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581A -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 Google Patents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581A
KR19990033581A KR1019970054973A KR19970054973A KR19990033581A KR 19990033581 A KR19990033581 A KR 19990033581A KR 1019970054973 A KR1019970054973 A KR 1019970054973A KR 19970054973 A KR19970054973 A KR 19970054973A KR 19990033581 A KR19990033581 A KR 199900335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over
bottom plate
fixed
insertion groove
faste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973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성원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700549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581A/en
Publication of KR19990033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581A/en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바닥판(110)의 일단에는 삽지홈부(114)가 하부로 형성된 절곡부(1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10)이 하부 공간에 끼워 설치된 고정 프레임(150)의 상부로는 쿠션재(120)를 부착 고정하며, 상기 쿠션재(12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된 시트커버(130)의 끝단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구(140)를 연결 설치한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140)의 상단에는 돌출부(142a)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상부로 돌출시키면서, 그 결합부(14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판(110)의 절곡부(112) 일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결합공(116)이 관통 형성함으로써, 시트커버의 취부후 마감 공정시, 일차적으로는 시트커버 끝단으로 연결된 고정구가 바닥판의 삽지홈부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이차적으로는 그 삽지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으로 고정구의 결합부가 끼워 고정되어 시트커버의 마감 공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일정 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고정구가 삽지홈부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 유용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structure of a car seat cover, one end of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nt portion 112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groove 114, the bottom plate 110 is the lower space Attached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50 is fitted in the fixing member, 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which cover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fixture 140 made of plastic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a car seat cover, the bottom plate such that the engaging portion 142 is fitted and fixed while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unit 140 protrudes the engaging portion 142 formed on both sides. The coupling hole 116 is formed through one side of the bent part 112 of the 110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so that, in the clos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the fasten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is primarily provided in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ottom plate. While being fitted and fixed By the way, as the coupling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part is fixed and the coupling part of the fixture is fixed and the seat cover finishing process is completed, the fastener is not detached from the insertion groove part unless the force is applied to a certain strength. It is a useful invention that can prevent problems such as getting off.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바닥판의 일단에는 삽지홈부가 하부로 형성된 절곡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이 하부 공간에 끼워 설치된 고정 프레임의 상부로는 쿠션재를 부착 고정하며, 상기 쿠션재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된 시트커버의 끝단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구를 연결 설치한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는 돌출부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상부로 돌출시키면서, 그 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 일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결합공이 관통 형성한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unting structure of an automobile seat cover, and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bottom plate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ent portion formed with the insertion groove lower portion, the bottom plat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attached and fixed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automobile seat cover that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that cover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aterial, the plastic fastener is connected to the installation, the upper end of the fastener protrudes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fastener, It relates to a mounting structure of the automobile seat cover formed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on one side of the bent portion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coupling portion is fixed.

일반적으로 차실내에 장착된 시트는 승객의 착석시 히프가 접촉되도록 언더바디와 수평으로 된 시트쿠션과, 그 시트쿠션의 후단에 직각으로 세워져 승객의 등이 접촉되도록 구비된 시트백과, 그 시트백의 상단에 돌출 설치되어 승객의 머리를 기댈 수 있게 된 헤드레스트로 이루어진다.In general, seats mounted in the cabin are seat cushions which are horizontal to the underbody so that the hips contact each other when the passenger is seated, a seatback which is erected at right angles to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and which the passenger's back is in contact with, It consists of a headrest that protrudes on the top and can rest on the passenger's head.

이러한 시트에 운전자 및 다른 승객들이 탑승하게 될 때 그 자체로 약간의 편안함을 얻는다 할지라도 그들의 체형에 따라 맞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탑승감이 떨어지는 경우가 종종 발생했었다. 특히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체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제작된 시트에 착석한 상태에서 탑승감이 저하되었다. 이 상태에서 장시간 여행을 하게 되면, 탑승자들의 불편이 더욱 가중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으므로, 시트 전체를 전후로 슬라이딩시킬 수 있는 기능과 시트백의 각도를 조정할 수 있는 리클라이닝 기능 등의 구조를 장착한 후 운전자 및 탑승자들의 체형에 맞게 시트를 전후 좌우로 조작한 상태에서 운행하게 됨으로써 탑승감의 향상을 꾀하도록 하고 있었다.When drivers and other passengers get a little comfort on their own on these seats, they often do not fit into their body shape, which often results in less ride. In particular, the driver's and the passenger's body shape are different, so the boarding feeling is reduced while being seated on the uniformly manufactured seat. When traveling for a long time in this state, problems such as the inconvenience of the occupants were further increased. Therefore, the driver can be equipped with a structure that can slide the entire seat back and forth and a reclining function that can adjust the angle of the seat back. In addition, the seat is operated in a state in which the seat is operated from front to back and to the left and right according to the body shape of the occupants to improve the ride comfort.

종래 이러한 시트 구성부중 시트 쿠션(C)의 취부 구조는 첨부된 도면 도 1에 자세히 나타내고 있다.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eat cushion (C) of the conventional sheet configuration is shown in detail in Figure 1 attached.

도 1은 종래 시트커버의 마감구조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eat cover.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바닥판(10)의 사방에는 삽지홈부(14)가 하부로 형성되도록 절곡부(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이러한 상기 바닥판(10)은 고정 프레임(50)에 형성된 하부 공간으로 끼워 설치된 후, 그 고정 프레임(50)의 상부로 접착제 따위의 고정 수단에 의해 고정될 수 있게 쿠션재(20)의 이면에는 안착홈부(22)를 형성하며, 상기 쿠션재(20)의 외주면을 감싼 후 그 끝단을 바닥판(10)의 삽지홈부(14)에 끼워 마감 처리하되, 시트커버(30)의 끝단에는 띠 형상으로 된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구(40)를 박음질 공정으로 연결 설치하고 있었다.As shown therein, the bent portions 12 are integrally formed at four sides of the bottom plate 10 such that the insertion groove 14 is formed downward, and the bottom plate 1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xed frame 50. After being installed into the space, the mounting groove 22 is form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20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50 can be fixed by fixing means such as adhesive, a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20 is formed. After wrapping the end wa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4 of the bottom plate 10, the finish treatment, but the end of the seat cover 30 was connected to the fixing fixture 40 made of a belt-like sewn process.

또한 상기 고정구(40)의 하단에는 상기 시트커버(30)의 선단이 끼워져 고정되도록 고정홈부(42)를 길게 형성하고 있었다.In addition, the lower end of the fastener 40, the fixing groove 42 is formed long to the front end of the seat cover 30 is fitted.

이후, 상기 시트쿠션(C)의 조립 공정을 간단히 살펴 보자면, 우선 차실 바닥에 고정 설치된 바닥판(10)은 고정 프레임(50)에 설치한 후 그 상부에는 쿠션재(20)를 부착 설치하게 되고, 이어 그 쿠션재(20)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시트커버(30)에 의해 감싼 다음, 그 시트커버(30)의 끝단은 고정구(40)의 고정홈부(42)로 끼워 고정하게 되고, 상기 고정구(40)는 바닥판(10)의 삽지홈부(14)로 끼워 고정하게 하면, 시트커버(30)의 마감 공정은 완료 되는 것이다. 하지만, 이렇게 마감 처리가 완료된 시트커버(30)의 고정구(40)는 시간이 경과하게 되면, 상기 바닥판(10)의 삽지홈부(14)로부터 이탈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했었다.After that, briefly look at the assembly process of the seat cushion (C), first, the bottom plate 10 fixed to the vehicle floor is installed on the fixing frame 50 and then the cushion material 20 is attached to the upper portion, Subsequently,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20 is entirely wrapped by the seat cover 30, and then the end of the seat cover 30 is fitted into the fixing groove 42 of the fastener 40, and the fastener 40 is fixed. If the insert into the insertion groove 14 of the bottom plate 10 to be fixed,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30 is completed. However, when the fastener 40 of the seat cover 30, which has been finished in this manner, is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14 of the bottom plate 10 when time elapses, a problem such as appearance deteriorates. This had happened.

본 발명의 과제는 시트커버의 취부후 마감 공정시, 일차적으로는 시트커버 끝단으로 연결된 고정구가 바닥판의 삽지홈부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이차적으로는 그 삽지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으로 고정구의 결합부가 끼워 고정되어 시트커버의 마감 공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일정 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고정구가 삽지홈부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를 제공하는 데 있다.The problem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at,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the fasten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is first fit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ottom plate and is fixed, and secondly, the coupling portion of the fastener is a coupling hol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Since the seat cover is completed and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is completed, the fix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is prevented from being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unless the force of a certain strength is applied. To provide.

이러한 본 발명은 바닥판의 일단에는 삽지홈부가 하부로 형성된 절곡부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이 하부 공간에 끼워 설치된 고정 프레임의 상부로는 쿠션재를 부착 고정하며, 상기 쿠션재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된 시트커버의 끝단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구를 연결 설치한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상기 고정구의 상단에는 돌출부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부를 상부로 돌출시키면서, 그 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판의 절곡부 일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결합공이 관통 형성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ntegrally forms a bent portion formed at the bottom of the bottom plate insertion groove portion, the bottom plate is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attached to the cushioning material, and wraps the entir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ushion material In the seat structure of the automobile seat cover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in a plastic fastener, the upper end of the fastener is projec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formed on both sides of the upper portion, the bent portion of the bottom plate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is fitted One side is achieved by forming a coupling hole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도 1은 종래 시트커버의 마감구조를 보인 요부 측단면도이다.Figure 1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structure of the conventional seat cover.

도 2는 본 발명 시트쿠션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eat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eparated,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요부 측단면도이다.Figure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engaged state of FIG.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main parts of drawing>

C : 시트쿠션C: Seat Cushion

110 : 바닥판 112 : 절곡부110: bottom plate 112: bent portion

114 : 삽지홈부 116 : 결합공114: insertion groove 116: coupling hole

118 : 중공 120 : 쿠션재118: hollow 120: cushioning material

130 : 시트커버 140 : 고정구130: seat cover 140: fastener

142 : 결합부 142a : 돌출부142: coupling portion 142a: protrusion

150 : 고정 프레임150: fixed frame

첨부된 도면 도 2는 본 발명 시트쿠션을 분리한 상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결합상태 요부 측단면도이다.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tate in which the seat cush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and FIG. 3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ortion of the coupling state of FIG. 2.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있어서, 바닥판(110)의 일단에는 삽지홈부(114)가 하부로 형성된 절곡부(112)를 일체로 형성한다.As shown in the figure,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end of the bottom plate 11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bent portion 112, the insertion groove 114 is formed at the bottom.

상기 바닥판(110)이 하부 공간에 끼워 설치된 고정 프레임(150)의 상부로는 쿠션재(120)를 부착 고정한다.The bottom plate 110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frame 150 installed in the lower space.

상기 쿠션재(12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된 시트커버(130)의 끝단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구(140)를 연결 설치한다.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that surround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1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fixture 140 made of a plastic material.

상기 고정구(140)의 상단에는 돌출부(142a)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상부로 돌출시키면서, 그 결합부(14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판(110)의 절곡부(112) 일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결합공(116)이 관통 형성된 것으로, 도면 중 미설명 부호(142)는 상기 고정구(140)의 하단으로 형성되는 고정홈부이다.One side of the bent portion 112 of the bottom plate 110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42 is inserted and fixed while the protrusion 142a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40. In the coupling hole 116 is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reference numeral 142 in the drawing is a fixing groove formed to the lower end of the fixture 140.

이와같이 형성된 본 발명은 차실 바닥(도면에 미도시)으로 장착한 바닥판(110)이 하부 공간으로 설치된 고정 프레임(150)의 상부 표면에는 쿠션재(120)를 부착 고정하되, 상기 바닥판(110)의 일측에는 결합공(116)을 관통한 다음, 시트커버(130)의 끝단에 박음질 공정으로 연결되는 고정구(140)의 상단에는 돌출부(142a)가 양측으로 형성된 결합부(142)를 돌출 형성함으로써, 시트커버(130)의 마감 작업시 상기 고정구(140)의 결합부(142)를 고정 프레임(110)의 결합공(116)에 끼워 고정함에 따라 고정구(140)가 저절로 탈거됨에 따른 외관의 불량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 발명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as described above, the bottom plate 110 mounted as a vehicle floor (not shown) is attached to and fix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50 installed as the lower space, the bottom plate 110, One side of the penetrating through the coupling hole 116, the upper end of the fastener 140, which is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by the stitching process by forming a protrusion 142a protruding to the coupling portion 142 formed on both sides When the finishing work of the seat cover 130, the fitting portion 142 of the fastener 140 is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16 of the fixing frame 110, thereby fixing the fixing device 140 by itself, defects in appearance The invention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여기서, 본 발명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대한 작용을 첨부된 도면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하고자 한다.Here,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eat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S. 2 to 3.

먼저, 상기 시트쿠션(C)을 이루는 각 구성품의 결합 상태를 간단히 설명해 보자면, 차실 바닥에는 평판 형상으로 된 바닥판(110)을 용접 및 기타의 방법으로 고정 설치하고, 그 바닥판(110)의 사방 끝단에는 오뚜기 모양으로 된 절곡부(112)를 형성하되, 그 절곡부(112)의 내부에는 하부가 개구되도록 삽지홈부(114)를 형성한다. 이때 그 삽지홈부(114)로 관통되도록 절곡부(112)의 소정 위치에는 결합공(116)을 형성하게 되는 바, 그 결합공(116)은 절곡부(112)의 가로 방향으로 형성하게 된다.First, to briefly explain the coupling state of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seat cushion (C), the bottom plate 110 in the shape of a flat plate is fixed and installed by welding and other methods, the bottom plate 110 of The bent portion 112 is formed at the end of the four quarters, but the insertion groove portion 114 is formed in the bent portion 112 so that the lower portion is opened. At this time, the coupling hole 116 is formed at a predetermined position of the bent portion 112 so as to penetrate the insertion groove 114, and the coupling hole 116 is form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bent portion 112.

이어, 상기 바닥판(110)이 하부 공간으로 설치된 고정 프레임(150)의 상부 표면에는 쿠션재(120)를 부착 고정하고, 상기 쿠션재(120)의 외주면에는 시트커버(130)를 전체적으로 감싸게 되는 데, 그 시트커버(130)의 끝단에는 고정구(140)를 박음질 공정으로 연결 설치하고, 그 고정구(140)의 상단에는 상기 결합공(116)에 끼워지도록 결합부(142)를 상부로 돌출 형성하며, 그 결합부(142)의 양측면으로는 돌출부(142a)를 연장 형성한다. 그 돌출부(142a)는 반쪽의 마름모 형상으로 형성하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고정구(140)는 이미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게 된다.Subsequently, the bottom plate 110 attaches and fixes the cushion member 12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50 installed as the lower space, and covers the seat cover 130 as a whole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120. At 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is connected to install the fastener 140 in the sewn process, the upper end of the fastener 140 is formed to protrude the coupling portion 142 to be fitted into the coupling hole 116, Protruding portions 142a are extended to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42. The protrusion 142a is formed in a half rhombus shape, but the shape thereof is limited thereto. The fixture 140 is formed of a plastic material that is already widely used.

이렇게 본 발명을 구성한 다음, 상기 시트커버(130)의 취부구조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게 되면, 상기 바닥판(110)은 통상의 방법과 마찬가지로 차실 바닥에 설치되어 있고, 그 바닥판(110)이 하부 공간으로 설치된 고정 프레임(150)의 상부 표면으로 쿠션재(120)를 부착 고정하고, 그 쿠션재(120)의 외주면에는 시트커버(130)를 전체적으로 감싼 이후, 그 시트커버(130)의 끝단에 박음 공정으로 연결된 고정구(140)를 상기 절곡부(112)에 형성된 삽지홈부(114)로 끼워 고정하면 되는 것이다. 이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자면, 상기 삽지홈부(114)에는 고정구(140)를 하부로부터 끼우고 난 다음, 그 고정구(140)의 상부로 돌출된 결합부(142)를 상기 바닥판(110)의 절곡부(112)에 형성된 결합공(116)으로 끼움에 따라, 상기 결합부(142)의 양측으로 형성된 돌출부(142a)가 결합공(116)의 길이보다 크게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억지끼움 형식으로 끼움 작업이 수행되는 것이다. 이후 상기 고정구(140)의 결합부(142)가 결합공(116)을 완전히 통과하게 되면, 그 결합공(116)의 상부로 고정구(140)의 결합부(142)가 돌출되면서, 그 결합부(142)는 삽지홈부(114)와 연통된 중공(118)에 위치되는 것이다.Thus, after configuring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seat cover 130 will be described, the bottom plate 110 is installed on the vehicle floor as in the usual method, the bottom plate 110 is The cushion member 120 is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xing frame 150 installed as the lower space, and the seat cover 130 is entirely wrapp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 member 120, and then it is driven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What is necessary is to fix the fastener 140 connected to the process by inserting the insertion groove 114 formed in the bent portion (112). To explain this in more detail, the insertion groove 114 is inserted into the fixture 140 from the bottom, and then the coupling portion 142 protruding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ture 140, the bent portion of the bottom plate 110 As the fitting hole 116 is formed in the 112, the protrusion 142a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ortion 142 protrudes larger than the length of the coupling hole 116, so the fitting operation in the interference fit type is performed. It is done. After the coupling portion 142 of the fixture 140 passes through the coupling hole 116 completely, the coupling portion 142 of the fixture 140 protrudes to the upper portion of the coupling hole 116, the coupling portion 142 is located in the hollow 118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114.

이 상태라면, 상기 시트커버(130)는 상기 고정구(140)가 바닥판(110)의 삽지홈부(114)에 끼워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고정구(140)의 결합부(142)는 상기 바닥판(110)에 형성된 절곡부(112)의 결합공(116)에 이중으로 끼워 고정된 상태에 있기 때문에, 시트커버(130)는 쿠션재(120)의 표면으로 활짝 펼쳐진 상태에서 취부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정으로 시트커버(130)의 마감 공정은 완료되는 것이다. 다시말해, 상기 고정구(140)는 바닥판(110)의 절곡부(112)에 형성된 삽지홈부(114)에 억지로 끼워져 고정되는 종래의 기술에 덧붙여서, 상기 고정구(140)의 결합부(142)가 상기 절곡부(112)의 결합공(116)에 끼워 고정된 상태로 있으므로, 일정한 힘 이상을 가해 고정구(140)를 빼내지 않는 이상 저절로 탈거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In this state, the seat cover 130 is fixed to the fastener 1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4 of the bottom plate 110, the coupling portion 142 of the fastener 140 is the bottom plate ( Since the seat cover 130 is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116 of the bent part 112 formed in the 110 to be fixed, the mounting work is completed in a state that is wide open to the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120. In this process,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130 is completed. In other words, the fastener 14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114 formed in the bent portion 112 of the bottom plate 110 in addition to the conventional technology is fixed, the coupling portion 142 of the fastener 140 is Since the state is fixed to the coupling hole 116 of the bent part 112, it will not be removed by itself unless a fixed force 140 is removed by applying a predetermined force or more.

이처럼, 시트커버(130)가 쿠션재(120)의 표면으로 설치되어 그 선단에 마감 공정으로 연결된 고정구(140)를 삽지홈부(114)로 끼워 고정된 상태에서는, 차실내에 탑승한 운전자 및 승객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한 이후 시트커버(130)의 파손이 발생되어 새것으로 교환해 줄 경우 그 시트커버(130)의 끝단으로 연결된 고정구(140)를 바닥판(110)으로부터 탈거시켜 주면된다. 즉, 상기 고정구(140)를 파지하여 아래로 잡아 당기게 되면, 그 고정구(140)가 삽지홈부(114)의 하부로 빠짐에 따라 이에 연설된 결합부(142)도 상기 바닥판(110)의 절곡부(112)로 형성된 결합공(116)으로 빠지게 되므로, 이후 파손된 시트커버(130)를 새것으로 교환해 앞서와 같은 공정으로 마감 공정을 수행하면 되는 것이다.As such, when the seat cover 130 is installed on the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120 and is fixed by inserting the fastener 140 connected to the finishing process at the distal end thereof with the insertion groove 114, the drivers and passengers in the cabin are After repeated use, if the breakage of the seat cover 130 occurs and replaces it with a new one, the fastener 140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may be removed from the bottom plate 110. That is, when the fixing unit 140 is gripped and pulled down, the fixing unit 140 is pulled down to the lower portion of the insertion groove 114, so that the coupling part 142 spoken therein is also bent in the bottom plate 110. Since the coupling hole 116 is formed by the portion 112, and then replace the damaged seat cover 130 to a new one is to perform the finishing process in the same process as before.

본 발명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따르면, 차실 바닥으로 장착된 고정프레임의 절곡부에는 삽지홈부와 연통되도록 결합공을 관통 형성하면서, 그 결합공에 끼워 고정되도록 시트커버의 끝단에 연결된 고정구의 상단으로 결합부를 돌출 형성하되, 그 결합부의 양측면으로는 돌출부를 각각 연장 형성함으로써, 시트커버의 취부후 마감 공정시, 바닥판의 상부 표면으로 부착 고정된 쿠션재의 외주면이 전체적으로 감싸지도록 시트커버를 위치시킨 후 그 시트커버의 끝단에 연결된 고정구를 바닥판에 형성된 삽지홈부 내로 끼워 고정하게 되면, 그 삽지홈부와 연통된 결합공으로는 상기 고정구의 결합부가 끼워져 고정됨에 따라 일차적으로는 고정구가 바닥판의 삽지홈부에 끼워져 고정되면서, 이차적으로는 그 삽지홈부와 연통되게 형성된 결합공으로 고정구의 결합부가 끼워 고정되어 시트커버의 마감 공정이 완료되기 때문에 일정 강도 이상의 힘이 가해지지 않는 한 상기 고정구가 삽지홈부로부터 탈거되지 않게 되어 외관이 불량해지는 등의 문제를 예방할 수 있게 된 효과가 있는 발명이다.According to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vehicle seat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nt portion of the fixed frame mounted to the floor of the vehicle, through the coupling hole to communicate with the insertion groove, while the upper end of the fixture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to be fixed to the coupling hole The protrusions are formed to protrude, and the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coupling part, respectively, so that the seat cover is positioned so that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atta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plate is entirely enclosed during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After fixing the fastener connected to the end of the seat cover into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bottom plate, the fixing hole is primarily inserted into the coupling hole communicated with the insertion groove, so that the fastener is first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of the bottom plate. The coupling hole formed in communication with the insertion groove secondly As the coupling part of the furnace fastener is fitted to fix the seat cover, the finishing process of the seat cover is completed, so that the fastener is not removed from the insertion groove unless a force of a certain strength is applied, thereby preventing problems such as poor appearance. It is an invention.

Claims (1)

바닥판(110)의 일단에는 삽지홈부(114)가 하부로 형성된 절곡부(112)를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바닥판(110)이 하부 공간에 끼워 설치된 고정 프레임(150)의 상부로는 쿠션재(120)를 부착 고정하며, 상기 쿠션재(120)의 외주면 전체를 감싸게 된 시트커버(130)의 끝단에는 플라스틱 재질의 고정구(140)를 연결 설치한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에 있어서,One end of the bottom plate 110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bent portion 112 is formed with the insertion groove 114, the bottom plate 110 is cushion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ed frame 150 is fitted into the lower space In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automobile seat cover attached and fixed to the 120, the end of the seat cover 130 that covers the entir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ushioning material 120 is connected to the fixing fixture 140 made of plastic material, 상기 고정구(140)의 상단에는 돌출부(142a)가 양측면에 형성된 결합부(142)를 상부로 돌출시키면서, 그 결합부(142)가 끼워져 고정되도록 상기 바닥판(110)의 절곡부(112) 일측에는 소정 길이를 갖도록 결합공(116)이 관통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커버의 취부구조.One side of the bent portion 112 of the bottom plate 110 so that the engaging portion 142 is inserted and fixed while the protrusion 142a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part 140. The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ole 116 is formed so as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KR1019970054973A 1997-10-25 1997-10-25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KR1999003358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973A KR19990033581A (en) 1997-10-25 1997-10-25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973A KR19990033581A (en) 1997-10-25 1997-10-25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581A true KR19990033581A (en) 1999-05-15

Family

ID=660481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973A KR19990033581A (en) 1997-10-25 1997-10-25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58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33150A (en) Front Seat Assembly for a Vehicle
KR19990033581A (en) Mount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KR100917115B1 (en) Adjusting device for the reclining of a rear seat for a automobile
CN112585027B (en) Apron device for a vehicle seat
KR19990037976A (en) Fixing structure of car seat cover
JP3794306B2 (en) Vehicle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2001252148A (en) Fitting structure of back board of seat back
CN108202647B (en) Automobile seat backrest shielding structure
KR19990033580A (en) Finishing structure of the car seat cover
JP2560674Y2 (en) Trim structure for automotive seats
JPS6034495Y2 (en) Skin protector for vehicle seats
KR19980046634U (en) Lumbar support structure of car seatback
KR0127067Y1 (en) Headrest for a rear seat of a car
JPH069897Y2 (en) Auxiliary assist grip structure for vehicles
KR200146763Y1 (en) Seat back-embedded type assist grip assembly
KR200194849Y1 (en) Car Seat Cover Fixture
JPS6246726A (en) Rear seat device for automobile
KR0166546B1 (en) Coin box in the rear seat for a vehicle
JP2002337579A (en) Rear seat cushion used in rear seat of automobile
JP2000025494A (en) Automobile seat device
JP2002336091A (en) Rear seat cushion used for rear seat in automobile
JPH09286265A (en) Seat back structure of vehicular seat
KR19980012896U (en) Structure of Binding Clip for Car Rear Seat Mounting
JPH0519259Y2 (en)
KR19980045236U (en) Armrest of the b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SUBM Submission of document of abandonment before or after decis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