko) 위성통신 시스템의 기지국정보 관리방법
KR19990059363A (ko) 위성통신시스템에서 보드상태 표시방법 및 그 장치
JPH117524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とその回線制御装置
KR19990039719A (ko) 위성통신 시스템에서 호종류에 따른 링발생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23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23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9041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71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72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71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071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07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0704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0629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627

Year of fee payment: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0627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906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