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90033183A -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33183A
KR19990033183A KR1019970054461A KR19970054461A KR19990033183A KR 19990033183 A KR19990033183 A KR 19990033183A KR 1019970054461 A KR1019970054461 A KR 1019970054461A KR 19970054461 A KR19970054461 A KR 19970054461A KR 19990033183 A KR19990033183 A KR 19990033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block
input
dielectric
forming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544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기현
김재범
Original Assignee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희재, 엘지전자부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희재
Priority to KR10199700544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33183A/ko
Publication of KR19990033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318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5Comb or interdigital filters; Cascaded coaxial cavities
    • H01P1/2056Comb filters or interdigital filters with metallised resonator holes in a dielectric block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waveguides or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1/007Manufacturing frequency-selec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00Coupling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5/12Coupling devices having more than two ports
    • H01P5/16Conjugate devices, i.e. devices having at least one port decoupled from one other por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통신 기기용 대역통과 필터 분야에서 이용되고,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전달특성을 제어하고 입출력 임피던스를 매칭시키며, 성형 및 도금에 의해 커플링 캐패시턴스 패턴을 형성하여 제조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HOLE)과, 전면에서 각 공진홀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을 성형 몰드에 의해 형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유전체 블록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여 전극 형성을 위한 무전해 도금을 수행하여 입출력 포트와,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을 형성하는 제2 과정과;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 대한 표면연마 공정을 수행하여 중심주파수를 조정하고 개방면을 형성시키는 제3 과정으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Block type dielectric filter & the manufacturing method )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이동통신 기기용 대역통과 필터 분야에서 이용되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전체 필터의 구현방법은 크게 일체형 필터와 공진기 결합형 필터로 나누어진다. 상기 일체형 필터는 하나의 블록으로 이루어진 유전체 몸통에 공진홀이 형성되어 있고, 입출력 전극 그리고 커플링을 위한 커플링(COUPLING) 패턴을 입출력 전극이 형성된 면에 근접하여 형성한다. 이때, 입출력 전극과 커플링 패턴 사이에 인터디지털 캐패시턴스(INTERDIGITAL CAPACITANCE)가 존재하는데 이 캐패시턴스를 조절함으로써 공진기 사이의 커플링 값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공진기 결합형 필터는 여러개의 공진기를 커플링보드를 통해 결합시키는 구조로써 보드상에 소정의 캐패시턴스 값이 나타나도록 패턴을 형성함으로써 공진기 사이의 커플링을 조절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제1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 유전체 필터는 은 전극이 디핑(DIPPING)되어 있고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공진홀(110,112)이 형성된 유전체 블록(100)으로 형성된다. 이때, 참조번호 130은 상기 유전체 블록(100)에서 원통형 공진홀(110,112)이 형성된 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으로 은 전극을 벗겨 내어 형성함으로써 등가회로상에서 용량성결합을 위한 커플링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커플링갭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140 및 142는 상기 유전체 블록(100)의 좌우측 상단모서리에서 소정의 패턴으로 은 전극을 벗겨 내어 형성함으로써 등가회로상에서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120 및 122는 상기 임피던스 매칭갭(140,142)에 둘러싸인 모서리에서 은 전극이 벗겨지지 않은 부분으로서 입출력포트를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1 실시예에 의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100)에 은 전극층을 도포한 후 3차원 형태의 기계적 가공에 의해 구현되기 때문에 제조상의 문제점이 발생되며, 커플링 캐패시턴스의 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필터의 전달특성 제어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도 2는 종래 기술에 의한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제2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유전체 필터는 은 전극이 디핑(DIPPING)되어 있고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는 두 개의 원통형 홀(210,212)이 형성된 유전체 블록(200)으로 형성된다. 이때, 참조번호 230 및 232는 상기 유전체 블록(200)의 전면에서 원통형 홀(210,212)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도우넛 형태로 형성된 커플링 패턴을 나타내고, 참조번호 220 및 222는 상기 유전체 블록(200)의 전면 상단모서리에서 상기 커플링 패턴(230,232)과 연결되는 입출력포트를 나타낸다. 이때, 상기 유전체 블록(200)의 전면은 은 전극이 디핑되어 있지 않고, 상기 입출력 포트(220,222)의 주변은 소정의 패턴으로 은 전극이 벗겨져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제2 실시예에 의한 유전체 필터는 유전체 블록(200)에 은 전극층을 도포한 후 전면을 표면 연마에 의해 은 전극층을 제거하고,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커플링 패턴 및 입출력 포트(220,222)를 구현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이 발생되며, 커플링 캐패시턴스의 정확한 조절이 용이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그 목적은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 각 공진홀로부터 연결되는 홈을 형성함으로써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게 하여 필터의 전달특성을 조절할 수 있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성형 및 도금에 의해 커플링 캐패시턴스 패턴을 형성하고, 마스킹 공정에 의해 입출력 포트를 형성함으로써 기계적 가공이 필요없도록 하여 제조공정을 간단히 할 수 있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 은 종래 유전체 필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 는 종래 유전체 필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인 일체형 유전체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인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등가회로,
도 5는 본 발명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300 : 유전체 블록 310,320 : 공진홀
312,322 : 사각홈 330,332 : 입출력 포트
340,342 : 임피던스 매칭갭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 특징에 따르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hole)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서 각 공진홀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유전체 블록의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과, 상기 유전체 블록의 좌우측면 상단모서리 영역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입출력 포트와, 상기 입출력 포트가 유전체 블록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도록 하고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를 제공한다.
한편,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HOLE)과, 전면에서 각 공진홀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을 성형 몰드에 의해 형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유전체 블록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여 전극 형성을 위한 무전해 도금을 수행하여 입출력 포트와,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을 형성하는 제2 과정과,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 대한 표면연마 공정을 수행하여 중심주파수를 조정하고 개방면을 형성시키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제2 과정에서의 무전해 도금은 구리(copper)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유전체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등가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체형 유전체 필터는,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hole)(310,320)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300)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유전체 블록(300)에는 그 전면에 각 공진홀(310,320)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유전체 블록(300)의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터(C2)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312,322)과, 상기 유전체 블록(300)의 좌우측면 상단모서리 영역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입출력 포트(330,332)와, 상기 입출력 포트(330,332)가 유전체 블록(300)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도록 하고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C1,C3)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340,342)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유전체 필터의 제조공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310,320)과, 전면에서 각 공진홀(310,320)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312,322)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300)을 성형 몰드에 의해 형성한다.
그후, 상기 유전체 블록(300)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여 전극 형성을 위한 무전해 도금을 수행하여 입출력 포트(330,332)와,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340,342)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무전해 도금은 구리(copper)를 이용한다.
그후, 유전체 블록(300)의 전면에 대한 표면연마(lapping) 공정을 수행하여 중심주파수를 조정하고 개방면을 형성시킴으로써 일체형 유전체 대역통과 필터가 구현된다.
상기에서 2개의 공진홀(310,320)은 등가회로 상에서 LC 병렬 공진회로를 의미하고, 전극의 형성된 2개의 사각홈(312,322)은 등가회로 상에서 커플링 캐패시터(C2)의 기능을 하는데 캐패시턴스 값은 사각홈의 너비와 파인 깊이에 의해 결정된다. 그는 최초 성형 몰드할 때 상기 사각홈(312,322)의 너비와 깊이를 조절함으로써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결정한다. 결국, 본 발명은 커플링 캐패시턴스의 미세 조정이 가능하여 필터의 전달특성 최적화가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주파수 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로서, 삽입손실(insertion loss)은 거의 0 dB에 근사하며, 저지대역에서의 감쇄특성이 양호함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은,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 각 공진홀로부터 연결되는 사각홈을 형성하여 커플링 캐패시턴스의 조절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때문에 필터의 전달특성 최적화가 가능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성형 및 도금에 의해 커플링 캐패시턴스 패턴을 형성하고, 마스킹 공정에 의해 입출력 포트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린 프린팅 및 기계적 가공이 필요없게 되기 때문에 제조공정이 간단하게 되어 제품의 가격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도록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hole)이 형성된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서 각 공진홀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유전체 블록의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과, 상기 유전체 블록의 좌우측면 상단모서리 영역에 소정의 패턴으로 형성된 입출력 포트와, 상기 입출력 포트가 유전체 블록의 다른 부분과 분리되도록 하고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
  2. 전면에서 후면방향으로 관통하고 서로 평행한 2개의 원통형 공진홀(HOLE)과, 전면에서 각 공진홀로부터 서로 대향되도록 일부가 제거되어 커플링 캐패시턴스를 형성시키는 2개의 사각홈을 갖는 직육면체 형태의 유전체 블록을 성형 몰드에 의해 형성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의 유전체 블록에 마스킹 패턴을 형성하여 전극 형성을 위한 무전해 도금을 수행하여 입출력 포트와, 입출력 임피던스의 조절을 위한 캐패시터의 역할을 하는 임피던스 매칭갭을 형성하는 제2 과정과,
    유전체 블록의 전면에 대한 표면연마 공정을 수행하여 중심주파수를 조정하고 개방면을 형성시키는 제3 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과정에서의 무전해 도금은 구리(copper)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유전체 필터의 제조방법.
KR1019970054461A 1997-10-23 1997-10-23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99900331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461A KR19990033183A (ko) 1997-10-23 1997-10-23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54461A KR19990033183A (ko) 1997-10-23 1997-10-23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3183A true KR19990033183A (ko) 1999-05-15

Family

ID=40328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54461A KR19990033183A (ko) 1997-10-23 1997-10-23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3318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315B1 (ko) * 2000-04-27 2003-06-25 주식회사 케이이씨 공진기 결합형 유전체 필터
WO2008120902A1 (en) * 2007-03-30 2008-10-09 Kwi Soon Lee Water purifier for outdoo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88315B1 (ko) * 2000-04-27 2003-06-25 주식회사 케이이씨 공진기 결합형 유전체 필터
WO2008120902A1 (en) * 2007-03-30 2008-10-09 Kwi Soon Lee Water purifier for outdo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03197A (en) Ceramic band-pass filter
US6351198B1 (en) Dielectric filter, duplexer, and communication apparatus
JPH07283604A (ja) 誘電体フィルタ装置
US5537085A (en) Interdigital ceramic filter with transmission zero
US5721520A (en) Ceramic filter with ground plane features which provide transmission zero and coupling adjustment
KR19990033183A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KR100256089B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KR100258890B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H11127002A (ja) 誘電体フィルタ
KR19990042221A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및 그 제조방법
JPH088605A (ja) 積層誘電体フィルタ
KR100286807B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US5841331A (en) Dielectric filter
KR100372692B1 (ko) 로딩 스터브를 이용한 적층형 필터의 감쇄극 조정방법
JPH06216605A (ja) ストリップラインフィルタ
JP2661005B2 (ja) 誘電体フィルタ
KR100195522B1 (ko) 일체형 유전체 협대역 필터
JP2000183616A (ja) 誘電体フィルタ、デュプレクサおよび通信機器の製造方法
JPH1065401A (ja) 帯域通過フィルタ
JP2661006B2 (ja) 誘電体フィルタ
GB2339341A (en) Duplexer dielectric filter
KR100213374B1 (ko) 소형 유전체 필터
JPH05283907A (ja) ストリップライン型フィルタ
JPH0983212A (ja) 誘電体フィルタ
KR0177671B1 (ko) 일체형 유전체 필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